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장애여성의 차별경험이 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해 자아존중감을 매개변수로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 조사한 장애인고용패널 5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장애여성 1,620명 중 결측 치를 제외한 1,612명을 대상으로 SPSS 19.0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차별경험과 생활만 족도 간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에서 1, 2, 3단계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일상생활에서의 차별경험과 생활만족도 간에 매개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일상생활의 차별경험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낮게 나타나지만, 장애여성들 스스로가 장애를 인식하고 극복하기 위한 역량강화 프로그램 등의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자아존중감을 높이고 장애여성을 임파워먼트할 수 있도록 실천적 개입방안과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at the infant carrier standard affects the satisfaction of certification. Baby Carrier Safety requirements in the Republic of Korea is enforceable by court duty certification. Therefore, a 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with the safety requirements of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to know how much manufacturers and importers are satisfied with the certification. According to the test resul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safety requirements about flame retardancy.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satisfaction of the certification is proportionate to the one of product standard.
본 연구는 국내 사회적기업이 양적으로 성장한 시점에서 자립과 지속가능성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실증연구 결과에 따른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했다. 사회적 기업가와 사회적기업 종사자 모두 중요함을 인지하고 사회적 기업가정신, 소명, 고객지향성, 직무만족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이론적 배경을 통한 가설을 설정했고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부산광역시의 (예비)사회적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했다. 2015년 3월에서 4월까지 150부를 배부하여 128부(85.3%)를 회수하고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121부(80.7%)를 최종분석에 활용했다. 통계분석은 SPSS 18.0과 AMOS 18.0을 사용하여 분석했고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했다. 측정변수의 신뢰성을 검증하고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변수의 타당성을 확보했다. 구조방정식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일반적으로 수용가능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사회적 기업가정신은 소명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기업가정신은 고객지향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직무만족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명은 고객지향성과 직무만족에 모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기업가정신과 고객지향성의 관계에서 소명은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사회적 기업가정신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소명은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들에 관해서 논의했다.
본 연구는 경기도 시민정원사 수료생을 대상으로 가드닝교육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전체 교육만족도는 4.35점으로 중위수보다 높게 나타났고, 교육기관에 따라 교육장비 및 실습기자재의 수준, 교재수준의 적절성 등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요인분석 결과 교수설계·강사와 교육여건 등 2개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교수설계·강사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았고 특히, 전체 교육만족도 향상에 교수설계·강사 요인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정 개선사항에 대한 의견으로 심화·연계교육, 봉사시간축소, 실습시간확대 순으로 개선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 확대로 모바일 비즈니스가 활발해지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모바일 쇼핑의 성장세가 가 장 두드러지고 있다. 모바일 쇼핑이 성장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이용자들의 만족도가 중요하기에 본 연구에서는 여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개인성향 변수를 중심으로 분석해 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 중국, 미국, 일본 4개 국의 모바일 쇼핑 이용자 2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스마트폰지식, 정보공유성향, 프라이버시 염려, 성별, 연령, 국적 등을 독립변수로 한 회귀모형을 구성하여 검증한 결과, 프라이버시 염려를 제외한 모든 변수가 모바일 쇼핑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스마트폰 지식과 정보공유성향이 높을 수록, 젊고 여성일수록 모바일 쇼핑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미국, 일본, 중국, 한국 순으로 모바일 쇼핑 만 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왔다. 실증 결과를 토대로 하여 모바일 쇼핑업체는 어떤 소비자를 타겟으로 하여 전략을 펼칠 것인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두 가지 리더십 유형이 그들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 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문화에 따라 선호되는 내재적 리더십 이론(culturally endorsed implicit leadership theory)을 기반으로 문화적 차이에 따른 리더십 효과성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하나의 새로운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고, 이 모형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Bass(1985)에 따르면 변혁적 리더십은 거래적 리더십을 바탕으로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두 리더십 유형 사이에는 정의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반면 House(1996)는 종업원들의 태도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혁적 리더십에 거래적 리더십은 부의 조절효과를 나타낼 것이라고 제안하 며 Bass(1985)의 주장에 반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거래적 리더십의 조절효과는 문화적 차이에 따라 다를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 한 주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한국 종업원 315명과 미국 종업원 181명을 그들 상사의 리더십 유형에 대해 인지하는 정도에 따라 네 집단으로 분류하여 각 집단 내 종업원들의 조직몰입 과 직무만족도 수준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한국 종업원들의 경우에는 네 집단 중 자신의 상사의 리더십 유형이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 모두 높다고 느끼는 집단 내 종업원들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미국 종업원들의 경우에는 자신의 상사의 리더십 유형이 변혁적 리더십은 높고 거래적 리더십이 낮다고 느끼는 집단 내 종업원들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도 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좀 더 명확히 살펴보기 위해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 십의 다양한 하위차원들 간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한국 종업원들에 대한 분석결과는 조직몰입 과 직무만족도에 대해 그러한 하위차원들은 대부분이 상호 정의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 다. 반면 미국 종업원들에 대한 분석 결과는 하위차원들 간의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결과는 한국과 미국 종업원들이 선호하는 리더십 유형에 따라 관리자들이 어떻 게 효과적으로 리더십을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중요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목적 : 부산/경남 안과병원에 근무하는 안경사를 중심으로 자기효능감 및 직무만족도의 수준을 알아보고 관계를 분석하여 직무만족도를 높이고 자신의 자아실현을 도모할 수 있는 방안을 모 색하고자 한다. 방법 : 부산/경남의 안과병원에 근무하는 안경사 105명을 대상으로 2014년 2월 1일부터 8월 30일까지 설문조사하여 일반적인 특성, 직무만족도, 직무태도, 직무자율성, 직무책임감, 자기효 능의 상관성을 SPSS 20.0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으며, 유의수준은 p<0.05로 하였다. 결과 : 직무만족도, 직무태도, 직무자율성, 직무책임감, 자기효능에 대한 평균은 각각 3.12점, 3.35점, 3.29점, 3.50점, 3.45점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일반적인 특성 비교에서 직무자율 성은 남자 3.57±0.44, 여자 3.19±0.51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t=3.74, p=0.00), 학력이 높 을수록 자율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F=6.348, p=0.03). 직무책임감은 20대 3.45±0.51, 30대 3.72±0.36으로 나이가 증가할수록(t=-2.20, p=0.03), 미혼 3.47±0.50, 기혼 3.72±0.33으로 기혼자일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2.29, p=0.04). 직무태도는 미혼 3.31±0.54, 기혼 3.71±0.56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t=-2.25, p=0.04) 근무기간이 길수록 직무태도는 좋 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F=1.68, p=0.16). 자기효능감은 직무태도(r=0.35, p=0.00), 직무자율 성(r=0.52, p=0.00), 직무책임감(r=0.29, p=0.003), 직무만족도(r=0.40, p=0.00)와 양의 상관관 계를 보였다. 결론 : 부산/경남 안과병원에 근무하는 안경사의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 요한 변수이고,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도를 높 이기 위해서는 자기효능감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와 인식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목적: 3년제 안경광학과 재학생의 출신고교를 조사하여 이에 따른 전공만족도를 알아보고자 한 다. 방법: 3년제 안경광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전공만족도를 일반만족도, 인식만족도, 관계만족도, 교과만족도 항목을 분류하여 설문조사 하였다. 이용된 설문지의 문항은 ‘매우 그렇다 (5점)’, ‘그렇다(4점)’, ‘보통이다(3점)’, ‘그렇지 않다(2점)’, ‘매우 그렇지 않다(1점)’의 5점 리커트 척 도로 하였고, 통계처리는 SPSS(Ver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유의수준 p<0.05로 처리하였다. 결과: 출신고교에 따른 전공만족도 항목 중에서 사회적 만족도가 3.43으로 가장 높았다. 일반 만족도(p=0.05)와 인식만족도(p=0.03)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인문계 고등학교 문과 출신 학생들은 3.43으로 교과과정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이과 출신 학생들은 3.57로 인식만족도 가 가장 높았다. 기타(정원 외) 입학생들은 다른 출신고교 학생들에 비해 모든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그 중 인식만족도는 3.94로 나타내었다. 전문계 고등학교 출신 학생들은 전공 만족도 중 관계만족도와 교과만족도 항목에서 3.45로 나타내었다. 결론: 출신고교에 따른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전공만족도를 분석하여 전공만족도를 높일 수 있 는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토대로 학생지도에 활용하여 변화하는 미래에 부합하는 전문안경사 를 배출하는데 있어서 기초자료로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목적: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병역 유무를 조사하여 병역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 고자 한다. 방법: 안경광학과 학생들 중 병역 미필, 병역 필, 해당사항 없는 학생으로 구분하여 병역에 따 른 전공만족도를 조사 연구하였다. SPSS(Ver18.0)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비교 분석하였으며, 유의수준 p<0.05로 처리하였다. 결과: 학생들 중 병역을 필한 학생들의 일반만족도는 3.68, 인식만족도는 3.52, 관계만족도는 3.58, 교과만족도는 3.80로 병역에 관한 다른 그룹의 학생들보다 모든 항목에서 전공만족도를 높게 나타내었다. 병역 미필 학생들은 병역에 해당사항이 없는 그룹보다 일반적 만족도와 인식 적 만족도가 낮았으며 전체 설문 대상의 평균 만족도보다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 병역을 마치고 복학한 학생들의 전공만족도가 높았으며 이는 병역이 전공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대학생활을 지도할 때 이와 같은 병역의 긍정적인 영향을 활용하면 재학생들의 전공만족도를 높여서 중도탈락율 을 줄일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목적: 원데이 토릭소프트콘택트렌즈의 디자인에 따른 축안정성과 렌즈 회전회복 정도, 그리고 자각적 만족도를 각각 조사하여 비교하고자 한다. 방법: 안질환 및 안과적 수술 경험이 없는 대학생 20명(37안)을 대상으로 A사 (Accelerated Stabilization design), B사 (Prism Ballast design), C사 (Peri-Prism Ballast design)의 서로 다른 디자인의 원데이 토릭소프트렌즈를 적응 전과 후의 축안정성과 렌즈회전회복 정도를 각 각 측정하였다. 축안정성은 제 1안위에서 측정하였고, 회전회복정도는 코쪽과 귀쪽으로 각각 30˚씩 회전 시킨 후 순목에 의해 회복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적응 후 측정은 렌즈 착용 5일 후에 실시하였다. 자각적 만족도는 적응 전과 적응 후 설문조사(5점 척도)를 통해 조사하였으 며, 착용 시간대별로 자각적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A사, B사, C사 모두 우안에서는 코쪽방향으로 좌안에서는 귀쪽방향으로 축회전을 보였 지만, 적응 전에 비해 적응 후 축안정성이 더 안정화 되었다. B사의 렌즈 디자인은 순목 후 빠 른 회전회복을 보였다. 착용 시간대별 자각적 만족도는 착용감, 건조감, 충혈도에서는 3사의 제품이 별차이가 없었지만, A사의 렌즈가 타사에 비해 선명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토릭소프트콘택트렌즈는 축안정성을 위해서 일정한 적응기간을 필요로하므로 토릭렌즈를 처방시 렌즈를 적응한 후 축안정성을 재확인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고려된다.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success factors of six sigma(support of top management, education and training, performance-based reward, customer and quality focused thought),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performance. In particular,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ccess factors of six sigma and quality performance is empirically analysed to find causes and impacts among these variables.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employees working in ‘H’ company which is applying six sigma at Ulsan City.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sent to 300 people and 216 of them were returned. Data obtained was analyzed with SPSS 18.0.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critical success factors of six sigma(except support of top management) and job satisfaction. Second, there was also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performance. Third, there were also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critical success factors of six sigma(except support of top management) and quality performance. Finally, job satisfaction were ful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success factors of six sigma(education and training, performance-based reward) and quality performance. Critical success factors of six sigma(customer and quality focused thought)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quality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support of top management had no mediating effect on quality performance.
Both employee satisfaction and loyalty play an important role in increasing the business performances of organizations in the service industry. However, the influence of TQM practices on employee satisfaction and employee loyalty has not been examined in the ICT service supply chain.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five total quality management (TQM) practices on employee satisfaction and employee loyalty in Korean ICT customer service and retail distribution organizations. Based on an empirical study of 578 respondents in a Korean ICT service company, the study examined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among TQM practices, employee satisfaction, and employee loyalty. Using structural equations modeling, it is found that TQM practices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employee satisfaction, whereas the latter in turn influences employee loyalty. The results of analysis suggest that the ICT customer service and retail distribution organizations should concentrate on enhancing employee satisfaction of their TQM practices and creating a people-satisfied job environment.
최근 사회적 이슈가 되는 다수의 사건들은 조직의 윤리성에 대한 관심을 더욱 증대시키고 있다. 더욱이 조직의 비윤리성은 이미지 실추와 함께 실질적인 성과를 떨어뜨리며, 때로는 돌이킬 수 없는 불행한 종말 을 가져오기도 한다. 이러한 현실은 우리 사회 전반에 걸쳐 윤리에 대한 인식과 그 수준이 향상되어야 하는 이유가 된다. 그에 따라 그 어느 때보다도 윤리경영의 핵심인 윤리적 리더십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 다. 이런 시점에서 본 연구는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의 효과성에 직결되는 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 및 일탈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 관계에서 리더만족의 매개역할과 구성원의 정치적 기술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군 간부 150명과 직속상사 90명의 자료를 토대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이 높아질수록 조직에 이로운 조직시민행동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대로 반생산적 업무행동인 일탈행동은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Baron &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 방법 및 SPSS macro의 부트스트래핑 방식으로 윤리적 리더십의 간접효과를 확인한 결과, 윤리적 리더십은 리더만족을 통해 조직시민행동 및 일탈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 으로, 구성원의 정치적 기술이 낮을수록 윤리적 리더십과 리더만족 간의 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주로 서구에서 밝힌 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 및 일탈행동에 미치는 윤리적 리더 십의 효과를 국내 표본을 대상으로 확인함으로써 선행연구 결과의 일반화를 확장하였다는 시사점이 있 다. 특히 국내에서는 윤리적 리더십과 일탈행동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더욱 제한적이라는 점에서 실질 적인 함의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리더만족의 매개역할 검증을 통해 윤리적 리더십과 구성원의 조직시민 행동 및 일탈행동 간의 관계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높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고려되 지 못한 구성원의 정치적 기술이 윤리적 리더십에 대한 태도적 반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밝힘 으로써 윤리적 리더십 역학관계에 대한 이해의 증진은 물론,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아울러 말미에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하였다.
기업경영에 있어 관리자의 리더십은 경영성과 달성과 조직 구성원의 동기부여 및 효율적 활용 가능성 으로 가름할 수 있다. 급변하는 경영환경 변화에 따라 조직 구성원의 자발적 태도와 능동적 대응을 통한 기업경영의 경쟁력 향상은 관리자의 경영능력과 리더십에 의해 조절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 은 기업경영에 있어 관리자의 변혁적·거래적 리더십과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간이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가능성을 경기지역 중소기업 구성원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2014년 5월 9일부터 27일까지 300부의 설문조사에서 유효자료 256부를 SPSS 20.0프로그램을 이용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 첫째, 변혁적·거래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나타냈으며, 둘째, 카리스마, 분발고취, 상황적 보상과, 예외적 관리는 직무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 (+)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변혁적·거래적 리더십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직무만 족의 완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조직공정성의 인식이 중요하게 대두되면서 다양한 조직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이 있었지만 상대적으로 여성교정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윤옥경(2006), 김응분(2010), 최은하(2013) 등 연구에 따르면 여성교도관은 남성교도관보다 조직 내 제한된 범위내에서 근무하고 있다는 주장에 따라 여성교정공무원에 초점을 둔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이 연구에서는 여성교정공무원에 초점을 두었으며 실제 여성교정공무원이 생각하는 조직 내 공정성을 파악하고, 조직 내 공정성(절차공정성, 분배공정성)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조사기간은 2013년 6월 9일부터 28일까지 총 1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그 중 유효한 설문지 107부를 분석대상에 이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통해서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조직공정성의 하위요소인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모두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분배공정성의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여성교정공무원들은 직무에 대한 만족과 조직몰입을 위해서는 조직 내의 공정한 절차보다는 결과 측면의 보상과 관련된 분배공정성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는 여성교정공무원의 조직몰입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보상, 근무환경, 직무와 관련된 승진 등의 내재적 만족도를 높이는 등 인적자원관리방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flipped class method implemented in a general English program in the tertiary level. The treatment variable of the experiment was a teaching method: a flipped class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a traditional class for the control group. A total of 13 class sessions were completed. The model of the experiment was a nested design with repeated measures.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positive affective experience, negative affective experience, class satisfaction, and language achievement.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using factorial analysis, t-test, and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The results showed that learn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their positive experience during the treatment throug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test and post-test scores;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The negative experience decreased at the end of the class in both groups. Although the mean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ean of the negative experience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lower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The class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language achievement on their final exam, while the control group’s mean decreased.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food quality in a company cafeteria located in Daejon. 400 people were given questionnaires, of which 341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for analysis (90.25% response rate). Our results show, 85.63% of customers eat at the cafeteria more than 3~4 times per week. 48.68% of people surveyed chose their meal based on the proximity when they enter the cafeteria. 39.59% said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eating at the cafeteria was taste. 33.72% said it was quality. The type of food that was leftover the most was ‘Guk’ (soup). 52.20% said ‘Guk’ was leftover due to the awful taste. Food quality (34.60%) and taste (34.02%) required the most improvement according to those surveyed. Additionally, we divided food quality into 3 factors: ‘sanitation & service’, ‘food’, and ‘menu composition’. People who marked down ‘no other place to eat’ was the reason they ate at the cafeteria also had the lowest satisfaction scores across all items (p<0.001). Improving the ‘Guk’ and ‘meat’ was rated as the most important criteria to improve satisfaction with leftover food. Unsurprisingly, the ‘taste’ of leftover food had the lowest satisfaction scores. Those who had the lowest quality satisfaction scores also wanted to improve ‘taste’, ‘quality’ and ‘sanitation’ the most (p<0.001). Based on these findings, the foodservice manager can increase the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cafeteria food by focusing on improving the taste, quality and sanitation of the food that it serves.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employ effective marketing methods using SNS by determining how food-related SNS usage characteristics have influence on dine-out motivation and restaurant satisfaction and how this affects people's quality of lie. Survey respondents were men and women who have had used some kinds of food-related SNS. The survey included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food-related SNS usage characteristics, dine-out motivation, restaurant satisfaction, and food-related quality of life. Food-related SNS usage characteristics were divided into convenience, effective time-spending, and informative; Dine-out motivation was sorted into entertainment motivation and social motivation by factor analysis. Analysis of the connections between the variables by AMOS showed that among food-related SNS usage characteristics, convenience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either entertainment or social motivation. Informative had a positive effect on entertainment motivation (p<0.05), but not on social motivation. On the other hand, effective time-spending through food-related SNS had an impact on both entertainment (p<0.001) and social (p<0.05) motivation. Moreover, the effect of dine-out motivation on restaurant satisfaction showed that entertainment motivation (p<0.05) and social motivation (p<0.01) both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restaurant satisfaction. Also, restaurant satisfaction turned out to affect quality of life (p<0.05).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usage of food-related SNS did not directly influence customers' restaurant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p<0.05).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usage of food-related SNS did not directly influence customers' restaurant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however, it had an impact on dine-out motivation and gain pleasure of dining out and help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the long run; thus, it is believed that marketing strategies thorough SNS by restaurant industry are requir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gure the usage status and satisfaction of food-related smartphone applications by generic characteristics and food purchase attributes of Seoul area workers. The results show that health vitality-oriented group, married compared to single, those with higher eating-out expenses possess more food-related applications (p<0.05). The primary reason for the usage of food-related applications was the need for food-related information (53.7%). The highest application subjects in use were restaurant-related information and recipe information. The real-life aid food-related applications utilized most were also restaurant information (60.7%) and recipe information (28.3%). Health vitality-oriented respondents especially turned out to use nutrition information and food functionality information often (p<0.01), and recipes or calories & diet information usage frequency was higher in women than in men (p<0.001). Restaurant-related information were more frequently used by singles, highly educated, and those with high income and eating-out expenses (p<0.05). Satisfaction of food-related applications was normal (3.06), showing that the satisfactory level is not yet high. Satisfaction regarding purchase attributes showed that the health vitality-oriented group (3.19) was more satisfied compared to other groups (p<0.05), and women (3.16) were more satisfied that men (2.89) were (p<0.05). Inconveniences of food-related applications were highest in usage fee (3.29), simplicity of information (3.28), lack of reliability of information and need for update (3.10).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s that various subdivisions of food-related applications users should be implemented; at the same time, food-related applications covering diverse subjects that regard each group's characteristics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utilize food-related knowledge and information as a marketing tool in the food industry; this can efficiently be done by paying attention to the quality of information and updates within applications.
본 연구는 해양경찰조직의 사회자본과 직무만족 및 직무스트레스영향관계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론적인 논의 선행연구를 통하여 사회자본의 구성요인으로 신뢰, 참여, 네트워크 설정하였으며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를 하위변인으로 설정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해양경찰공무원의 사회자본과 직무만족도가 높으나 직무스트레스는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해양경찰공무원들의 사회자본이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신뢰, 네트워크, 참여 순으로 직무만족에 영향력을 미친다. 셋째, 사회자본과 직무스트레스관계를 살펴보면 참여는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나, 네트워크는 오히려 직무스트레스를 증가시키는 원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조사를 근거로 해양경찰은 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자본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