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IT 융합 기술이 글로벌 시장의 핵심 화두로 떠오르면서, 스마트 의류 분야에서도 '의류+서비스 제공(service provider)' 기능을 갖는 PSS형 제품 디자인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PSS형 제품 디자인의 일환으로서 안전보호 기능의 산악복 용도에 적합한 발광특성을 지닌 유연 광섬유 기반 직물 디스플레이의 제직구성을 모색하고, 이를 적용한 산악복 모형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제직 구성, 즉 직물조직과 광섬유 밀도가 다른 총 15개 광섬유 직물 디스플레이 시료를 제직하여, 이를 대상으로 각각의 휘도를 측정함으로써 발광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주자직 2:1', '주자직 3:1' 및 '능직 2:1', '능직 3:1'인 경우가 안전보호 기능을 위한 산악복으로서 적용이 가장 적합한 발광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광특성에 관한 분석 결과 및 최근 스포츠 패션 트렌드를 기초로 하여, 유연 광섬유 직물 디스플레이 적용 산악복 모형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It is presumable that properly designed earcons given simultaneously with visual information could enhance the situation awareness of operators when they are involving in highly complicate process control activities. In this study, population stereotypes of earcons with respect to process control information were identified using 60 Korean subjects. To do this, 11 most distinctive earcons were selected from various earcons having different pitch, rhythm, and timbre. Associations between the selected earcons and 40 pairs of adjectives used to describe the state of control in process were gathered from 37 subjects using a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Based on the results from multivariate analyses, the 40 pairs of adjectives were aggregated into three distinctive semantic dimensions. The emotional maps of the 11 earcons matched with the semantic dimensions were presented in this study.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a general guideline was suggested for designing earcons to deliver process control information.
목 적: 한국 안경착용자의 대부분이 안경처방을 안경원에서 안경사에게 받는데도 불구하고, 현행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2조1항은 안경처방에 필요한 타각적 굴절검사 중 자동굴절검사기기 이외에는 안경사가 용하지 못하도록 제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안경사가 안경처방을 함에 있어서 타각적 굴절검사의 필요성과 타당성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해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는 타각적굴절검사의 종류와 특성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방 법: 국내에서 사용되는 타각적굴절검사와 관련된 자료를 조사하여 각각의 특성을 알아보고 한국 안경원의 상황에 있어서 안경처방을 위한 이들 방법들의 필요성과 문제점을 알아 보았다. 결 과: 국내 안경착용자의 대부분은 안경원에서 안경사에게 안경처방을 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안경처방에 필요한 굴절검사 장비는 다양하고 이들 장비를 이용한 검사법에는 장점과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현재까지 출시된 여러 가지 타각적굴절검사 장비를 이용한 검사방법은 자각적굴절검사가 불가능한 안경착용 대상자에게 유용하며 또한 일반 안경착용대상자에게도 사용자의 요구에 적합한 안경을 처방을 하는데 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타각적 굴절검사기기들은 식약청고시에 의하면 잠재적 위해성이 거의 없어 1등급 또는 낮은 2등급으로 분류되어 있다. 따라서 안경사가 안경처방을 위해 이들 장비의 선별적인 사용은 전혀 문제가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결 론: 과학적이고 보다 정확한 안경을 처방하는데 있어서 피검사자의 굴절이상도, 안기능, 안경착용 환경을 고려해야 하며, 이를 충족하기 위해 인체에 해가 거의 없는 타각적 굴절검사 기기의 사용은 안경을 처방하는 전문가에게 사용의 제한이 없어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
목적 :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에게 재활승마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경련성과 근의 활성도에 재활승마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자는 12세 미만의 경련성 뇌성마비 아동 9명이었으며, 8주 동안 16회의 재활승마를 실시하였다. 재활승마 적용전, 2주, 4주, 8주 때에 주관절과 슬관절 굴곡근의 경련성 정도와 근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경련성은 Ashworth 척도, 근 활성도는 무선 표면 근전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경련성과 근활성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하였다. 결과 : 재활승마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주관절 굴곡의 경련성은 기간의 증가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고, 슬관절 굴곡의 경련성은 기간의 증가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p<.05). 상완이두근의 근활성도는 기간의 증가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대퇴이두근의 근활성도는 기간의 증가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p<.05). 결론 : 재활승마 후에 뇌성마비 아동의 경련성 감소와 근활성도 증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뇌성마비 아동의 경련성과 근 활성도를 개선을 위해 재활승마는 유용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겠다.
본 연구는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전략적 CSR의 개념을 검토하고 전략적 CSR활동이 기업성과에 대해 갖는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세 개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CSR 활동이 기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둘째, 전략적 CSR 활동이 전통적 CSR 활동보다 기업성과에 더 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셋째, CSR 활동의 일차적 성과라 할 수 있는 사회적 성과가 CSR활동과 재무적 성과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지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과 일본의 상위 제조기업을 중심으로 회수된 216부(한국 115부, 일본 101부)의 설문을 AMOS와 STATA를 사용하여 비교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CSR 활동이 기업성과에 대해서 긍정적인 영향을 갖는다는 사실은 한·일 모두 확인되었다. 둘째, 전략적 CSR 활동이 전통적 CSR 활동보다 기업성과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해서는 한국기업의 경우 사회적 성과와 재무적 성과 모두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일본기업의 경우는 전략적 CSR 활동이 사회적 성과와 재무적 성과 모두에서 전통적 CSR 활동 보다 더 큰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전략적 CSR 활동이 사회적,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매개효과에 있어 한국과 일본기업 모두 법·윤리적 책임활동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익창출 책임활동, 사회공헌 책임활동, 사회혁신 책임활동은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E. fetida를 방사선과 수은에 각각 노출시킨 후, 체강세포를 추출하고 단세포 겔 전기영동 기법을 이용하여 DNA의 손상정도와 시간의 경과에 따른 수복 양상을 평가해 보았다. 그 결과, 방사선 조사 후의 시간이 경과할수록 대체로 DNA 손상정도가 감소했으며, 12시간 내에 모든 실험군의 DNA가 완전히 수복되었다. 정확한 수복 완료 시간을 알아보기 위해 OTM 값을 대조군과 비교해 보면 2.5와 5Gy는 방사선 조사 후 약 2시간, 10과 20 Gy
NAC는 GSH의 전구물질로, thiol기를 포함하는 항산화제 중 하나로 잘 알려져 있으며, 방사선 조사 시 발생하는 생체 내 영향을 감소시켜 생체 손상의 방호 및 회복에 도움을 주는 방사선 방어제로 이용된다. S. cerevisiae에서 항산화제 NAC를 전처리 함에 따라 이온화 방사선 조사에 따른 효모의 세포사멸 방어효과 및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glutathione peroxidase (GPx)와 같은
이 연구는 청주시의 가로구간 교통사고를 다루고 있다. 연구의 목적은 가로구간의 기능별 사고모형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이 연구는 전체 472개의 세부구간으로 분리된 주간선도로와 보조간선도로의 사고 자료를 이용하여 적합한 모형을 개발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간선과 보조간선도로의 사고특성에 대한 t 검정은 두 도로의 사고건수와 EPDO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기능별 사고모형 개발이 적절한 것으로 분석된다. 둘째, 주간선도로의 EPDO와 사고건수는 모두 ZINB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분석된다. 셋째, 보조간선도로 EPDO는 ZINB모형, 그리고 사고건수는 ZIP모형이 최적인 것으로 분석된다. 마지막으로 주간선도로 사고모형(ZINB)의 공통변수는 교통량과 굴곡점수, 보조간선도로의 EPDO모형(ZINB)과 사고건수모형(ZIP) 공통변수는 평균종단경사인 것으로 평가된다.
Sintered Nd-Fe-B magnets are widely used in many fields such as motors, generators, actuators, microwaves and so on due to their excellent magnetic properties. Many researchers have shown that the Nd-rich phase was essentially important for high magnet properties. In this study, we focused on controlling of the Nd-rich phase to enhance magnetic properties by the cyclic sintering process. Nd-Fe-B based sintered magnets were prepared by isothermal sintering and cyclic sintering processes. Magnetic properties and microstructure of the magnets were investigated. The coercivity was enhanced from 21.2 kOe to 23.27 kOe after 10 cycles of the sintering. The Nd-rich phase was effectively penetrated into the grain boundary between the grains by the cyclic sinter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tra-rater reliability and determine the validity of electromyography (EMG) measurements to represent muscle activity and ultrasonography (US) to represent muscle thickness during manual muscle testing (MMT) to external abdominal oblique (EO) and lumbar multifidus (MF). Twenty healthy subject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and asked to perform MMT at differing levels. The subjects' muscle activity using EMG was measured by a ratio to maximum voluntary contraction (MVC) and root mean square (RMS) methods. The subjects' muscle thickness using US was measured by raw muscle thickness and change ratio of thickness to maximum (MVC) or resting condition. In three trials, measurements were performed on each subject by one examiner. The intra-rater reliability of measurements of EMG and US to EO and MF was calculated using intra-class coefficients. The intra-rater reliability of all measurements was excellent (ICC=.75~.98) in EMG and US. The conduct validity was calculated by one-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ments to compare whether the EMG and US measurements were different between MMT at different levels. There was only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ll grades at %MVC thickness measurement of U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MVC thickness measurement of US was a more sensitive and discriminate in all manual muscle testing grades. This information will be useful for the selection of US measurement and analysis methods in clinics.
The influences of Na and K content on the crystal phase, the microstructure and the electrical property of BaTiO3-based thermistors was found to show typical PTC effects. The crystal phase of powder calcined at 1000˚C for 4hrs showed a single phase with BaTiO3, and the crystal structure was transformed from tetragonal to cubic phase according to added amounts of Na and K. In XRD results at 43˚~47˚, the (Ba0.858Na0.071K0.071)(Ti0.9985Nb0.0015)O3-δ showed (002) and (200) peaks but the (Ba0.762Na0.119K0.119)(Ti0.9975Nb0.0025)O3-δ showed (002), (020) and (200) peaks. In sintered bodies, those calcined at 600˚C rather than at 1000˚C were dense, and for certain amounts of Na and K showed rapid decreases in grain size. In relative permittivity, the curie temperature due to the transformation of ferroelectric phase rose with added Na and K but decreased in terms of relative permittivity. In the result of the R-T curve, the sintered bodies have curie temperatures of about 140˚C and the resistivity of sintered bodies have scores of Ω·cm; the jump order of sintered bodies was shown to be more than 104 in powder calcined at 1000˚C.
Metabolomics aims at the comprehensiv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wide arrays of endogenous metabolites in biological samples. It has shown particular promise in the area of toxicology and drug development, functional genomics, system biology and clinical diagnosis. In this study, analytical technique of MS instrument with high resolution mass measurement, such as time-of-flight (TOF) was validated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on of amino acids, sugars and fatty acids. Rat urine and serum samples were extracted by selected each solvent (50% acetonitrile, 100% acetonitrile, acetone, methanol, water, ether) extraction method. We determined the optimized liquid chromatography/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LC/TOFMS) system and selected appropriated columns, mobile phases, fragment energy and collision energy, which could search 17 metabolites. The spectral data collected from LC/TOFMS were tested by ANOVA. Obtained with the use of LC/TOFMS technique, our results indicated that (1) MS and MS/MS parameters were optimized and most abundant product ion of each metabolite were selected to be monitorized; (2) with design of experiment analysis, methanol yielded the optimal extraction efficiency.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in the endogenous metabolite fields according to validated SOP for endogenous amino acids, sugars and fatty acids.
Osteogenic sarcoma is primary malignant bone tumor. It can arise de novo or from the benign precursors lesions, like Paget’s disease, giant cell tumor, chronic osteomyelitis, osteoblastoma, and fibrous dysplasia. Here, we present a case of osteogenic sarcoma arising from florid osseous dysplasia appearing as a rapidly growing bony bulging mass in 44‐year‐old Korean female who had at first been non‐symptomatic, but later suffered from the numbness of chin and lower lip. The radiologic images revealed the mixed radiopaque‐ radiolucent intraosseous lesions throughout the mandible, which were diagnosed as florid osseous dysplasia pathologically. But only after 6 months, the lesions were substituted by the radiological ill‐defined diffuse bony sclerotic lesion with bone destruction, accompanying the interrupted periosteal bone formation, which were pathologically diagnosed as osteogenic sarcomas. These serial clinicopathologic changes imply the malignant progression of florid osseous dysplasia rather than the collision of benign condition, florid osseous dysplasia and malignant tumor, osteogenic sarcoma. The possibility for fibro‐osseous lesion of the jaw as premalignant lesion should not be overlooked; therefore, periodic check‐ups for the lesions are necessary. Proper evaluation and interpretation for clinical neural symptom and radiologic change of bone density may lead to the correct differential diagnosis and therapeutic interven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