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satisfaction towards, and effects of children's cooking activity programs held at children's cooking schools, which have recently been gaining interest as an effective integrated educational method. Also,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provides information on good teaching-learning methods, which can be applied to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s.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showed that 84.1% of the respon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educational aspects of the programs. People were most satisfied with the teachers' "teaching ability", and were least satisfied with "the educational fees". The satisfaction scores for the children's cooking programs were higher when they were performed in a school class environment as compared to a cultural center environment, and children who had participated for more than 12 months were more satisfied than those who had only participated 1 to 3 months. Quantitatively, of the 24 measured evaluation categories grouped into 6 fields that measured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the cooking programs, the greatest effects were found on the children's self-confidence and sense of achievement in the social emotion field, and the lowest effect was found on their writing ability in the language field. In addition, scores were higher when the cooking activities were performed in a private cooking school environment as compared to a cultural center environment. Scores were also higher when the educational program lasted 7 to 9 months as compared to only 1 to 3 months.
Education usually begins with setting a suitable goal. The education of interpreters/translators is no exception here. As the profession of interpreting/translation is based on practical business, the training of interpreters/translators is to be influenced by diverse business-related variables, including supply and demand of interpreters/translators. We should therefore take these variables into consideration when we set a goal for interpreter/translator education. Interpreting/translation education in Korea has been till now an elite training at the graduate level, With the diversification of interpreting/translation modes and languages, however, we need an increasing number of interpreters/translators with various focuses (court interpreting, document translators etc.). That is why interpreting/translation education at the undergraduate level is inevitable. We start this paper with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Korean interpreting/translation market, utilizing statistical data. Then, general goal and principles of interpreter/translator education which are derived from the analysis are presented. Setting a goal, the bond with the social and educational demand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Again from these principles and previous researches, we suggest a curriculum and pedagogic methodology for future interpreter/ translator education, with an example of Korean-German department. We put a focus on Interpreting/translation practice as well as acquisition of language, linguistic, translational theories and general knowledge.
Recently, the desire for low body weight, which is an abnormal weight construct along with obesity, has become an evident and serious problem in teenagers. In Korea, the desire for low weight is not perceived as an important problem, but it is rapidly expanding relative to the physical changes and developmental issues teenagers experience. The social atmosphere presented through mass media is the key influencer for the increasing low weight occurrence in teenagers. Because thoughts about beauty have changed among people, and since there is apparent blind interest in slim body shape and appearance, already low-weight individuals are attempting to lose weight along with obese persons. Thus, we consider it necessary to guide teenagers toward having correct perceptions with regard to weight and their own body shape, and that a healthy and appropriate weight is beautiful. Therefore, for this study, we investigated body perception, abnormal weight, attitude toward weight control, and factors related to eating behavior among teenage girls, who are considered the at risk group for overt body weight control behavior. Based on this, we have attempted to set in motion a systematic and activ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that will allow us to increase body satisfaction by educating on nutritional issues related to development, and ultimately, implant healthy body shape perceptions.
This study investigates how language teaching in middle school English classrooms takes place in terms of teaching methods and TETE classes. One-hundred and seven middle school English teachers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asked to answer the questions on the web. Among the participants, 8 teachers were interviewed. Regarding teaching methods, some teachers used communicative teaching methods most frequently, while others still preferred grammar-translation and audiolingual approaches to communicative approaches. Pair work was actively used in classes rather than teacher-dominant explanations. Regarding group work, some teachers chose it as one of their preferred activities but others avoided group works for reasons of difficulties with control, time management, and lack of presentation in textbooks. Most teachers considered reading as the most important but dealt with a great amount of listening, reading, and speaking in textbooks. Multimedia were used to stimulate motivation from the students in classes: CD-ROM was used most frequently, followed by powerpoint. Most teachers, who used English about 30~50% of their class time, agreed on the effectiveness of TETE and came up with the effective ways in teaching. Teachers had different experiences with native English teachers. Some teachers had doubts about usefulness of native English teachers in classes. To bring about good teaching from native English teachers, they should be acquainted with characteristics of Korean students and culture and should discuss lesson plans with Korean teachers in advanc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regarding the utilization of native English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focusing on its benefits and problems and to explore better ways of utilizing them for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024 elementary school students, 80 Korean elementary English teachers, and 56 native teachers of English.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Through the analysis of data the followings were revealed: 1) the native teachers of English considered that their working conditions including wages and the amount of teaching time were appropriate, but the pre-training program was not satisfactory; 2) the Korean English teachers felt that their workload related to native teachers of English was too heavy; 3) the students perceived that studying English with native teachers of English had positive effects on their English abilities in terms of cognitive and affective aspects; 4) in most schools team teaching between native teachers of English and Korean teachers were being performed and both teachers were satisfied with it; 5) however, several issues such as the rol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English teachers and the native teachers of English, the quality of pre-training, and reconstruction of teaching materials should be resolved in order to improve English program of utilizing native English-speaking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This study explores an exemplary case of an English immersion program originally initiated by some primary school teachers. It investigates how an immersion education was initiated by the members of an English teachers" study group and later supported by a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The contents of the program and the three examples of immersion classes are briefly illustrated and commented. The innovative endeavors for the successful execution of the immersion classes include the use of the daily morning English practice and various ways of exposing students to English. It was found from the interview conducted with 5 immersion teachers that the strong motivation of the immersion teachers was the first empowering factor for this program and the appropriate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help from the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was another crucial one. Several practical problems from implementing the immersion program are also reported. From these results and findings some suggestions are made for better ways for implementing immersion programs in elementary schools.
One of the issu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alternatives to teach Korean language to immigrant labors. This article deals with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immigrant labors from the point of view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It explores the actual condition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immigrant labors including its meaning and its features. It points out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immigrant labors changes the existing paradigm of Korean education and it has some unique features and problems that cannot be resolved by the capability which has been accumulated dur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is paper, three alternatives are provided to develop Korean education for the immigrant labors. First, every party concerned with Korean education for immigrant labors should participate in working out the master plan. Second, existing regular Korean language education circles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circles for immigrant labors collaborate and raise the level of cooperation. And lastly, the accessibility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immigrant labors should be raised.
본고는 보다 나은 한문 교과서 편저와 보다 바람직한 한문교육을 모색하는 과정의 하나로 작성하였다. 따라서 제7차 교육과정에 맞추어 편찬된 고등학교 한문교과서상에 있어서의 산문을 지도할 때의 문제점에 대해서 그 吐와 해석에 관한 부분을 논하고 그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사실 고등학교 한문교과서는 국민교육용 기초한자인 1800자 중 이미 중학교에서 학습되어진 900자를 바탕으로 하고, 나머지 900자를 교육하는 과정으로 편찬되어져있다. 이는 각 출판사의 검인정교과서가 기본으로 갖추고 있는 내용이고 보면, 산문의 수준과 내용이 대동소이하리라는 것은 말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산문의 올바른 현토와 해석은 산문을 확실하게 이해하는 방법이 될 수가 있고, 교과서에 선별된 산문의 예술성과 문학성이 올바른 현토와 해석을 통해서만이 제대로 드러나게 될 것이며, 이를 통해서만이 그 우수성이 확인될 수 있으리라고 보여 진다. 본고에서는 편의상 중국산문과 한국산문으로 나누어 보았으나, 사실 중국산문과 한국산문을 뚜렷하게 나눌 명분은 없다. 다만 한국산문이 대부분 중국산문을 본받았으리란 것은 짐작해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중국산문의 경우 교과서에 실려 있는 산문들이 대부분 당송팔대가의 산문들이고, 『고문진보』에도 나와 있는 문장이고 보면, 시중에 나와 있는 해석본도 많아서 올바른 현토와 해석이 가능하리라 여겨졌지만, 오히려 혼돈 때문인지 많은 문장에서 상당한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반대로 한국산문의 경우는 많은 문제가 있으리라 여겨졌지만, 교과서에 실린 편수도 적고 또한 실려 있는 것들도 대부분 무난하여 별다른 문제점이 없는 것으로 보였다. 중국산문의 경우, 소식의 「전적벽부」와 구양수의 「붕당론」과 한유의 「사설」과 「잡설」, 이백의 「춘야연도리원서」와 백거이의 「양죽기」에서 현토가 맞지 않거나 해석이 정확하지 않는 경우가 있었고, 또 현토와 해석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한국산문의 경우, 실려 있는 작품이 많지 않아서이기도 하지만, 이규보의 「경설」을 제외하고는 별다른 문제점이 없어보였다. 하여튼 본고는 보다 나은 한문교과서의 편저와 보다 바람직한 한문교육을 위한 것이니만큼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This study describes the development principles of the Elementary English Digital Textbook (MEDT) and provides sugges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English digital textbooks based on the evaluation of MEDT contents. With these purposes, the study firstly presents relevant theories about the instructional design, e-learning strategies, second language acquisition, and English teaching theories to investigate on what theoretical foundation the MEDT was developed. It then examines how the MEDT integrates and incorporates new technologies such as speech recognition, automatic writing scoring system, games, flash animation, and digital storytelling into a wide variety of English learning activities such as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Thirdly, the study reports the learners" and experts" evaluations of MEDT with respect to contents, learning activities, interest, levels, and technological functions. Lastly, based on the evaluation of the MEDT, some suggestions are made on the effective use of MEDT for the implementation of enhanced, high-technological, and motivating English learning environments in Korean elementary schools.
본고는 현재 우리나라 4년제 대학의 한자 교육 현황을 반성적으로 점검하고 그 개선책과 운용 방안을 살펴본 것이다. 그간 대학의 교양 교육은 지식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 소양의 배양과 문장을 독해하고 감상할 수 있는 능력의 신장이라는 두 가지 목표 아래 진행되어왔다. 하지만 시대적 요구와 교육환경의 변화로 인해 이제는 대학에서도 한자 중심의 실용적 교과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2007년 11월, 25개의 4년제 대학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24개 대학에서 한자 또는 한문 과목을 독립된 교양교과로 운용하고 있었으며, 8개 대학에서는 “한자와 생활언어”, “21세기와 교양한자”처럼 ‘한자’를 부각시킨 강좌도 개설하고 있었다. 같은 시기에 수도권 소재 4년제 대학 재학생 200명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84.5%의 학생이 한자를 몰라 곤란을 겪었던 적이 있었으며, 대학 진학 이후 한번이라도 한자 학습 경험이 있는 학생이 45.5%였다. 또 이들 가운데 절반 정도는 대학에 개설된 한자 관련 강좌를 통해 한자를 학습했지만 한자 교재를 구입해 공부했다고 답한 경우도 34%에 이르렀다. 한문 수업이 어떤 점에서 유익했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모르는 한자를 배울 수 있어서”와 “언어생활에 도움이 되므로”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교양을 쌓을 수 있어서”, “재미있는 옛날이야기를 들을 수 있어서”, “다른 과목의 학습에 도움이 되므로”가 뒤를 이었다. 반면 한문 수업이 유익하지 않았다면 어떤 이유 때문이냐는 질문에는 “한자를 몰라도 학업에 지장이 없기 때문에”와 “교과서의 내용이 진부하기 때문에”라는 답변이 1위와 2위를 차지하였다. 요컨대 오늘날의 대학생들은 일반교양으로서의 한문보다 실용적 목적에 부합하는 한자 학습을 필요로 하고 있는데, 대학의 한자·한문 강좌는 이들의 요구를 충분히 소화하고 있지 못한 상황임을 보여주고 있다. 대학의 교양 한자 교육이 올바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첫째, 대학 교양 한자 교육의 성격과 교과 목표를 제시하여야 한다. 중·고등학교 한문과 교육과정을 감안하여 최소한의 연계성과 위계성이 확보된 교양 한자 교육의 성격과 목표를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왕지사 대학에서 한자를 가르치기로 하였다면 그 학문적 성격에 대한 진지한 고민을 통해 모호하고 포괄적인 목표를 수정하여 한자 교과에 진정으로 합당한 구체적이고 실현가능한 목표를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학습자의 요구와 수준을 명확하게 파악하고 이에 알맞은 학습목표와 학습내용을 개발하는 일이다. 학습자의 능력과 기대수준을 고려한 수준별 강좌를 개설하고 각각의 강좌에 알맞은 학습목표와 학습내용을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학습교재를 개발하는 일이다. 중·고등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및 위계성을 고려하여 대학 교양교재다운 교재를 만드는 일이 중요하다. 넷째, 시대의 변화에 걸맞는 교수법과 교수매체를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활용하는 일이다. 교육 환경의 변화에 따라 중·고등학교 한문 교과의 수업 장면도 예전과는 확연히 달라졌다. 교재의 내용이 진부하거나 평면적이지 않은지, 새로운 교수매체와 교수법을 적용할 수 있는지 등을 꼼꼼하게 따져서 효과적인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한자 학습의 경우, 부분별·단계별 학습이 가능한 장점을 살려서 학습 자료를 온라인상의 학습 공간에 탑재함으로써 학습자들이 언제든지 자가학습할 수 있도록 배려하는 것도 중요하다. 다섯째, 교과목표와 학습목표의 성취를 구체적으로 확인하고 학습의욕을 고취할 수 있는 평가기준과 도구를 마련하는 일이다. 대학에서의 한자 교육은 점차 그 규모가 커지고 있으며, 이미 전체교양필수과목으로 지정한 대학도 여러 곳이다. 이럴 경우 해마다 수천 명의 평가 대상자가 발생하는데, 그 성취 수준을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평가 기준과 도구를 마련해야할 필요성이 대두하게 된다. 장기적으로는 한문학과 한문교육학을 전공한 이들이 기존의 한자자격시험을 대체할만한 새로운 한자능력 평가도구를 개발하여 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것도 고려해보아야 할 것이다.
한국의 게임 산업은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뿐만 아니라 영화와 음악의 전통적 문화콘텐츠 산업을 넘어 현대인들의 중요한 문화로 자리 매김하고 있으며, 특히 아동과 청소년에게 미치는 게임 산업의 영향은 과히 압도적이어서 이들의 정신적, 심리적 발달과 문화에 다양한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 이러한 현대의 게임 산업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게임의 긍정적 효과는 극대화하고 부정적 효과는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기 위해 게임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일반인을 위한 교육용 게임콘텐츠를 개발하게 되었다. 더 나아가 보다 적극적이고 바람직한 방향으로서 게임을 세대 공감적 통로로서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인식시키기 위해 본 콘텐츠를 개발하여 학습시켰으며 학습 후 다수의 학습자들에게 게임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증진시켰다.
Recently the Korean government has promoted, as part of a national plan for facilitating English education, the introduction of English immersion programs into public secondary schools in Korea. English immersion programs have been installed in many elementary schools in Canada and the U.S. as a practice of bilingual education, especially to help students in the linguistic minority. The government has also emphasized that the program will be further utilized for teaching general subjects in addition to English, and that it will be installed in the elementary schools as soon as possible. This paper critically reviews the suitability and validity of the English immersion program for Korean public schools from the socio-cultural, politico-economical, and language educational perspectives. Before doing that, this paper discusses: i) the origin and the objects of the immersion program, ii) the English immersion program implemented in the U.S., and iii) the difference between the features of English Immersion programs in the U.S. and those that have been introduced to Korea.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is paper argues that the English immersion program is not an optimal, nor a suitable program for English education in Korean public schools. This paper suggests some ideasfor planning foreign language education policy in the future.
코렘 지도는 공간조직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그래픽 언어의 한 형태이다.코렘은 기본적인 그래픽 요소로 구성되는데,이 요소들을 적절히 배치하여 공간구조를 설명한다. 코렘은 Brunet에 의해 개발된 이후 지리학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소개도 되지 않아 본 연구에서는 코렘 지도를 소개하고 교육적 활용 방안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코렘지도의 정의와 구성요소를 실제 사례와 함께 살펴보았다.다음으로 교육적 활용 방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최근의 한자교육 연구는 수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의 개발과 활용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맥락 하에 초등학교 한자교육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써 매체 활용 교육에 주목하였다. 이에 현재 실시되고 초등학교 한자교육에 있어서의 매체활용 교육실태를 교육감 인정도서, 사교육 시장의 교재, 인터넷상의 교재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이에 대한 성과와 문제점을 밝히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육감 인정도서에 나타난 매체 활용 교육 실태를 살펴보면 사진매체, 문자매체, 놀이나 게임·조작 등의 학습활동매체, 컴퓨터 등의 전자매체가 사용되었다. 사교육시장의 한자교재는 인정도서와 비교하여 별다른 차이점은 없으나 매체 활용의 다양성면에서는 부족하고 부교재 구성에 있어서는 많은 장점을 지니고 있다. 인터넷상 한자교재의 구성은 동영상강의, 플래시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자원이나 필순의 학습, 게임을 통한 한자·한자어 익히기, 단원평가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초등학교 한자교육에서의 매체활용 성과를 살펴보면 현행 초등학교 한자교육용 인정도서들은 기존의 암기위주, 쓰기위주의 한자 학습에서 벗어나 수업의 단계에 적합한 다양한 교수매체를 활용하여 學習者의 興味를 誘發하고 自發的 參與를 擴張시킴으로써 漢字敎育의 效率化와 質的 水準 向上에 많은 기여를 하였다. 반면 여러 가지 學習狀況에 대한 洞察이 다소 缺如된 상태에서 기계적이고 반복적으로 교수매체를 적용한다거나, 매체의 성격이나 교수-학습의 필요를 충분히 考慮하여 이에 適切한 敎授媒體를 選擇하는데 不足한 면이 있다. 또한 學年別로 認知的, 情緖的 發達段階에 適合한 敎授媒體의 開發이나 교사와 학생들이 활발히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교수매체의 활용 에 대한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고 본다. 초등학교 한자교육에서 바람직한 교수매체의 활용으로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敎育課程 計劃段階에서부터 이에 대한 考慮를 필요로 하며 각 학년의 발달단계와 교수-학습 상황에 적합한 정제된 매체를 개발 보급해야 한다. 특히 시대적 흐름이나 학생들의 관심, 매체의 특성, 수업의 효율성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컴퓨터를 활용한 보다 다양한 학습 방법의 개발이 있어야 한다. 아울러 현재 개발되어 있는 매체나 방법들을 교사 연수 등의 기회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널리 보급하여 한자교육의 저변을 확대하는 일도 소홀히 할 수 없다. 한자교육의 발전과 漢字敎科書의 質的 向上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보다 완성도 높은 교과서를 개발하는 일에 많은 노력을 경주해야 하며 良質의 교과서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널리 활용되는 풍토가 마련되어야 하겠다. 위의 모든 논의에 앞서 교사 스스로가 수업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교수방법과 교수매체는 무엇인지 끊임없이 연구해야 한다고 본다.
한국의 게임 산업은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뿐만 아니라 영화와 음악의 전통적 문화콘텐츠 산업을 넘어 현대인들의 중요한 문화로 자리 매김하고 있으며, 특히 아동과 청소년에게 미치는 게임 산업의 영향은 과히 압도적이어서 이들의 정신적, 심리적 발달과 문화에 다양한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 이러한 현대의 게임 산업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게임의 긍정적 효과는 극대화하고 부정적 효과는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기 위해 게임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일반인을 위한 교육용 게임콘텐츠를 개발하게 되었다. 더 나아가 보다 적극적이고 바람직한 방향으로서 게임을 세대 공감적 통로로서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인식시키기 위해 본 콘텐츠를 개발하여 학습시켰으며 학습 후 다수의 학습자들에게 게임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증진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