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was purposed to know the status of prevention on health obstacle in industries with confined spa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t was found 38% of respondents established health-work program in confined space.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with instrument of oxygen sampling and equipment of ventilation, operation of safety and health education, posting of watching man and operation of head count were 42%, 35%, 75%, 46% and 56%, respectively. 2. The percentage of awakening of risk, confirm of air condition and operation of emergency training were 36%, 25% and 10%, respectively.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들의 천문학적 공간개념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도구를 개발하였다. 이 검사도구는 천문학적 공간개념을 이루고 있는 기본적인 하위 요소들 (공간위치, 공간추리, 공간변화)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문항으로 구성되어있다. 개발된 검사도구는 274명의 고등학생들에게 투입되어 검증되었다. 문항 분석결과, 본 검사도구의 내용타당도는 98%였으며, 신뢰도(K-R 20)는 0.84, 정답율 52%, 변별도 지수 0.27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본 검사도구가 고등학생들의 천문학적 공간개념 수준을 측정할 때 활용 가능함을 의미한다.
한국 동해안 영일만 해역에서 퇴적물의 금속 함량과 공간 변화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총 27개의 표층 퇴적물을 채취하여, 입자조직, 유기탄소, 금속 원소들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연구해역애서 표층 퇴적물의 입도는 전반적으로 해안선 부근에서 조립하고 만의 중앙부에서 세립하며, 이러한 공간 변화는 해저지형과 반시계방향의 해류 패턴에 의한 것으로 해석된다. 유기탄소와 금속 원소들의 함량은 대부분 퇴적물의 입도 변화에 수반되어 니질 함량이 높은 만의 중앙부에서 높고 사질 함량이 높은 해안선 쪽으로 갈수록 낮아진다. 그러나 칼슘, 스트론튬, 칼륨의 함량은 조립한 퇴적물이 우세한 해안선 부근 퇴적물에서 높고, 몇몇 중금속(구리, 아연, 카드뮴) 함량 또한 유기물 함량이 매우 높은 구항과 형산강 입구의 퇴적물에서 높은 특징을 보인다. 상관관계 및 요인분석 결과에 의하면, 대부분의 금속 원소들의 함량과 공간 변화는 퇴적물의 입도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보이나, 카드뮴, 구리 아연, 주석 등은 퇴적층의 무산소 환경에서 일어나는 지화학적 메카니즘이 이들의 함량과 공간 변화를 조절하는 일차적인 요인으로 제시된다. 약산추출 부분(labile fraction)의 함량과 농축비(concentration enrichment ratio) 연구결과에 의하면, 중금속 원소들의 존재 형태가 대부분 "sulfide minerals"와 관련된 것으로써, 이들의 형성과 축적이 일부 연구해역에서 중금속 오염의 주원인으로 제시된다. 한편, 칼슘과 스트론튬 경우에는 퇴적물에 함유된 패각 함량에 의해, 그리고 칼륨은 사질 퇴적물에 우세한 장석(feldspar) 광물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여러 지질재해 중에서 산사태로부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미래의 산사태에 대해 취약한 지역의 추정이 필요하다. 산사태 위험성의 정량적 분석을 목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확률론적 공간통합 방법인 베이지안 기법의 적용가능성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우선 산사태 발생과 관련이 있는 여러 공간자료의 확률론적 표현을 위해 우도비 함수를 사용하였으며, 베이지안 결합 규칙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통합된 검증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방법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1998년 여름 산사태 공간 분포의 분할을 통한 검증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방법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1998년 여름 산사태로 피해를 입은 경기도 장흥지역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사례연구 수행 결과, 우도비에 기반한 베이지안 공간 통합 기법은 효율적으로 다양한 공간 자료를 통합할 수 있었으며, 검증결과는 해석과 의사결정 보조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orea, China and Japan are countries located in Northeast Asia territory sharing similar natural environment. Countries are also using rice as a main diet material accompanied with vegetables, marine products and bean or fermented bean food. Yet, at the same time each country's food culture appeared as to be unique in food space due to their diverse food materials from different natural, cultural and religious background. This research is probing a way to recover subjective food culture and accomplish food environment which appropriates to modern globalized era by developing simple and economical repast tools meeting public's needs and distributing unique repast tools becomes Korean food culture and can be used in the life pattern of modernized nuclear families.
We carried out a study on thermohaline structure and phytoplankton com munity in the East China Sea during early summer in 2005. As a result of marine environment and phytoplankton community, three characteristics of water type were identified. The former
본 연구는 국제정서사진체계(IAPS) 사진 중 이차원 감성을 잘 표현한다고 판단되는 9장의 사진을 선정하고, 이 사진 자극으로 유발된 감성의 변화를 심리ㆍ생리적으로 측정한 후 이차원 감성의 한 축인 각성/이완의 감성변화를 심리ㆍ생리적으로 변별 가능한지를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각성/이완의 감성변화를 대변하는 Eelectrocardiogram (ECG), Galvanic Skin Response (GSR), Skin Temperature, Respiration 등의 자율신경계 반응을 측정하였다. 자극 제시 후에 주관적 평가를 실시한 바, 각성 〉 불쾌/각성 및 쾌/각성 〉 중립 〉 이완 순서의 4단계로 각성도 감성을 구분할 수 있었다 자율신경계 반응은 각성, 불쾌/각성, 쾌/각성 〉 중립 〉 이완 순서의 3단계로 구분이 가능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인의 이차원 감성을 표현할 수 있는 9장의 사진을 IAPS로부터 선정하였으며, 이차원 감성의 한 축인 각성/이완의 감성 변화를 심리ㆍ생리적평가로부터 변별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is to analyze spatial structure of Eupchi(邑治) on Chungchong province with Chungchong-do regional maps(忠淸道地方地圖) and Eupjis(邑治) being compiled in the late Chosun dynast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it in this study, we make conclusions a follows; 1. Gunhyeon(郡縣) which had been Eupseong(邑城) on Changchong-do in Chosun dynasty was 13 provinces, and the construction of Eupseong was the coast Eupseong built for the purpose of defense and military Eusaeong built at Byeongyeong(兵營) and Geojin(巨鎭). And a measure used in the construction of a castle was Pobaekcheok(布帛尺) used to survey a frontier defence in Chosun dynasty, also Jucheok(周尺) or Yeongjocheok(營造尺) could be assumed to be wide use at that time. 2. Eupchi of Chungchong-do Gungyeon was almost disposed to the south direction. also had been Jinsan(鎭山) safeguarding it. With relation to Jwahyang(坐向) and Jinsan, its Jinsan and Myeongdang-cheon(明堂川) match each other in location of Eupchi, as it get Jinsan sat, and take main river in front of it. And provincial government office to be the center of a Eupchi is organized into Gaeksa(客舍), Dongheon(東軒), Naea(內衙), Hyangcheong(鄕廳), and practical business facilities, Jakcheong(作聽) or Jangcheong etc, the others is composed for the use of support of those. 3. In most Eupchi in Chougchong province, the layout Sajikdan(社稷壇) and Yeodan(?壇) was gone with a principle as they were disposed in the west and the north with Eupchi province. Jangsi(場市) of Eupchi was opened in front of government office of Gaeksa, and the Gunhyeon which had Eupseong was established in the inside and outside of Eupseong.
The structural system that discreterized from continuous shells is frequently used to make a large space structures. As well these structures show the unstable phenomena when a load level over the limit load, and snap-through and bifurcation are most well known of it. For the collapse mechanism, rise-span ratio, element stiffness and load mode are main factor, which it give an effect to unstable behavior. In our real situation, most structures have semi-rigid joint that has middle characteristic between pin and rigid joint. So the knowledge of semi-rigid joint is very important problem of stable large space structure. And the instability phenemena of framed space structures show a strong non-linearity and very sensitive behavior according to the joint rigidity For this reason In this study, we are investigating to unstable problem of framed structure with semi-rigidity and to grasp the nonlinear instability behavior that make the fundamental collapse mechanism of the large space frame structures with semi-rigid joint, by proposed the numerical analysis method. Using the incremental stiffness matrix in chapter 2, we study instability of space structures.
귤응애 성충의 표본추출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2개년(2001-2002년)동안 8월부터 11월까지 잎과 열매에 대해 각 조사일에 평균밀도를 조사하였다. 잎과 열매에서 귤응애 성충 밀도의 관계를 시기별로 비교하였으며, Taylor's power law (TPL)와 Iwao's patchiness regression (IPR)을 이용하여 분산지수를 비교하였다. 잎(X)과 열매(Y)에서 귤응애 성충 밀도의 관계는 ln(Y+l)=1.029 ln(X+l)(=0.80)의 직선적인 관계가 있었으며, 열매가 성숙될수록 잎보다 열매에서 귤응애 밀도가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잎과 열매의 표본조사에서 TPL이 IPR보다 평균-분산 관계를 더 잘 나타내었으며, TPL의 기울기와 절편은 두 표본단위간, 연도간에 차이가 없었다. 정착도 0.25일 때 요방제밀도 2.0, 2.5와 3.0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한 표본추출조사법을 개발하였으며, 조사에 필요한 최대조사나무수(고정표본크기에서 필요 나무수)는 각각 19, 16과 15주였으며, 이 때의 의사결정임 계값 은 각각 554,609와 659였다.,609와 659였다.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and seasonal fluctuations of phytoplankton community were carried out in the Southwestern parts of Deukryang Bay of the Korean South Sea from July 1997 to January 1998. A total of 60 species of phytoplankton belonging to 4
In this paper, computer simulation was used for researching into the estimate of flash over result from compartment fire and the characteristics operation of sprinkler RTI. Computing simulation, we analyzed and verified the path of the flame in compartment fire and the adaptation of sprinkler system concerned with sprinkler RTI.
전통 사적공간의 효율적인 관리와 보존방안을 위하여 경기도 구리시에 위치한 조선 왕릉의 대표적인 능인 동구릉을 조사하였다. 조사된 식생을 군락으로 구분해보면 졸참나무-신갈나무군락 (Quercus serrata-Quercus mon-golica commnunity), 오리나무군락 (Alnus japonica community), 소나무군락 (Pinus densiflora community)으로 구분할 수 있다. 졸참나무-신갈나무군락의 하위군락으로는 아까시나
본 논문의 목적은 공간 트러스 비선형 해석기법에 대한 수치해석적 장단점을 비교하고, 효율적인 해석기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사용된 해석기법은 하중 제어법으로 뉴턴-랩슨법, 수정 뉴턴-랩슨법, 할선-뉴턴법, 하중-변위 제어법으로 호장법, 증분일 제어법, 그리고 본 논문에서 제안한 하중-변위의 복합적 제어법으로 복합 호장법 , 복합 호장법Ⅱ, 복합 증분일 제어법이 있다. 공간 트러스에 대한 해석기법의 효율성 평가를 위하여 해의 정확성, 수렴성, 계산시간 등을 제시된 예에 비교한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하중-변위의 복합적 제어법의 신뢰성을 입증하였으며, 기하학적 비선형 해석 및 좌굴후 거동의 추적에 있어서 효율적이었다. 특히, 자유도수가 많은 공간 트러스의 좌굴하중 추척에 있어서는 복합 증분일 제어법이 효율적이었다.
The Objetive of this paper is to help to make decision of the appropriate structural types in long span strudured building due to range of span. For the intention, based on 7 forces of strudural element, it is analized the relationships among 6 configurations of strudural element(d/1), 25 structural types, 4 materials, and span~Iength known with 186 sample from 1850 to 1996
1) bending forces: club(1/100~1/10), plate(1/100~1/10), rahmen(steel, 1O~24m) simple beam(PC,1O~35m)
2) shearing forces: shell(1/100~1/1000) hyperbolic paraboloids(RC,25~97m)
3) shearing+bending forces: plate, folded plate(RC,21~59m)
4) compression axial forces: club, arch(RC, 32~65m)
5) compression+tension forces: shell, braced dome shell(RC, 40~201 m), vault shell(RC, 16~103m)
6) compression+tension axial forces: rod(1/1000~1/100), cable(below l/1000)+rod, cable+rod+membrane(below 1/1000), planar truss(steel, 31~134m), arch truss(31~ 135m), horizontal spaceframe(29~10 8m), portal frame (39~55m), domical space truss(44~222m), framed membrane(45~1 1Om), hybrid membrane (42~256m)
7) tension forces: cable, membrane, suspension(60~150m), cable beam(40~130m), tensile membrane(42~136m), cable -stayed(25~90m), suspension membrane(24~97m), single layer pneumatic structure(45~231m), double layer pneumatic strudures(30~44m)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he development of a size and shape discrete optimum design algorithms, which is based on the genetic algorithms and the fuzzy theory. This algorithms can perform both size and shape optimum designs of plane and space trusses. The developed fuzzy shape-GAs (FS-GAs) was implemented in a computer program. For the optimum design, the objective function is the weight of structures and the constraints are limits on loads and serviceability. This study solves the problem by introducing the FS-GAs operators into the genet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