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orectal cancer (CRC) poses a significant global public health challenge, accounting for 10% of newly diagnosed cancer cases and causing 9.4% of cancer-related deaths. Conventional treatment methods like surgery, chemotherapy, and radiation have shown limited success despite the increasing incidence of CRC. Thus, there is an urgent need for innovative therapeutic approaches. Researchers are continually working on developing novel technologies, notably focused on the creation of safe and effective cancer nanomedicines, in their continuous effort to advance cancer treatment. Nanoparticles exist at the nanoscale. Nanoparticles at the nanoscale have distinctive properties that leverage the metabolic disparities between cancerous and normal cells. This property allows them to selectively induce substantial cytotoxicity in cancer cells while minimizing damage to healthy tissue. Carbon nanomaterials (CNMs), including graphene oxide (GO), carbon nanotubes (CNTs), and nanodiamonds (NDs), have undergone extensive investigation due to their biocompatibility, surface-to-volume ratio, thermal conductivity, rigid structural properties, and ability for post-chemical modifications. Notably, GO has emerged as a promising two-dimensional (2D) material for cancer treatment. Several groundbreaking nanoparticle-based therapies, predominantly utilizing GO, are currently undergoing clinical trials, with some already gaining regulatory clearanc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clothing that enhances comfort for children using gastrostomy tubes while maintaining a design that is no different from that of non-disabled children. The discomfort experienced by children with gastrostomy tubes wearing regular daily clothing was investigated through medical papers and blogs of their parents. The designs were then created to address the issu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Because the location of the gastrostomy tube is in the upper body, four types of clothing items were developed: one sweatshirt for boys, two one-piece dresses for girls, and one windbreaker suitable for both boys and girls. Considering practicality for children’s clothing, cotton fabric was prioritized. For sweatshirts and windbreakers, a patched pocket with a dog pattern was placed over the area containing the gastrostomy tube to hide it. Frills were used to conceal the gastrostomy tube in one-piece dresses and designed to allow easy access for eating or disinfecting the area. This study aimed to address the challenges children with gastrostomy tubes face when wearing the regular daily clothes of non-disabled children while also offering aesthetically pleasing designs that enhance convenience for those using gastrostomy tubes. We believe this study will not only raise public awareness of disabilities but also inspire research on future clothing for both children and adults using gastrostomy tubes.
폭풍해일 및 너울과 같은 고파랑으로 인해 발생되는 월파는 심각한 연안 침수 위험을 초래하며, 연안 시설과 주민의 안전을 위해 정확한 예측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수치적, 경험적, 신경망, 그레디언트 부스팅(gradient boosting) 및 컴퓨터 비전 기반 모델들을 사용 하여 해안선 인근의 파고와 월파량을 포함한 월파 특성을 조사하였다. 동해안을 대상으로 한국 기상청(KMA), 일본 기상청(JMA), 미국 국 립환경예측센터(NCEP), 유럽 중기기상예보센터(ECMWF)의 기상데이터를 사용하여 ADCIRC 모델과 SWAN 모델을 결합하여 파고를 계산 하였다. 월파 감지용 CCTV가 설치된 동해안의 삼척항을 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다. CCTV에서 촬영된 영상들을 YOLO를 사용하여 분석하 였으며, 화면 내의 처오름 현상을 감지하였다. 수치모형의 성능은 예측된 파도 특성과 관측값을 비교하여 정성적, 정량적 측정을 통해 평 가하였다. 수치모형의 성능은 파고 예측에서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태풍과 비태풍 조건에서 파고는 각각 0.60m와 0.44m의 최소 RMSE이고 주기는 각각 1.68m와 1.84m의 RMSE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실시간 모니터링은 월파 특성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예측 가능성을 가진다. 실시간 모니터링은 해안지역 보호를 위한 신속한 위험 평가 및 실시간 경보 제공에 활용될 수 있다.
Electrical and thermal transport properties of a polycrystalline carrier-doped wide-gap semiconductor LaCu1-δ S0.5Se0.5O (δ = 0.01), in which the CuCh (Ch = S, Se) layer works as conducting layer, were measured at temperatures 473~673 K. The presence of δ = 0.01 copper defects dramatically reduces the electrical resistivity (ρ) to approximately one part per million compared to that of δ = 0 at room temperature. The polycrystalline δ = 0.01 sample exhibited ρ of 1.3 × 10-3 Ωm, thermal conductivity of 6.0 Wm-1 K-1, and Seebeck coefficient (S) of 87 μVK-1 at 673 K. The maximum value of the dimensionless figure of merit (ZT) of the δ = 0.01 sample was calculated to be 6.4 × 10-4 at T = 673 K. The ZT value is far smaller than a ZT ~ 0.01 measured for a nominal LaCuSeO sample. The smaller ZT is mainly due to the small S measured for LaCu1-δS0.5Se0.5O (δ = 0.01). According to the Debye model, above 300 K phonon thermal conductivity in a pure lattice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 whil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δ = 0.01 sample increases with increasing T.
Aluminum-based composites are in high demand in industrial fields due to their light weight,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and corrosion resistance. Due to its unique advantages for composite fabrication, powder metallurgy is a crucial player in meeting this demand. However, the size and weight fraction of the reinforcemen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components' quality and performance. Understanding the correlation of these variables is crucial for building high-quality components. This study, therefore, investigated the correlations among various parameters—namely, milling time, reinforcement ratio, and size—that affect the composite’s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was developed and showed the ability to correlate the processing parameters with the density, hardness, and tensile strength of Al2024-B4C composites. The predicted index of relative importance suggests that the milling time has the most substantial effect on fabricated components. This practical insight can be directly applied in the fabrication of high-quality Al2024-B4C composites.
식품 포장 분야에서 바이오센서와 바이오폴리머 기반 나 노복합체, 즉 바이오나노복합체의 통합이 점차 산업 전문 가들에 의해 인식되고 있으며, 이는 식품의 품질과 안전 에 대한 우려가 증가함에 따라 주도되고 있습니다. 식품 포장에 내장된 바이오센서는 포장된 상품의 미생물에 의 한 변질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식품의 완전성을 유지하는 핵심 요소로 업계를 변화시킬 준비가 되어 있다. 동시에, 탁월한 기계적, 열적, 광학적, 항균적 특성으로 인 해 바이오폴리머 기반 나노복합체의 연구와 적용이 크게 확대되었다. 이러한 특성은 이들을 혁신적인 포장 솔루션 에 적합한 주요 재료로 만든다. 그러나 지능형 식품 포장 시스템 발전에 바이오센서와 바이오나노복합체를 사용하 는 잠재적인 장애물과 전망을 탐구하는 것은 아직 충분하 지 않다. 바이오나노복합체와 바이오센서의 융합을 제안 하는 것은 스마트 포장 산업을 재정의하는 획기적인 단계 로, 이 기술들을 더 깊이 이해하여 지속 가능하고 경제적 으로 실행 가능한 스마트 포장 옵션의 개발을 촉진할 필 요성을 강조한다. 이 리뷰는 바이오센서와 바이오나노복 합체에 대한 기존 연구와 개발 동향을 철저히 검토하고, 가까운 미래에 스마트 식품 포장 산업에서 진전을 이끌어 낼 앞으로의 도전과 기회를 강조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
시멘트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구조물은 물의 침투로 인한 열화현상으로 인해 외관 손상 및 내구성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본 연구는 위해 소수성 혼화재료를 혼입하여 방수 성능을 개선한 모르타르를 개발하고 역학적 성능을 분석하고자 하 였다. 소수성 혼화재료로써 스테아레이트산을 기반한 재료들을 혼입하였으며 역학적 성능 분석을 위해 압축강도, 휨강도, 물의 접촉각 시험, 모세관 흡수 시험을 진행하였다. 발수성 혼화재료를 혼입하였을 때 압축강도 및 휨강도는 OPC(Ordinary Portland Cement) 비교군 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측정되었으나 급속염소이온침투저항성과 모세관 흡수 저항성이 증가하여 우수한 방수 성능을 나타내었다. 이러 한 결과는 모르타르의 방수 성능을 개선하여 건물 외곽 또는 건설재료에서 방수코팅 등으로써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