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원.확산법에 의해 Sm2Fe17Nx 계 희토류 영구자석을 제조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우선 Sm2Fe17 금속간화합물의 제조를 위하여, 금속 Ca에 의한 Sm2O3의 환원반응과 Fe분말중에 Sm의 확산반응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전자는 1000˚C이상의 고온의 경우에 매우 빠르게 완료되지만, 후자의 Fe분말의 중심까지 Sm의 확산반응의 완료(완전한 균질화조건)는 1100˚C에서 3h 정도의 R-D 반응이 필요하며, 이 확산반응이 전체반응에 있어서 율속단계임을 알았다. Sm-Fe 계의 금속간화합물들의 성장은 1000˚C이하에서는 SmFe2, SmFe3,Sm2Fe17금속간화합물의 3개의 상이 관찰되었으나, 1100˚C에서는 Sm2Fe17 금속간화합물의 상만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최종시료의 산소 및 Ca량은 각각 0.72wt% 및 0.11wt%이었다.
Since the digital chart consists of a large number of points, the effective method for the coastline data compression(CDC), storing the data compactly and reproducting the coastline feature accurately, is important. In the CDC, the key technique is to determine the optimal positions as node points in given coastlines. In this paper, a new CDC method, selecting node points with conspicuous coast positions in the view point on navigation and adopting spline interpolation to the nodes partly, is proposed. Using the northern part of KEOJE-DO coastline in Korean chart No.204, CDC experiments are carrie out with various compression ratio. The results fro the influence of coastline shape according to various CDC methods are discussed and presented.
A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contamination status of fish sold at wholesale market in Seoul. A total of 79 samples (35 different kindry fish) were collected from the wholesale market. E. coli and coliform group bacteria were cultured and tested for sensitivity against antibiotic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E. coli was isolated from 23 out of 79 samples (29.1%), and coliform groups from 53 out of 79 (67.1%). 2. Of coliform group, Citrobacter freundii was the most common and Enterobacter cloacae was the next. 3. 23 E. coli strains isolated from fishes were resistant to Oxacillin, Erythromycin and Lincomycin, meanwhile 23 E. coli strains were sensitive to Cefoperazone, Ceftazidime, Imipenem, and Ciprofloxacin.
본 실험은 덴파레를 공시재료로 양액재배 기법을 이용하여 유묘생장을 촉진함으로써 재배기간의 단축 및 양질의 덴파레 생산을 위한 재배법을 개발함과 동시에 온실재배현장에 system생산이 가능토록 최적 재배 system 및 양액제어방법을 구명하여 난재배농가에 새로운 재배기법으로 제공코자 그 기초 및 실용가능성 타진을 목적으로 양액재배 시스템 및 양액의 농도에 따른 덴파레 유묘생장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추계재배시 초장의 경우 담액수경의 1/4농도가 31.7cm로 가장 높았으며 분무경의 1/2농도가 21.6cm로 가장 낮아 최고/최저가 약l0cm의 차이를 보였다. 특히 담액수경의 경우에는 고농도인 1/2농도와 1/4농도가 초장이 높았으며 분무경에서는 비교적 낮은 1/6농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대조적인 반응을 보였다. 근수에 있어서는 분무경의 1/4농도가 30개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이 담액수경의 1/6농도가 26개 정도였다. 최대 근장에 있어서는 근수가 가장 적었던 분무경의 1/2농도가 23.9cm로 가장 길게 나타났다. 생체중의 경우 담액 수경의 1/4농도와 1/2농도가 총 생체중이 가장 높아 주당 40g이상의 생체중을 나타냈다. 엽의 경우 담액수경의 1/4농도가 가장 높았으며, 줄기는 담액수경의 1/2농도가 22.1g으로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춘계재배에서는 담액수경과 분무경은 정식이후 PH가 상승하여 7.5정도로 높게 나타났다. EC는 각 시스템과 농도간에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초장의 경우 시스템간에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담배액식이 약간 크게 나타났다. 경경과 초장은 담배액식>담배액식>분무경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엽장과 엽폭도 담배액식의 고농도(1/2, 1/4)처리구에서 더 높았다.
이 논문에서는 가상현실로 잘 알려진 인간과 컴퓨터 상호 작용에서의 3차원 음장 재생을 위한 요소 기술을 논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가상 공간과 같은 가상 환경을 갖는 선박 조종 시뮬레이터의 구현 가능성을 검토하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머리 전달 함수(HRTF)를 이용한 3차원 음장 재생에서의 몇가지 핵심 기술을 고찰하고, 필터 탭수를 줄이기 위한 방법과 3차원 음장에서의 불연속 영역을 보간하기 위한 방법을 기술하였다.
The rhamnan sulfate extracted from green algae seaweed, Monostroma nitidum was characterized as activity in vitro culture assay with macrophages from mice. Rhamnan sulfate indicated that F-4-3 fraction enhanced glucose consumption, as well as the production of nitrogen dioxide and tumor necrosis factor(TNF). F-4-3 fraction was also augmented IL-1 secretion from those macrophages. Effects of the pretreatment of peritoneal macrophages with rhamnan sulfate F-4-3 fraction and several polysaccharides as relative standard on the production of H₂O₂ induced with unopsonized zymosan A were examined. Pretreatment with polysaccharides inhibited the zymosan A mediated H₂O₂ production by macrophages. The phorbol myristate acetate (PMA) mediated H₂O₂production was not affected by the pretreament. These result suggested that pretreatment of rhamnan sulfate interfered with the interaction of macrophages zymosan A. Rhamnan sulfate inhibited zymosan A mediated production of H₂O₂ by macrophages and F-4-3 fraction was also activator of macroph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