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4

        21.
        201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tra-rater reliability and determine the validity of electromyography (EMG) measurements to represent muscle activity and ultrasonography (US) to represent muscle thickness during manual muscle testing (MMT) to external abdominal oblique (EO) and lumbar multifidus (MF). Twenty healthy subject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and asked to perform MMT at differing levels. The subjects' muscle activity using EMG was measured by a ratio to maximum voluntary contraction (MVC) and root mean square (RMS) methods. The subjects' muscle thickness using US was measured by raw muscle thickness and change ratio of thickness to maximum (MVC) or resting condition. In three trials, measurements were performed on each subject by one examiner. The intra-rater reliability of measurements of EMG and US to EO and MF was calculated using intra-class coefficients. The intra-rater reliability of all measurements was excellent (ICC=.75~.98) in EMG and US. The conduct validity was calculated by one-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ments to compare whether the EMG and US measurements were different between MMT at different levels. There was only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ll grades at %MVC thickness measurement of U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MVC thickness measurement of US was a more sensitive and discriminate in all manual muscle testing grades. This information will be useful for the selection of US measurement and analysis methods in clinics.
        4,000원
        22.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bacteriological and physiochemical analysis of sea water and sediments in Tongyeong harbor was conducted to evaluate sanitary conditions. The samples were collected at 8 stations established once a month from June, 2008 to May, 2009. During the study period, the range of temperature was from 6.7 to 25.2℃, transparency ranged from 1.2 to 2.6 m, chemical oxygen demand ranged from 1.90 to 2.92 mg/L, dissolved oxygen ranged from 6.2to 10.5 mg/L, dissolved nitrogen ranged from 0.052 to 0.098 mg/L, phosphate ranged from 0.044 to 0.065 mg/L,respectively. Seafood, if eaten raw, carries the risk of food poisoning. Seafood poisoning is often cause by pathogenic microorganism originating from fecal contamination, such as Salmonella sp., Shigella sp. and norovirus. Fecal coliforms are an important indicator of fecal contamination. Therefore, data on fecal coliform are very important for evaluating the safety of fisheries in coastal areas. So, we investigated the sanitary indicate bacteria. The coliform group and fecal coliform MPN's of sea water in Tongyeong harbor were ranged from < 1.8~22,000/100 mL (GM 164.9 MPN/100 mL) and < 1.8~7,900 MPN/100 mL (GM 33.7 MPN/100 mL), respectively. Total coliform were detected 97.0% in 96 of samples and 68.9% of total coliforms were fecal coliforms. These results similar to another seawater detection ratio of total coloforms and fecal coliforms. The Vibrios was isolated and identified with VITEK system. Four hundred eighty strains that were obtained from sea water samples in Tongyeong harbor Detection ratio Vibrio alginolyticus, 34.2%, Vibrio parahaemolyticus, 13.8%, Vibrio vulnificus 10.0%, and V. mimicus 12.5% respectively. Vibrio cholerae O1, was not detected. During the study period, the ranges of water content, ignition loss, COD,and acid volatile sulfates in sediments in Tongyeoung harbor were 41.0~57.4%, 7.8~10.5%, 6.51~9.30 mg/g,0.04~0.09 mg/g, respectively. Heavy metals in sediment of Tongyeoung harbor were Cd, 0.10 ± 0.05; Cu, 4.79 ± 8.20;As, 1.95 ± 0.17; Hg, 0.10 ± 0.07; Cr6+, 0.34 ± 0.12; Zn, 125.33 ± 16.40; Ni, 16.43 ± 1.93 mg/kg.
        4,000원
        23.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2명의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아동을 대상으로 자신이 과제 수행하는 장면의 동영상 시청이 문제행동과 과제 수행시간 변화에 효과적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독립변인은 아동이 과제 수행 중 문제행동이 10분간 촬영된 동영상 시청으로 설정하였고, 종속변인은 과제 수행 중 (1) 몸 흔들기, (2) 필요 없는 말하기와 (3) 과제 수행시간의 변화로 정하였다. 개별 실험 연구 중 AB디자인을 적용하였고, 기초선과 중재기간에 과제를 수행한 아동의 모습을 촬영하여, 동영상을 시청하도록 한 후,아동의 문제행동발생 빈도와 수행시간을 측정하였다. 결과 : 동영상 시청 후 아동의 문제 행동은 중재 전 보다 감소되었는데, 대상자 1의 경우 몸 흔들기는 평균 11.8회, 필요 없는 말하기는 6.3회 감소되었고, 과제 수행시간도 5분 6초 단축되었다. 대상자 2 역시 몸 흔들기는 평균 11.4회, 필요 없는 말하기는 4.4회 감소되었고, 과제 수행시간도 5분5초 단축되었다. K-CBCL 문제행동도 대상자 1은 3점, 대상자 2는 2점이 감소되었다. 결론 : 동영상 자기 관찰법은 문제 행동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ADHD 아동의 자기 인식을 높여 내적 피드백을 제공해 주므로 아동의 문제행동감소에 효과적이며, 이는 일반 아동에 비해 지연된 과제 수행시간에도 긍정적인 변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별 제작과 다양한 장소에서의 사용이 용이하다는 동영상의 장점을 활용하여 가정과 교육현장에서 자기 관찰법을 적용한 후속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길 기대해 본다.
        4,000원
        24.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노인 관절염환자를 대상으로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따른 방문재활서비스에 대한 요구도를 파악하 여 노인 관절염환자에 대한 방문재활치료모델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 2009년 8월 현재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3개의 노인복지관과 1개의 주간보호센터에 등록된 재가 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150부를 배부하여 110부가 회수되었고, 회수된 설문지 중 79부 (72%)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설문지는 방문재활서비스 요구도(10문항)와 관절염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한국형 WOMAC(Western Ontario and McMaster University Osteoarthritis)검사와 수정 바텔지수(Modified Barthel Index: MBI)로 구성하였다. 한국형 WOMAC과 수정바텔지수(MBI), 시각적통증검사(Visual Analogue Scale: VAS)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피어슨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한국형 WOMAC의 기능 수준에 따른 일반적 사 항, 의학적 사항, 방문재활서비스 인식도, 방문재활서비스의 필요성과 이유, 방문재활서비스의 구체적 욕구에 대하 여 교차분석(3XR)을 통해 분석하였다. 유의수준 α는 .05로 하였다. 결과 : 대상자 79명의 진단명은 퇴행성관절염 환자가 61명(79.2%)이었으며, 통증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부위는 슬 관절로 나타났다. 방문재활서비스에 대한 인식도는 낮았지만 응답자의 93.7%(74명)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고, 기능별로는 1등급에서는 15명(19.0%), 2등급에서는 44명(55.7%), 3등급에서는 15명(19.0%)이 방문재활서비 스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에서 재가 노인 관절염 환자는 가정에서 제공되는 재활서비스에 대해 높은 요구도를 갖고 있 음을 알 수 있다. 향후, 재가 관절염 노인들을 위한 실증적인 방문재활서비스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보완되어 야 할 것이다.
        4,500원
        25.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학령기 뇌성마비 아동들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삶의 질과 일상활동참여도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 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 : 본 연구는 학령기(8􀅭15세) 뇌성마비 아동 6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아동들의 일반적인 특성에는 성 별, 나이, 마비유형, 뇌성마비 형태, 지능지수, 대동작기능, 양손소동작기능, 통증상태 등의 변수들이 포함되었다. 아동들의 삶의 질과 일상활동참여도에 대한 평가는 한국어판 KIDSCREEN 52-HRQOL과 참여빈도 설문지를 사 용하여 아동들의 부모에 의해 시행되었다. 결과 : 삶의 질은 통증이 없는 경우, 지능지수가 높은 경우, 대동작기능이 좋게 나타난 경우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 로 나타났다(p<.05). 일상활동참여도는 대동작기능이 좋게 나타난 경우, 양손소동작기능이 좋은 경우, 통증이 없 는 경우, 지능지수가 높은 경우, 마비유형에서 양하지마비인 경우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결론 : 이러한 결과는 학령기 뇌성마비 아동들의 삶의 질과 일상활동참여도가 각 개인의 신체적인 특성에 의해 영향 을 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뇌성마비 아동들의 독립성과 활동성을 증진시키고 보다 현실적인 치료방법 들을 계획하기 위해서, 이러한 측면들은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향후 이와 관련된 연구들이 계속적으로 이루 어져야 할 것이다.
        4,300원
        26.
        201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cute effects of nerve mobilization, static stretching, and hold-relax on the flexibility of hamstring muscles and their surface electromyographic (EMG) responses to passive stretches in poststroke hemiparesis. This study was a randomized cross-over trial. Fourteen subjects received three treatment sessions in random order with each consisting of ten repetitions. The treatment sessions included nerve mobilization, static stretching, and hold-relax. The treatment sessions were held at least 24 hours apart to minimize any carryover effect. The outcome was measured by the distance between the greater trochanter and lateral malleolus and hamstring EMG activity during passive knee extension stretching. Repeated-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hamstring flexibility and EMG activity in main effect of time pre, post and followup (p<.05).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occurred among the three stretching techniques. No technique was consistently found to be superior. The three stretching techniques in this study make it difficult to determine the most effective technique. Therefore, clinicians use nerve mobilization of effective stretching techniques with other stretching techniques.
        4,000원
        27.
        201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st effective and comprehensible method for the assessment of resting scapular position (RSP) and pain level (PL) in unilateral shoulder pain (USP). Fifty volunteers with USP were involved in the study. Resting scapular assessments of the patients' pain sides (PS) and non-pain sides (NPS) were evaluated. The assessment tools for RSP are: 1) sternal notch (SN) to coracoid process (CP) distance 2) 3rd thoracic spinous process (T3S) to posterolateral angle of acromion (PLA) distance 3) scapular index 4) 8th thoracic spinous process (T8S) to inferior angle of scapular (IAS) distance 5) supine measurement of pectoralis minor (PM) distance 6) standing PM distance 7) PM index (PMI) and 8) PM pain. The paired t-test was used to compare PS and NPS in RSP.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confer a relationship between the PL and RSP.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1) all the variables between the PS and NPS for RSP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5) and 2) the PMI showed the strongest relationship in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RSP and PL(p<.05, r=.37).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PMI and PL and it is suggested that an assessment tool using PMI to diagnose shoulder pain would be clinically effective.
        4,000원
        28.
        201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develop effective training methods for strengthening a weakened quadriceps femoris muscle in hemiplegic patients, we examined the effects of maximal isometric contraction of the nonparalyzed knee joint on the electromyographic activities of the paralytic muscle. An electromyogram (EMG) was used to record the electromyographic activities of the paralytic quadriceps femoris muscle in 27 hemiplegic patients. The maximal isometric contraction was measured for each subject to normalize the electromyographic activities. The maximal isometric extension and flexion exercises were randomly conducted when the knee joint angles of the nonparalyzed knees were 0˚, 45˚, and 90˚. The patients were encouraged to maintain maximal isometric contractions in both knee joints during each measurement, and three measurements were taken. A one-minute rest interval was given between each measurement to minimize the effects of muscle fatigue. An average from the three values was taken as being the root mean square of the EMG and was recorded as being the maximal isometric contraction. The electromyographic activity obtained for each measurement was expressed as a percentage of the reference voluntary contraction, which was determined using the values obtained during the maximal isometric contr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en the knee joint angle of the nonparalyzed knee was 0˚, the electromyographic activities of the paralytic medial aspect of rectus femoris were related to measurement by a maximal isometric flexion exercise than by an extension exercise (p<.05). Second, when the knee joint angle of the nonparalyzed knee was 90˚, the electromyographic activities of the paralytic lateral aspect of rectus femoris were related to measurement by a maximal isometric flexion exercise than by an extension exercise (p<.05). The results show that myoelectrical activities of paralytic quardriceps were not related to measurement angles and exercise directions of the nonparalized knee joint. Studies on various indirect intervention to improve muscular strength of patients with nervous system disorders of the weakened muscle should be constantly conducted.
        4,000원
        29.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2009년 1월부터 9월까지 총 4회(1월, 4월, 7월 9월) 사천만에서 해수와 표층퇴적물의 세균학 적․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것이다. 조사기간 중에 수온은 5.3∼24.9℃(평균 17.7±0.4℃), 투명도는 1.4∼2.5m(평균 1.8±0.5m), 부유물질 농도는 16.2∼35.8㎎/L(평균 24.2±2.2㎎/L), 화학적산소요구량 (COD)는 1.42~3.29 ㎎O2/L(평균 2.06±0.55 ㎎O2/L), 용존산소(DO)는 6.7∼9.5㎎/L(평균 7.9±0.6 ㎎ /L)로 각각 조사되었다. 대장균군과 분변계대장균의 검출 범위는 <1.8∼7,900 MPN/100mL (GM 214.7 MPN/100mL)과 <1.8∼330 MPN/ 100mL (GM 9.7 MPN/100mL)로 각각 나타났다. 대장균군은 시료의 75.0%, 분변계대장균은 57.1%가 각각 양성을 나타내었다. 대장균군에 대한 분변계대장균의 양성율은 76.2%로 나타났다. 조사기간 중에 사천만에서의 표층퇴적물의 수분함량, 강열감량, COD 및 AVS의 평균 값은 53.28±2.58%, 9.38±0.42%, 14.23±3.36㎎O2/g, 0.09±0.07㎎S/g로 각각 조사되었다.
        4,000원
        30.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성인의 감각 처리 유형과 인성의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Korea Aptitude Development(KAD) 인성검사는 학과에서 학생의 인성과 직무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사회적성개발원에 단체로 의뢰하여 2008년 4월 30일에 실시되었다. KAD 인성검사를 실시한 대상자 중 연 구에 동의한 50명을 대상으로 Adolescents/Adults Sensory Profile(AASP)을 실시하였다. AASP는 대상자에게 질문지를 나눠주고 문항을 작성하도록 하였고, 설문이 완성되면 바로 수거하였다. 설문은 총 15분 소요되었다. 분 석에는 AASP와 KAD 인성검사를 모두 실시한 50명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성인의 AASP 유 형을 알아보았고, 성별에 따른 AASP 유형은 독립표본 t 검정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AASP 유형과 KAD 인성검 사와의 상관성은 피어슨 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AASP 유형과 KAD 인성검사의 상관성을 비교한 결과, 감각 등록 저하는 감정(r=-.32)과 정서(r=- .34)와 상관성이 있었고(p<.05), 감각 찾기와 감각 민감성은 지도력과 각각 r 값이 .31, -.34의 상관성을 나타냈다 (p<.05). 결론 :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인성발달에 감각 처리 능력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앞으 로는 감각 처리 능력에 문제를 가진 성인이나 장애 부모를 대상으로 감각 통합 치료 적용에 따른 대처 기술, 불안, 우울 등의 심리적 변화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000원
        31.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안산 저활용 소형복어인 복섬(Takifugu niphobles)을 원료로 하여 수프용 정미강화소재로 이용할 수 있는 풍미계 조미엑스분을 추출하였고, 추출방법에 따른 이들 복섬 엑스분의 품질 및 정미발현성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복섬의 조단백질 함량은 17.4%으로 Glu, Asp, Lys, Leu, Pro, Ala, Val 및 Lys 등 주요 아미노산을 고루 함유하고 있었다. 열수추출법 및 2단 효소분해법으로 엑스분을 추출하고 관능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98℃에서 3시간 추출한 열수추출물에서는 감칠맛과 맛의 강도가 약한 반면, 2단 효소분해물은 감칠맛과 맛의 조화가 월등히 우수하였고, 수율은 열수추출에 비해 약 1.7배 증가하였다. 열수추출 및 2단 효소분해물의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각각 433.1 및 4,502.2 mg/100 g으로 함량 차이가 컸으며, Pro, Leu, Lys, Hypro, Tau, Arg, Phe, Ala, Glu 및 Val 등이 복섬 2단 효소분해물의 주요 유리아미노산이었다. 반면, IMP 함량은 각각 336.2 및 372.2 mg/100 g으로 다량 함유되어 있었으나 양자 간에 큰 차이가 없었고, 그외 total creatinine 등 기타 염기성분도 추출방법에 따른 함량 차이는 거의 없었다. 주요 정미발현성분 중의 하나인 무기이온은 Na, K, Cl 및 PO4 등이 주성분으로, 열수추출물에 비해 2단 효소분해물의 함량이 훨씬 많았다.
        4,000원
        32.
        200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rawlers have to a sufficient towing force due to it's characteristics of the high performance. The newly constructed trawler with the conventional propellers shows the sufficient towing force, so that the propeller and engine are optimized. In the 1970s, many trawlers were imported from overseas by Korean fisheries industries. But the engine output degradation with year by year caused the trawlers to decrease the towing speed of the vessels. On the previous studies, the nozzle propeller had not so good efficiency with increasing of resistance in high-speed cruising operation over 15knots. But the trawling operation is just required the higher thrust and towing force, so that the nozzle propeller is very profitable for the it's effectiveness. A new nozzle propeller was designed for the 4,462G/T trawler, Dong-San, operated by Dongwon Industries Co., Ltd. to improve the towing speed, and the model tests were performed. The model ship and model propeller are preciously manufactured and used model tests in basin. The resistance test and propeller open water test were performed for the cases of the half and full loads. The required engine horse power and RPM were evaluated analytically by the speed-power curve, when the trawler was equipped with the nozzle propeller. The results of tests showed that the towing speed 4.85knots on the design load waterline requires the 200 engine RPM and 2,567ps in the delivered horsepower.
        4,200원
        33.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양육태도 및 감각처리 정도를 비교해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양육태도와 감각처리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어머니(각각 20명)를 대상으로 감각처리 질문지(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 ASP)와 어머니 양육태도에 관한 설문지(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MBRI)를 실시하였다. 질문지의 작성 시간은 ASP 15분, MBRI 10분, 총 25분이 소요되었고, 2007년 9월, 10월 두 달간 설문이 실시되었다. 양육태도와 감각처리 점수는 평균을, 양육태도와 감각처리 점수와의 상관성은 피어슨 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비교해 본 결과, 일반아동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더 좋은 것을 알 수 있었다(P<.05). 감각처리 비교에서도 장애아동 어머니가 일반아동 어머니에 비해 평균적으로 점수가 낮았으며, 특히 자신에 맞게 환경적 자극이나 감각을 찾는 능동적인 행동이 많이 부족하였다. 양육태도와 감각처리와의 관련성 비교에서는 애정적 태도, 자율적 태도 모두 감각처리의 4가지 영역과 상관성 있게 나타났다(p<.05). 결론 : 환경적 자극의 인식과 민감성, 자극에 대한 적극적인 반응을 보이는 부모일수록 아동에게 더 애정적이고, 자율적인 태도를 보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후속 연구에서는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태도와 감각처리와의 관계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부모의 양육태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4,000원
        34.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감각 처리 질문지인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ASP)을 사용하여 한국 성인의 감각 처리 정도를 파악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성인에서의 감각 통합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2세에서 38세의 건강한 성인 남(160명), 여(190명)를 대상으로 ASP 설문을 실시하였다. ASP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질문지를 완성한 후, 설문지를 대상자들에게 직접 나눠주고 수거하였다. 총 350부 배부하여 300부가 회수되었다(85%의 회수율). ASP 설문의 총 소요 시간은 15분 정도이고, 총 설문기간은 2007년 2월~3월이었다. 한국 성인의 감각 처리 정도는 평균과 빈도 분석을, 한국 성인의 감각 처리 평균 점수와 미국 표준치의 차이는 일 표본 t검정을 사용하였다. 결과 : 한국 성인의 감각 처리 4가지 영역 중 ‘낮은 감각 등록(Low Registration)’, ‘감각 민감성(Sensory Sensitivity)’, ‘감각 회피(Sensation Avoiding)’의 평균 점수는 ‘대부분의 사람들과 유사한 성향(Similar to Than Most People)을 나타낸다’에 해당되는 점수 분포였다. 반면 ‘감각 찾기(Sensation Seeking)’의 평균 점수는 평균보다 낮아 대부분의 사람들 보다 수동적인 행동 반응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빈도 분석을 통해 감각처리 정도를 살펴 본 결과 응답자의 약 57% 을 제외하고는 감각 처리에 부분적인 문제를 나타내었고, 한국성인의 평균값과 미국 표준치 비교에서도 유의한(p<.05)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기존의 작업 치료에서는 감각 통합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 아동에 국한되어 강조되어 왔으나,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일반 성인들에게서의 감각 처리 성향을 알 수 있었고, 한국 표준치 제시의 필요성도 인식할 수 있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한국의 표준치 제시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감각 처리에 문제를 가진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000원
        38.
        200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뻗기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팔과 체간의 움직임에 있어서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책상 위에서의 팔뻗기 과제 수행시 거리에 따른 팔의 움직임에 대한 체간의 움직임을 알아보기 위하여 대상자의 팔의 길이에 비례하여 다양한 거리에서의 팔뻗기 과제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자는 상지에 선천적인 기형, 심각한 외과적 혹은 신경학적 질환이나 지난 1년 동안 상지의 외상이나 통증을 경험했던 사람은 제외한, 우세 손이 오른손인 건강한 성인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상지움직임의 변화는 실시간 삼차원 동작분석 장치인 CMS-HS를 사용하였다. 팔길이에 대한 50%, 70%, 90%, 110%, 130% 거리의 작업수행시 체간의 움직임이 측정되었고, 단일 표식자에서 얻어진 속도와 움직인 거리 그리고 체간과 상지의 최대속도시간을 나누어 처리하였다. 결과 : 거리가 증가하는 동안 체간의 움직임은 팔의 길이의 90%의 거리에서부터 체간의 움직임이 유의하게 증가됨을 보였다(p.<05). 팔의 움직임에 대한 체간의 회전은 팔길이의 70% 거리에서부터 유의한 회전을 나타내기 시작했다(p.<05). 팔과 체간의 최대속도 도달시간은 팔길이의 70%, 90% 110%의 거리에서는 팔의 최대속도 도달시간이 먼저 나타났고, 팔길이의 130%의 거리에서는 체간의 최대속도 도달시간이 팔보다 먼저 나타남을 보였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 거리에 따라 팔의 움직임에 대한 체간의 회전과 굴곡이 유의하게 일어나는 거리를 알 수 있었고, 거리에 따른 체간의 운동속도에 있어서의 움직임 패턴을 예측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지 손상이 있는 환자들의 책상 위에서의 작업 수행이나 작업치료시 작업이 일어나는 거리에 따라 체간의 올바른 움직임을 위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4,200원
        39.
        200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and characteristics between electromyographic (EMG) activities of lower leg muscles and the posturographic assessment of static balance control in normal adults. Twenty-four young, healthy adults(12 males, 12 females) participated in the study. Center of pressure (COP) parameters were obtained using force platform as total path distance, total sway area, X mean frequency and Y mean frequency for 20 seconds in the following conditions: (1) comfortable standing with eyes opened or closed, (2) uncomfortable standing (feet together) with eyes opened or closed, (3) virtual moving surround delivered using Head mount display (HMD) with four different moving patterns. The virtual moving patterns consisted of close-far, superior-inferior tilting (pitch), right-left tilting (roll), and horizontal rotation (yaw) movements. Surface electromyographic activites were recorded on the tibialis anterior, peroneus longus, medial and lateral heads of gastrocnemius muscles under each condition. Correlation between the posturographic measures and EMG activities were evaluated. Total path distance and total sway area of CO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uncomfortable standing. EMG activity of tibialis anterior was significantly more during uncomfortable standing and virtual moving surround stimulation than during comfortable standing. Total path distance and sway area of COP during comfortable standing with closed eye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EMG activities of the lateral head of gastrocnemius muscle. Total path distances and total sway area of COP during muscle. Total path distances and total sway area of COP during presentation of virtual moving surround also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EMG activities of the lateral head of gastrocnemius muscle under close-far movement.
        4,200원
        40.
        200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tered scapular kinematics in the scapular joint is commonly believed to be a factor contributing to trunk pos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uscle activity with several changes of the shoulder angle. Tests were performed on 10 male subjects by repeated measures. Each subject was measured while sitting in both erect and slouched trunk positions. In each sitting posture, a three-dimensional motion analysis measurement was used to measure thoracic angle and shoulder abduction angle. Measurements were taken with the shoulder abdcution angle at , , , , , and . By using surface Electromyography (EMG) electrodes, we recorded the activity of the upper trapezius, middle trapezius, lower trapezius, middle deltoid, and serratus anterior muscle while the subject held a 4 kg weight at each angle. The mean of root mean square (RMS) of EMG activity was calculated. The middle trapezius, lower trapezius, and middle deltoid muscle activity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esults but serratus anterior muscle activity showed significantly lower results (p<.05). With the shoulder angle increased, the muscle activity wa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p<.05). In conclusion, the thoracic spine posture significantly affects the scapular muscle during scapular plane abduction, and the slouched posture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trapezius muscle activity and with decreased serratus anterior muscle activity.
        4,0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