본 연구는 40-60세 남성들 119명을 대상으로 혈압과 체위지수 및 생화학적 지수와의 관련성을 조사 ․ 분석하였다. 평균 혈압은 정상혈압군 104.5 ± 5.9/67.3 ± 5.0 mmHg, 전단계고혈압군 125.2 ± 5.1/77.5 ± 7.1 mmHg, 고혈압군 143.5 ± 8.9/90.2 ± 7.3 mmHg로 나타났다. 체질량지수 및 허리-엉덩이둘레비는 고혈압군이 정상혈압군 및 전단계고혈압군보다 높았다. 혈색소와 혈청 알부민, 포도당, 알라닌트랜스아미나제, 알도스테론 농도는 고혈압군이 정상혈압군 및 전단계고혈압군보다 높았다. 혈청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아포지단백 B 농도 및 동맥경화지수는 전단계고혈압군 및 고혈압군이 정상혈압군보다 높았다. 혈압이 높은 군일수록 혈청 중성지질 농도는 높은 반면 혈장 아스코르브산의 농도는 낮았다. 전단계고혈압군인 경우에 체질량지수는 아포지단백 A1 및 아스코르브산 농도와 음의 상관성을 나타내었고, 고혈압군인 경우에 체질량지수는 중성지질 농도와, 허리-엉덩이둘레비는 총 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 농도와 각각 양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아스코르브산 농도는 정상혈압군과 고혈압군에서 HDL-콜레스테롤 및 아포지단백 A1 농도와는 양의 상관성을 나타낸 반면 동맥경화지수와는 음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이들 결과로 미루어 고혈압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이상적인 체중유지와 더불어 혈청 지질 및 나트륨 농도를 저하시키고 혈장 아스코르브산 농도를 상승시키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남성 근로자들의 대사증후군 유병율을 알아보 고, 체위와 혈액학적 지수, 식습관과 건강관련 행동 등 여러 가지 요인들과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상자들의 일 반적인 사항은 연령은 정상군 및 위험군은 ‘20대’가 가장 많 은 반면, 대사증후군군에서는 ‘30대’가 가장 많게 나타났다. 혈청 ALT의 농도는 대사증후군군(31.3±14.0 U/ℓ)이 정상군 (19.2±7.6 U/ℓ) 및 위험군(22.8±12.5 U/ℓ)에 비해 유의적으 로 높게 나타났으며, AST(p<.05) 및 γ-GTP 농도(p<.001)는 대 사증후군군(30.3±8.8 U/ℓ, 91.1±40.2 U/ℓ) > 위험군(25.7±8.1 U/ℓ, 41.8±20.2 U/ℓ) > 정상군(22.8±6.0 U/ℓ, 26.6±10.7 U/ ℓ)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수축기 혈압은 대사증후군군(132.9±6.3 ㎜Hg)>위험군(123.5± 9.8 ㎜Hg)>정상군(116.8±7.0 ㎜Hg)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완기 혈압은 대사증후군군이 정상군(75.0±5.1 ㎜Hg)과 위 험군(79.1±7.1 ㎜Hg)보다 높게 나타났다. 혈청 중성지질 및 혈 당 농도는 대사증후군군(242.5±114.8 ㎎/㎗, 142.3± 53.7 ㎎/㎗)> 위험군(186.9±134.3 ㎎/㎗, 111.3±37.0 ㎎/㎗)>정상군(82.8±33.8 ㎎/㎗, 84.7±16.9 ㎎/㎗)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동맥경화지 수는 대사증후군군(3.5±1.2)이 정상군(2.2±0.7)과 위험군(2.7±1.0) 에 비해 높게 나타난 반면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대사증후 군군(45.9±14.0 ㎎/㎗)이 정상군(62.4± 16.6 ㎎/㎗) 및 위험군 (56.2±14.5 ㎎/㎗)에 비해 낮았다. 아침식사의 빈도에서는 아침식사를 ‘매일 한다’는 응답률은 대사증후군군이 가장 높은 반면 ‘전혀 하지 않는다’라는 응 답률은 정상군이 가장 높았다. 음주 빈도는 정상군과 위험군 에서는 ‘주 3~4회’가 가장 많은 반면에 대사증후군군의 경우 에는 ‘주 5회 이상’이 가장 많았다. 음주량에서 ‘주 200 g 미 만’은 위험군이 가장 많았고, ‘주 200~399 g’은 정상군이 가장 많았으며, ‘주 400 g 이상’은 대사증후군군이 가장 많았다. 정 상군의 경우 연령이 많아질수록 Hemoglobin 농도는 낮았으 나 LDL-C/HDL-C와 AI는 높았고, 위험군은 연령이 많아질수 록 Hemoglobin 농도는 낮았으나 혈당 농도는 높게 나타났다. 대사증후군군의 경우에는 연령이 많아질수록 Hemoglobin 농 도는 낮았으나 γ-GTP, LDL-콜레스테롤및 수축기 혈압은 높 게 나타났다. AST 농도가 높을수록 대사증후군군에서는 혈 당 농도가 높았으며, ALT 농도가 높을수록 위험군에서는 허 리둘레와 수축기 혈압이 높았다. 그리고 γ-GTP 농도가 높을 수록 위험군에서는 수축기 혈압과 허리둘레가 높았으며, 대 사증후군군에서는 혈당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본 조사 대상자들의 아침식사 빈도, 교육 수준, 음주량 및 음주 빈도, 운동 빈도, AST, ALT 및 γ- GTP 농도가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 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을 줄이 고 나아가서는 심혈관질환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체중 감소, 활동량 증가, 음주량 및 음주 빈도 줄이기 등의 다양한 생활습관 교정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연구와 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짚신나물 열수 추출물의 α-glucosidase 저해 활 성을 측정하고, 분화된 근육세포에서 glucose 이용과 인슐린 신호전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짚신나물 열수 추출 물(10 ㎎/㎖)은 α-glucosidase 활성을 67% 저해하였으며, 같은 농도의 양성대조구인 acarbose(63%)와 유사한 저해 효과를 보였다. 짚신나물 열수 추출물이 α-glucosidase에 의한 단당 류 생성을 저해함으로 식사 후 혈당이 급격히 상승하는 것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소재로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근육세포에서 인슐린 저항성을 유발하기 위해 지방산(1 mM, palmitic acid)를 처리하였고, glucose의 세포내 유입이 감소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방산 처리 세포 모델에서 짚신나 물 열수 추출물(10 ㎍/㎖)은 glucose 이용을 유의적으로 회복 시켜 주었다. Normal 상태의 배양조건에서 근육세포의 포도 당 이용능은 짚신나물 열수 추출물(100 ㎍/㎖) 처리에 의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근육세포 내로 glucose 유입은 운반 단백질인 Glut4를 통해 이루어지며, 이것은 인슐린이 신호전 달을 통해 조절한다. 짚신나물 열수 추출물의 세포 내 glucose 이용 증가 효과는 인슐린 신호전달 관련 분자인 Akt 유전자 와 단백질 발현을 증가시킨 것과 관련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결론적으로, 짚신나물 열수 추출물은 소화기관에서의 탄수화 물 흡수 저해와 근육세포 내 glucose 이용 증가를 통해 혈당 조절 및 당 대사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 하였다.
공항 콘크리트 포장의 설계방법은 기존의 현장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한 경험적 설계방법에서, 하중조건을 고려하여 포장의 잔존수명을 예측하는 역학적-경험적 설계방법으로 발전해왔다. 미연방항공청(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에서는 3차원 유한요소해석에서 산출된 응력으로 공항 포장두께를 결정하는 역학적 설계방법을 병행하는 역학적-경험적 설계지침 AC-150/5320-6E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국내에서도 적용되는 이 방법은 환경조건을 고려하지 못한 단점이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Jeong et al., 2010). 환경하중은 공항포장에서 슬래브의 파손을 야기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콘크리트 슬래브에서 깊이에 따 른 온도 분포와 상하부의 부등건조수축으로 인해 하향컬링과 상향컬링 현상이 발생하며, 슬래브의 자중, 보조기층과의 마찰, 그리고 다웰바 등에 의해 구속되어 슬래브 내부에 응력을 발생시킨다. 내부 응력이 발생한 상태에서 교통하중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슬래브의 파손을 야기하므로 환경하중을 고려하지 않은 기존의 역학적 설계는 실제 포장의 공용성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없다(박주영 등. 2013).
본 논문에서는 공항포장에서 환경하중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환경하중 및 교통하중을 고려한 수치해석을 실시하였고, 슬래브에 발생되는 최대인장응력의 크기와 그 때의 기어하중 위치를 찾았다. 환경하중을 적용하기 위해 미국 켄터키주 공항 콘크리트 포장의 열팽창계수 실측 데이터를 적용하여 등가선형온도차를 산출하였으며, 양과 음의 온도구배를 각각 재하하였다. 분석 결과, 그림 1과 같이 단일 하중조건만 고려했을 경우는 교통 하중이 환경하중에 비해 더 큰 인장응력이 나타났지만, 환경하중과 교통하중을 복합적으로 적용했을 때에는 발 생되는 인장응력이 큰 차이를 보였다. 또한 이러한 해석 결과들은 실제 공항에서 파손이 자주 발생되는 취약구간과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로써 공항 콘크리트 포장의 공용 수명을 예측하고, 합리적인 설계를 위해서는 환경하중이 고려되어야한다 판단되었다.
조선시대 대동여지도와 동국여지승람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도로망이 처음 시작되어, 현재까지 꾸준히 도로가 건설되고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그러나 정보통신의 발전은 조선 후기 우정총국이 설립되면서 처음 시작 되었으나, 최근 들어 급속한 발전을 거듭하여 2007년 우리나라의 시초라 할 수 있는 스마트폰의 도입으로 도로 건설 및 관리 분야에도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시스템이 도입되어 국가 발전의 선구자 역할을 주도 하고 있다. 우리 생 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도로 포장 및 유지보수 관리에 스마트 기기를 활용함으로 효과적이고 정확한 도로 포장 유지보수 관리를 체계적으로 운영 할 수 있으므로 국민들의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도로 포장의 효율적 관리를 보다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1990년부터 도로포장관리시스템(PMS : Pavement Management System)을 지금까지 운영하고 있다. 도로 포장의 유지보수 관리를 위하여 전국 일반국도의 현황, 교통량, 구조물의 위치, 포장의 구조, 유지보수 이력, 공사현장, 포장의 상태 등을 현장과 동일하게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래서 1999년부터 최첨단 포장 상태 조사 장비를 도입하여 현장 조사를 실시하고, 실내에 들어와 컴퓨터로 분석 및 관리함으로 현장에서 확인하기 어려운 상황과 자료 취합까지 다소 시간이 걸리게 된다. 과거에도 개인용 휴대단말기(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를 활용하여 도로 포장 자료 관리를 하려고 하였으나, 느린 통신과 무거운 단말기 등 기술적 제약으로 실무에 널리 활용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스마트 기기의 발전으로 빠른 통신과 휴대가 가편하면서 저장 용량으로 관리 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 되었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는 도로 포장 자료 관리의 체계적인 데이터 관리, 현장의 실시간 자료 확립 및 정확한 위치와 현황 파악을 목적으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도로포장자료관리시스템(PDMS)를 구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Tablet을 활용하여 상세조사구간 실사 정보를 입력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관련 정보를 일반국도 포장자료 데이터베이스와 연동 할 수 있는 기능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개발을 통하여 전국 일반 국도의 도로현황, 포장상태, 구조물의 정확한 위치, 교통량의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하며, 현장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장에서 조사된 자료가 실시간 확인이 가능함으로 도로포장관리를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관리가 확보되고, 포장상태 조사와 평가에 많은 신뢰성으로 예산의 효율적 배치 및 정확한 정보 서비스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nthropometry, serum lipid levels, dietary behavior and health-related behaviors of shipbuilding workers. The education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office workers than laborers, while age, monthly income and working year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both groups. The serum triglyceride, glucose concentration and AI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office workers than in laborers, but the serum LDL-cholesterol and HDL-cholesterol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laborers than in office workers. The frequency of breakfast and coffee intak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office workers than in laborers. In the office workers, ag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ystolic blood pressure bu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hemoglobin and hematocrit concentration In the laborers, working year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hemoglobin, total cholesterol and serum LDL cholesterol concentrations. Exercis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 triglyceride and LDL-cholesterol concentration and AI in the office work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office workers are more prone to related chronic degenerative diseases. Therefore, nutritional education for the provention of chronic degenerative diseases of shipbuilding workers needs to be more focused on improving the health status of office workers.
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youth with the basic materials for developing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and to help domestic science teachers in schools implement effective dietary education by examining their awareness of food additives. In the source of acquiring knowledges on food additives, the results were through mass media,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achers, and family members in order. The majority of students thought that they don't need the education about food additives. As effective teaching methods, they first selected the use of visual media, followed by experimental cooking classes, field trip, and inquiry lessons using processed food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ducation on food additives in accordance with demographic factors, more number of female students, compared to male students depicted the need for education on food additives. Further, the lower the cost students spend on purchasing processed foods per day, the higher the necessity of the education they indicate. The necessity of education content on food additiv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cost of buying processed foods, and the degree of interest and help real-life according to gender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The satisfaction with education on food additives, which was implemented in home economics education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research of educational programs regarding good eating habits among the general youth.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to the presentation of the practical training program. For this reas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urther studies should follow this study in order to develop and study educational programs related to food additives for teaching and learning purposes.
이 논문에서는 다층탄성해석과 유한요소법을 사용하여 도로설계를 위한 도로내 주요 변형률을 계산하여 유사한 결과치를 양산하는 경우를 비교 분석하였다. 비록 유한요소법이 보다 나은 모델이라는 것이 입증되긴 했지만, 다층탄성해석 프로그램이 간편성으로 인해 여전히 도로설계를 위해 많이 사용되어 지고 있으므로 다층탄성해석 프로그램을 사용한 주요 변형률의 예측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KENLAYER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비선형 이방성 기층거동을 고려한 유한요소법을 사용했을 때 얻어지는 도로내 주요 변형을 예측할 수 있는 분석기법이 소개된다.
이 논문에서는 아스팔트 도로 설계에 필요한 기층골재 재료의 비선형 이방성을 고려한 연결함수를 개발하였다. 기층이 비선형 이방성 거동으로 해석되어졌을 경우, 선형 등방성 거동으로 해석되어질 때 나타나는 기층 하부내의 인장력을 감소시켜 보다 현실적인 응력분포를 보이게 된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연결함수들은 대부분 기층이 선형 등방성 거동으로 해석하여 개발된 것이므로, 비선형 이방성 거동을 근간으로 하는 연결함수의 개발이 현실적인 도로 설계를 위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 개발된 연결함수를 이용하여 도로를 설계한 결과 AASHTO의 연결함수를 이용하여 설계했을 경우보다, 기층 두께가 25mm 감소되는 결과를 보였으며, 이는 AASHTO 도로 설계가 보수적인 설계라는 것을 입증하였다.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 food group(Food, Drinks and Health foods &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occupies little position in total sales of Internet shopping mall, the food group's sales in cyber shopping mall in 2006 have increased 678.1% over 5 years. In addition to the fact that the food consumption pattern has changed from quality-oriented to convenience, health and safety-oriented, the need to decrease the opportunity cost created by housework is rising in the context of increase of women's work participation rate. The wind of change like these will become the foundation on which cyber food industry will be developed. The factors having an effect on consumer purchasing intentions when one buy foods through internet shopping malls are researched in this thesis. For the investigation, women of 697 were surveyed by a questionnaire,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for WINDOW(Version 12.0). The result is as follows: Factors having an effect on food purchasing intentions are Convenience(Timesaving, Troublesomeness), Customer service(Responsiveness, Reliability, Empathy, Tangibility), Perceived Customer Risk(Economic, Social, Performance risk) and Shopping experience(Easy to find out, Easy process for payment) in order.
Discussion education, a social conversation form, which learners encounter for the first time, is very significant because the modern society emphasizes social communicative competence.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contents of discussion education through reconceptualizing the components of discussion competence. Discussion competence is the competence that a discussion participant can make a rational, critical, and balanced communication, using speaking and listening strategy being comprehend․analyze․judge group topics, having open attitude, being based on cooperative contemplative faculty. At this point, contents of discussion education is "cooperative contemplative faculty for a discussion theme"; "comprehensive faculty․analytic thinking․judgment about a discussion theme"; "the open attitude for the social community"; "speaking and listening strategy for the achievement of a discussion purpose"; "a competence that leads rational, critical, and well-balanced discussion procedure". A leaner can expand into a discussion competence, it may be necessary to social communication, through this concrete contents of discussion education.
블록 영상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영상 복잡도는 블록 영상을 대표하는 화소를 선택할 수
있고 정합 오차를 예측할 수 있어 블록 정합 알고리즘에 활용되고 있다. 영상 복잡도는 부가적인 계산량을 요구하고 전체적인 계산량과 화질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적절한 영상 복잡도가 선택되어야 한다.본 논문은 영상 복잡도를 계산할 수 있는 기존의 방법을 소개하고,화질을 유지하면서 계산량을 줄이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다. 성능평가를 위해 영상 복잡도들은 화질과 계산량에 대해 비교 분석된다. 그리고 모의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된 영상 복잡도가 기존의 영상 복잡도보다 우수함을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of snack intake and ADH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mong 284 children aged 4~7 years. The degree of ADH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were assessed by both children's mother and their teachers using Behavior check list. The subjects who had a higher ADH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score ate more pizza, hamburger, chicken, processed milk, carbonated beverage. These results indicate ADH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were related positively for snack(pizza, hamburger, chicken, processed milk, carbonated beverage etc.) inta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