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laboratory-scal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supplementing commonly used effective microorganisms on the chemical properties of swine liquid manure. Effective microorganisms used in this study were Bacillus subtilis (1.3×109 colony-forming unit (CFU)/ml), Enterococcus faecium (1.9×1010 CFU/ml), Aspergillus oryzae (2.0×109 CFU/ml), Saccharomyces cerevisiae (6.4×109 CFU/ml), Rhodobacter sphaeroides (1.2×108 CFU/ml), and Streptomyces griseus (6.2×108 CFU/ml). Swine liquid manure collected and decanted from a swine farm was used in this study. Treatments included control (distilled water supplementation), Treatment 1 (T1) (mixed microbes, 109 CFU/ml), and Treatment 2 (T2) (mixed microbes, 107 CFU/ml). Microbial mix was supplemented every 3.5 days and aerated six times (15 min each) a day to facilitate compositing. Ten ml of sample was collected at 2-, 4-, 6-, and 7-week intervals for the measurement of pH, ammonia-N, volatile fatty acid (VFA), total nitrogen, total phosphorus, and total potassium. At seven weeks, samples were further collected to analyze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and chemical oxygen demand (COD). Ammonia-N was significantly (p<0.05) decreased in T1 and T2 by 36% and 30%, respectively, compared with control (23%). VFAs including butyrate, iso-butyrate, valerate, iso-valerate, and caproate were not detected in T1 from the four-week aerated sample. The BOD and COD were significantly (p<0.05) decreased in T1 by 96% and 58%, respectively. In conclusion, ammonia-N, VFA, BOD, and COD, known as odor indicators, were decreased in T1 and T2 compared with control, suggesting that effective microorganisms are useful for compositing swine liquid manure
본 연구의 목적은 60대의 대뇌에서 T1, T2, PD 이완 시간 값을 측정하여 연령별 특정 해부학적 구조물들의 이완 시간 의 평균값과 연령에 따른 이완 시간 변화의 관련성이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60에서 69세까지 총 50명의 정상 뇌자기 공명영상검사자의 데이터를 Synthetic MR의 MAGiC을 이용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부위는 해마, 대뇌 부챗살, 측두엽 회백질, 시상, 뇌척수액이었다. 실험결과 해마, 대뇌 부챗살, 측두엽 회백질은 연령 변화에 따른 T1, T2, PD 이완 시간의 차이가 없었다(p>0.05). 하지만 시상에서는 PD 이완시간이 연령과의 상관성이 있었고(R2=0.112, p<0.05), 뇌척 수액에서는 T1 이완시간(R2=0.063, p<0.05)과 T2 이완시간(R2=0.061, p<0.05)에서 연령과의 상관성을 확인하였다. 추후 다양한 연령대의 대뇌 이완 시간을 측정하여 평균값의 비교 연구가 필요하고, 시상과 뇌척수액에서는 대규모 모집단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판단되며 이에 본 연구가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라 사료된다.
뇌 3차원 T1 관상면 검사 시 ENCASE를 적용했을 때 CS 계수의 증가 시 영상획득 시간 변화와 영상의 질의 변화에 따른 유용성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본원을 내원한 3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1.5T MRI 장치로 진행하였으며, 24채널 두경부 코일을 사용하였다. 획득한 영상의 상대적신호강도비(rSI)와 상대적대조도비(rC)를 구하였으 며, MIPAV로 뇌실질과 뇌실의 체적을 측정하여 One-way Anova를 사용하여 정량적 분석을 하였고, p<0.05일 때 통계 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또한, 5점 리커트 척도를 이용하여 영상의 질에 대하여 정성적 분석을 하였고, 측정자 내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ICC가 0.75 이상 나오면 측정자간 신뢰성이 높은 것으로 간주하였다. rSI와 rC 모두 p<0.05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급내 상관계수가 0.75이상(p<0.05)으로 통계적으로 매우 높은 신뢰도를 나타냈다. MIPAV를 이용한 체적측정에서는 뇌실질과 뇌실의 체적의 차이는 p=1.000으로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고, 사후분석결과 또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급내 상관계수가 0.75이상(p<0.05)으로 통계적으로 매우 높은 신뢰도를 나타냈다. 또한, 정성적 평가에서는 CS 계수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따라 서 ENCASE 기법을 이용한 3차원 T1 TFE 관상면 검사 시 CS 계수를 증가시킨다면 뇌의 체적 변화 없이 3차원 T1 시상면 영상보다 짧은 150초로 기존의 뇌 3차원 시상면 T1 기본 검사시간 260초 보다 짧은 영상획득 시간으로 진단적 가치가 높은 영상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Jeotgal is a salty and fermented traditional Korean fish sauce. Unlike most other previous studies that investigated samples purchased from retail markets, this study focused on samples of jeotgal with traceable history to Yeonggwang, a timehonored fishing village in Korea. Three jeotgal samples, which were made from small yellow croakers, largehead hairtail, and miscellaneous fish, were selected based on information obtained from interviews with local craftsmen and literature reviews. Bacterial community profiles of the three jeotgal samples were investigated to identify indicator (and potentially core) bacteria for jeotgal ripening. The 16S rRNA gene-based metagenomic analysis revealed that the dominant phyla and classes, (Gammaproteobacteria, Betaproteobacteria, Bacilli, and Clostridia) of the three different jeotgal were identical, albeit with different composition ratios. Diversification was evident beginning at the order level. Interestingly, each dominant order was mainly comprised of single members even at the genus level. The dominant genera included Halomonas, Tetragenococcus, Halanaerobium, Pseudomonas, Massilia, and Lentibacillus. This observed genus-level heterogeneity suggests that there are diverse bacterial signatures in jeotgal and that these can be used as indicators for jeotgal ripening and/or as starters to increase its sensory quality and functionality.
식품첨가물로 사용되는 알긴산나트륨은 알긴산염류로서 안정제, 증점제, 유화제 등의 기능을 한다. 알긴산나트륨의 정량법은 전처리가 복잡하고 분석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상대적으로 간편하고 보편적인 분석법 연구가 요구되고 있 다. 분석장비로는 HPLC-UVD 및 Unison US-Phenyl 컬럼을 사용하였으며, 전처리 조건으로 진탕기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150 rpm으로 180분간 추출하였다. 알긴산나트륨의 표준 용액을 5개 농도 범위에서 검량선을 작성한 결과 직선성(R2)은 평균 0.9999로 측정되었으며 검출한계(LOD) 및 정량한계(LOQ)는 각각 3.96 mg/kg, 12.0 mg/kg이었다. 또한, 천사채를 이용해 얻은 일내 및 일간 평균 회수율과 정밀도는 각각 98.47-103.74%, 1.69-3.08 RSD%이고, 빙과류에 대한 일 내 및 일간 평균 회수율과 정밀도는 각각 99.95-105.76%, 0.59-3.63 RSD%이다. 상대불확도%는 CODEX의 기준에 적합한 1.5-7.9%의 결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확립한 방법의 적용성 검토를 위해 총 103개 품목에 대한 알긴산나트륨의 함량을 정량한 결과 당면, 유탕면, 당류가공품 유형 순으로 높은 검출율을 보였다.
목적 : 본 연구는 20대가 선호하는 안경집 디자인의 핵심 요소를 도출하고자 실시되었다.
방법 : 서울지역 거주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3단계에 걸쳐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다양한 안경집 디자인의 예제들을 수집하고 선호도 조사를 진행한 다음, 도출된 안경집 디자인을 대상으로 SD법을 바탕으로 하는 감성평가 및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 분석 결과 고유값 1을 기준으로 8개의 감성어휘가 도출되어 2개의 축으로 분류되었다. 선호도 조사에서 상위를 차지한 안경집 디자인들에서는 실용적인, 단순한, 가벼운, 단단한, 깔끔한 등의 감성언어에 대응되는 제 1 요인과 고급스러운, 둥근, 무광의 등의 감성언어에 대응되는 제 2요인이 높게 나타났으며 반대로 하위를 차지한 안경집 디자인에서는 제 1요인과 제 2요인이 낮게 나타났다.
결론 : 20대 소비자 집단은 기능성과 심미성을 주요소로 하여 안경집 디자인을 선택하는 경향이 존재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ove the effect of pig slurry application with charcoal on nitrogen use efficiency (NUE), feed value and ammonia (NH3) emission from maize forage. The four treatments were applied: 1) non-pig slurry (only water as a control), 2) only pig slurry application (PS), 3) pig slurry application with large particle charcoal (LC), 4) pig slurry application with small particle charcoal (SC). The pig slurry was applied at a rate of 150 kg N ha-1, and the charcoal was applied at a rate of 300 kg ha-1 regardless of the size. To determine the feed value of maize, crude protein, dry matter intake, digestible dry matter, total digestible nutrient, and relative feed value were investigated. All feed value was increased by charcoal treatment compared to water and PS treatment. Also, the NUE for plant 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harcoal treatments (LC and SC) compared to PS treatment.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feed value and NUE between LC and SC. The NH3 emiss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15.2% and 27.9% by LC and SC, respectively, compared to PS. Especially, SC significantly decreased NH3 emission by 15% compared to LC. The present study clearly showed that charcoal application exhibited positive potential in nitrogen use efficiency, feed value and reducing N losses through NH3 emission.
The lack of short baselines, referred to as the short-spacing problem (SSP), is a well-known limitation of the performance of radio interferometers, causing a reduction of the ux detected from source structure on large angular scales. The very large number of antennas operated in the Atacama Large Millimeter/sub-millimeter Array (ALMA) generates situations for which the impact of the SSP takes a complex form, not simply measurable by a single number, such as the maximal recoverable scale. In particular, extended antenna congurations, complemented by a small group of closeby antennas at the centre of the array, may result in a double-humped baseline distribution with a signicant gap between the two groups. In such cases one should adopt as the effective maximal recoverable scale the one associated with the extended array and use only the central array to recover missing ux, as one would do with single dish or ACA (Atacama Compact Array) observations. The impact of the missing baselines can be very important and may easily be underestimated, or even overlooked. The present study uses ALMA archival data of the 29SiO(8-7) line emission of the AGB star W Hydrae for a demonstration. A critical discussion of the reliability of the observations away from the star is presented together with comments of a broader scope. Properties of the circumstellar envelope of W Hya within 15 au from the star, many of which are not mentioned in the published literature, are brie y described and compared with R Doradus, an AGB star having properties very similar to W H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