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91

        501.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surveyed the recognition, image, preference, attributes,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for Korean food of local Vietnamese to facilitate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Most participants had recognized Korean food. and, they were especially aware of kimchi (김치), bulgogi (불고기) and bibimbab (비빔밥), Additionally, most repondents thought these foods represent Korean traditions and culture very well. The image of local Vietnamese for Korean food was good. Which was reflected in Korean food having “a good reputation” and a high possibility for “globalization” were high.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16 kinds of Korean food and found the highest preferences to be for bulgogi (불고기), followed by galbitang (갈비탕), whereas that for doenjangchigae (된장찌개) was lowest. Some of the top choice attributes of Vietnamese for Korean food were found to be in “because it is ‘colorful’, ‘prepared sincerely’, ‘plated neatly’, ‘fresh’ and ‘comes with a variety of banchans (side dishes). This is a very meaningful result, making this an important reference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The local Vietnamese had high satisfaction and reuse intention degree for Korean food, and especially high satisfaction with the colorfulness of Korean food. In addition, the local Vietnamese showed a very high revisit intention for Korean food.
        4,200원
        502.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correlation between attitud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PSM) and practice of PSM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also identified how these factors attitude and practice of PSM influence on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eventually aimed to develop education programs to strengthen practice of PSM in nursing students. A descriptive design was used in the study. The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for the study to prove the factors how the attitude and practice of PSM were affected to the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The study subjects were 226 nursing students. The results show that attitude of PSM mean was 3.71, practice of PSM mean 3.97, the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mean 3.31.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tisfaction of major(F=5.10, p=.001), the existence of role model(t=2.64, p=.009).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ttitude of PSM, practice of PSM and the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Practice of PSM(β=.39) was shown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affect on the Satisfaction on clinical practice, also the explanation power of value for this study was found 41.1%. Consequently, this study indicates to develop the education program to strengthen practice of PSM. Also process the additional study for the nursing students in other areas.
        4,000원
        503.
        201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다문화수용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시사점과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자료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이 중 초1 패널 6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은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적합도 검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다문화수용은 삶의 만족도와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삶의 만족도는 다문화수용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4,600원
        504.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가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7차) 자료를 활용하여 평균 72.12개월의 유아가 있는 1544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 첫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결혼만족도와 양육효능감, 양육행동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으며, 둘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가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는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과 각각 관련이 있으며, 어느 정도 예측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양육스트레스는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을 부적으로 의미 있게 예측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초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4,900원
        505.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configure what dimensions make up for smart phone after service quality, and how this service quality affects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Smart phone market is a market of the device leading the digital convergence as well as positioning itself as one of the national growth driving industry. To survive in this matured market, companies should have to respond actively to radical changes and customers needs in the so-called Smart Revolution environment. Lately, however, the smart phone market is prospected to move from growth phase to mature phase by the scholars. In order to proactively respond to the change in such market condition, companies need to provide absolute advantage in customer loyalty over their competitors by revolutionizing the after-sales service quality. Qualified A/S will lead to service satisfaction and achieve customer loyalty.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obtained through A/S quality are as follows : First, human quality (attitude, expertise, problem-solvability), environment quality (handling agility, convenience, comfort), service policy quality (quality guarantee, additional service operation) are dimensions that make up for A/S quality. Second, A/S quality dimens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service satisfaction and A/S satisfaction showed a positive influence on customer loyalty as well. Based on this empirical study, we propose some implications for A/S quality improvement. First, human quality dimension has relatively higher influence on A/S satisfaction in case of free A/S, so companies need to solve the product problem completely when consumer’s first visit by continual employee education. Second, in case of paid A/S, the service policy quality-especially A/S Warranty period- has higher influence on A/S satisfaction.
        4,000원
        506.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cean is used as the term of sea, it is expressed as a large sea. Marine tourism is an activity that takes place in the sea and on the coast. Many experts prospect that the 21st century will be the century of ocean. In recent years, many countries are interested in ocean and marine tourism can be significantly developed in the future. Jeju Island is an island formed by a volcanic eruption, which has a very high landscape value, and It is an oceanic climate with a yearly high temperature due to turbulent flow throughout the years, But Marine tourism is not develop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larify the Marine Tourism activity types, Marine Tourism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of Chinese Tourists visiting JeJu island. And studies what is the needed activity types of Chinese Marine Tourist in future. This study deals with on the activity types,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of JeJu Marine Tourism With 252 effective responses gathered from an onsite survey.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was conducted using techniques of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anova analysis.
        4,900원
        507.
        201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곤충이 식재료부터 의약품까지 산업 전반에 활용가치가 높아지면서 세계적으로 곤충 시장이 성장하고 있으며(한국농업신문, 2017) 앞으로 식품산업, 생명과학 및 의약 분야 등 다양한 측면에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유용곤충학, 2014 손민우 외). 본 연구는 국내의 곤충 산업 발전을 위해 곤충을 활용하여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 전북 부안 누에타운의 실태를 파악하여 곤충 체험 프로그램 만족도 및 개선방안을 알아보고자 한다. 기존에 있던 참여도가 낮은 프로그램을 수정하거나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곤충 활용 프로그램을 통해 더욱 실용적이고 교육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누에를 활용한 촉감 치료나 미술(시각 위주) 치료 등을 통해 곤충을 이용한 동물매개치료 분야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508.
        201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아이돌보미 이용가정의 서비스 실태를 보다 상세하게 파악하여 출산장려 정책에서 아이돌봄 지원사업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P시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방문하여 아이돌봄 서비스 제공자들 9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문제에 따라 연구 결과를 요약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는 아이돌봄서비스 이용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에서 양육자가 취업을 한 경우 아이돌보미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아이돌보미를 가정으로 파견하는 것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둘째, 아이돌보미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상자들의 전문적 교육을 통하여 질적인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이돌보미 활동 만족도는 대체로 직무에 만족하나 ‘낮은 수당’이 불만족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아이돌봄 사업 활성화되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는 아이돌보미 서비스 이용료 지원 정책이 가장 많았고, 아이돌보미 질적 향상을 위한 보수교육, 아이돌보미 서비스 안내 홍보사업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아이돌봄 서비스 이용료 지원정책이 증가되어야 아이돌봄 지원사업이 출산 장려정책에 긍정적인 효과를 높이는데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5,200원
        509.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repeated simulation and role rotation in a cardiac arrest simulation on learning immersion, learning confidence, and simulation satisfaction. Methods: This study was the descriptive survey and 199 nursing students completed a cardiac arrest simulation-based education program developed by the researcher. Participants repeated the simulation 3 times. Data were analyzed using time series, ANOVA, t-test with SPSS 21.0 program. Results: Over than 2 times was effective frequency of repetition of simulat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learning immersion, learning confidence and satisfaction after simulation due to rotation. Additionally,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satisfaction after simulation. However, participants in the lead nursing role in simulation had less learning immersion and learning confidence compared to those not in the lead role.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repeted use of the cardiac arrest simulation improved clinical practice; however, role rotation did not impact learning immersion or learning confidence. Even though there was no effect of role rotation, the results did indicate that experience as a leader in simulation is associated with less learning immersion and confidence.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to carefully debrief the lead nursing student. Further, in order to prevent nursing instructor burn-out and encourage participation of students in learning, future work should examine increased repetition frequency.
        4,000원
        510.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직에서 구성원의 도전적 목표달성을 위한 자발적 노력이 중요해지면서 높은 수준의 성취가 요구되 는 상황에서 개인이 어떠한 목표를 선호하는가를 의미하는 목표지향성의 개념은 많은 학문적 관심을 받고 있다. 다양한 유형의 목표지향성 중에서 학습을 통한 업무 능력의 향상 및 성장 관련 목표를 추구하고 자 하는 욕구를 의미하는 학습목표지향성과 탁월한 업적을 창출하거나 능력을 보여줌으로써 타인으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고자 하는 목표를 추구하는 욕구를 의미하는 성과증명목표지향성은 직무에 대한 태도 및 성과와 관련 있는 목표지향성의 유형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 두 유형은 도전적 상황을 해석하고 대응 하는 방식에서 차이가 존재한다는 점에서 직무에 대한 긍정적 또는 부정적 태도와 상이한 관계성을 맺을 수 있음에도, 이에 대한 선행연구는 부족하였다. 또한 조직구성원이 보유하는 주요한 목표 중 하나는 경력 성공으로써 구성원의 경력에 대한 몰입 수준에 따라서 두 유형의 목표지향성이 직무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은 다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목표지향성을 학습목표지향성과 성과증명목표지향성으로 구분 하고, 이 두 유형의 목표지향성이 직무만족과 직무소진의 하위차원 중 하나인 정서적 고갈에 미치는 차별 적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 관계에서 경력몰입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시행되었다. 국내 직장인 16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회귀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학습목표지향성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정서적 고갈에 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의 예상과는 달리 성과증명목표지향성이 높을 수록 직무만족은 높아졌으며, 정서적 고갈에는 유의한 부정적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력몰입의 조절효과와 관련해서는 경력몰입이 낮을수록 학습목표지향성과 직무만족간의 정(+)의 관계 는 강해지는 반면, 학습목표지향성과 정서적 고갈의 부(-)의 관계는 경력몰입이 높을수록 강해지는 것으 로 나타났다. 성과증명목표지향성을 보유한 구성원의 경우, 경력몰입이 높을수록 정서적 고갈은 증가하는 반면, 경력몰입이 낮을수록 직무만족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목표지향성이 구성원의 직무만족 및 정서적 고갈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을 경력몰입이 라는 특성을 고려하여 살펴봄으로써, 목표지향성과 직무에 대한 태도 간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기여하고 있다. 실무적인 측면에서 보면, 본 연구는 학습목표지향성이 높은 구성원에게 학습을 동반 한 도전적이고 흥미로운 업무를 부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성과증명목표지향성을 보유한 구성원의 경우에 는 승진 등 경력목표를 과도하게 추구함으로써 정서적 고갈에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은 논문의 말미에 제시하였다.
        7,000원
        511.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대학생 소비자의 안경구매행태와 소비가치가 소비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기 위하여 인구 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안경구매행태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소비가치가 대학생 소비자의 소비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한다. 방법: 본 연구대상의 표본은 2017년 6월 1일부터 6월 15일까지 익산 소재 대학교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직접 설문방식으로 조사하였고, 총 32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응답이 누락되어 분석에서 제외한 17부를 제외하고 최종 302부를 분석 자료로 이용하였다. 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 카이스퀘어 검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조사대상자의 안경구매행태를 살펴보면, 평균안경교체주기는 ‘1년 이상 2년 미만’이 32.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안경교체이유는 ‘도수 변화’가 39.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안경선택에 영향을 주는 사람 은 ‘나 자신’이 70.2%로 가장 높았다. 안경구매 시 가장 중요한 선택요인은 ‘디자인’이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 한 경우가 52.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안경구매행태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여 성보다 남성이, 소득이 많은 사람이, 안경을 착용한지 얼마 되지 않은 대학생들이 더 안경교체를 쉽게 결정 하였다. 남성의 안경교체이유는 ‘안경파손’, ‘렌즈흠집’, ‘유행 뒤처짐’ 순이었으나 여성은 ‘도수 변화’가 51.9%로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안경착용기간이 ‘10년이상’인 집단은 ‘도수 변화’ 비율이 48.8%로 다른 집단에 비해 높았다. 소득수준이 높은 집단이 소득수준이 낮은 집단보다 안경선택이유로 디자인을 최우선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소득수준이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보다 안경선택이유로 가격을 최우선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본 연구에서 조사대상자인 대학생들에게 안경구매는 미래보다는 현재에 가치를 둔 소비로 나타났으 며, 쾌락보다는 실용성에 가치를 둔 소비로 나타났다. 소비가치 중 쾌락적 소비가치 수준이 높을수록 통계적 으로 유의미하게 소비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대학생의 안경구매에 대한 소비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쾌락적 소비가치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컨 텐츠 개발과 서비스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500원
        514.
        2017.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의 질이 이용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이용자욕구 및 과 제가 무엇인가를 고찰함으로서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의 본래 목적인 장애인의 자립생활 증진과 향후 장애 인활동지원서비스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장애인활동지원기관 5곳을 선정하여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총 212부였고 자료분석은 SPSS 18.0 통계프로 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의 질이 높을수록 이용자만족도가 높 게 나타났다.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의 질의 하위요인 중에서 이용자권리인식수준이 제공기관서비스수준보 다 이용자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둘째,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의 질이 높을수록 사회활동참여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사회참여활동이 많을수록 이용자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장애인활동지원서비 스의 질과 이용자만족도 사이의 영향관계에서 장애인의 사회활동참여가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 다. 그러므로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이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의 질을 제 고하는 것이 필요하며,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를 이용하는 장애인의 권리인식수준을 제고하는 전략이 요구 된다. 본 연구에서 장애인의 사회활동참여가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의 질과 이용자만족도 사이에서 매개효 과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으므로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의 효과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장애인의 사회활동참 여를 강화시키는 전략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6,300원
        515.
        2017.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통적인 가정에서는 자녀양육을 대부분 가정에서 부모들이 하였으나, 여성들의 사회진출과 맞벌이 부 부들의 증가로 가정에서 유아들을 양육할 양육자가 없어지게 되므로 유아들을 대신 보육할 어린이집을 필 요로 하게 되고, 보육교사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한국의 보육정책에 있어서도 저출산 과 고령사회 진출로 인하여 영유아의 양육과 교육, 복지서비스 등이 국가의 책무영역으로 강화되고 있다. 과거의 선별적 복지에서 보편적 복지로 변화하면서 보육의 질과 서비스에 관해서도 차별화를 요구하며 맞 춤서비스로 전환되어 가기도 한다. 영유아들이 많은 시간을 부모와 떨어져 어린이집에서 생활하다보니 보 육교사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보육교사의 창의적이고 열정적인 셀프리더십과 교사효능감이 중요시되며, 직무만족을 매개로 하는 조 직몰입에 대한 연구를 한 결과로,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이 높을수록 교사효능감과 조직몰입과 직무만족 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셀프리더십을 높일수 있는 정책적 대안과 프로그램 개발과 근무환경 개선이 요구된다.
        7,700원
        516.
        2017.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본 연구를 통해 안경원들이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안경원의 물리적 환경(즉, 서비스스케이프)의 점검이라는 근본적인 진단을 통해 소비자 만족도와 충성도를 고취할 수 있는 방안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고객의 다양성 요구에 대한 대응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방법: 선행연구를 분석한 후 서비스 스케이프의 5개 요인(심미성, 편리성, 청결성, 공간배치, 주변환경)이 각각 소비자의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의 관계에서 검안법의 차이가 조절할 것이라는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검안법 차이에 대해서는 아이세이버 안경체인이 적용하는 검안법과 일반안경원으로 구분하였습니다. 연구모형과 4개의 가설을 설정하고 일반안 경원 고객 100명과 아이세이버안경원의 1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지를 작성 후 배포하였다. 통계 분석은 spss24와 아모스 24를 활용하였다. 결과: 서비스스케이프의 5가지 요인 중 편리성이 소비자 만족도와 충성도를 높이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안경원 서비스스케이프와 소비자 만족도 및 충성도 각각의 관계에서 검안법 차이는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각기 다른 검안법 서비스를 받는 고객들이 인지하는 안경원의 서비스스케이프 하위요인들에 대해서는 모든 요인에서 아이세이버안경원의 검안법을 제공받는 고객들이 더 높게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심미성과 주변환경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5). 결론: 본 연구를 통해 편리성이 소비자 만족도와 충성도를 높이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 되었다. 따라서, 안경원 경영자와 안경사들은 고객의 관점에서 이동 동선과 위치적 접근성, 안내 자료의 위치 등을 우선적으로 고려한 후 기타 요인에 대한 투자와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고려된다. 서비스스케이프가 물리적 환경에 초점을 둔 것이며, 검안법은 비록 안경원의 경쟁력과 직결됨에도 불구하고 이들 인과관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검안법의 차이가 안경원이 제공하는 물리적 환경을 좀 더 나은 것으로 인식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519.
        201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elf-esteem, body image, body cathexis and body attitude of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A total of 298 subjec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weight control group and a non weight control group. As a result of analyzing body shapes satisfaction was higher in the non weight control group 2.83 than in the weight control group 2.28 (p<0.001). The weight control group revealed lower body satisfaction than the non weight control group. The result of the reason for weight control was the ratio of ‘weight loss’ 84.6%, respectively (p<0.001). Factors impacting physical image of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as friends (3.46), internet (3.22), and TV (3.13). Results suggest that educational program should be combined with a positive emphasis on physical image and self-esteem for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Also,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body weight and self-esteem. Results indicate that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are interested in weight loss with the wrong body image. Therefore,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should be provided with an educational approach to such issues so that they have a realistic perception of their body and form realistic values about self-esteem and body.
        4,300원
        520.
        201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rvey the perception and preferences of customers that have dined at Korean restaurants in China and investigate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 of quality attributes, customer satisfaction, revisit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January 31~March 1, 2016 in China. The 293 questionnaires (97.7%) were analyzed using SPSS(Ver. 23.0) and AMOS(Ver. 21.0).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Customers that dined at a Korean restaurant in China were composed of 157 women and 136 men. Regarding the reason for preferring Korean cuisine, taste, hygiene and nutritional value of Korean food were the most significant quality factors. Regarding complaints about Korean food, Chinese people placed much emphasis on freshness of ingredients when dining out, based on the majority of complaints about ingredients that were not fresh. The main reason for leftover food were personal eating habits and that of customers revisiting food taste and nutrition. Path model among customer satisfaction, revisit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revealed the factor of menus and attributes of menu items regarding customer’s age that had an impact on customers’ satisfaction, and association with customers’ satisfaction, revisit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as well.
        5,1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