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국내 및 국제 화훼장식 자격증 취득 여부에 따른 화훼장식 자격증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국내 화훼장식 자격증의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화훼장식 자격증 취득자 100명과 미취득자(일반인) 210명, 총 31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화훼장식 자격증 선호도 조사에서는 화훼장식기사(3.27)와 화훼장식기능사(3.13)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자격증 선호 이유로는 자격증이 주는 자신감(3.56)과 다양한 실무에서의 활용(3.43)이 가장 큰 이유로 나타났다. 반면, 자격증 취득 여부와 상관없이 국내 화훼장식 민간자격증 에 대한 선호도는 가장 낮았으며, 특히 자격증 취득자의 선호도가 미취득자에 비해 더 낮았다. 화훼장식 자격증 취득자가 보유하고 있는 자격증에 대한 만족도는 국제 화훼장식 자격증 (3.70)이 국내 화훼장식 자격증(3.03)보다 높았으며, 특히 미국 화훼장식 민간자격증(4.03)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반면, 국내 화훼장식 민간자격증 보유자는 많았으나 본 자격 증 만족도는 보통 이하로 낮은 수준이었다. 자격증 취득의 만족 이유로는 해당 자격증이 능력개발 및 전문성에 도움을 주며(3.61), 자격증이 주는 신뢰도(3.45), 실무에 도움(3.41)을 제공하기 때문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훼장식 자격증 별 신뢰도에서는 자격증 취득 여부와 상관없이 국내 화훼장식 민간자격증(2.80)을 제외한 모든 자격증을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국내 화훼장식기사(3.44)는 유럽, 일본과 한국의 민간자격증에 비해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화훼장식 자격증의 발전 방향을 살펴본 결과, 자격증 취득 여부와 상관없이 취업과 실무와의 연계, 실기 심사에 대한 공정성, 시험 및 평가방식의 강화 등이 자격증 발전에 필요한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자격증 취득 시험 출제 기준 및 자격증 취득 후 국가적 복지혜택에 대한 보완이 바람직한 화훼 장식 자격증 제도의 정착을 위해 필요한 사항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summarizes the recent cutting-edge approaches for dentin regeneration that still do not offer adequate solutions. Tertiary dentin is formed when odontoblasts are directly affected by various stimuli. Recent preclinical studies have reported that stimulation of the Wnt/β-catenin signaling pathway could facilitate the formation of reparative dentin and thereby aid in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development of the tertiary dentin. A range of signaling pathways, including the Wnt/β-catenin pathway, is activated when dental tissues are damaged and the pulp is exposed. The application of small molecules for dentin regeneration has been suggested as a drug repositioning approach. This study reviews the role of Wnt signaling in tooth formation, particularly dentin formation and dentin regeneration. In addition, the application of the drug repositioning strategy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new drugs for dentin regeneration has been discussed in this study.
절화장미 삽목묘 대량생산 효율을 높이기 위해 국내 육성 절화장미 ‘엔틱컬’(Rosa hybrida ‘Antique Curl’)을 대상으로 생장 활력이 높은 단경삽목묘 주요 절위를 분석하였다. 화경으로부터 순서대로 5매엽 이상을 가진 마디 6개를 삽목(6 절위, Level 1~6)하여 온실과 생장환경조절실에서 각각 30일간 관리 하였다. 그 결과, 삽목 절위가 기부 쪽으로 내려갈수록 발근율과 액아 생장이 억제되었고, 삽수 잎의 황화 및 낙엽 현상이 조기에 나타났다. 잎의 탄수화물 함량은 발근과 신초발아율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온실환경에서 1~3 절위, 생장환경조절실 에서 1~2 절위의 생장이 가장 우수하였고, 모두 4절위까지는 정상적인 생장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상업용 장미 시설 생산에서 대량삽목번식을 할 때 화경으로부터 5매엽을 가진 네번 째 마디(level 4)까지 가능할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기 감수성 인공물은 영상의 질에 영향을 미치며 환자의 안전 또한 영향을 준다. 대부분 자기공명영상 검사 시 화장을 지우지 않고 검사를 진행한다. 하지만 화장품에도 금속 성분이 있어 자기 감수성 인공물을 일으키게 된다. 본 논문은 자기 공명영상에서 화장품에 따른 인공물의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화장품의 종류와 자장의 세기, 시퀀스에 따라 비교하였다. 대상 물질은 아이섀도 24종, 마스카라 4종, 아이라이너 4종으로 총 32개를 설정하였다. 실험은 스핀 에코, 터보 스핀 에코, 경사 에코, 에코 평면 영상 4가지 시퀀스를 사용하여 각 대상물질의 관상면과 축상면 영상을 획득하였고 관상면 영상 에서 대상 물질이 부착된 표면으로부터 인공물이 미치는 곳까지 수직으로 측정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전체 32개 화장품에서 자화 감수성 인공물이 모든 제품에서 발생하였다. 경사 에코와 에코 평면 영상에서 가장 큰 인공물이 보였으며 인공물이 가장 많이 생겼다. 1.5T보다 3.0T에서 자기 감수성 인공물이 크게 나타났으며, 최대 인공물의 크기는 9.05mm로 3.0T의 경사 에코에서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화장품이 자기 감수성 인공물로 인해 영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안구 검사와 같이 인공물에 의한 영향이 미칠 수 있는 검사는 화장을 지우고 검사해야 하겠다. 또한, 화장품이 자기 감수성 인공물을 생성하기 때문에 발열에 의한 화상의 위험성이 있을 수 있어, 되도록 자기공명영상 검사 시 화장을 지우도록 안내하거나 검사 중 이상 반응의 발생 여부 확인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MRI 검사 시 임플란트 자석 틀니의 자기 유지력 변화와 구조물 간의 금속 인공물을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으론 자기 유지력 변화의 평가를 위해 자석 구조체를 고속스핀에코 시퀀스로 검사하며 자력을 30분 간격으로 최대 90분까지 측정하였고, 금속 인공물 평가를 위해 자석 구조체와 임플란트 팬텀의 축상면 이미지에서 금속 인공물 크기를 측정하였다. 자석 구조체의 자력은 1.5T 검사에선 1.11 ∼ 5.29G의 차이를, 3.0T 검사에선 0.78 ∼ 2.97G의 차이를 보였으나 검사 시간과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p>0.05). 금속 인공물의 크기는 1.5T 장비에서 임플란트 팬텀은 15.02mm ∼ 21.97mm, 자석 구조체 팬텀은 87.86mm ∼ 102.54mm, 3.0T 장비에서 임플란트 팬텀은 19.15mm ∼ 25.81mm, 자석 구조체 팬텀은 94.18mm ∼ 125.56mm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자석 구조체의 자력은 MRI 검사 시간에 따른 유의미 한 변화를 보이지 않으며, 자력을 가진 구조물이 일반적인 구조물보다 더 큰 금속 인공물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MRI 검사는 임플란트 자석 틀니의 자기 유지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금속 인공물을 줄이기 위해 검사 전 자력을 가지는 삽입물은 제거되어야 한다.
과거 2015년 이전 게임소송 분쟁들은 게임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지식재산권의 보호를 모색하는데 주로 쟁점이 있었다. 게임 내 이미지, 캐릭터 등과 같이 게임 속 창작물은 저작권법에 의한 보호를 받을 수도 있다. 게임 내 로고, 심볼 혹은 표장은 상표권에 의한 보호를 받을 수도 있다. 그러나 게임의 명칭, 게임 규칙, 아이템 기능 등과 같은 그 외의 게임요소들은 단독으로는 저작권이나 상표권 보호를 받기가 어려웠다. 최근, 게임 지적재산권 및 게임 사업 운영 관련 소송 과정에서 부정경쟁방지법 위반의 쟁점이 함께 제기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본고는 가장 최근인 2019년부터 2021년 5월까지 선고된 한국, 미국, 일본 게임 판례 중 부정경쟁방지법 쟁점을 다룬 사례들을 살펴본다. 최근 사례에 등장한 부정경쟁행위 유형은 크게 타인의 성과물을 무단 사용하고 경제적 이익을 해하는 일, 타인의 상품 혹은 그와 유사한 것의 표시를 자신의 영업 에 사용하는 것이다. 관련 분쟁이 독점거래 규제법 위반으로 확장되는 경우도 있다. 부정경쟁방지법에 의한 보호는 전통적인 지식재산법에 의하여 보호하기 어려운 영역도 포섭이 가능하다. 그러나 보호범위가 확장될 수록, 이는 한편으로 게임 개발자들이 새로운 게임을 제작할 경우에 타 게임의 창작물 혹은 게임 회사의 성과물을 침해할 수 있는 위험이 증가함을 의미하기 때문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Due to the high risk of personal injury and property damage, the safety of maritime transport is an important concern for everyone involved. Ship navigation officers usually look up a ship's collision profile for safety-at-sea information before entering an unknown coastal area. Near-ship collisions are very important when assessing the potential risk of shipping. This paper undertakes a ship encounter risk assessment, involving analyses of the trajectory data of merchant ships and then extracts ship encounter data, creates a probabilistic model to determine whether an encounter event is a near miss, and suggests risk indicators. The proposed method will be useful for navigators to plan safe passages.
VR 수술 시스템의 도입은 현대 의학 교육에 큰 의미가 있다. VR 수술 시스템은 의대생과 젊은 의사의 학습 효율을 크게 향상시키고 반복 훈련 목표를 달성하며 전통 의학 교육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사회적 디지 털화가 심화됨에 따라 의료 분야의 VR 수술 시스템 구축이 시급해지고 있다. 본 논문은 의료에 적용되는 기능성 게임의 관점에서 VR 수술의 기능성게임 디자인을 연구한다. 먼저 사용자 경험 이론과 사용자 심리적 필요사항을 바탕으로 기능성 게임에 대한 사용자 경험과 기대치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사용자의 실제 필요사항과 게임 레벨 기능 디자인을 분석하고, 게임 디자인의 핵심 포인트를 강조하여 최적화하였다. 둘째, 3D MAX를 결합한 UE4 모델 구성의 주의할 점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위 연구를 바탕으로 흉강경 하에서 폐기포 VR 수술의 본격적인 게임을 설계하였다. 게임 디자인은 대상 사용자를 분석하여 내용을 결정한 후 이를 전문의에게 확인하여 이루어졌다. 첫째, 인간 가슴의 얇은 CT 이미지를 기반으로 3DS MAX를 이용 하여 가슴 모델, 수술 도구 및 수술 장면을 시뮬레이션 하였다. 둘째, UE4 게임 엔진을 사용하였다. 이 기술 은 3D 모델이 기능성 게임 시뮬레이션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도록 만들고 UE4 장면을 디자인하며 C ++ 언 어를 사용하여 게임 기능을 개발하였다.
There is no doubt that formal schooling has and still plays the role of almost a solitary agent of education in society. However, as time goes on, the question of formal schooling's adequacy in achieving 'true' education in modernity is increasingly being raised. Arguably, formal schooling looks to entertain conformity, social classification, psychological threats, and limits the skills development of learners. Therefore, there must be an alternative education model which creates more channels for learning so that society is no longer confined to the systems of formal schooling. In search of alternatives, deschooling society is becoming viable in today's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understanding of Illich's deschooling society by scholars in the 21st century. The authors analyzed 23 articles related to Illich’s ideas published from 2000 to December 2020.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texts and provide interpretations from the reviewed articles. The findings reveal that current scholars view deschooling society as a critical pedagogy that offers alternative learning opportunities to the learners. They argue that more education could be provided through newborn innovations such as flexible-learning in the open community, home-sch ol, work-based learning, the free choice of courses, open educational resources (OER), and massive open online courses (MOOC). On top of that, the openness of science in digital platforms or its pervasiveness in which it is organized in the modern community would most likely widen learning opportunities for the learners. These innovations are useful in transforming from the current formal education which has no bearing on the quality of education provided to the learners. This study calls for more academic researches and discussion on finding suitable ways for adopting Illich's ideas in modern society.
Considering critical roles of teachers in education, an increasing number of studies have investigated language teacher identity. Although many studies have reported nonnative English-speaking teachers’ identity, few studies have explored native English-speaking teachers’ (NESTs’) professional identity. Taking poststructural approaches towards identity,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how two NESTs working in Korean universities perceived themselves professionally and how their identities were realized in clas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class observations, and material collections. Findings showed that the NESTs constructed multiple identities differently shap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previous experiences and college majors. One NEST had identities of a role model for foreign language learning and a caretaker, while the other showed weak identities as a teacher with identities of a writer and a babysitter. Despite such differences, the NESTs commonly manifested an overarching identity as a guide who desired to create safe and comfortable learning environments. These findings confirm close connections between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y and practices.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is critical because teachers play a pivotal role in students' positive learning experience in schools. In particular, teachers' systematic class goal-setting practice is important for their performance outcomes such as effective classroom management and student learning.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eachers' engagement in class goal-setting activities using strategies derived from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ADDIE) framework as a systematic guideline by exploring the relationship among the four variables: teachers' class goal-setting, their partnership with stakeholders, teacher effectiveness, and student satisfaction. By using Process analysis techniques to estimate the dual mediation model on data from 55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ir 1790 students, the findings indicate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systematic efforts for their class goal setting and student satisfaction was fully and sequentially mediated by teachers' partnership activities with the stakeholders and perceived teacher effectiveness. The findings propose the importance of teachers' systematic goal-setting strategies in their classes, which can be developed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opportunities leading to successful performance outcomes. The study also highlights the various indirect effects produced by teachers' engagement in class goal setting.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as well as theoretical contributions for teachers are discussed.
In this paper a new textbook series publish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in 2019 is analyzed for its three shortcomings in promoting gender equality and inclusiveness. First, the new textbook series are still assuming that women are the primary caretakers of the house and children. Second, the series questionably address people’s appearances in the text, in forms such as fat-shaming. Lastly, the new textbook series engage in trying to normalize Koreanness. An interview with a marriage immigrant was conducted to give insight about if these aspects are truly problematic in a perspective of the marriage immigrant.
본 연구는 고밀도폴리에틸렌 코편을 마스크에 적용 후 MRI 검사에 사용하여 SNR의 변화를 측정하고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연구 방법은 팬텀을 이용하여 HDPE 마스크 적용 전 후의 SNR 측정과 KF 94 마스크 적용 전 후의 SNR 측정을 하였고, 사용한 기법은 T1WI, T2WI, DWI였다. 또한 HDPE 마스크 착용군의 T2 mDixon, 3D T1영상 획득 후 안와와 교뇌의 SNR을 측정하였고, 설문을 통하여 MRI 검사 시 답답함 정도와 호흡의 용이성, HDPE 마스크의 선호도 평가를 하였다. 팬텀 실험 결과 HDPE 마스크 사용 전과 후의 SNR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p>0.05), KF 94 마스크는 적용 전 값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HDPE 마스크 착용군의 SNR 측정 결과에서는 미착용군과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마스크 착용 후 답답한 정도 측정 결과 착용군은 3.53 ± 0.73, 미착용군은 3.83 ± 0.75이었고, 호흡의 용이성 측정 결과 HDPE 마스크 착용군은 3.1 ± 0.89, 미착용군은 3.27 ± 0.91으로 나타났고, 두 조사 결과 모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HDPE 마스크의 선호도는 4.48 ± 0.54으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HDPE 마스크는 착용 후에도 MRI 영상의 신호 변화 없이 정확한 검사가 가능하고 환자의 만족도 또한 높게 평가되었기에 검사 중 호흡기 감염 예방을 위해 적극적으로 사용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It is highly challenging to measure the efficiency of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s (EVCSs) because factors affecting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EVCSs are time-varying in practice. For the efficiency measurement, environmental factors around the EVCSs can be considered because such factors affect charging behaviors of electric vehicle drivers, resulting in variations of accessibility and attractiveness for the EVCSs. Considering dynamics of the factors, this paper examines the technical efficiency of 622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s in Seoul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The DEA is formulated as a multi-period output-oriented constant return to scale model. Five inputs including floating population, number of nearby EVCSs, average distance of nearby EVCSs, traffic volume and traffic congestion are considered and the charging frequency of EVCSs is used as the output. The result of efficiency measurement shows that not many EVCSs has most of charging demand at certain periods of time, while the others are facing with anemic charging demand. Tobit regression analyses show that the traffic congestion negatively affects the efficiency of EVCSs, while the traffic volume and the number of nearby EVCSs are positive factors improving the efficiency around EVCSs. We draw some notable characteristics of efficient EVCSs by comparing means of the inputs related to the groups classified by K-means clustering algorithm. This analysis presents that efficient EVCSs can be generally characterized with the high number of nearby EVCSs and low level of the traffic congestion.
이 연구는 한국 교회의 1세대 선교학자들 중에 이광순 교수에 대한 연구이다. 전재옥, 전호진, 강승삼, 이태웅 등과 더불어 이광순 교수는 한국 선교학자의 1세대에 속한다. 그는 1986년 풀러에서 박사 학위 취득 후 장신대에서 가르쳤으며 많은 예장 통합 선교사 훈련에 참여했다. 이 연구는 이광순 박사의 선교학과 예장 통합 선교사들과 한국 교회에 대한 공헌을 이해하고자 했다. 이것을 위해 본인은 이 박사의 연구논문들과 저서들과 박사 학위 논문을 참고했다. 본인은 우선 그 이전의 두 명의 장신대 선교 관련 교수들에 대해 간략히 고찰한 뒤에 그의 생애와 사역을 정리했다. 그 뒤에 본인은 그의 연구 주제들을 여섯 개의 주제와 몇 개의 작은 주제들로 정리했다. 마지막으로 본인은 이광순 박사의 사역에 대해 논의했다. 이광순 박사와 그의 연구가 영어권에서 비교적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에 그의 생활과 사역을 보다 자세히 살펴 보았다. 이 연구는 이신형의 선행 연구보다 광범위하게 이광순 박사에 대해 살폈다.
최근 기업들의 해외시장진출이 활발해지면서 글로벌 시장에서의 신제품개발속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신제품개발속도를 글로벌 관점에서 살펴보고, 더 나아가 기업특성과 시장 환경 특성이 글로벌 시장에서의 신제품개발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 제조업체들을 대상으로 신제품개발 및 제품 성과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기업 및 시장 환경 특성 중에서도 기업 규모, 제품특성, 시장불확실성이 글로벌 시장에서의 신제품개발속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글로벌적 관점에서 신제품개발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검증함으로써 학문적 및 실무적 관점에서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 incidents of state terrorism, including the assassination of Kim Jong-Nam, the murder (and attempted murder) of persons with strong ties to Russia, and the Jamal Khashoggi assassination, demonstrate cruelty while implying the involvement of the state, unlike other acts of terrorism since the Second World War. This trend denies the effort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hich has suppressed physical punishment including the death penalty in modern times and has achieved advances in human rights and humanitarianism under contemporary international law. Accordingly, this paper utilizes Michel Foucault’s indications regarding prison to reconsider recent cases of state terrorism from a broader perspective whil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conventional terrorism and th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terrorism-related trea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