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칠판이 교육과학기술부와 각 시도교육청에서 추진하고 있는 교단선진화 사업과 영어 거점학교 사업의 일환으로 많은 학교에 들어오고 있으나 이에 대한 본격적인 수업모형에 대한 연구는 현재 미미한 수준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전자칠판을 활용한 수업의 장점과 단점을 들여다보고 적합한 수업모형을 개발하여 전자칠판의 보급과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의 방법은 우선 이론적 연구와 요구조사를 중심으로 하여 1차적인 전자칠판 활용 영어과 수업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현장에 적용한 적정화 연구과정을 통해서 그 적합성을 높일 수 있도록 수정보완하여 최종적인 수업모형을 제시하는 과정으로 연구를 진행한다. 기본적으로 영어라는 외국어를 활용한 탐구학습 능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수업모형을 개발하고 다양한 수업 맥락에 적용될 수 있도록 수업모형의 유연성을 높이도록 고안하였다. 경험-내재화-적용이라는 3단계 수업모형이 수업 맥락에 따라서 시작점을 교사가 임의로 정할 수 있도록 하였고 수업내의 활동 내용도 기본적으로 배운 표현을 활용하여 필요한 과업을 수행해 낼 수 있도록 하는 과정에서 스케폴딩 도구로서의 역할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대양"은 우리 나라에서 재배가 가능한 조숙 양질 다수성 쌀귀리 품종을 육성하고자 미국의 조숙성 쌀귀리 계통인 'LX446-1-84-Q1'을 모본, 대립 겉귀리 계통인 'SO92004-B-3-3-5-7'을 부본으로 인공 교배하여 계통육종법에 의해 계통을 선발한 후 2002년부터 생산력검정시험과 지역적응시험을 거쳐 2007년에 육성된 품종이다. 그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대양"은 잎폭은 넓으며, 이삭형은 산수형이고, 종실은 길고 갈색이다. 2. "대
본 연구에서는 레몬밤추출물과 발효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분석 및 tyrosinase 저해 효과에 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추출물의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FSC50)은 발효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8.38 µg/mL)에서 가장 큰 활성을 나타내었고, 또한 Lumin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2O2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레몬밤추출물의 총 항산화능은 발효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0.63 µg/mL)에서 가장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레몬밤추출물과 발효추출물에 대하여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세포보호 효과를 측정하였다. 레몬밤추출물과 발효추출물의 경우 5 ∼ 75 µg/mL의 농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Tyrosinase의 활성 저해 효과(IC50)는 50 % ethanol 추출물(365 µg/mL) < 발효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122.43 µg/mL) < ethyl acetate 분획(94.8 µg/mL) 순으로 나타났다. 레몬밤추출물 중 ethyl acetate 분획과 발효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은 TLC에서 공통으로 2개의 띠로 분리되었다. 또한 HPLC (330 nm)에서도 ethyl acetate 분획과 발효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이 각각 2개 peak로 나타났다. 각각의 크로마토그래피로부터 ethyl acetate 분획의 peak 1 (51.64 %)은 caffeic acid, peak 2 (48.36 %)는 rosmarinic acid 임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발효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에서도 peak 1 (4.13 %)과 peak 2 (95.87 %)는 각각 caffeic acid와 rosmarinic acid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레몬밤의 50 % ethanol 추출물 및 발효추출들이 1O2 혹은 다른 ROS를 소광시키거나 소거함으로써 그리고 ROS에 대항하여 세포막을 보호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리고 또한, 레몬밤 추출물과 발효추출물의 성분 및 함량을 분석함으로써 발효 후에 차이점을 확인, 이를 통한 응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벼 내염성 유묘검정에서 실용성, 경제성, 정밀성이 우수한 검정체계를 확립하고벼 자포니카 내염성 중간모본 및 품종개발을 위한 내염성 유전자원 및 품종을 선발 이용하고자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1. 증류수 이용 Yoshida 양액에 NaCl를 첨가한 염처리는 0.3%, 0.5%, 0.7%로 희석한 바닷물로 Yoshida 양액을 제조한 염처리 보다 유묘 내염성 계통을 선발하는데 효율적이었다. 2. 수돗물로 양액 제조 처리는 증류수로 양액 제조 처리와 유묘 내
Development of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was presented to predict the daily maximum SO2 concentration in the urban-industrial area of Ulsan. The network model was trained during April through September for 2000-2005 using SO2 potential parameters estimated from meteorological and air quality data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daily maximum SO2 concentrations. Meteorological data were obtained from regional modeling results, upper air soundings and surface field measurements and were then used to create the SO2 potential parameters such as synoptic conditions, mixing heights, atmospheric stabilities, and surface conditions. In particular, two-stage clustering techniques were used to identify potential index representing major synoptic conditions associated with high SO2 concentration. Two neural network models were developed and tested in different conditions for prediction: the first model was set up to predict daily maximum SO2 at 5 PM on the previous day, and the second was 10 AM for a given forecast day using an additional potential factors related with urban emissions in the early morning.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veloped models can predict the daily maximum SO2 concentrations with good simulation accuracy of 87% and 96% for the first and second model. respectively, but the limitation of predictive capability was found at a higher or lower concentrations. The increased accuracy for the second model demonstrates that improvements can be made by utilizing more recent air quality data for initialization of the model.
혈당저하를 위한 천연물복합제를 한의학 처방 및 문헌 등을 기초로 하여 구성하고,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천연물복합제 5가지 추출물의 수율은 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의 범위로 조사되었다. 특히 2번, 3번 및 5번 복합제에서 1,000 mg% 이상의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전자공여능 또한 이들 복합제에서 높은 활성을 보여주었다.
In this study vegetation structure was monitored focusing on slanting surface of stream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 management plan and ecological restoration of small stream in Paju. The study was conducted by types of geographical structure, yearly flora, naturalization rate changes, actual vegetation changes, plant community changes. Slope area of small stream in Paju was varied in the slope range of 10∼35°. The survey results of yearly flora showed that 37 species appeared in 2000, 55 species in 2001, 95 species in 2002, and 125 species in 2003. Therefore, the trend of continuous increase of flora each year was observed. In the case of yearly changes of actual vegetation, indigenous wetland herb community including Phragmites communis(19.99%→18.42%→19.60%) did not show substantial changes in the area, while the influence of controlled flora such as Humulus scandens(8.86%→5.26%→9.73%), and Ambrosia artemisiifolia(1.06%→1.43%→6.93%) were increased. The vegetation structure investigated by 18 preset belt-transects also indicated that Phragmites communis and Miscanthus sacchariflorus were maintaining the status or decreasing the population, while the population of Humulus scandens, Ambrosia artemisiifolia, Setaria viridis, and Erigeron canadensis were greatly increased. Our proposal management to restore ecology is as follows: first,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Phragmites communis landscape; second, restoration of potential stream vegetation community; third, selection and removal of controlled plants.
본 연구에서는 사장교의 케이블 장력을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분석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는 케이블 장력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제안된 모니터링 시스템에는 실시간 동적 데이터에서 일정 대상시간 동안의 가속도 데이터를 선정하고, 이를 고속 푸리에 변환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주파수 분석한 결과를 평균하여 일반화시키는 신호해석이론이 적용되었다. 제안된 케이블 장력의 모니터링 시스템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제 공용중인 사장교에 대한 현장재하시험을 실시하였다. 현장계측을 통한 수동으로 계산된 장력과 모니터링 시스템의 강제저장 기능을 통해 저장된 데이터를 수계산하여 반자동으로 계산된 장력을 비교한 결과, 장력차이가 1% 이내로 발생하였고, 제안된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계산된 장력을 비교한 결과에서는 약 5% 범위의 무시할만한 차이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제안된 사장교 케이블 장력 모니터링 시스템의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금강의 생태계에 영향을 끼쳤을 가능성이 있는 주요 개발 및 관리 활동들을 기초로 하여 생태수 문학적인 하천평가 시나리오 구성을 위한 개념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생태수문학적 하천평가를 위하여 여러 지원 프로그램과 함께 유역물수지 모델인 KModSim과 하천생태분석 모델인 RAP을 이용한 분석방법을 개발하였다. 용담댐과 대청댐의 건설 및 운영에 따라 예측되는 유황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다양한 시나리오에 따른 수문분석을 실시한 결과에 의하면,
The activated sludge obtained from wastewater coke oven plant was immobilized by entrapment with polyethylene glycol (PEG). The effects of several factors on the biodegradation of CN- from synthetic wastewater were investigated using batch and continuous reactors. The degradation rate of CN- increased with increasing of the immobilized bead volume in the reactor. Approximately 7.65 mg/L of NH4-N was produced upon the degradation of 35 mg/L of CN-. When high concentrations of the toxic cyanide complex were used in the testing of cyanide degradation, the free activated sludge could be inhibited more than that of the immobilized activated sludge. When the phenol concentration was higher than 400 mg/L in the synthetic wastewater, approximately 98.4% of CN- was removed within 42 hours by the immobilized activated sludge. However, the cyanide was not completely degraded by the free activated sludge. This indicates that high phenol concentrations can act as a toxic factor for the free activated sludge. A CN- concentration of less than 1 mg/L was achieved by the immobilized sludge at the loading rate of 0.025 kg CN-/m3-d. Moreover, it was found that the HRT should be kept for 48 hours in order to obtain stable treatment conditions.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the detection for multiresidue of the carbamate pesticide such as carbaryl and cabofuran by enzyme-inhibition method. The check time for determination of acetylcholinesterase(AChE) activity was selected at 60 sec. The AChE activity in chicken brain determined by the Ellman's method was 162 μmol/min/g protein. I50 for AChE by carbamate pesticide with wet kit was 0.169 mg/L of carbaryl and 0.089 mg/L of cabofuran, respectively. The incubation time for enzyme kit with substrate kit was 30min for determination of AChE activity. Enzyme kit with substrate kit was stable at 4oC and 25℃ for 5 days. Limit detection concentration of carbaryl with dry kit for AChE was 0.05 mg/L. The dry kit such as wet kit applied Enzyme-Inhibition(EI) method with AChE was confirmed the multiresidue method to detect the carbamate pesticides.
본 논문에서는 월별 해양사고건수를 이용하여 국내 해역의 해양사고에 관한 통계적인 기초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서 해역간 해양사고건수의 차이여부, 연간 해양사고건수의 차이여부, 그리고 월간 해양사고건수의 차이여부 등을 국내 해역별 및 어선과 비어선으로 나누어 일원분산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사후분석을 수행하여 분석그룹에 대한 평균차이의 검정을 하였다 결론적으로 해역간 사고건수에는 서해, 남해, 그리고 동해순으로 많았고 서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간 사고건수의 차이에서는 어선의 경우 남해와 동해에서, 비어선의 경우 남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월간 해양사고건수에 대한 차이에서는 어선에 대해서만 서해와 동해에서 서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상시담수 하에서 발아 및 안정적인 입모를 확보하는 것은 담수직파에서 매우 중요한 일이다. 일반적으로 담수 조건에 서는 유묘생장이 억제되지만, 담수 처리 시 초기생육이 우수한 익산429와 담수 처리 시 생육이 저조하며 생존율이 낮은 Woodrose 2품종에 대해 발아 및 초기생육기간 담수 처리하여 혐기대사와 관련된 ADH활성과 항산화효소들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1. 담수 처리 시 벼는 유아만 신장하며 뿌리는 신장하지 못했고, 익산429가 Woodrose보다 담수상태에서 생존기간이 길었고 생장도 빨랐다. 그러나 무 처리에서는 Woodrose의 생육이 빨랐다. 2. ADH활성은 담수 처리 시 무 담수에 비해 급격히 증가하였고, 익산429가 Woodrose보다 활성이 오래 유지되었는데, 처리 7일째는 익산429가 무처리에 비해 약 7배, Woodrose는 약 2.5배 증가하였다. 4. SOD, POX, CAT 활성 모두 담수 처리에서 무 담수보다 낮았다. 그러나 SOD는 담수시 무 담수에 비해 크게 활성이 낮지는 않았으며 품종 간에는 익산429의 활성이 무 담수 및 담수 처리 모두 Woodrose보다 높았고 담수 시에도 익산429가 Woodrose보다 높게 유지되었다. POX 활성변화는 담수시 익산429가 지속적으로 증가한 반면 Woodrose는 큰 변화가 없었다. CAT활성은 담수 처리 초기부터 아주 낮은 활성을 보여 처리기간 동안 거의 증가하지 않았으나 무 담수시에는 3일까지 활성이 크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담수 처리 시 발아 및 초기생육기간 동안 담수내성이 약한 품종에서 SOD와 POX의 역할이 크고 ADH활성이 높게 유지되어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품종이 담수 시 초기생육에 유리할 것으로 사료된다.
포도씨의 총 카테킨 함량과 추출물의 항산화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조건의 최적화를 시도하였다. 중심합성계획에 따라 추출조건(microwave power , 에탄올 농도 , 추출시간 )을 설계하고, 종속변수로서 추출물의 수율, 카테킨 함량 및 전자공여능을 회귀 분석함으로써 최적 추출조건을 예측하였다. 모든 회귀식의 는 0.9 이상으로 1% 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총 카테킨 함량의 최대 추출 값은 434.16 mg%로 예측되었으
Hopum is a new japonica rice cultivar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Milyang165 and F1 crossing Milyang165 and Iksan438 at Department of Rice and Winter Cereal Crop, NICS, RDA, in 2006. This cultivar has a short grain shape and about 141 days growth duration from direct seeding to harvesting in the southern plain including Chungcheong province. This cultivar has short culm and spikelet number per panicle is similar to that of Nampyeongbyeo, while filled grain rate is lower than standard variety. This cultivar has medium size of brown rice and shows moderate resistance to leaf blast, to bacterial blight pathogens of K1, K2 and K3 and stripe virus disease but susceptible to major virus diseases and insect pests. The milled kernel of Hopum is translucent with non-glutinous endosperm. Protein and amylose content of Hopum is about 6.5% and 18.7%, respectively. This cultivar has better palatability of cooked rice than Chucheongbyeo harvested in Gyeongki province. Its milling recovery (76.8%) and percentage of perfect-shaped milled rice (94.7%) were higher than Nampyeongbyeo. The milled rice yield of Hopum was 5.83 MT/ha (15% higher than Juan) under wet-direct seeding, 5.66 MT/ha (8% higher than Juan) under dry-direct seeding, and 6.00 MT/ha (8% higher than Nampyeong) under ordinary transplanting cultivation. “opum”would be adaptable for ordinary transplanting and direct seeding in the southern plain including Chungcheong province.
Manna is a new japonica rice cultivar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Iksan438 and Ilmibyeo by the rice breeding team of Department of Rice and Winter Cereal Crop, RDA, in 2005. This cultivar has a short grain shape and about 97 days growth duration from late transplanting to harvesting under Korean climatic conditions. It is resistant to lodging with average 70 cm of culm length. The milled kernels of Manna are translucent with non-glutinous endosperm. It has about 19% amylose content and good palatability of cooked rice compared with Geumobyeo. This cultivar shows resistance to leaf blast and neck blast but susceptibility to bacterial blight and stripe virus diseases. The milled rice yield potential of Manna is about 5.05 MT/ha under the late transplanting cultivation. Manna would be adaptable for the middle and Honam plain of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