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lue evaluation of foodstuff of 448 college students residing in the urban area.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value of each foodstuff, two to four factors were drawn from each foodstuff. The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the social-conceptual factor, the preparatory factor, the quality factor, the economic factor, the subjective factor, and the complex factor. It was learned that the social-conceptual factor was dominant over the majority of college students in the evaluation of value of foodstuff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factor of the value evaluation for each foodstuff according to sex and the main growth region among the college student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sexes regarding the preparatory factor and the economic factor. Also, in accordance with the main growth region, there was great difference in the social-conceptual factor(except for the Korean rice cak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Korean eating behavior which is highly correlated with their nutritional status,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various factors on eating behavior. The above information was used to develop a nutritional status for Korea. The 2000 Korean people were selected with the stratified random sampling method. This study used a questionaire as instrument tool. The questionaire consists of :1)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2) the valuation of food and nutrition; 3) the concern of food and nutrition; 4) psychological health condition; 5) physical health condition; 6) nutrient consumption status and 7) analysis of eating behavior. Data were analyzed by using a SPSS PC Package. Significant differences and correlation among variables were determined by the t-test, 2-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 All nutrient intak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ating behavior score(p〈0.001). Factors such as socio-economic status, valuation and concern on food and nutrition, and psychological health condition had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eating behavior. But the physical health condition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i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valuation of food and nutrition made the greatest contribution(35.6% explained) and concern made the second greatest contribution(10.5% explained). The third was education level(9.8% explained), and the forth psychological health condition(1.8% explained).
A sedimentary petrologic study was carried out to clarify the composition and textural properties of the Yuchi Conglomerate in the vicinity of Yuchi-rayon, Jangheung-gun The mean size of the clasts ranges from -3.2φ to -5.5φ. Most of the conglomerate in the area is classified as pebble conglomerate. Most of the clasts are subrounded to rounded, and discoidal and spheroidal clasts are ample. The clasts are mainly composed of andesite,rhyolite,granitic gneiss and tuff with some quartzite and vein quartz. 1t is assumed that depositional environment of conglomerates was fluvial environment. On the basis of sedimentological properties of conglomerates, the source area of the Yuchi Conglomerate seems to have been located to the north to northeast of the depositional basin.
탈지 은행 종실 및 잎에서 유리페놀산, 에스터형 및 불용성 페놀산을 추출하여 식용 옥수수유 기질에서 항산화 효과를 비교하고자 0.02%(w/w)의 BHA, BHT와 각 추출물 (2% w/w)를 넣어 의 항온기에서 45일간 저장하면서 매 5일 간격으로 과산화물가, TBA가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이 항산화 효과를 추정하였다. BHA, BHT와 은행 종실의 유리페놀산, 에스터형 및 활용성 페놀산, 잎의 유리페놀산, 에스터형 및 불용성 페놀산 추출물을 첨가한 시험구와 대조구의 45일 저장후 과산화물가는 각각 133, 52, 115, 190, 127, 95, 140, 121, 280meq/kg, oil이었다. 한편 같은 조건하에서 각 항산화성 물질의 TBA가는 0.153, 0.059, 0.175, 0.260, 0.187, 0.160, 0.1 74, 0.195 0.430이었다. G.C.로 분리 확인된 페놀산은 은행 종실 및 잎 공히 Vanillin, -Hydroxybenzoic acid, Syringic acid, Gallic acid, Protocatechuic acid가 확인되었고 은행 종실에서는 trans-Cinnamic acid, Caffeic acid가, 잎에서는 Coumaric acid, Gentisic acid, Phloroglucinol, Pyrogallol이 각각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은행 종실 및 잎의 페놀산은 식용 옥수수유 기질에서 우수한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2충의 BPSG를 사용하는 서브마이크론 CMOS DRAM에 있어 전기적 특성에 관한 BPSG flow온도의 영향을 비교하였다. BPSG flow온도를 850˚C/850˚C, 850˚C/900˚C, 900˚C/900˚C의 3가지 다른 조합을 적용하여 문턱전압, 파괴전압, Isolation전압과 더불어 면저항과 접촉 저항을 조사하였다. 900˚C/900˚C flow의 경우 NMOS에서 문턱전압은 0.8μm 미만의 채널길이에서 급격히 감소하나 PMOS 경우는 차이가 없었다. NMOS와 PMOS의 파괴전압은 각각 0.7μm와 0.8μm 이하에서 급격히 감소하였다. 그러나 850˚C/850˚C flow의 경우에는 NMOS와 PMOS모두 문턱전압과 파괴전압은 채널길이 0.7μm까지 감소하지 않았다. Isolation전압은 BPSG flow온도 감소에 따라 증가하였다. 면저항과 접촉 저항은 BPSG flow온도가 900˚C에서 850˚C로 감소됨에 따라 급격히 증가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열처리 온도에 따라 dopant의 확산과 활성화에 관련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접촉 저항 증가에 대한 개선 방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pMOS소자의 p+게이트 전극으로 다결정실리콘과 비정질실리콘을 사용하여 고온의 열처리 공정에 따른 붕소이온의 침투현상을 high frequency C-V plot, Constant Current Stress Test(CCST), Secondary Ion Mass Spectroscopy(SIMS) 및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TEM)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C-V plot분석 결과 비정질실리콘 게이트가 다결정실리콘 게이트에 비해 flatband전압의 변화가 작게 나타났으며, 게이트 산화막의 절연파괴 전하밀도에서는 60~80% 정도 향상된 값을 나타내었다. 비정질실리콘 게이트는 증착시 비정질로 형성되는 구조로 인한 얇은 이온주입 깊이와 열처리 공정시 다결정실리콘에 비교하여 크게 성장하는 입자 크기 때문에 붕소이온의 침투 경로가 되는 grain boundary를 감소시켜 붕소이온 확산을 억제한 것으로 생각된다. Electron trapping rate와 flatband 전압 변화와의 관계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Iterbicide resduc. cauicd ~rljul-y to ovcrsown pasture grasses \\hen herbicide appliccl for use in pasturc est;~blish~nt~nt lo gro~vth contro! ol n;rtivc ~r ~:cds and shrubs. 'l'hih L~sperirnel~t was conducted to cv;lluati. (he herbicidr residue anti its
Adequate regrowth control of weeds and shrubs has been one of the important problem for pasture establishment by overseeding on reclaimed forest hilly land.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on sloping shrub land near Anseong, Gyeonggido to evaluate the eff
저압 화학 증착법으로 증착된 다결정실리콘에 As를 이온주입하여 As농도와 25~105˚C 범위의 측정온도에 따른 비저항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비저항이 최대가 되는 적정 As농도가 존재하였으며 이때 비저항의 온도의존성면에서 활성화에너지 값도 최대를 보였다. Passivation공정후 감소된 비저항이 O2플라즈마 처리와 N2 분위기에서의 열처리에 의하여 회복되는 현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This study i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tratigraphy of the Cretaceous sedimentry rocks, trending NS and NNE-SSE, which is distributed in the Neungju Basin located in Jangseong-Sinangun Jangsando, Damyang-Hwasut~Jangheunggun Daedog, Gurye-Seungjugun Songchijae-Seungjugun Haeryong.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Bed rocks in study area are composed of gneisses, schists, quartzite, shistose granite and granite ; sedimentary rocks are mainly tuff, shale, sandstone and conglomerate in ascending order igneous rocks are andesite and rhyolite. The reddish shale and sandstone are alternated, and conglomerate are polygenetic ones in all Iocalities except Jangheunggun Daedog localities. 2. The stratigraphy of the study area can be expressed as Bed rocks, Ingog tuff, Seoyuri formation, Jangdong tuff, Uchi conglomerate, Dado tuff and Mudeungsan volcanic rocks in ascending order. 3. The geologic age of sedimentary rocks in the study area is upper Cretaceous and correlated with the Yucheon Formation of the Gyeongsang Supergroup
GA25, 50ppm과 BA100, 200ppm을 옥수수 종자(種子)에 처리(處理)하여 발아율(發芽率) 및 호흡량(呼吸量)과 배유양분(胚乳養分)인 환원당(還元糖), 전당(全糖), 조단백질(粗蛋白質)의 이동(移動)에 대(對)하여 구명(究明)하고자 행(行)한 실험(實驗)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초기(初期)의 발아율(發芽率)은 GA 25ppm구(區)가 가장 높았고 BA 200ppm구(區)가 가장 낮았다. 중후기(中後期)의 발아율(發芽率)은 각(各) 처리구간(處理區間)의 차(差)가 크게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2. 호흡량(呼吸量)은 각구(各區) 공(共)히 발아(發芽)와 병행하여 현저히 증가(增加)되었으나 처리구(處理區)가 Control에 비(比)해 Q 가 낮고 특히 BA 200ppm구(區)가 현저하게 낮은 경향(傾向)임을 알수 있었다. 3. 배(胚)와 배유중(胚乳中)의 환원당(還元糖)과 전당(全糖)의 양(量)은 각구(各區) 공(共)히 경시적(經時的)으로 현저히 증가(增加)되나 BA 처리구(處理區)가 무처리구(無處理區)와 GA처리구(處理區)에 비(比)하여 증가율(增加率)이 낮음을 인정(認定)할 수 있었다. 4. 발아중(發芽中) 종자(種子)의 조단백질량(粗蛋白質量)은 각구(各區) 공(共)히 경시적(經時的)으로 배부(胚部)에서는 증가(增加)되고 배유부(胚乳部)에서는 감소(減少)되며 그 정도(程度)는 GA 25pppm 처리구(處理區)가 가장 현저하고 BA 200ppm처리구(處理區)의 소장(消長)이 가장 적었다.
A three year's field experiment was carried out on newly reclaimed tidal saline soils to evaluate the salt tolerance and growht characteristics, and their relationship to dry matter production and nutrient quality of main selected pasture species. Nine te
1989년 11월 4~12일의 동지나해에서 관측한 자료를 사용하여 해황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표층의 해황은 쓰시마 난류수와 중국 대륙 연안수로 대별되고 그 사이에는 강한 전선이 형성되고 있다. 쓰시마 난류수는 수온 22~24℃, 염분 33.5~34.5‰의 고온.고염수로 용존산소는 4.5ml/l 이하로 낮았다. 그리고 중국 대륙 연안수는 수온 18~20℃, 염분 32.0‰ 이하인 저온.저염수로 용존산소는 4.5~5.0ml/l로 높게 나타났다. 저층에도 역시 표층과 같이 쓰시마 난류수와 중국 대륙 연안수가 존재하였다. 이 외에도 북쪽에는 수온 10℃ 이하, 염분 33.0‰ 내외, 용존 산소는 4.5ml/l 이상의 고산소수인 황해 저층냉수가 분포하고, 동남쪽에는 수온 15~19℃ 염분 34.5‰, 용존산소는 2.0~3.5ml/l의 저산소수인 동지나해 남부 저층수도 분포하였다. 그리고 중국 대륙 연안수와 쓰시마 난류수의 중간 특성을 나타내는 수온 20.5~22.0℃, 염분 32.3~33.3‰의 물은 중국 대륙 연안수와 쓰시마 난류가 혼합된 결과라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