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 및 전기적 제약조건을 고려한 전자력 발사기의 최적설계에 대해 연구하였다. 펄스형 대전류가 흐르는 발사기의 단면적이 최소화되었으며 각 요소(레일, 측면벽, 세라믹 및 강철)의 허용응력과 예하중을 고려하였다. 전기적 제약조건은 발사기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와전류 효과를 방지하기 위한 세라믹의 두께로 정하였다. 90mm발사기의 설계에서 응력해석과 최적화는 ANSYS코드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예하중을 받는 최적설계에서는 예하중을 받지 않는 최적설계보다 53%의 단면적이 감소되었다. 레일의 원호각이 45.deg.일때 발사기의 성능이 가장 양호하다. 레일의 원호각이 45.deg.일때 Fahrenthold 연구결과와 비교하여 9%의 변형량 감소와 10.4%의 변형량 감소를 얻었고, 예하중도 186Mpa에서 59.8Mpa로 감소되었다. 연구결과는 설계 요구조건을 충분히 만족시켜 주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본 연구는 부재의 응력, 절점의 횡변위 등 거동적 제약과 설계변수에 가해지는 부차적 제약을 받는 평면뼈대 구조물의 설계에 적용할 수 있는 최적규준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변위 및 응력제약 모두에 1차 근사법을 적용하며 이는 전응력 설계방법과 다른 점이다. 비선형인 제약조건식을 푸는데 Newton-Raphson방법을 이용하고 최소치수 제약과 관련하여 설계공간을 축소하는 등 수학적으로 엄밀한 방법으로 재설계 알고리즘을 유도하였다. 적용 예를 통하여 이 방법이 정확한 방법임이 입증되었으며 전응력 설계가 최적설계가 되지 못하는 경우도 종종 발견되었다. 이 방법은 복잡한 계산과정 만큼 그 이용가치가 있으며 단순한 응력비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대부분의 최적규준 방법에 대치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Computer의 지속적인 발전은 이 방법의 보편적인 이용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구조물의 동적해석의 주된 관점은 적은 갯수의 모우드형상과 계산과정으로 적정정도의 해를 구하는 것이다. Component mode method는 부분구조물 기법을 이용하여 자유도를 줄이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나 동하중의 특성이 고려되지 않는 단점이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한 Ritz Vector법은 많은 반복연산이 필요하며 오차가 가중되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Component mode method의 효율성을 개선시키고자 기존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직접적분과정에서의 계산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Lanczos 알고리즘을 도입하였다. 이 방법의 효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예제구조물을 해석하여 SAP90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의 전산환경을 구성하기 위해 펠요한 지식 및 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지삭기반화하
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전산환경의 구축을 위한 정보로는 센서 및 하드웨어, 신호처리, 그리고 손상발견/평
가를 위한 지식등이 필요한데, 이들은 모두 다른 형태의 지식이므로즉 수학 연산, 서술적 지식, 수치모텔
등 어느 특정의 모텔링 기볍 단독으로는 이플을 효과적으로 수용하기가 매우 어렵다 이틀 해결하기 위하여
객체지향적 모텔링기법과 논리언어를 혼합 사용하는 방볍(H ybrid Modeling Paradigm) 이 제시되었고, 이의
타당성 및 효율성 검증을 위해 모 I켈구조물을 이용한 예제플 수행하였다.
본 논문 에서는 강구조물의 설 계를 위한 가상하중 소 성활절 해석기볍이 연구되 었 다. 구조풀 의 기하학적 인
불완전성 올 가상하중 기법으로 고 려하였다. 본 해 석 기볍을 통하여 구조물 의 거동과 하증 지지 능력 을 직접적인
방법으로 예측할 수 있다. 즉 본 기법 은 강구조 설 계 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고 있 는 유효길이 인 지 (K-fac tor)
의 계산 및 각 부재의 강도계산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써 다음 세대의 설 계기볍이라고 할 수 있다. 본 기볍 에
의하여 예측된 강도와 변위는 정확한 해라고 알려진 Plastic-Zone 해석 결 과와 비교 검증하였다, 본 기볍의
해석 및 설계 세 부 지침과 순서 를 제시하였으며, 본 해석기볍 및 AISC-LRFD 방법에 의하여 결 정된 부재크기
를 비교하였다. 본 해석기법은 실 제 설계에 효율 적 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고상반응법과 sol-gel법으로 제조된 NASICON의 상온과 250˚C에서의 X선 회절 데이터를 리트벨트 분석을 행하였다. monoclinic에서 rhombohedral로 상전이가 일어나도 원자들의 변위는 매우 작았다. 이들 상간의 ZrO6 팔면체와 Si(P)O4 사면체고 구성된 골격은 다소 다르게 나타남으로 인하여 Na 이온의 자리도 변하였다. 이들 방법으로 제조된 NASICON은 Zr이 부족한 비화학양론 화학식, Na 1+x+4yZr2-xSixP3-xO12으로 표현될 수 있었다. 제조법에 따라 Na 이온들의 자리 점유율이 변화하였다. 상온에서는 Na(1)과 Na(3)자리의 자리 점유율의 합이 거의 1에 가까웠으나, 250˚C에서는 Na(1)과 mid Na 자리를 단위 화학식 당 한 개를 약간 상회하는 Na 이온이 점유하였다. 상온과 250˚C에서의 Na 이온의 이동 경로가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250˚C에서는 Na(1)자리와 Na(2)자리 사이에 mid Na가 존재하며, 이 자리가 Na 이온의 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었다.
Infanthood is a crucial period when mental and emotional developments take place along with physical growth. Adequate supply of nutrition is essential during this period and there is an urgent need for proper education and guidance on balanced nutrition. Therefore,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to current status of lactation and to investigate mothers' perspectives on human milk and formular milk. As random samples for this study, a total of 352 mothers having infant under the age of 4 were surveyed. 27.3% of mother surveyed were breast-feeding, 38.0% were formula-feeding and 34.7% were mixed-feeding.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percentage of breast feeding was on the decrease, while the dependence on formular milk was on the rise. The main reason of formula-feeding was insufficient secretion of human milk on mothers part. The major factors that affect to select feeding method were employment status, degree of education, family income and age. Also, the interviewees desired the product fortified with special ingredients that are hot contained in formular milk currently available in the market. The most concerned problem of formula milk was indigestion and the interviewees wanted the formular milk to be improved digestibility.
본 실험은 촉진 및 호르몬 측정으로는 알기 힘든 난소의 정상 혹은 병리학적 형태 및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실험에서 도살장으로부터 채취된 난소 100개를 수침법으로 초음파 사진을 찍고 그 실제 단면과 비교하였다. 그리고, 홀스타인 50두에서 직장 벽을 통해 난소를 초음파로 관찰하여 난소의 정상 상태 및 병적 상태를 조사하였다. 이 기초 실험을 바탕으로 하여 홀스타인 소 1두를 과배란 처리하여 42일간 난소의 형태 및 변화를 직장 벽을 통해
The dynamic response characteristics with flexibility variations are examined for presenting the basic data for design of Tension Leg Platforms(TLPs)in waves. A numerical approach is based on the dynamic response analysis theory, in which the superstructure of TLPs is assumed flexible instead of the rigid body assumption used in two-step analysis method. The hydrodynamic interactions among TLP members, such as columns and pontoons are not included in the motion and structural analyse. The equations of motion of a whole structure are formulated using element-fixed coordinate systems which have the origin at the node of the each hull element.
구조물의 동적 응답 해석 문제에 대해서, 확률 유한요소법을 논의코자, 기조의 유한요소 해석법에 수반 변수법(adjoint variable approach)과 2차 섭동법(second order perturbation method)을 적용한다. 동적 민감도의 시간 응답을 고려하기 위해서 모든 시간에 대해서 갖는 구속 조건의 범함수 형태를 취하고, 시간 적분에 있어서 중첩법(fold superposition technique)에 근거를 둔 수치 해석이 훨씬 더 효과적임을 보인다. 본 논문의 확률 유한요소 해석법은 기존의 유한요소 해석법은 기존의 유한요소 코드에 맞추어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음을 보이며, 이의 검정을 위해서, 2차원과 3차원 프레임 구조물에 대한 수치 해석을 하고 그 결과를 검토해 보았다.
The main intention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nd compare the algorithm based on finite element procedures for nonlinear transient dynamic analysis which has combined effects of material and geometric nonlinearities. Incremental equilibrium equations based on the principle of virtual work are derived by the finite element approach. For the elasto - plastic large deformation analysis of shells and the determination of the displacement-time configuration under time-varying loads, the explicit, implicit and combined explicit-implicit time integration algorithm is adopted. In the time structure is selected and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each others. Isoparametric 8-noded quadrilateral curved elements are used for shell structure in the analysis and for geometrically nonlinear elastic behaviour, a total Lagrangian coordinate system was adopted. On the other hands, material nonlinearity is based on elasto-plastic models with Von-Mises yield criteria. Thus, the combined explicit-implicit time integration algorithm is benefit in general case of shell structure, which is the result of this paper.
다공성 알루미나 지지체를 이용하여 졸에 침지하는 미세한 기공으로 이루어진 티타니아 여과막을 제조하였다. 티타니아 졸은 현?액 재안정화 공정으로 제조하였고, pH 1.23-1.32범위에서 졸의 평균입지크기는 15nm 이하였다. 이 여과막은 600˚C에서 1시간 열처리한 경우 평균입도는 30-40nm로서 입도 분포가 좁은 양호한 여과막을 제조하였다. 이때 입자의 모양은 구형이었다. 열처리 온도가 600˚C보다 높아지면 여과막을 구성하는 입자 모양을 다각형으로 변하고 입도의 분포는 넓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