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his study, the ultra-high resolution ground information database (30m × 30m), such as elevation map, facet map, coastal map, land cover map, was constructed over Korean Peninsula. ASTER GDEM with 30m resolution was used to generate elevation map, facet map, coastal map, and the accuracy of GDEM was validated using DEM constructed with 1:25,000 digital map. The facet map was generated with 8 direction and flat area using GDEM. The coastal map with 6 categories was generated by buffering of the distance from coast line, additionally considered with elevation. The land cover map was generated with Landsat ETM+ 24 scenes (around 2000’s) by supervised classification, the land cover classes was composed with urbanization, agriculture, green field, forest, tidal flat, bare land, water area. The file format of ground information database is 8-bit or 16-bit unsigned Geotiff, the image size is 27,331 × 40,858 pixels, and the file size is 1.04GB or 2.08GB. The coordinate system composed of UTM projection and WGS84 ellipsoid was applied to the database for the equal grid resolution. This ultra-high resolution ground information database will be able to provide a basis for regional climate modelling and forecasting accuracy enhancement.
본 논문에서는 건축물의 실시간 피드백 진동제어를 위한 기초연구로써, 자체 기술력을 바탕으로 개발된 무선 가속도센서 시스템 및 프로토타입 (Prototype) AMD 시스템을 결합하여 피드백 진동제어 시스템을 구성하고, 모형 건축물을 대상으로 구성된 제어시스템의 기초성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우선 MEMS 센서 소자 및 블루투스 통신 모듈 기반의 무선 가속도 센서 유닛, 실시간 가속도 응답획득 및 제어법칙에 근거한 제어출력을 구현하도록 구성한 운영프로그램 등을 개발하였다. 또한 AC 서보모터를 이용해 기동되도록 설계한 프로토타입 AMD 및 모터 드라이버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를 이용해 실시간 피드백 진동제어 시스템을 구성하였고, 2층 모형 건축물을 대상으로 실험실 규모의 진동제어 실험을 수행하여 목적된 구조물의 진동저감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실험의 결과, 모형 구조물의 1차 및 2차 공진주파수 그리고 랜덤주파수 등의 실험조건에서 명확한 진동저감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종국적으로 본 논문에서 개발한 무선 가속도센서 시스템 및 AMD 시스템이 향후 여타 구조물의 진동제어를 위한 효과적인 수단으로 응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nimal and crop production systems were integrated on a single farm. This integrated farming system recycled nutrients on the farm. The separation of animal and crop production with the introduction of cheap commercial fertilizers, farms were not used land-applied manure. The on-line manure matching is one of the emerging business in the achievement of recycling and resource recovery. The manure matching actively promotes the reuse and recycling of by-products and manure. This study constructs to manure matching information system to solve the exchange problems between herders and croppers. Manure matching web sites designed. This paper introduces a web-based animal manure matching system. A manure matching service, part of the manure transport, links farmers who produce excess manure with farmers who can use the manure. Farmers registered with the service have requested manure. The manure matching service supports the transport project by linking farmers with excess manure with those farmers who can utilize the manure safely as a nutrient source. The goal of the service is to protect water quality by fostering efficient land application. Benefits to those who use the manure network include reduced disposal costs, lower purchase costs and recycling of manure. The manure matching is based on the principle that ‘one persons waste is another person’s fertilizer.’ It provides a free online matchmaking service for environmentally safe manure recycling management system.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development strategies for sustainability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based on farm awareness analysis. To analysis farm management, a series of farm household surveys were conducted on farmers residing in Embong-Myun. The sample size of the survey is 108 respectively. As a survey result, satisfaction level about market stability and understanding of upper organization is high, on the contrary, awareness of related organization is low in a relative sense. Most of farmers reveal their intention to sustain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e but future agriculturalist and an ageing society that one face as well. In order to establish development strategies for sustainability of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e, an infrastructure should be consistently expanded. On the other hand, self-supporting ability of farmer’s organization and education system attempt to expand for sustainability.
Recently, power distributed high-speed train with 430km/h(HEMU-430X) has developed in korea, 2012. However, the development of the train alone can not achieve the speed of high-speed rail system. So it needs the development of infrastructure system. In this paper, the project named “Application & technology development of high-speed rail infrastructure for 400km/h-class” being promoted in december 2010 will be introduced comprehensively.
주운수로 홍수기 수위 산정을 위하여 미 공병단에서 개발한 HEC-RAS 모형을 적용하였다. 아라뱃길은 다양한 수리구조물의 조작을 통하여 선박운항 및 홍수처리가 이루어지며 유입홍수, 한강수위, 그리고 서해조위 변동과 연계하여 귤현보, 서해배수문, 체절수문, 그리고 배수펌프장등의 대표적인 구조물 운영을 지원할 수 있는 홍수위 계산모형이 필요하다. 특히 서해배수문의 개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외조위와 내수위 변동을 동시에 고려한 수문운영이 필요하여 HEC-RAS의 Rule-script 기능을 적용하여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였다. 모형의 검보정을 위하여 2010년 9월 홍수사상을 적용하였으며 모형으로부터 계산된 수위값과 관측된 수위값이 서로 잘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축된 HEC-RAS모형은 홍수기 주운수로 운영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rural-villages remodeling components which is provided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rural community by improvement of settlement environment. To achieve this, rural-villages remodeling component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patial structure of rural area through analysis of literature, then we have examined the applicability through case studies after modification work which is based on experts's discussion and rearrangement by pilot investigation of researcher. In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rural-villages remodeling classified productivity area, residential area, community area in first group and this classification is divided into 6 space to production, 4 space to residence, 5 space to community in second group by literature search, pilot investigation of researcher and field survey. The subject elements surveyed a total of 123 through the literature search, additionally, 1 element at a space to production and space to community in field survey for types in zoning cases. As a result, categories and items are decided that it is included 125 target elements.
생식력을 보존하고자 하는 가임기 여성 암환자는 항암치료 전, 자신의 난소를 동결보존할 수 있으
며, 암 치료 후 동결된 난소를 해동, 이식하는 방법으로 임신에 성공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과정 중
난소과 난포는 동결 손상을 입게 되며, 난소 조직의 생존률은 크게 저하될 수 있다. 그 후 난소 이식
에 따른 허혈성 손상 등의 이유로 암 생존 후 동결 해동된 난소조직이 성공적으로 난소 기능을 유지
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최근 난소의 동결과 보존 그리고 이식은 전세계적으로 활발한 연구
가 진행되고 있는 주제이지만 아직까지 획기적인 방법이 개발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가임력 보존
의 가장 궁극적인 방법인 난소동결보존을 최적화하여 그 효율성을 높이고, 이식후 생존기간을 연장
시킬 수 있는 기술의 탐색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동화기법의 하나인 확장 칼만 필터를 이용하여 유량자료의 실시간 품질향상을 수행하였다. 확장 칼만 필터의 상태-공간모형은 강우-유출모형과 관측유량자료를 이용하여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 품질향상 목적을 댐 유입량의 비정상적 고변동성 억제 및 관측유량의 결‧오측 보완으로 구분하였으며, 각각의 경우에 적절한 확장 칼만 필터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들 모형의 차이는 칼만이득 계산에 필요한 공분산 함수의 추정에 변동성만을 고려하는냐 또는 편의까지를 포함하느냐로 나타난다. 본 연구는 충주댐 유역을 대상으로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 제시된 모형들이 댐 유입량자료나 결‧오측이 포함된 유량자료의 실시간 품질향상에 효과적으로 작동함을 확인하였다.
한국원자력연구원 내 저장중인 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의 안전한 영구처분을 위하여 방사성폐기물처 리시설에서는 이들 저장폐기물의 핵종재고량 평가를 위한 드럼핵종분석장치의 도입을 기획하고 있으며, 이 장치를 운영하고 유지보수하기 위한 전용의 평가시설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이 평가시설 외부에는 제 1방사성폐기물저장시설이 인접하여 있으며 내부에는 평가대상드럼들과 드럼핵종분석장치의 밀도보정용 선원 등이 존재함으로 이들이 방사선원항으로 작용하여 평가시설 내·외부의 선량률에 영향을 미치게 된 다. 따라서 방사선원항 주변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방사선차폐 영향을 평가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 는 MCNP 코드를 이용하여 해당 방사선원항으로부터 평가시설 내부 방사선관리구역을 둘러싸고 있는 콘 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방사선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현재 고려되고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약 30 cm 두께는 해당 방사선원항으로부터의 방사선을 차폐하기에 충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세계적으로 수질오염은 빈번히 발생하는 환경재해로 국민들의 안전과 생명을 위협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환경부에서는 자동측정장치를 이용한 단순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단순모니터링으로는 수질 오염 발생 시 빠른 대처를 할 수 없는 어려움이 있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USN (Ubiquitous Sensor Network)기술을 이용 수중환경상태를 감지하여 실시간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위험상황이 확인되는 즉시, 즉각적인 조치가 가능한 지능형 수중환경 관리 시스템 프로그램을 개발 하였다.
SOC ,which are roads, bridge and tunnel are increasing as development in the world. Although outworn structures need to keep structure maintenance, it become obsolete rapidly because of the technical problem and being ignorant. This paper suggests ubiquitous unmanned inspection auto system which is whenever, wherever shoes in the Bri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