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rbonic maceration 처리는 포도주 제조 시 사과산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사과산 감소의 원인 중 미생물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사과산을 감소시키고 젖산을 생성시키는 미생물을 분리, 동정한 결과Lactobacillus brevis, Lactobacillus plantarum 및 Streptococcus thermophilus의 젖산균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리된 균들은 대부분 당에서 젖산을 생성하는 균으로 알려져 있으며 사과산을
본 연구는 크루즈선에서 발생하는 오 폐수의 생물학적 처리시 야기될 수 있는 악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SBR공정에 유효미생물을 주입하여 Lab scale 실험을 수행하였다. 악취물질의 저감 정도와 크루즈선이라는 특수 환경과의 접목성을 검토한 결과 유효미생물의 주입은 선박환경에 매우 적합한 공정으로 평가되었다. 기존의 활성슬러지에 유효미생물의 주입함으로써 슬러지 내 미생물의 다양성과 높은 개체수를 확보할 수 있었으며, 미생물 간의 우점종도 악취처리에 유리한 미생물종으로 전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로 인하여 악취물질의 악취 강도도 20배 이상 낮출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In this study,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different compost teas on plant growth reponses and yield of leaf lettuce. Compost tea is a liquid extract of compost obtained by mixing compost and water for a defined period of time. The pig manure and spent mushroom compost were made by steeping compost in water. Compost tea was aerated from 24 hours and molasses and kelp were added as supplements. The four types of compost were tested growth of lettuce. EC of animal manure compost tea was higher than that of spent mushroom compost tea. Mineral nutri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animal manure compost tea compared with spent mushroom compost tea. Compost tea contains nutrient and a ranges of different organisms. The beneficial fungi and actinomycetes were prominent in a spent mushroom compost tea. Compost tea from animal manure had the higher numbers of total bacteria. The actinomycetes densities were high in spent mushroom compost tea. But actinomycetes were not founded in animal manure compost tea.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lettuce in animal manure compost tea were higher than those of spent mushroom compost tea. And also SPAD value in leaf was high in plot treated with animal manure compost tea. The fresh yield of lettuce in animal compost tea was higher by 181 % that of control plot. The effect of compost tea on growth of lettuce was largely attributable to mineral nutrient.
토양 하부 및 지하수에 생존하고 있는 미생물들이 지하수의 산화/환원전위 변화에 관여하는 사실을 알아보기 위해 미생물들을 주입한 수용액의 시간별 Eh 변화량을 측정하였다. 황산염환원 미생물이 주입된 경우 수용액의 Eh값이 5일 만에 -120 mV에서 -500 mV까지 떨어졌으며, 실험 결과 디설프리칸스 세균이 불가리스 세균보다 수용액을 환원하는 능력이 상대적으로 좋았다. 철환원 미생물인 스와넬라 세균의 경우 Eh값이 황산염환원 세균보다 조금 높은 -400 mV를 보여 주었다. 금속환원미생물에 의해 수용액의 Eh값이 떨어지는 동안 용존 황산염 혹은 산화철이 환원되고 맥키나와이트(FeS)라는 황화광물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일반 지하수의 산화/환원전위는 그 지하수에 생존하고 있는 지하미생물들의 대사 활동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는 사실과 극환원된 지하수 및 생기원 황화광물들이 풍부한 지하 환경은 산화 핵종들이 환원된 형태로 침전되어 핵종 이동이 억제될 가능성이 높은 곳으로 판단된다.
국내 김치 산업체의 김치위생상태 현황을 조사하기 위하여 반찬가게김치, 중소기업김치, 대기업김치를 에서 10일간 발효하면서 발효시간에 김치의 일반특성 및 미생물 균총 변화를 조사하였다. 3종류 시판김치의 구입당일 pH는 평균 5.8에서 발효 10일에는 pH 4.1 부근으로 감소하였으나, 대기업김치가 다른 시판김치에 비해 발효초기 급격한 pH 감소를 나타내었다. 시판김치의 구입당일 산도는 대기업김치가 다른 두 종류의 시판김치보다 낮았으나, 발효 10
본 연구는 표면 세척 시스템을 이용하여 유자의 미생물과 잔류농약 제거 효과를 살펴보았다. 선행 연구로 오징어 먹물을 제거 효과를 보기 위해 스프레이 회전 속도 0.11, 0.42, 0.73 m/s, 수압 0.6, 0.9, 1.2 MPa과 컨베이어 속도 0.046, 0.092, 0.138 m/s 으로 세척 조건을 달리하였다. 오징어 먹물 제거 실험 결과 먹물 제거 효율은 컨베이어 속도와 분사 노즐 회전수와는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수압의 조건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during fermenting process of farm-made organic liquid fertilizer made of the mixture of organic materials such as blood meal and molasse during fermenting process. The pH level of organic liquid fertilizer during the fermentation decreased from 7.2 to 4.3. The EC of organic liquid fertilizer was increased from 13.9 dS/m to 99.3 dS/m during the fermentation. The total population of aerobic bacteria decreased from 8.2×105 cfu/ml to 3×104 cfu/ml, but Bacillus spp. increased from 2.1×102 cfu/ml to 4.2×103 cfu/ml during the fermenta-tion. Bacterial isolates were obtained from organic liquid fertilizers and identified by fatty acid-base typing. The Genus Bacillus was dominant as fermenting proceeded. The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 profile showed changes of bacterial communities in organic liquid fertilizers.
철환원 박테리아인 미시가넨시스를 이용하여 용존 셀레늄을 제거할 때, 물 속의 다른 금속성분들인 철, 황산염, 그리 구리가 미칠 수 있 영향을 살펴보았다. 미시가넨시스 박테리아는 산화수가 4가인 산화 셀레나이트(2 mM)를 셀레나이드로 환원시키고 물속의 셀레늄 농도를 점차 감소시켰다. 환원된 셀레나이드는 용존 2가 철과 결합하여 나노입자 크기의 철-셀레나이드로 침전되었다. 용존 황산염과 구리는 미생물의 셀레나이트 환원작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는데, 특히 구리 성분은 미생물에 대해 독성으로 작용하여 셀레나이트 제거가 원활히 이뤄지지 못하게 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것은 셀레늄으로 오염된 현장을 미생물로 정화할 때 황산염 혹은 구리의 농도 분포와 양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는 사실이다. 궁극적으로 미생물에 의한 철-셀레나이드 광물형성작용은 지하수를 따라 원거리로 이동할 수 있는 셀레늄의 확산을 억제하는 중요한 수단이라고 볼 수 있다.
Consumers’ interest and government’s support for the fruits rapidly increased organic fruit productions. This study was examined to compare the soil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of orchards soil in conventionally and organically management systems. Organic cultivation had lower soil bulk density, solid phase, and penetration resistance than the conventional cultivation. Soil pH and organic matter contents increased from March to August, and the values were greater in the organic cultivation than the conventional cultivation. Total nitrogen (N) and phosphorous concentrations decreased from March to August, and the organic soils had greater N but lower phosphorous concentrations than the conventional soils. Soil microbial carbon biomass increased 36% and 15% for organic and conventional cultivations, respectively, from March to August. Soil microbial N biomass was greater in June than March or August, and the organic cultivation had a greater biomass 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ultivation. Soil dehydrogenase and chitinase activities were greater in June than in March or August. β-glucosidase activity declined in both cultivations, while the phosphatase activity increased. Organic cultivation had greater enzyme activities in March, June, and August, except for the acid phosphatase activity in Jun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toxicity of nano and micrometer particles with Cu and Zn on soil microbial community and metal uptake of buck wheat. In microcosm system, soil was incubated for 14 days after soil aliquots were artificially contaminated with 1,000 mg/kg Cu, Zn nano and micro particles, respectively. After then, buck wheat was planted in incubating soils and non incubating soils. After 14 days, we compared bioaccumulation of metal, and microbial carbon substrate utilization patterns between incubating soils and non-incubating soils. The enrichment factor (EF) values of incubating samples were greater than non-incubating soils. Dehydrogenase activity had been inhibited by Cu and Zn nanoparticles in non-incubating soil, as well as it had been inhibited by Zn micro particles in incubating soils. Results of biolog test, it was not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nano particles and micro particles. It cannot be generalized that nanoparticles of metal are always more toxic to soil microbial activity and diversity than micrometer-sized particles and the toxicity needs to be assessed on a case-by-case basis.
본 연구에서는 이산화염소수를 이용한 계사 내 깔짚의 미생물 수 저감화를 통한 깔짚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사용하기 전의 깔짚에는 coliform, E. coli, Listeria spp., yeasts and molds 및 total aerobic bacteria가 높은 수준으로 검출되었으며 사용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미생물 수가 증가하였다. 500 ppm 이산화염소수를 이용한 살균처리에서는 coliform, E.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