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60

        1241.
        2009.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in a fresh-cut leafy vegetable processing plant were evaluated. Total plate counts of samples collected from the walls, equipment, and raw materials ranged from CFU/100 , CFU/100 , and CFU/g, respectively. No coliforms were detected on walls; however, equipment and raw materials contained coliforms in concentrations ranging from ND (not detected)to CFU/100 and CFU/g, respectively. Additionally, total plate counts for falling and floating bacteria in the processing plant were CFU/plate and , respectively. Pathogenic microorganisms such as Escherichia coli,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or Listeria monocytogenes were not detected on walls, equipment, or raw materials. Over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hygiene control in the fresh-cut processing plant should be improved.
        1242.
        2009.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evaluated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a facility in which freshly cut onions were prepared. The total plate counts on walls, equipment, and raw materials were ND (not detected) to CFU/100 , CFU/100 , and CFU/g, respectively. No coliforms were detected on walls however, coliforms were detected at concentrations of ND to CFU/100 and CFU/g on equipment and raw materials, respectively. The total plate counts for falling and floating bacteria in the processing plant were ND to CFU/plate and , respectively. Pathogenic microorganisms such as Escherichia coli,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and Listeria monocytogenes were not detected on walls, equipment, or raw materials. Overall,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hygiene control at the fresh-cut processing plant should be improved.
        1243.
        2009.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tal phenolic content and the antioxidative activity (DPPH radical-scavenging capacity) of 29 fruits and vegetables were determined. The total phenolic contents of plum (1.06 mg GAE/g fresh weight) and cherry (0.95 mg GAE/g fresh weight) were high, whereas those of banana, carrot, and cucumber (each at 0.07 mg GAE/g fresh weight) were low. In the DPPH radical-scavenging assay, apple mango extract showed the highest value(92.8%) among the 29 ethanol extracts tested, followed by paprika (75.4%), beet (75.3%), and cherry (75.1%). In the inhibition assay, cherry (34.95% inhibition) and grape (31.03%) showed the highest activities among the 29 fruits and vegetables examined.
        1244.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variety of herbs and plants have been traditionally used in oriental folk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In our attempt to search for anti-inflammatory agents from natural products, we investigated 64 methanol extracts from 42 medicinal plants belonging to 10 families which were evaluated for inhibitory activities of NO production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macrophage RAW 264.7 cells. Among them, 16 extracts exhibited inhibitory activities of NO production (IC50 values ranging from 59.6 to 94.7 μg/ml). Only the extract from aerial parts of Hosta lancifolia (H. lancifolia) did not exert cytotoxic effects at the concentrations tested. The extract from H. lancifolia decreased the mRNA and protein levels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activated macrophage RAW 264.7 cells in dose-dependent manner.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extract may contain bioactive compounds that suppress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which may prove beneficial with regard to the development of natural agent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1245.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열수추출법에 의하여 추출한 세리신을 이용하여 단독 또는 2종의 효소를 이용하여 가수분해하고 그 가수분해물의 항산화 및 미백효과를 살펴본 것이다. 여러 산업용효소 중 세리신에 대한 분해효과가 우수한 alcalase, flavourzyme 및 protamex를 이용하여 분해한 결과 세리신의 분자량은 20 ~ 30 kDa의 범위로 감소하였으며 사용한 효소별로 특이적 가수분해물이 나타났다. 세리신 가수분해물의 항산화능을 살펴본 결과 원래 세리신에 비하여 DPPH 소거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flavourzyme과 protamex를 같이 사용한 경우 약 85 %의 소거율을 나타냈다.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억제 효과를 살펴본 경우에는 세리신 가수분해물이 오히려 더 낮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세리신 가수분해물의 분획을 실시하고 활성억제 효과를 살펴본 결과 F2와 P3의 분획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1246.
        2009.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평생을 달리 살아온 고국의 문화와 정서를 익히고 외로움을 달래는데 초점을 둔 원예치료 활동이 분석결과 표와 같이 대상자들의 고국생활 적응과 만족에 상당한 영향력을 주었음을 보여준 연구라 할 수 있겠다. 결과에서와 같이 각각의 대상자들이 원예치료활동을 통하여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향상을 가져왔다는 것에 만족하기 보다는 사할린어르신들의 살아왔던 생활과 환경에 관한 연구와 적절한 프로그램 개발로 원예치료가 더 많은 사할린어르신들과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노력이 필요하겠다.
        1251.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상시담수 하에서 발아 및 안정적인 입모를 확보하는 것은 담수직파에서 매우 중요한 일이다. 일반적으로 담수 조건에 서는 유묘생장이 억제되지만, 담수 처리 시 초기생육이 우수한 익산429와 담수 처리 시 생육이 저조하며 생존율이 낮은 Woodrose 2품종에 대해 발아 및 초기생육기간 담수 처리하여 혐기대사와 관련된 ADH활성과 항산화효소들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1. 담수 처리 시 벼는 유아만 신장하며 뿌리는 신장하지 못했고, 익산429가 Woodrose보다 담수상태에서 생존기간이 길었고 생장도 빨랐다. 그러나 무 처리에서는 Woodrose의 생육이 빨랐다. 2. ADH활성은 담수 처리 시 무 담수에 비해 급격히 증가하였고, 익산429가 Woodrose보다 활성이 오래 유지되었는데, 처리 7일째는 익산429가 무처리에 비해 약 7배, Woodrose는 약 2.5배 증가하였다. 4. SOD, POX, CAT 활성 모두 담수 처리에서 무 담수보다 낮았다. 그러나 SOD는 담수시 무 담수에 비해 크게 활성이 낮지는 않았으며 품종 간에는 익산429의 활성이 무 담수 및 담수 처리 모두 Woodrose보다 높았고 담수 시에도 익산429가 Woodrose보다 높게 유지되었다. POX 활성변화는 담수시 익산429가 지속적으로 증가한 반면 Woodrose는 큰 변화가 없었다. CAT활성은 담수 처리 초기부터 아주 낮은 활성을 보여 처리기간 동안 거의 증가하지 않았으나 무 담수시에는 3일까지 활성이 크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담수 처리 시 발아 및 초기생육기간 동안 담수내성이 약한 품종에서 SOD와 POX의 역할이 크고 ADH활성이 높게 유지되어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품종이 담수 시 초기생육에 유리할 것으로 사료된다.
        1253.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opum is a new japonica rice cultivar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Milyang165 and F1 crossing Milyang165 and Iksan438 at Department of Rice and Winter Cereal Crop, NICS, RDA, in 2006. This cultivar has a short grain shape and about 141 days growth duration from direct seeding to harvesting in the southern plain including Chungcheong province. This cultivar has short culm and spikelet number per panicle is similar to that of Nampyeongbyeo, while filled grain rate is lower than standard variety. This cultivar has medium size of brown rice and shows moderate resistance to leaf blast, to bacterial blight pathogens of K1, K2 and K3 and stripe virus disease but susceptible to major virus diseases and insect pests. The milled kernel of Hopum is translucent with non-glutinous endosperm. Protein and amylose content of Hopum is about 6.5% and 18.7%, respectively. This cultivar has better palatability of cooked rice than Chucheongbyeo harvested in Gyeongki province. Its milling recovery (76.8%) and percentage of perfect-shaped milled rice (94.7%) were higher than Nampyeongbyeo. The milled rice yield of Hopum was 5.83 MT/ha (15% higher than Juan) under wet-direct seeding, 5.66 MT/ha (8% higher than Juan) under dry-direct seeding, and 6.00 MT/ha (8% higher than Nampyeong) under ordinary transplanting cultivation. “opum”would be adaptable for ordinary transplanting and direct seeding in the southern plain including Chungcheong province.
        1254.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명산은 자연환경의 독특함이나, 혹은 문화 발생지, 무형 문화재의 본거지, 특 색 토산물의 출산지 등으로서 일반적으로 자연 풍경이 수려한 산을 일컫는다. 명산은 국가의 중요한 지점에 위치해 있으면서 산을 주거지로 하는 지역민뿐만 아니라, 각 시대 모든 계층의 유람객과의 관계를 통해 특정 지역민에 의해 생성 되는 일반 지역문화와는 다른 독특한 문화를 형성하였다. 중국에서는 일찍이 이러한 문화를 ‘명산문화’로 명명하였다. 그리고 각 주요 명산을 중심으로 명산문화 연구소와 기타 연구기관들이 설립되어 ‘사람과 산’ 에 관한 다양한 학술 연구가 진행되었다. 중국의 명산문화 연구는 국내외 학술 적 연구와 교류에만 그치지 않고, 이를 통해 중국명산의 세계적 인지도를 높여 중국 명산의 세계 자연·문화유산 등재에 일조하였으며, 국가 주요 연구과제로 대내외적인 지원을 받고 있다. 태산연구소와 오대산연구소는 연구 참여인력의 규모와 연구 성과 면에서 중 국 명산문화의 대표 연구소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눈여겨 볼만한 것은 두 연구 소가 제기 하였던 ‘태산학’, ‘오대산학’의 명산학 정립에 대한 논의이다. 비록 명 산학 정립에 대한 찬반 의견이 현재까지도 분분하지만, 명산문화 연구를 하나 의 학문으로서 정립하고자 하는 논의는 명산문화 연구발전의 한 단계라고 여겨 진다. 본고는 중국 명산문화 연구의 발전과정과 현황에 대한 분석을 통해 지리산권 문화 연구의 명산문화로서의 연구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1258.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식용으로 이용되는 찰옥수수는 안전한 먹거리를 추구하는 시장의 요구와 농가 소득 증대에 기여하는 품목으로써 수요 및 생산량이 늘고 있는 추세이다. 국내 옥수수 시장은 한 해에만 2억 개 정도의 찰옥수수 이삭을 중국으로부터 수입을 하고 있으나, 신선도 및 소비자 신뢰도의 면에서 국내에서 생산된 찰옥수수가 경쟁우위에 있다. 경북대학교에서는 1995년부터 찰옥수수 육성 프로그램을 추진하여 단교잡종인 경대찰1호와 2호, 통일찰, 경대19찰 등을 육성하였다. 찰옥수수 종자는 전량 자체 채종을 하여 군위군 소보면 찰옥수수 작목반에 공급을 하고 있다. 종자 생산 과정에서는 다른 품종의 꽃가루 혼입으로 인한 종자의 순도 저하, 환경 영향에 따른 수정률 저하 및 원종의 수정 능력 저하로 인한 채종량 감소 등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경북대학교와 (주)닥터콘은 고품질이면서도 친환경적으로 재배가 가능한 슈퍼찰옥수수 개발을 추진 중이며, 중국과 한국의 찰옥수수 시장을 동시에 겨냥하여 2008년부터 중국 동북3성을 중심으로 육종사업을 시작하였다. 육종 목표는 진딧물과 조명나방 피해와도 공생하는 완전 무농약 재배가 가능한 친환경 양질의 안전다수성 Non-GMO 찰옥수수 품종을 육종 보급 하고자 한다.
        1259.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미국 옥수수의 3000만톤 가량이 기후변화를 줄이기 위한 친환경 에너지 에탄올 생산에 이용되고, 호주 밀재배가 가뭄으로 1000만톤 가량 감소하면서 세계 곡물 파동이 발생했다. 이 파동의 가장 직격탄을 맞은 당사자가 대한민국의 축산 농가다. 우리 정부는 해외 사료곡물 및 식량 기지 확보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경북대학교 옥수수 연구팀은 40년간 농약 없이 안전다수확 재배가 가능한 옥수수 품종을 육종해 오다 최근에는 국내적응 사이리지 옥수수 품종을 육종 국립종자원에 등록을 했다(경대사이리지 1호와 2호, 2006). 품종의 안전성을 농가 포장에서 확인하고, 사료용 옥수수 재배가 시급한 제주도에서 연구를 수행한 결과 수입종 (3품종)과 국내종 (5 품종)들에 비해서 사이리지 수량이 평균 30% 이상, 알곡 생산이 15% 정도 증수되었다. 그리고 경북대 군위 농장 논에서 시험한 결과 우수성이 재확인되었다. 제주도 시험 결과 중요한 사항은 지금까지 문제시 되지 않던 녹병 (Puccinia sorghi)이 심하게 발생한 환경에서 수입종과 국내종 모두 심한 피해를 보았다. 동시에 2000mm 정도의 금년도 강우량 하에서 미국 수입종 3 품종은 이삭 썩음병이 심하게 발생하여 30% 정도 수량 감소를 보였다. 영천 축산 농가 포장의 생체수량은 정보당 85톤이 생산 되었다 (비교 품종들 보다 15-50% 증수). 이상의 시험 결과를 보면 국내 현지 육종의 중요성이 입증되고, 사이리지용 친환경 옥수수 신품종을 육종,축산 농가에 보급,기계화 재배를 추진 할 시 상당량의 양질의 축산 사료 (무농약, 무방부제 사용)생산이 가능 할 것이다. 옥수수 대와 잎을 이용한 에탄올 생산 기술 개발은 녹색성장의 새로운 기술분야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슈퍼옥수수의 북한 적응 우수성이 5년차 입증되고 있다.
        1260.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경북대학교 벤처회사 닥터콘은 식량 및 사료 곡물 위기를 예방하고 중국의 8억 농민을 부자 되게 하기 위한 역사적 도전을 시도하고 있다. 옥수수의 획기적 증산이 이루어지면 중단된 수출 재개도 될 수 있을 것이다. 2008년부터 중국 동부 3성을 중심으로 완전무농약 재배가 가능한 친환경 슈퍼옥수수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슈퍼옥수수란 종합보험에 던 것과 같은 자연재배와 공생하면서 각 생태지역에 적응하는 안전다수성 옥수수 신품종을 뜻함. 세계 제2의 옥수수 생산국 중국은 2600만 ha의 재배 면적과 (미국 3000만 ha) 생산량은 미국의 65% 수준이다 (FAO 통계). 옥수수의 주용도는 가축사료, 전분과 기름 생산과 친환경 에탄올 생산이다. 중국 연구원들은 실제 옥수수 재배 면적은 미국 보다 넓을 수 있다고 하고,재배면적은 계속 늘어나고 있다. 세계적 대 규모 전분공장6개가 중국에 있다(년 50만 톤 이상 생산). 중국옥수수 재배의 주 결점은 옥수수 대를 전량 땔감으로 이용하고 있다. 앞으로 에탄올 생산기술만 개발되면1억 2천만 톤 이상 부산물이 바이오 에너지 생산에 이용되어 기후변화를 줄 일수도 있다. 평균 수량이 미국의 90% 수준일 때 년 5000만 톤 이상의 옥수수 알곡 증산이 기대된다. 20,000개의 옥수수 종자 회사가 잡종종자를 생산 시판한다. 동북 3성(중국 옥수수의 60% 생산)에서의 금년 작황은 비가 많이 온 상태에서도 비교적 좋은 편이나 조명나방,깜부기병,진딧물의 발생이 심하고 전체 재배 면적 500만 ha 정도 심겨진 정단 958 품종의 유전적 취약성이 발견되었다. 닥터콘은 동북3성을 시작으로 육종하여 점차 대륙 전체로 확대해 나가고자 한다. 동계기간 중국에서 가장 따뜻한 해남도를 이용해서 연중육종을 수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