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k, Yong-han. 2015. “A Study on the occurrence motives and Socio-cultural Implications of Military-humor Texts”.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3(3). 113~ 145. Humor can be the main subject of sociolinguistic research since it indirectly reflects how people, who actually produce and enjoy humor, think about the main issues of their community. The military employs many forms of humor within its organization to relieve tensions in communication. As humor helps people to resolve the anxieties and rigid thoughts and become more flexible, various contents and forms of humor are produced and circulated within the military. With the subject of military-humor text consisting of contents relating to military society, this research looks into the motivation of humors that were produced and enjoyed as a narrative by current and previous military personnels and also the socio-cultural implication reflected in that humor text. Through this research we were able to verify various traits of the military using linguistical approaches. While military-humor texts do indirectly disclose the negative aspects of society, protects one's self-confidence and resolves repressed desires, it is also produced and enjoyed by a number of people simply for entertainment. These military-humor texts also include socio-cultural implications such as double perceptions towards military service, rank-orientedness, authoritarianism, de-individuation, isolationism, formalism, and thinking rigidity. I hop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s found useful in analyzing the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military.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the legibility in different age groups (young and old) with same near visual acuity and to provide preliminary guidelines for the text sizes in the pesticides products based on the legibility experiments. To achieve the objective, legibility evalua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test the effects of different age(20s, 50-60s), gender, font type(thick gothic-type and fine gothic-type), thickness (plain and bold), and number of syllables(2 and 3 syllables) in the same near visual acuity(0.6). The results showed that legibility 50s was higher than 20s. And 20s are appealed higher discomfort than 50s. Considering these experimental results, it was recommended that the 14 pt or larger characters (100% readable size) should be used the important information such as toxicity, and the minimum character size was 7 pt (50% readable size) for other information.
낙동강 상류에 서식하는 열목어의 여름철과 가을철 일주기 이동 패턴을 파악하기 위하여 총 7개체의 열목어에 radio tag을 적용하여 약 2시간 간격으로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열목어의 일일 평균 이동거리 (±SD)의 경우 182.4±79.2 m이며, 대부분의 개체가 1 km 이내의 거리를 서식범위로 이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기별 구분시 여름철의 일일 최대 이동거리 및 이동범위가 550.5±75.5 m, 649±53 m로 가을철의 283.8±55.1 m, 186±32 m와 비교하여 더 넓게 나타났다. 이처럼 열목어의 여름과 가을의 이동거리 및 범위는 상대적인 차이를 보였으나 모두 서식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단거리 이동이었다. 본 연구 결과로 확인된 열목어의 시기별 일주기 이동은 열목어의 개체군 보존을 위한 노력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목적: 동측성 반맹시환자의 시재활치료로서 많이 활용되는 프리즘 처방 후 나타나는 복시현상 을 완화하고자 시분할방식(time division system)을 응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해보고 한계를 살 펴보고자 한다. 방법: 안과적으로 이상이 없는 총 22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반맹시 시뮬레이션을 동측성 우 측반맹을 만들었다. 우측 절반이 보이지 않는 피검자는 프리즘을 사용하여 한글과 컴퓨터의 응 용 프로그램 중 산성비 게임을 하면서 화면 바닥으로 떨어지는 단어의 총 개수 19개 중 몇 개 를 봤는지 셌다. 프리즘의 양은 사람의 PD에 따라 각각 다른 다르게 처방이 되었으나 모든 피 검자의 시야 이동 각은 14도가 유지되게 하였다. 시분할방식 장비로는 스포츠옵토메트리에 사 용하는 안경(MJ Japan Design, 2MJ03SE-1622)을 사용하였으며 안경의 한쪽 렌즈가 닫혀있 는 시간을 0.66초, 열려있는 시간을 0.34초로 설정하여 안경 착용 전과 후로 나누어 바닥에 떨어진 단어의 개수를 비교했다. 결과: 시분할장치를 사용하기 전 22명의 피검자가 보고한 단어의 개수는 17.9±4.9개, 사용 후 에는 15.2±4.2개였다. 전공자 5명을 제외한 비전공자 17명을 대상으로 한 장치 사용 전 평균 값은 17±4.6개, 사용 후에는 14.8±4.5개였으며 전공자의 경우 사용 전 20.9±5.4개, 사용 후 16.6±3개로 전체적으로 증가함을 나타냈다. 결론: 프리즘을 통해 14도 이동되어 움직이는 단어는 색수차로 인해 인식을 어렵게 한다. 그러 나 반복된 연습, 즉 반맹시에서의 시재활치료에 관한 이해와 함께 시분할장치를 사용하여 일정 시간 이상의 훈련을 한다면 움직이는 사물의 지각력이 증가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paper develops a LED fishing lamp mounting system which slides in and out a LED fishing lamp mounting rack according to fishing situation of a fishing boat. Sliding mechanism of the LED fishing lamp mounting system is realized with a rack and pinion. Components of the LED fishing lamp mounting system are modeled with finite elements. In addition, the LED fishing lamp mounting system is modeled with rigid bodies. A rigid body model of the LED fishing lamp mounting system is interfaced with finite element component models to develop a computational model of the LED fishing lamp mounting system. A simulation is performed with the developed computational model for dynamic stress analysis of the LED fishing lamp mounting system. A bouncing, rolling, and pitching motion which describe a very rough sea are used as input conditions for the simulation. Six cases are considered for the simulation based on the number of fishing lamp and the location of sliding rack.
Alumina dispersion strengthening copper(ADSC) alloy has great potential for use in many industrial applications such as contact supports, frictional break parts, electrode materials for lead wires, and spot welding with relatively high strength and good conductivit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oxidation behavior of ADSC alloys. These alloys were fabricated in forms of plate and round type samples by surface oxidation reaction using Cu-0.8Al, Cu-0.4Al-0.4Ti, and Cu-0.6Al-0.4Ti(wt%) alloys. The alloys were oxidized at 980 oC for 1 h, 2 h, and 4 h in ambient atmosphere. The microstructure was observed with an optical microscope(OM) and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equipped with energy-dispersive X-ray spectroscopy(EDS). Characterization of alumina was carried out using a 200 kV field-emiss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TEM). As a result, various oxides including Ti were formed in the oxidation layer, in addition to γ-alumina. The thickness of the oxidation layer increased with Ti addition to the Cu-Al alloy and with the oxidation time. The corrected diffusion equation for the plate and round type samples showed different oxidation layer thickness under the same conditions. Diffusion length of the round type specimen had a value higher than that of its plate counterpart because the oxygen concentration per unit area of the round type specimen was higher than that of the plate type specimen at the same diffusiondepth.
The frozen start up characteristics of the two phase closed thermosyphon using water and FC 40 as working fluid to prevents dry out by freezing of water at the condenser when below zero operation condition has been tested and studied. The experimental data showed that the thermosyphon using immiscible 2 fluids thermosyphon start up successfully at a -30℃ cooling condition as melted water by inflow 2nd working fluid to the condenser.
동부박(CPM)을 첨가하여 제조한 두부의 품질특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CPM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L값은 대조구 CPM-O과 처리구 CPM-I, CPM-II, CPM-III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 < 0.05). b값은 CPM-III 에서 14.26로 가장 낮았으며, 동부박(CPM) 첨가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텍스쳐 프로파일의 결과는 대조 구 CPM-O와 동부박 첨가 처리구 CPM-I간에는 응집성 (cohesiveness)을 제외한 모든 조사항목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처리구 별 pH는 6.36~6.52로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탁도는 1.46~1.81 범위로 CPM 첨가비율이 증가됨에 따라 증가하였다. 일반 세균수는 CPM-III에서 4.40 × 102CFU/g로 대조구와 유의 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Esterichia coli의 경우, 대조구 CPM-O와 전 처리구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관능적인 분석 결과는 동부박 현탁액 첨가비율이 10%인 처리구 CPM-I 의 경우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동부 묵 제조의 부산물을 이용하여 두부제조에 적용할 때는 동부박 첨가 비율이 10%가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Isoflavone glycoside (IG)는 genistin, daidzin, glycitin 순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동부박(CPM) 첨가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그 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Isoflavone-aglycone (IA)는 IG보다는 함량이 낮았으며, genistein과 daidzein이 glycitein 보다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동부박 첨가비율이 증가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풍진동에 의한 사용성의 문제를 해결하고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TLCD가 설치된 건물의 태풍에 의한 풍진동 계측결과를 바탕으로 시스템식별을 통하여 동특성 및 모달풍하중을 추정하고 TLCD의 풍진동 저감성능을 분석하였다. 대상건물은 인천 송도에 위치한 지상 64층 237m의 주거용건물로 상층부에 TLCD가 설치되었으며, 건물과 TLCD의 거동을 계측하기 위하여 풍향풍속계, 가속도계, 수위계및 인터넷기반 송수신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계측된 건물의 가속도와 TLCD 액체의 변위결과를 바탕으로 구조물-TLCD 연계 모드를 식별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구조물과 TLCD의 고유진동수를 식별하였다. 또한 계측된 구조물과 TLCD의 가속도응답으로부터 칼만필터를 이용하여 모달풍하중을 역추정하여 식별된 구조물의 동특성을 바탕으로 TLCD의 풍진동 저감성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TLCD의 설치로 인하여 태풍에 의한 풍진동이 최대 29.9% 정도 저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S: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untermeasures against heavy snow on road in Seoul: Focusing on Seocho 1-dong. METHODS : Since 2000, three cases of the top 10 in the highest snow fall depth in a day occurred in 2001(234mm, 156mm) and 2010(258mm) and the possibility of heavy snow is getting higher. 10 days after heavy snow fall when the snow thaws, socio-economic damages occurred often. For example, the insufficient snow removing, difficulty in patients transfer, crash accidents, injuries from a fall, the increasing cost of snow removing etc. RESULTS : For the effective deploying snow removing equipment and worker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emergency snow removing spots. Seocho 1-dong was tested because it contains mountains, hill and urban areas as well as various buildings and road types exposures. CONCLUSIONS : Based on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heavy snow researches, the elements for vulnerability were analyzed and vulnerable areas to snow fall were derived.
본 논문은 W. B. 예이츠, 김소월, 그리고 김종길 등 3명의 모더니스트 시인들을 통해서 동서양이 시에서 자연을 어떻게 다루는지를 비교하고자 한다. 김소월과 김종길은 동양의 시학을 대변하고, 예이츠는 서양의 시학을 대변하는 것으로 읽는다. 그들은 각기 아일랜드와 한국의 모더니스트 시를 대변하는 시인들이다.
바이오디젤의 저온유동성과 산화안정성은 주로 녹는점이 높은 포화 및 불포화 지방산 메틸에스테르의 함량에 의해 좌우된다. 본 연구는 동물성 유지인 우지 유래 바이오디젤에 요소를 첨가하여 포화지방산 메틸에스테르 함량을 저감시켜 동물성 바이오디젤의 저온유동성 개선과 포화지방산 메틸에스테르 함량이 저감된 동물성 바이오디젤을 식물성 바이오디젤에 혼합함으로써 식물성 바이오디젤(유채유, 폐식용유, 대두유 및 동백유)의 저온유동성을 개선하기 위해 수행 되었다. 연구결과, 동물성 바이오디젤의 포화도 저감을 통해 저온필터막힘점을 최대 –15℃까지 낮추었고, 포화도가 저감된 동물성 바이오디젤을 식물성 바이오디젤과 혼합함으로서 식물성 바이오디젤의 저온필터막힘점을 -10 ~ -18℃까지 낮출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동·식물성 유지 유래 바이오디젤의 저온특성을 개선함으로써 국내 겨울철 환경조건에서 연료유로 적용 가능성을 증대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는 풍진동에 대한 현수교의 거동을 예측하기 위하여 바닥판의 비틀림강성을 고려하여 Mckenna and Tuama 모델(2001)을 개선한 2D 간단해석 방법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모델은 풍속이 증가할수록, 진동수가 낮아질수록 비정상적인 값을 나타내고, 비틀림모드의 공진현상을 묘사할 수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틀림강성을 고려하여 풍속에 따른, 진동수에 따른 비틀림진동을 분석하였다. 해석결과 진동 초기의 수직모드는 점차 비틀림모드로 전이되며 수직모드는 안정적으로 진동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비틀림강성 효과를 고려하여 해석을 수행한 결과 수직모드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안정화되는 모습을 보이나 비틀림 진폭은 일정시간(약 200초) 이후 나타나기 시작하여 비틀림각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였으며 맥놀이 주기는 풍속이 증가하면서 점차 감소하였다. 비틀림 강성에 따라 서로 다른 풍하중의 풍속과 진동수에 비틀림모드의 공진현상을 나타내므로 실제 설계에는 반드시 이러한 영향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 개인정보보호 법제의 특징 중 하나는 개인정보의 이용과 보호의 조화보다는 보호에 치중하고, 개인정보의 수집 및 제공 등에 있어 사전 고지·동의(Opt-in) 제도를 도입하였다는 점이고, 제재측면에서 본 특징으로는 비교법적으로 매우 강력한 형사처벌 조항을 두고 있다는 점과 친고죄나 반의사불벌죄로 규정하지 않아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률 위반 행위에 대하여 수사기관이 직접 수사를 개시할 수 있다는 점이다. 형사처분과 행정처분의 취지나 목적이 동일한 것은 아니라는 점에서는 일견 수긍할 수도 있으나 사전 고지·동의 제도 위반에 대해 형사처벌을 부과하게 되면 개인정보 개념의 포괄성, 동의 제도의 허구성 등과 맞물려 법리적으로나 실무적으로 많은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특히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일반법인 개인정보 보호법이 동의 없는 수집을 과태료 부과 대상으로 규정하고 있는 점, ‘정보주체 이외의 자로부터 수집’하는 경우에 관해서는 일정한 고지 의무만 부과할 뿐 즉시 동의를 얻도록 하거나 삭제하도록 하지 않는 등 동의 원칙을 관철하고 있지 않은 점 등을 고려할 때 위와 같은 형사처벌 체계에 대해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하지 않을 수 없다. 개인정보보호와 이용의 조화를 달성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함에 있어, 동의 제도에 관한 외국 입법례를 살펴보고 사전 고지․동의 제도의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살펴본다. 동의 제도와 관련된 형사제재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 해결방안으로 동의 관련 범죄의 비범죄화를 추진하되 일정한 인증을 받은 자에 한하여 사전 고지·동의 제도의 예외를인 정하는 방안과 주무부처의 시정권고, 시정명령 및 명령불이행죄의 단계적 제재 체계의 구축 방안에 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본 연구에서는 내식성이 우수한 동합금에 대하여 내구성 향상을 위해 쇼트피닝 시간을 변수로 표면 개질하여 전기화학적 특성과 조직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쇼트피닝 후 표면에 전체적으로 요철이 발생하였으며, 시간이 증가할수록 커버리지 향상에 따른 균질화 현상이 관찰되었다. 또한 쇼트피닝된 모든 시험편에서 경도가 향상되었으며, 쇼트피닝 시간이 3.5분일 때 52 %의 경도향상을 나타냈다. 그리고 이때 전기화학적 특성은 쇼트피닝을 실시하지 않은 경우와 유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