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반도체 배선분야에서, Cu박막은 현재의 AI을 대체할 물질로서 대두되고 있으며 CVD에 의한 선택적 증착은 Cu의 patterning과 관련하여 상당한 관심을 일으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hfac)Cu(VTMS)의 유기원료를 사용하여, CVD공정변수, 운반기체, 표면 처리 공정에 따른 SiO2, TiN, AI기판에 대한 선택성을조사하였다. 선택성은 저온(150˚C), 저합(0.3Torr)에서 향상될 수 있었으며, 특히, HMDS in-situ-predosing공정에 의해 더욱 향상될 수 있었다. 모든 경우에 대해, H2운반기체가 Ar 보다 짧은 incubation time과 높은 증착 속도가 얻어졌으며, Cu입자들의 크기가 작고 연결상태가 보다 양호하였다. 이는 H2경우에 기판표면에 원료가 흡착되어 핵을 형성시키는 위치 (-OH)가 보다 많이 제공되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미세구조의 차이는 H2경우에 보다 낮은 비저항을 얻게 했다. HMDS in-situ predosing공정에 의한 Cu박막내 불순물 차이는 없었으며 뚜렷한 비저항의 차이도 나타나지 않았다.
경기도 북부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는 개량머루의 발효제품을 개발할 목적으로 원료과실의 일반성분 및 이화학적 조성을 분석하였으며, 일반 포도주 양조법으로 red wine과 pink wine을 제조하여 화학성분 함량 및 기호성을 검토하였다. 개량머루는 종자의 비율이 10%이상을 차지하였으나 착즙수율이 약 69%에 달하였다. 총당 함량, 총산 함량 및 pH는 17.50, 1.14 및 3.48%을 나타내었다. 개량머루 중의 주석산 및 사과산 함량은 각각 0.396과 0.509%를 나타내어 주석산 함량에 비하여 사과산의 함량이 현저히 높았다. 개량머루는 Saccharomyces cerevisiae Montrachet로 발효시켰을 때 에탄올 발효작용이 매우 빠르게 진행되었으며 머루주의 에탄올 함량, 총산도 및 pH는 red wine의 경우 11.33, 0.80 및 3.65%였으며, pink wine은 11.88, 0.85 및 3.55%로 나타났다. 개량머루주의 주석산 함량은 0.190∼0.208%로 양조과정 중 48∼52%가 감소하였으며, 사과산 함량은 0.408∼0.421%로 양조과정 중 13∼17%가 감소하였다. 발효제품의 총 안토시아닌 함량(A520)은 5.46∼11.03, 색도(A520+A420)는 9.39∼19.38을 나타내 유럽산 rea wine의 2배 이상이었으며, 총 페놀의 함량은 2, 300∼3.800mg/l였다. 이 원료로 제조한 pink wine은 red wine에 비하여 품질성분 및 관능면에서 현저히 우수하였다.
이 논문은 연속보의 동적 최적설계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속보의 근사적인 최적제원을 결정하기 위하여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결과를 이용한 기법을 이용하였다. 경간길이, 질량 및 휨강성이 변화하는 연속보의 자유진동해석과 이동 집중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동적응답해석을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모형실험 결과와 이론적인 해석결과가 잘 일치하여 해석결과의 타당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설계효율을 나타내기 위하여 최대 동적응력, 경간사이의 응력차이, 이동 집중하중이 작용하는 점에서의 rms 처짐 및 전체지간의 총질량 등 4가지의 무차원 변수들의 선형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최적함수를 정의하였다. 3경간 연속보에 대한 해석결과 개략적인 최적제원을 갖는 연속보로 설계하는 경우 등간격의 등단면 연속보에 비해 설계효율을 개선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Several studies have evaluated the effects of types of relative frequency and delay interval of knowledge of results(KR) on motor skill learning independen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more effective types of KR relative frequency and KR delay interval for motor learning. Forty-six healthy subjects (15 female, 31 male) with no previous experience with this experiment participated. The subjects ranged in age from 20 to 29 years (mean=23.9, SD=0.474). All subjects were assigned to one of four groups: a high-instant group, a high-delay group, a low-instant group, and a low-delay group. During the acquisition phase, subjects practiced movements to a target (400 mm) with either a high (83%) or low (33%) KR relative frequency, and with either an instantaneous or delayed (after 8s) KR. Four groups were evaluated on retention (after 3min and 24hr) and transfer (450 mm) test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no between-group differences in acquisition and short-term retention (p>0.05, (2) a low (33%) KR relative frequency during practice was as effective for learning as measured by both long-tenn retention and transfer tests, compared with high (83%) KR practice conditions (p<0.05), (3) delayed (8s) KR enhanced learning as measured by both long-term retention and transfer tests, compared with instantaneous KR practice conditions (p<0.05), and (4) there were no interactions between KR relative frequency and KR delay interval during acquisition, retention, and transfer phases. The results suggest that relatively less frequent and delayed KR are more effective types for motor learning than more frequent and instantaneous KR.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