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방화 시대를 맞이하여 국경은 무너지고 범죄는 세계화 되면서 우리 교정은 외국인범죄의 위협 앞에 큰 과제를 떠안게 되었다. 비록 외국인 재소자의 구성비는 전체재소자의 2%에도 미치지못하지만 매년 20-40%씩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교정당국은 다문화재소자에 대한 수용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교정처우만족도 향상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발 빠르게 강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살인, 강도, 약물남용범죄, 폭력집단범죄, 전화사기 등 최근의 범죄동향의 특징과 맞물리면서 우리의 교정행정은 새로운 위기에 직면해 있다. 향후 외국인 150만 명에 육박하는 시대에 외국인범죄는 현재보다 더 큰 폭으로 증가할 것이 예상되는 바 외국인재소자의 교정처우만족도 향상에 있어 우리 교정당국이 안고 있는 현재의 문제 상황과 나아갈 방향이 무엇인지를 짚어보고 다문화시대의 교정처우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연구결과 본 연구를 통하여 외국인재소자들에게 설문 조사한 결과 수용생활만족도와 사회복귀도움만족도에 다문화 수용성, 의사소통만족도, 다문화프로그램만족도가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외국인재소자에 대한 교정복지정책을 수용만족도 향상과 사회복귀도움이라는 방법의 모색과 함께 향 후 대한민국의 모든 교정시설의 외국인재소자 증가에 대비해서 법률과 제도를 정비하고 새로운 방안을 마련하여 외국인재소자에게 수용생활만족이라는 교정복지정책의 비젼제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는 단위학교 책임경영을 실현하기 위해서 학교조직 역량강화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는 인식에서 학교조직 효과성과 이해관계자들의 만족도를 강화시킬 수 있는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했다. 학교조직 경영의 책임을 지고 있는 학교장을 학교 발전 및 대내외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최고의 리더로 보고 학교장의 윤리적 리더십과 변수들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자 했다. 또한 지역과 학교의 특성을 고려한 우수한 학교를 만들기 위해서는 학교조직구성원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기존연구에서는 선원들의 근무여건을 체계적으로 나누어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파악한 논문이 거의 없어 본 연구에서는 선원인력의 원활한 수급을 위하여 설문을 통하여 선원들의 근무여건(환경요인과 동기요인)이 만족을 매개로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대형선망에 승선하고 있는 어선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131부의 자료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실태분석결과, 임금 및 어로작업조건, 성장가능성과 참여감에 대한 만족이 상대적으로 낮으며 인간관
단시간 근로자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기업에서는 단시간 근로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단시간 근로자를 활용하는 것은 기업의 노동비용 절감과 인력운영의 유연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있는 반면, 인력관리 비용의 증가와 업무 생산성 유지의 애로가 있다는 단점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의 업무성과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단시간 근로자의 직무만족과 조
목적 : 재가지체장애인을 대상으로 일상생활활동과 생활만족도를 알아보고 이들의 관련성 및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세 이상의 재가지체장애인 102명을 대상으로 일상생활활동을 측정하기 위해 K-ADL과 K-IADL을 사용하였고, 생활만족도는 생활만족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결과 : 재가지체장애인의 일상생활활동수행력과 생활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K-ADL, K-IADL, 생활만족도간의 상관성을 비교한 결과 K-ADL은, K-IADL과 K-IADL은 생활만족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K-ADL은 이동하기, K-IADL은 교통수단 이용으로 나타났다.
결론 : 재가지체장애인의 생활만족도의 향상을 위해서는 임상과 지역사회 재활센터에서 B-ADL보다는 I-ADL에 대한 중재가 더욱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나라 해양경찰 함정 승조원은 근무여건의 열악함에도 불구하고 많은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해양경찰 함정의 조직유효성 향상을 위해 함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열악한 함정에서 근무하는 일반 승조원의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연구를 위하여 변혁적 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다양한 선행연구를 알아보았고, 가설을 설정하여 변혁적 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증을 시도하였다. 검증을 위하여 변혁적 리더십을 독립변수로, 직무만족을 종속변수, 그리고 여섯 가지 요소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으로 연구의 모형을 설정하였다. 연구의 결과 변혁적 리더십의 지적자극이 해양경찰 함정 일반 승조원의 직무만족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별배려는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optimization of dewatering and impregnation soaking (DIS) process for a concentrated Aloe vera product was investigated using Taguchi method in combination with desirability function analysis. Polyethylene glycol (PEG) as osmotic agent was adopted, and soaking temperature (T), immersion time (t), PEG concentration (C), PEG molecular weight (MW), and thickness of Aloe vera leaf slice (x) were selected as affecting variables. L16 (45) orthogonal array was designed by Taguchi method with four parameters such as water loss, solid gain, glucomannan, and anthraquinone contents as objective functions. An overall quality index was transformed from individual objective functions, and was optimized finally. The optimal setting for maximum overall desirability was obtained at 55oC (T), 2 hr (t), 40% w/v (C), 0.5 cm (x), and 4,000 Da. (MW). The obtained overall desirability was 0.7842. The order of affecting factors was T>C>x>MW≈x>t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under optimum condition were similar to the prediction of an overall desirability of 0.8384. Also, it was found that the optimized DIS condition could be reproduced for a minimally processed Aloe vera product with high quality.
목적: 본 연구는 안경사의 직무만족도가 이직률과 근속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안경원 운영의 효율성 증대와 안경사의 직업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인식변화의 계기를 마련하는데 있다. 방법: 본 연구는 안경원 근무 안경사가 응답한 106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안경사의 직무 만족도가 이직률과 근속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t-test와 one-way ANOVA를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직무만족도의 여러 요인과 이직률에 영향을 주는 이직횟수에 대해 분석한 결과, 이직횟수는 작업환경 만족도(p=0.035), 직무경험 만족도(p=0.036), 상사관계 만족도(p=0.048), 직무만족도(p=0.012) 와 유의성을 보였다. 근속기간은 직무경험만족도(p=0.035), 동료관계 만족도(p=0.021), 상사관계 만족도 (p=0.046)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직률은 동료 및 상사와의 유대관계가 깊고, 직무경험이 많으며 직무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낮아졌다.
본 연구는 현재 직업 발레단 무용수들의 여가활동 참여 유형을 알아보고, 여가활동 참여 유형 별 여가만족도와 직무몰입과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립발레단, 광주 시 립발레단, 유니버설 발레단, 서울발레시어터 4곳의 무용수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 였고, 본 연구의 연구문제를 달성하기 위해, 다변량분산분석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 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수들의 여가활동 참여 유형은 휴식형, 활동참가형, 교양 감상 형, 휴양형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수들의 여가활동 참여 유형별 여가만족도의 관계를 분 석한 결과 심리적 만족에는 활동참가형, 사회적 만족에는 휴양형, 환경적 만족에는 교양감상형, 신체적 만족에는 활동참가형, 휴식적 만족에는 휴식형이 높은 평균을 나타냈다. 셋째, 무용수들 의 여가활동 참여 유형별 직무몰입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job satisfaction and characteristics of dietitians working in an elderly health care facility.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116 dietitians who work in an elderly health care facility across the country. The following lists the items affecting the total satisfaction on each element of the job: the nature of work (4.20), coworkers (4.02), supervision (3.83), communication (3.81), pay (3.22), operating conditions (3.16), fringe benefits (3.05) and promotion (2.78). Regarding supervision, regular employees (3.90) had higher satisfaction than non-regular employees (3.11), and for fringe benefits, regular employees (3.10) had higher satisfaction than non-regular employees (2.52). Regarding fringe benefits, those with less than 10 years experience showed higher satisfaction than with more than 10 years'. In terms of the job characteristics, the following were found to affect job satisfaction: the task identity (3.33), variety (3.27), autonomy (3.18), feedback (3.05), friendship opportunities (3.01) and dealing with others (2.82) were listed in the highest order. For task identity, more than 41 years old (3.53) had a significantly higher score. Regarding diversity, graduate schools (3.37) had a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terms of income, those earning more than 2 million won (3.37 and 3.26) showed higher scores in autonomy and friendship opportunities than those earning less than 1.5 million won (2.79 and 2.5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dietary satisfaction, and their perceived importance and performance, in North Korean refugees according to age.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220 North Korean refugees and data was analyzed with SPSS software. From our study we determined that fresh food, clean dishes, and proper vegetable oil are of high importance but considered poorly performed. 'Taste' and 'comfort' were factors with low importance but considered well-performed. The IPA technique proved that 8 items including Q4, Q5, Q6, Q7, Q8, Q9, Q11, Q13 were in 'Doing great, keep it up' and no items that got high importance and low performance were in 'Focus here'. North Korean refugees like Korean food more than Chinese, Japanese, and Western food. They specifically want to learn how to cook Korean casseroles, soups, and side dishes(e.g. Myeolchibokkum, Kongjorim). The North Korean refugees who resided in South Korea under a year have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menus and Western table mann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