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064

        4641.
        201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야생동물 이동을 위해 설치된 '생태통로'를 야생조류가 선택적으로 이용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시 호암1터널, 까치산근린공원, 덕릉고개 등 육교형 생태통로에서 '생태통로'와 '주변도로'를 이동하는 야생조류를 2006년 6월부터 9월까지 총 9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3개 지역 중 까치산 근린공원, 덕릉고개 등 능선에 위치한 생태통로에서 야생조류는 생태통로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지 않았으나, 사면에 위치한 호암1터널에서 야생조류는 생태통로를 유의하게 높게 이용하였다. 생태통로의 폭이 90m 이상이거나 사면에 위치할 경우, 야생조류의 이동에 유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생태통로를 이용한 야생조류의 종 구성 측면에서, 관목층 둥지 조류는 2m 이하의 관목층 엽층량과 상관성이 있었고, 수관층 둥지 조류는 7~8m 엽층량과 상관성이 높았다. 야생조류 이동을 위한 생태통로는 대상지 입지 여건에 따라 목표종을 선정해야 하지만, 서울시의 경우 붉은머리오목눈이 등 관목층 조류를 대상종으로 선정하고, 다양한 야생조류의 이동을 위해서는 사면지역에 약 1ha 크기(폭 90m 이상) 생태통로에 2m 이하의 관목층과 8m 이상의 수관층 피도량을 높여주는 산림환경구조를 조성해주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4642.
        2011.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ighly textured Ag, Al and Al:Si back reflectors for flexible n-i-p silicon thin-film solar cells were prepared on 100-μm-thick stainless steel substrates by DC magnetron sputtering and the influence of their surface textures on the light-scattering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The surface texture of the metal back reflectors was influenced by the increased grain size and by the bimodal distribution that arose due to the abnormal grain growth at elevated deposition temperatures. This can be explained by the structure zone model (SZM). With an increase in the deposition temperatures from room temperature to 500˚C,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Al:Si films increased from 11 nm to 95 nm, whereas that of the pure Ag films increased from 6 nm to 47 nm at the same deposition temperature. Although Al:Si back reflectors with larger surface feature dimensions than pure Ag can be fabricated at lower deposition temperatures due to the lower melting point and the Si impurity drag effect, they show poor total and diffuse reflectance, resulting from the low reflectivity and reflection loss on the textured surface. For a further improvement of the light-trapping efficiency in solar cells, a new type of back reflector consisting of Ag/Al:Si bilayer is suggested. The surface morphology and reflectance of this reflector are closely dependent on the Al:Si bottom layer and the Ag top lay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rface topography and the light-scattering properties of the bilayer back reflectors is also reported in this paper.
        4,000원
        4646.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research has been studied a quality management method of silicon wafers for solar cells using the time series analysis. The model which can forecast conversion efficiency in state of a silicon wafer of a solar cell was presented newly and studied its limits. The first approach analyzed correlation between quality characteristics which was currently known and the quality of the last production. Also, The special factor which was unknown to a general factor until now was found. This paper presented the time series analytical model which was transformed in order to forecast exactly the influence that these special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immersed in to the conversion efficiency of cells. Using the correlation of forecasted value along the arbitrary change of measured value, the most optimized reduction factor for calculation of weight to be suitable for this model was defined.
        4649.
        201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비점오염저감장치를 이용하여 밭 시험포장에서의 저감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경남 사 천시 용현면에 시험포장을 설치하고 포장실험을 수행하였다. 시험포장은 6개의 시험구와 3개의 침사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시험구의 크기는 가로 5 m, 세로 22 m의 크기로 각 시험구의 말단에는 유출량을 측정하기 위한 수위계를 설치하였고, 포장에서의 강우량을 측정하기 위해 강우계를 설치하였다. 인공 강우 실험을 통해 유출수의 시간변화에 따른 수질을 측정한 결과 초기 유출시 SS, TOC, T-N, T-P, COD, NTU의 농도는 각각 15.00, 1.54, 5.27, 0.07, 4.72, 0.45 mg/L로 나타났으며, 4시간 후의 농도는 각각 1.00, 0.94, 4.06, 0.01, 0.60, 0.33 mg/L로 측정되었다. 대부분의 수질측정값이 초기 유출 시 높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인공강우에 의한 유출실험 결과, 침사구에서의 부유물질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눈으로 식별 가능할 정도로 줄었으나 각 수질측정값은 불규칙한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샘플링 시료에 포함되는 부유물질의 양이 일정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향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밭비점오염원 저감효과를 평가하고 제어대책을 개발하게 되면 밭에서의 비점오염 배출을 최소화시켜 수질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4650.
        201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구조모델의 하나인 Maxwell-Eucken(ME) 모델을 이용하여 불포화 다공성 매질의 유효열전도도를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모델은 기질, 물 그리고 공기가 각각 연속상으로 존재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3개 ME모델의 선형조합으로 표현되며, 매질 내에서 각 성분의 상대적 연속성 정도를 나타내는 '연속성계수'의 개념을 도입하여 선형방정식의 계수로 이용하였다. 기질의 연속성계수는 공극률과 선형의 관계를, 물과 공기의 연속성계수는 포화도와 선형 또는 비선형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공극구조가 알려진 3개 시료에 대한 열전달 모사 결과와 3개 시료의 열전도도 실험 결과를 이용하여 제시된 모델의 신뢰성을 평가하였다. 6개 시료에 대한 모델 예측값의 결정계수(R2)는 선형모델의 경우 0.86-0.98, 비선형모델의 경우 0.88-0.99로 나타나 모델의 예측 신뢰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6개 시료에 대한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기질의 연속성계수와 공극률과의 관계식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예측모델은 기질의 열전도도, 공극률 및 포화도로부터 불포화 다공성 매질의 유효열전도도를 계산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4,200원
        4651.
        201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Yttrium oxide is one of the most thermo-dynamically stable materials, so that it is generally used as a dispersoid in many kinds of dispersion strengthed alloys. In this study, a nickel-base superalloy is strengthened by dispersion of yttrium oxide particles. Elemental powders with the composition of Ni-22Cr-18Fe-9Mo were mechanically alloyed(M.A.) with 0.6 wt% . The MA powders were then HIP(hot isotactic press)ed and hot rolled. Most oxide particles in Ni-22Cr-18Fe-9Mo base ODS alloy were found to be Y-Ti-O type. The oxide particles were uniformly dispersed in the matrix and also on the grain boundaries. Tensile test results show that the yield strength and ultimate tensile strength of ODS alloy specimens were 1.2~1.7 times higher than those of the conventional X(R), which has the same chemical compositions with ODS alloy specimens except the oxide particles.
        4,000원
        4652.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배 과원 문제해충의 하나인 꼬마배나무이(Cacopsylla pyricola)의 월동성충이 낳은 알의 온도별 부화율 변화를 조사한 결과, 23℃와 18℃에서 각각 9, 11일후 80% 이상부화하였고, 13℃에서는 18일 후에 80% 이상 부화하였다. 나주에 위치한 배시험장 포장에서 일별 부화율을 조사한 결과, 부화율 50%를 초과일은 ’11년 4월 13일이었다. 월동성충 방제적기 모델과 유사하게 2월 1일부터 일일 최고기온 6℃ 이상의 온도를 누적한 결과, 424.3일도였으며, ‘08년과 ’09년에 50% 이상 알 부화일은 각각 4월 11일, 4월 6일인데 같은 방법으로 누적적산온도를 계산한 값은 각각 429.7일도, 417.6일도였다. 한편 ‘11년 부화 비율이 50%와 80%를 초과한 시점에 10종의 친환경 자재를 처리하고 처리 10일후 잎당 발생밀도를 조사한 결과, 고삼(뿌리) 추출물 제품이 각각 0, 0.02마리로 가장 낮은 밀도를 보였다.
        4653.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우리나라 작물에 발생하는 59종의 깍지벌레 중 배나무에는 가루깍지벌레(P. comstocki) 등 9종이 보고되어 있다. 대부분 봉지재배를 하는 배의 경우 봉지속 깍지벌레는 약제에 대한 노출기회가 적을 뿐만 아니라 깍지벌레 스스로가 분비하여 덮고 있는 왁스물질로 인해 농약으로는 방제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배과원에 발생하는 난방제 해충인 깍지벌레류의 생물적 방제를 위하여 토착천적을 선발, 산업화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경기지역 배과원에 발생하는 깍지벌레의 포식성 천적으로 어리줄풀잠자리를 선발하였으며, 가루깍지벌레에 대한 발육특성 및 포식력을 검정하였다. 사육실 조건(26±1℃, RH 60~70%, 16L:8D)에서 어리줄풀잠자리의 발육 기간은 16.8일이 소요되는 가운데, 령기별로는 알 3, 1령 2, 2령 2, 3령 2.7, 번데기 7.1일이었다. 어리줄풀잠자리 1마리는 일생동안 약 669마리의 가루깍지벌레(2령 기준)를 포식하는 것으로 조사된 가운데, 령기별로는 3령(약 444마리) > 2령(약 126마리) > 1령(약 99마리) 순이었다. 향후 온도별 발육특성 구명, 대체먹이 개발을 통한 대량사육기술 개발은 물론 최적 팩킹기술 개발 등 산업화를 위한 추가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654.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사과원의 문제해충인 사과응애(Panonychus ulmi)에 등록된 응애약의 품목별 방제효과 차이를 비교하고 대만 수출 사과원에 사용 가능한 품목을 선발하고자, 2010년에 8품목과 2011년에 11품목을 기준농도로 처리후 경시적(3, 7, 14, 21, 28일) 방제효과를 포장에서 성충을 대상으로 20엽씩 달관조사하고, 알, 유약충, 성충을 대상으로 사과잎을 10엽씩 채취해서 실내 현미경 조사를 각각 3반복으로 하였다. 2011년에는 11품목에 대하여 별도로 기준 농도의 2배 고농도와 1/2 저농도로 처리후 경시적 방제효과를 달관조사 하였다. 밀베멕틴 유제는 2년 모두, 사이플루메토펜 액상수화제는 2010년에, 스피로디클로펜 수화제는 2011년에 방제효과도 높고 약효 지속기간도 긴 경향이었다. 반면에, 에톡사졸 액상수화제는 방제효과가 가장 낮았으며, 나머지 품목들은 처리7-14일후까지는 90%정도로 방제효과가 있었으나 처리 21일후는 방제효과가 급격하게 저하하는 경향이었다. 밀베멕틴 유제, 사이에노피라펜 액상수화제, 아세퀴노실 액상수화제는 고농도와 저농도 모두 기준농도보다 높거나 비슷한 방제효과를 나타내었고, 에톡사졸 액상수화제는 고농도와 저농도 모두 방제효과가 저조 하였으며, 나머지 품목들은 고농도에서는 기준농도 보다 방제효과가 높고, 저농도에서는 기준농도 보다 방제효과가 낮거나 비슷하였다. 밀베멕틴 유제, 페나자퀸 액상수화제, 아미트라즈 유제는 대만 수출 사과원에서 사과응애 방제를 위해 사용 가능하다.
        4655.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장수를 비롯한 사과 주산지에서 최근 노린재류의 과실 피해가 문제되고 있으며 특히 2008년과 2010년에는 피해가 더욱 많았는데, 사과를 가해하는 노린재의 종과 피해증상이 일부 보고 되었을 뿐이다. 2004년부터 경북 군위의 산지에 인접한 3,000㎡ 면적에 유기합성농약을 살포하지 않고 과수, 채소, 전작물 각각10여종과 많은 화훼류를 재배하면서, 2008년부터 4-9월에 경시적으로 아주 이른 아침 또는 밤에 과실 가해성 노린재의 종을 대상으로 밀도를 조사하고 채집 하였다. 년도별 우점 노린재별 채집수는 2008년에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6,550, 썩덩나무노린재 145, 알락수염노린재 21, 풀색노린재류 30마리, 2009년은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866, 썩덩나무노린재 384, 알락수염노린재 157, 풀색노린재류 113마리, 2010년은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3,630, 알락수염노린재 120, 풀색노린재류 200마리, 2011년은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1,042, 썩덩나무노린재 110, 알락수염노린재 138, 풀색노린재류 157, 갈색날개노린재 56, 가시허리노린재류 30, 둥글노린재류 11, 네점박이노린재 16마리였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는 완두, 녹두, 콩, 복숭아, 썩덩나무노린재는 콩, 복숭아, 꽃사과, 단풍나무, 라일락, 알락수염노린재는 광대나물, 완두, 옥수수, 장미, 풀색노린재류는 냉이, 감자, 고추, 오디, 옥수수, 콩, 갈색날개노린재는 꽃사과, 단풍나무, 가시허리노린재류는 감자, 고추, 토마토, 둥글노린재류는 복분자, 복숭아, 콩, 네점박이노린재는 콩에서 많이 채집되었다. 상기 노린재류는 주로 7월과 9월에 약충이 많이 채집 되었다. 꽃사과와 복숭아를 가해하는 것으로 볼 때,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썩덩나무노린재, 갈색날개노린재, 둥글노린재류가 과실을 많이 가해할 것으로 추정되고. 특히 갈색날개노린재는 꽃사과중 특정 품종에 매우 선호도가 높았다.
        4656.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강원지역 내의 백두대간(진부령, 설악산, 오대산, 태백산, 석병산, 두타산)에 서식하는 딱정벌레상을 조사하였다. 딱정벌레는 2011년 6월부터 9월까지의 기간 동안에 함정트랩(pitfall trap)을 이용하여 채집하였다. 조사지역 내에 5속 8종(Eucarabus sternbergi, Leptocarabus seishinensis, Leptocarabus semiopacus, Damaster(Coptolabrus) jankowskii, Morphocarabus venustus, Tomocarabus fraterculus, Damaster smaragdinus, Damaster mirabilissimus)의 딱정벌레가 확인되었다. 지역별로는 향로봉이 5속 8종으로 가장 많은 종이 확인되었고, 태백산이 3속 3종으로 적었다. 향로봉과 오대산지역에서 종풍부도는 표고가 낮은 지역(300m-700m)보다 표고가 높은 지역(1000m-1100m)에서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두지역에 우점하는 종은 Leptocarabus seishinensis, Eucarabus sternbergi 이었다. 우점하고 있는 2종의 표고별 서식 개체수는 조사지에 따라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오대산지역에 서식하는 Eucarabus sternbergi는 6월 하순에 가장 많은 개체가 출현하였으며 이후 9월까지 점차 감소하였다.
        4657.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10년 유아등을 이용하여강원지역 백두대간(태백산, 백병산, 함백산)내에서 서식하는 나방류를 조사 하였다. 채집된 전체 나방류의 종조성은 16과 246종 1,336개체 이었으며, 태백산이 14과 154종 570개체, 함백산이 13과 120종 346개체, 백병산이 13과 107종 420개체이었다. 각 지역 공히 다수의 개체가 채집된 종은 뒷노랑점가지나방(Arichanna melanaria), 머루박각시(Ampelophaga rubiginosa), 줄점불나방(Spilarctia seriatopunctata), 노박덩굴가지나방(Amraica superans), 회색물결자나방(Gandaritis agnes) 등 이었다. 종다양도지수(H')는 태백산조사구 1.90, 함백산조사구 1.86, 백병산조사구 1.74 이었으며, 균등도 지수(J')는 태백산 0.87, 함백산 0.89, 백병산 0.86 이었다. 유사도지수(QS)는 태백산과 함백산이 0.49, 태백산과 백병산은 0.40 백병산과 함백산은 0.38로 나타났다.
        4658.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soybean varieties o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tofu. Five varieties of soybeans(Daewon, Jinpoung, Hwanggum, Jinmi, and Manni) were selected for these experiments. Proximate composition and total phenolic acids in the soybeans, and the moisture, turbidity, lightness, yield rate, texture characteristic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tofu were measured. The Hwanggum soybeans had the highest levels of crude lipid and crude as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oisture and yield rate of the tofu(p<0.05). The crude protein and crude lipid contents of the soybeans affected the hardness and springiness of the tofu. In sensory evaluations, significant differences(p<0.05) were shown in taste,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depending on the tofu by soybean variety. Therefore, one should consider soybean varieties when manufacturing tofu.
        4,000원
        4659.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ED 조명의 색상이 정서자극의 평정과 재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세 개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1과 2에서는 IAPS 정서사진을 사용하여 각각 Red, Green, Blue, 및 White와 Cyan, Magenta, Yellow, 및 White의 조명색상조건에서 정서평정(정서가, 각성차원) 과제와 재인기억과제를 실시하였다. 실험 3에서는 정서단어를 사용하여 Red, Green, Blue, 및 White 조명색상조건에서 두 과제를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정서평정과제에서는 일차 색상(RGB)의 경우, LED조명 색상이 Red일 때는 흥분을, Green일 때는 유쾌 정서를 유발하였고, 이차 색상(CMY)의 경우, Magenta와 Cyan은 Red와 Green과 유사한 패턴의 정서 반응을 유발하였으나 그 강도는 약하였다. 재인기억과제에서는 실험 1과 실험 2의 경우, Green과 Cyan 조명색상조건에서 제시되었던 사진자극들에 대한 반응이 다른 조명색상조건에서 제시되었던 사진자극들에 비해 약간 빠른 경향이 있었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었다. 하지만 실험 3에서는 Green 조명색상조건에서 제시되었던 정서단어들에 대한 재인기억반응이 유의미하게 빨랐다. 이러한 결과로 Red나 Magenta와 같은 난색들은 불쾌나 흥분과 관련된 감성을 유발하는 반면, Green이나 Cyan과 같은 한색들은 유쾌나 이완과 같은 감성을 유발하는 경향이 있으며, 일차 색상들이 이차 색상들보다 강한 정적 내지 부적 감성을 유발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실험 3의 재인 기억과제에서 나타난 결과는 시각 자극보다 언어 자극의 기억수행에 Green 색상의 LED 조명이 더 유리함을 시사한다.
        4,600원
        4660.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 this study, Korean-type Koumiss was made by the fermentation of mixed cultures, in which yeast, Kuyveromyces, and microflora, Streptococcus thermophiles and Lactobacillus bulgaricus, were inoculated into 10% skimmed milk with added whey powder(control: A, 2%: B, 4%: C, 6%: D, and 8%: E). Fat, protein, lactose, titratable acidity, pH, the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the number of yeast, alcohol content, volatile fatty acids, volatile free amino acids and minerals were measured in the produc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s the dosage of whey powder increased, fat increased from 0.74% in the control to 2.30% in sample E, protein increased from 2.95% in the control to 4.39% in sample E and lactose increased from 3.10% in the control to 7.43% in sample E. Titratable acidity and pH increased gradually. The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increased from 10(9) cfu/㎖ in the control to 3.8×10(9) cfu/㎖ in sample E, and the number of yeast increased from 6.1×10(7) cfu/㎖ in the control to 1.65×10(8) cfu/㎖ in sample E,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whey powder content. For alcohol content, the average values were 0.863%, 0.967%, 0.890%, 1.290%, and 1.313% for the control and samples B, C, D, and E, respectively. As the dosage of whey powder increased, alcohol content showed a tendency to gradually increase. The average alcohol content of E was 1.313 and this was higher than the alcohol content of Kazahstana-type Koumiss with 1.08%. Sixteen types of free amino acids were detected. Glycine was the lowest in the control at 0.38 ㎎/㎖ and sample E contained 0.64 ㎎/㎖. Histidine was also low in the control at 0.42 ㎎/㎖ and sample E contained 0.65 ㎎/㎖. On the other hand, glutamic acid was highest at 4.13 ㎎/㎖ in the control whereas sample E had 6.96 ㎎/㎖. Proline was also high in the control at 1.71 ㎎/㎖ in control, but E contained 2.80 ㎎/㎖. Aspartic acid and leucine were greater in sample E than in the control. For volatile free fatty acids, content generally had a tendency to increase in the control, and samples B, C, D, and E. Content of acetic acid gradually increased from 12, 661 ㎍/100 ㎖ in the control to 37, 140 ㎍/㎖ in sample E. Butyric acid was not detected in the control and was measured as 1, 950 ㎍/100 ㎖ in sample E. Caproic acid content was 177 ㎍/100 ㎖ in the control and 812 ㎍/100 ㎖ in sample E, and it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whey powder content. Valeric acid was measured in a small amount in the control as 22 ㎍/100 ㎖, but it was not detected in any other case. Mineral contents of Ca, P, and Mg increased from 1, 042.38 ppm, 863.61 ppm, and 101.28 ppm in the control to 1, 535.12 ppm, 1, 336.71 ppm, and 162.44 ppm in sample E, respectively. Na content was increased from 447.19 ppm in the control to 1, 001.57 ppm in sample E. The content of K was increased from 1, 266.39 ppm in the control to 2, 613.93 ppm in E. Mineral content also increased with whey powder content. In sensory evaluations, the scores increased as whey powder content increased. Flavor was lowest in the control with 6.3 points and highest in E with 8.2 points. Body and texture were highest at 4.2 points in the control, which did not have added whey powder. In the case of appearance, there were no great differences among the samples.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