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55

        1541.
        2011.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변전소 구조물은 가스절연개폐기의 개폐로 유발되는 주기적인 충격하중을 받게 된다. 이러한 주기적인 충격하중은 구조물의 노후화 및 열화를 가속화하여 구조물의 일부 부재 혹은 전반적인 강성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주기적인 충격하중이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손상 정도를 평가하는 방법을 선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개략적인 손상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으로 인지되고 있는 시스템식별기법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기법에 대한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3층 1경간 축소 모형을 대상으로 모의 손상실험 및 해석을 통해 모드형상 및 고유진동수를 산정하고 결과를 비교하였다.
        1542.
        2011.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홍수 혹은 융설로 인한 대량의 담수유입은 만에서의 염분농도를 급격히 저하시키며, 그러한 변화는 근해 생물들의 서식환경을 파괴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자연환경의 적절한 활용 및 생물들의 보호를 위해 만에서의 염분분포를 정량적으로 파악하는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1차적으로 위성영상과 탁도와의 상관성을 조사하고, 2차적으로는 탁도와 염분농도와의 상관성을 이용하여 만에서의 염분분포를 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성영
        1543.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bark of Berberis koreana Palibin was fermented by Bifidobacterium longum B6 and Lactobacillus paracasei at 37℃ for 72 hour, then extracted by water solvent at 100℃ for 180 min. Total ph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improved by fermentation process, compared to conventional water extraction. The barks of B. koreana Palibin extracts by B. longum B6 (FE-B.L.) and by L. paracasei (FE-L.P.) showed 17% and 16% cytotoxicity on human normal cell lines(HEK293) at 1.0 mg/ml of the highest concentration, respectively, which was about 3~5% lower than 20% from normal extracts (N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FE-B.L. and FE-L.P. were about 73% and 75.9% higher than 56.8% of NE. The highest inhibitory potency on xathine oxidase and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ies were also measured as 31.9% and 61.9% by adding FE-L.P. of 1.0 mg/ml. On tyrosinase inhibition test, the FE-L.P. showed highest activity as 75.9% at 1.0 mg/ml. Generally, FE-L.P. showed higher antioxidant activities as well as higher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possibly due to high contents of total pholyphenol and flavonoid. In general, fermentation of barks of B. koreana Palibin has relatively better biological activities than normal extracts. Specifically, the extracts fermented by L. paracasei showed higher activities than that from B. longum B6.
        1544.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work was to improv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horseradish by encapsulated with edible biopolymers such as lecithin and gelatin since it has been difficult to directly use horseradish extracts into foods and food containers due to its strong and undesirable flavors. It was shown that most of the nanoparticles containing the extracts were well formed in round shape with below 400 nm diameter as well as fairly stable and less odd flavors in various pH ranges by measuring zeta potentials. The encapsulation efficiencies of nanoparticles were estimated as 66.6% and 53.4% for lecithin and gelatin, respectively.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both nanoparticles against G(+), Listeria monocytogenes and G(-), Salmonella typhimurium were also measured as 79 ppm based on AIT concentrations in the extracts, whose activities were about 65% higher than the case of adding crude extract. It was also found that the nanoparticles efficiently penetrated into the cell membrane and started to destruct the cells after 6 hours cultivation under Transmision Electron Microscopy observation. These results prove that the nano-encapsulation of the horseradish extracts can be employed to directly treat into the foods and food containers for antimicrobial purposes with the aids of aerosolization system, by using small amounts of the extracts and having less flavors due to masking effects of nanoparticles.
        1545.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내분비교란물질로 알려진 Tributyltin(TBT)는 흰쥐 정소 내 생식세포와 간질세포의 세포자연사를 일으켜 정소의 기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그 기전은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소 내 간질세포를 표적으로 TBT에 의해 지방세포로 분화가 유도되는 지를 확인하고, 이로 인한 정소 내 세포자연사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3주령 된 수컷 흰쥐에 각각 TBT 1 ㎎과 10 ㎎/㎏/day을 1주일 동안 경구 투여한 후 정소를 분리하여 무게를 측정하였다. 획득된 정소의 일부는 냉동 절편을 만들어 BODIPY로 지방세포를 염색하였고, 일부는 파라핀 절편을 만들어 TUNEL 염색을 수행하였다. 나머지 정소는 정소 백색막을 제거한 후 세정관 사이에 존재하는 간질세포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간질세포에서 total RNA를 추출한 다음 real-time PCR 방법으로 지방세포 유도 유전자들과 세포자연사 관련 유전자들을 분석하였다. 정소의 무게는 대조군에 비교해 TBT 10 ㎎을 투여한 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BODIPY 염색 결과, TBT 10 ㎎을 투여한 군의 간질세포에서 염색된 세포의 수가 증가하였고, TUNEL 염색 결과에서도 대조군과 비교해 TBT 투여한 군에서 간질세포 내 세포자연사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al-time PCR을 이용해 간질세포 내 유전자 발현을 분석한 결과, 투여된 TBT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PPARγ, aP2, PLIN, PGAR 등 지방세포 유도 유전자들의 발현이 증가하였고, 이와 함께 TNFRSF1A, TNFSF10과 같은 세포자연사 관련 유전자의 발현도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환경성 내분비 교란물질로 알려진 TBT에 노출될 경우 정소 내 간질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가 유발되면서 세포자연사가 증가하고, 이에 따른 정소 기능의 저하를 야기시킬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1546.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iscourse is the locus where the interlocutors negotiate the meaning of lexical items. This paper aims to develop a multifuctional profile of though as a discourse marker specially through the study of what functions a discourse marker though has. It is shown that though as a discourse marker is syntactically free and usually enclitic. Its basic use is to introduce a proposition that is contrary to expectation. It signals that the speaker is engaged in a particular speech act, especially of a face-threatening type, such as contradicting, correcting, or disagreeing with the previous speaker. It can serve function of introducing a new topic or subtopic as Barth-Weingarten and Couper-Kuhlen (2002) suggested as the function of the final though. In addition, the syntactic and semantic change of though is traced in light of grammaticalization. It claims that in the course of grammaticalization of though, some mechanisms are employed such as subjectification, generalization, persistence, divergence, and layering
        1547.
        2010.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548.
        2010.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포도당 당량에 의한 탈수율과 복원율의 변화에서는 포도당 당량에 차이에 따라 탈수율은 달라졌으며 당량이 커질수록 탈수율과 복원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분자량에 의한 탈수율과 복원율에 변화에서는 분자량이 다른 탈수제 차이에 따라 탈수율과 복원율이 달라졌으며 분자량이 커질수록 포도당 당량과 같이 뚜렷하게 탈수율이 증가하고 복원율이 높게 나타났다. 수분함량은 동결건조한 시료가 가장 낮았으며 당량과 분자량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색도에서
        1549.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천연 추출물을 이용하여 화장품 원료를 개발하고자 다양한 천연물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그중 광나무 추출물을 선별하여 주름 개선 원료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주름 개선 효과로 잘 알려진 oleanolic acid 31.06 %와 ursolic acid 8.92 %를 확인하였다. 제조된 광나무 추출물은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procollagen type Ⅰ과 hyaluronan synthase-3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matrix metalloproteinase (MMP)-1 , MMP-2, cyclooxygenase-2의 발현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elastase의 활성을 억제하여 주름 개선 기능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광나무 추출물은 주름개선 화장품 소재로 개발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
        1550.
        2010.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토크쉬어볼트의 토크계수는 환경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습기, 녹, 시공중의 작업성 등. 토크쉬어볼트의 토크계수의 변동에 기인하여 볼트에 도입된 축력을 예측하는 매우 어렵다. 이런 이유로 시공중인 볼트 축력을 측정하고, 체결력을 검증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이 연구에서, 볼트에 도입된 하중을 확인하기 위해 시작품 제작이 계획되었다. 시작품의 알고리즘은 토크쉬어 전동렌치에서 얻은 전기에너지와 유압축력기에서 얻은 축력과의 상관관계를 구성한 것이다. 직접축력을 계측하는 회귀분석식은 미니탭 프로그램을 이용한 통계학적인 분석방법에서 구한 것이다. 이 시작품은 상용 토크렌치에 견줄만한 인장력을 평가하는 신뢰성이 있는 도구라고 판단된다.
        1551.
        2010.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VIA 분류체계에 근거한 규칙적인 운동참여자의 지각된 성격 강점을 탐색하기 위해 규칙적인 운동참여자 219명을 대상으로 개방형질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귀납적 내용 분석, 빈도분석, 교차분석을 실시하였으며, VIA 분류체계에 근거하여 분석한 결과 규칙적인 운동참여자의 지각된 성격 강점은 19개로 끈기, 낙관성, 활력, 유머감각, 신중성 등의 순으로 추출되었다. 특히 용기, 초월, 절제 덕목과 관련한 성격 강점이 규칙적 운동참여자의 성격 특성으로 부각되었으며, 여성은 남성보다 낙관성, 끈기, 활력에서, 남성은 여성보다 신중성에서 더 높은 빈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운동참여자를 이해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확보하고 운동과 성격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새로운 시각에서 접근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1552.
        2010.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중학생의 체육수업 동기와 체육수업을 통해 경험하는 운동정서, 체육수업에 대한 태도 차이 및 관계를 분석하여 적극적인 체육수업 참여와 체육수업 활성화를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교육청 산하 중학교중 1개교 남여 혼합 16개반 570명을 유층군집표집(stratified cluster sampling)하여 연구 대상자로 선정 한 후 체육수업 동기, 운동정서, 체육수업 태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남학생 293명 여학생 255명으로 총 548명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방법은 Cronbach`s α, 탐색적 요인분석, 기초통계, 독립 표본 t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에 따른 구체적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중학생의 체육수업 동기, 운동정서, 체육수업태도 차이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내적동기, 외적동기, 긍정적 운동정서, 체육수업태도에 대한 하위요인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년에 따른 중학생의 체육수업 동기, 운동정서, 체육수업 태도 차이에 있어 1학년은 기술체력 태도, 사회적 태도, 2학년은 무동기, 부정적정서, 3학년은 내적동기가 뚜렷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육수업 동기, 운동정서, 체육수업 태도의 하위 요인 간에는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학생의 체육수업 동기와 운동정서가 체육수업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내적동기가 66%, 긍정적 정서가 43.4%의 높은 설명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553.
        2010.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K선수를 대상으로 심리기술훈련이 상태불안과 운동수행전략 그리고 연기력 향상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조사대상은 심리적 불안이 높은 P대학교, K선수로 양적분석과 질적분석을 사용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상태불안은 체조경기 상태불안 질문지, 심리기술훈련은 심리기술훈련 질문지, 수행전략은 한국판 수행전략 질문지와 참여관찰, 심층면담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심리기술훈련 결과 K선수는 경쟁상태불안 감소, 심리기술의 긍정적 영향, 수행전략 향상에 의해 연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심리기술훈련의 5개 하위요인이 상태불안과 수행전략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체조선수의 심리기술훈련이 상태불안과 수행전략 향상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서 K선수는 최상의 연기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심리기술훈련을 통하여 경쟁상태불안을 감소시키고 수행전략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었으며, 도마종목 뿐만 아니라 다른 운동종목에서도 선수개인차를 고려한 경기력향상 방안을 도출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558.
        201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examine the potency of biosorbent, the adsorption capacity of Pseudomonas cepacia H42 isolated from fresh water plant root was compared with Saccharomyces cerevisiae SEY2102 on bases of biomass, concentration of heavy metal, presence of light metals, immobilized cell, and ion exchange resin. P. cepacia H42 biomass of 0.05-0.5 g/L increased adsorption and above 1.0 g/L of yeast biomass was the most effective in adsorption. By applying the same amount of biomass, lead showed the highest adsorption on two strains and the adsorption strength was lead>copper>cadmium on both strains. The high heavy metal concentration induced the high adsorption capacity. P. cepacia H42 adsorption was in the order of copper>lead>cadmium and lead>copper>cadmium by yeast in 10 mg/L. Both strain showed same adsorption strength in the order of lead>copper>cadmium in 100 mg/L and 1000 mg/L. The adsorption capacity of both yeast and P. cepacia H42 was decreased in the presence of light metals and the order of cadmium>copper>lead. Mg 2+ induced the least adsorption while Na + induced highest adsorption. The adsorption capacity of immobilized yeast and P. cepacia H42 was detected between 200-400 mL in flow volume and decreased in the presence of light metals. Ion exchange containing light metals caused 30-50% adsorption reduction on both strains.
        1559.
        201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과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기능성 화장품에서의 이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의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저해활성(FSC50)은 ethyl acetate 분획(3.54 μg/mL)과 aglycone 분획(2.15 μg/mL) 모두 지용성 항산화제인 (+)-α-tocopherol(8.98 μg/mL)에 비해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luminol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2O2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참죽나무 추출물의 총항산화능은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0.15 μg/mL)과 aglycone 분획(0.12 μg/mL)에서 모두 L-ascorbic acid (1.50 μg/mL) 보다 약 10배 더 큰 것으로 나타내었다.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의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을 때 ethyl acetate 분획과 aglycone 분획 모두 농도 의존적(5 ~ 25 μg/mL)으로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Tyrosinase의 활성 저해 효과(IC50)는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과 aglycon 분획에서 각각 48.00μg/mL, 5.88 μg/mL으로 나타났으며 aglycone 분획의 경우 강력한 미백제인 arbutin (226.88 μg/mL)에 비해 약 40배 정도 더 우수한 활성을 갖는다. 이상의 결과들은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이 활성산소종을 소거하고 활성산소종에 대항하여 세포막을 보호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태양 자외선에 의해 손상된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가리키며, tyrosinase 저해활성으로부터 미백 기능성 화장품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