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지구'에 대한 8학년 학생들의 심상을 탐색하는 것이다. '지구'에 관해 단어와 그리기로 표현된 중학생들의 심상을 지구계 이해 분석틀로 분석하였다. 학생들의 '지구'에 관한 심상은 시각적 이미지를 형성하게 된주된 영향을 미친 경험과 선행 지식에 따라 달라졌다. 특히 간접적 시각 경험에 의한 지구의 전체 모습에 기반을 둔 천문학적 관점과 직접적 시각 경험에 의한 지표의 풍경과 환경에 기반을 둔 일상적 관점에 따라 지구계 이해가 다르게 나타났다. 대체적으로 학생들의 '지구'에 관한 심상은 시각적 경험에 의해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학생들의 지구계 이해는 단어라는 형식적 언어의 형태보다는 시각적 심상인 그리기로 더 잘 표상되었다. 지구계 하위계 간의 상호작용에서 학생들의 부정적 이미지가 표상되었다.
본 연구는 착색단고추의 유통실태를 분석하고 운영효 율성을 측정하여 유통경로별 유통효율성을 비교분석한 것이다. 수출시장 (일본)의 경우에는 개별농가가 직접 수출대행업체와의 계약을 통해 수출하는 것 (유형 Ⅲ)이 영농조합법인 (유형 Ⅰ:수출농단결성)과 지역농협을 통 한 공동출하 (유형 Ⅱ)의 경우보다 운영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내수시장의 경로에서는 도매시장을 통한 경로가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도매시장을 통해 유통되는 물량은 대형유통업체와 계통판매되는 물량보 다 비표준화된 물량이 많으므로 품질면에서 차이가 나 지만 내수시장균형가격이 비교적 높게 형성됨으로써 품 질에 상응하는 가격이 형성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그 리고 유형Ⅳ의 경우는 유형Ⅴ, Ⅵ유형보다 유통비용 투 입에 대한 산출수준이 비교적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목적은 초 중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글의 구조적 특징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학생들이 상급 학교로 진학하면서 경험하게 되는 과학 교과서 글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자료로 제 7차 교육 과정에 의해 개발된 초 중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화산과 지진' 관련 단원의 글을 선정하였으며, '텍스트 구성적 의미', '상호 관계적 의미', '내용과 논리 관계 의미'의 측면에서 글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 교과서의 글은 학교급에 따라 글의 구조를 비롯한 언어적 특징이 다르게 나타나며, 학생들이 상급 학교로 진학하면서 이러한 글의 구조적 특징 차이에 의해서도 과학 교과서를 읽고 이해하는 것이 어렵고 생소하다고 인식할 수 있음을 문제로 제기하였다. 또한 과학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과학의 언어가 지니는 구조적 특징에 대한 과학 교사의 중재자 역할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고춧가루의 매운 맛 등급화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mass spectrometer를 바탕으로 한 전자코를 활용하여 순한 맛 고춧가루와 매운 맛 고춧가루의 비율 달리하여 측정하였다. 고춧가루의 질량 스펙트럼을 토대로 판별 함수 분석을 수행한 결과 매운 맛 고춧가루의 비율과 고춧가루의 무게에 따라 판별이 이루어졌으며 DF1의 R2는 0.9946, F값은 355.65이고, DF2의 R2는 0.9889, F값은 172.60으로 나타났다. 매운 맛 고춧가루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DF1의 양의 방향에서 음의 방향으로 이동되며 막대그래프상의 상대적 비교치와 비례적인 관계를 보여주었다.
한편 같은 비율에서 고춧가루의 무게가 증가할수록 DF2의 음의 방향에서 양의 방향으로 향하는 경향을 보이며 분리되었다. 고춧가루를 각각의 매운 맛 비율별로 2.0 g만을 취하여 분석한 결과, 매운 맛 비율이 증가할수록 DF1의 양의 방향에서 음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향을 보이며 분리가 되었고 DF1의 R2는 0.9977, F값은 766.98이고 DF2의 R2는 0.8677, F값은 11.80으로 나타났다.
Capsaicin을 무게를 달리하여 측정한 후 DFA를 수행한 결과 DF1의 R2는 0.9890, F값은 165.17이고 DF2의 R2는 0.9219, F값은 21.64로 나타났다. Capsaicin의 무게가 증가할수록 DF1의 양에 방향에서 음에 방향으로 향하는 경향으로 분리되어 MS를 바탕으로 한 전자코를 이용하여 고추의 매운 맛 등급화가 가능하였다. 전자코에 의한 분석결과는 HPLC에 의한 분석결과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R2=0.962).
충남 보령 지역 트라이아스기 후기 하조층은 충남분지의 최하위층으로서 하부는 주로 각력암이나 역암, 중부는 역암, 상부는 역암과 사암이 호층을 이루고 있다. 하조층은 입자지지 수평층리 역암, 입자지지 균질 각력암, 기질지지 균질 역암, 기질지지 점이층리 역암, 역질 사암, 평행 엽층리 사암, 균질 사암, 정상 점이층리 사암, 역전점이층리 사암, 판상 사층리 사암, 곡상 사층리 사암, 저경사 사층리 사암 그리고 이암의 13개의 암상으로 구성되고 이들은 4개의 상조합을 이룬다. 상조합 I은 테일러스나 상부 선상지 삼각주에서 퇴적된 것으로 보이는 입자지지 및 기질지지 균질 각력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조합 II는 기질지지 균질 역암과 수평층리 입자지지 역암으로 구성되고 상부선상지 삼각주에서 퇴적된 것으로 보인다. 상조합 III은 기질지지 균질 역암, 평행엽층리 사암 및 균질 사암으로 구성되고 중부선상지 삼각주에서 퇴적된 것으로 보인다. 상조합 IV는 균질 역질 사암, 수평엽층리 사암과 균질 사암으로 구성되고 하부선상지 삼각주에서 퇴적된 것으로 보인다. 전체적으로 보아 하조층은 초기는 테일러스와 상부 선상지 삼각주 환경에서 퇴적되고, 중기는 상부 선상지 삼각주와 중부 선상지 삼각주가 교호한 환경에서 퇴적되었으며, 말기에는 중부 선상지 삼각주와 하부 선상지 삼각주가 교호하는 환경에서 퇴적된 것으로 해석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onsumer recognition, perceived importance, and satisfaction to create a new apple processed product and to promote its consump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527 men and women living throughout Korea through a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 Frequencie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Duncan's multiple range were conducted using SPSS v. 17.0 software. Recognition of juice and drinks, milk and dairy products, apple jam, and seasoning was high, while that of the other products was low. Consumer perceived importance of products was higher than consumer satisfaction of products. Quality preservation attributes were sanitation, taste, flavor, place of origin, and convenience of purchase. Attributes for improved consumer post-purchase satisfaction after purchasing were content of apple, quality of apple, price, and certificate of quality. The attributes of content of apple and certificate of quality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by consumer ag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reaching distance on movement time and trunk kinematics in hemiplegic patients. Eight hemiplegic pati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side (sound side vs. affected side) and target distance (70%, 90%, 110%, and 130% of upper limb).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movement time measured by pressure switch and trunk kinematics measured by motion analysis device. Two-way analysis of variance with repeated measures was used with Bonferroni post-hoc test. (1) There were significant main effects in side and reaching distance for movement time (p=.01, p=.02). Post-hoc test reveal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110% and 130% of reaching distance (p=.01). (2) There was a significant main effect in side and reaching distance for trunk flexion (p=.01, p=.00). Post-hoc test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pair-wise reaching distance comparison. (3) There was a significant side by target distance interaction for trunk rotation (p=.04). There was a significant main effect in target distance (p=.00). Post-hoc test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70% and 110%, 70% and 130%, 90% and 110%, 90% and 130% of target distance. It was known that trunk flexion is used more than trunk rotation during reaching task in hemiplegic patients from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is also recommended that reaching training is performed with limiting trunk movement within 90% of target distance whereas reaching training is performed incorporating with trunk movement beyond 90% of target distance in patients with hemiplegia.
현재 한국학계에는 언제부터인지 소위 ‘공도정책’이라는 용어가 통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 용어는 조선정부가 섬을 포기하는 정책을 실시해왔던 것으로 이해되어, 울릉도와 독도가 조선의 영토가 아니었다는 결론을 유도해 갔다. 그리고 일본에서는 이 논리를 이용하여 독도의 선점논리를 정당화해가고 있다. 이 글은 ‘공도정책’의 허구성을 밝히려는 목적에서, 조선전기의 武陵等處安撫使와 茂陵島巡審敬差官의 파견을 검토한 후, 조선후기 안용복 도일사건 이후 정착된 搜討制의 실체를 규명하여, 조선왕조가 전기간에 걸쳐 울릉도와 독도를 어떻게 관리해 왔는가를 재조명하고자 한다. 조선초기 섬을 비워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그 이유는 왜구의 약탈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조처였고, 그 방법으로 거주민을 육지로 불러들이는 刷出이었지만, 그 이후 섬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정책과 제도를 시행했다. 섬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1416년부터 ‘武陵等處按撫使’를 파견했고, 1436년부터는 ‘巡審敬差官’을 파견했다. 그리고 조선후기에는 1694년에는 장한상으로 하여금 울릉도를 搜討하게 하고, 1697년부터는 3년에 1번, 삼척영장과 월송포만호가 번갈아 가며 수토를 정례화 했다. 이후 울릉도 수토는 흉년을 당해 정지하거나 연기하기도 했지만, 1700년대에는 지속적으로 실시했다. 그러나 1800년대에 들면서 三政紊亂으로 정치기강이 해이해졌다. 수토군의 규모나 편성은 대략 80명 정도로 구성했고, 반드시 倭學譯官을 대동했으며, 4척 정도의 배가 출항했고, 格軍과 什物 등은 삼척 인근의 강릉, 양양, 평해, 울진 등 5개 마을에서 나누어 부담했다. 또한 수토군의 임무는 왜인탐색과 울릉도 지세 조사가 임무였고, 토산물의 진상이나 인삼채취도 부과되었다. 울릉도 수토제는 1881년 울릉도 개척이 본격화되고 내륙인의 울릉도 거주가 정식으로 허용되면서, 1894년까지 지속되었다.
As a preliminary research of body characteristics analysis of Korean obese woman, this study aims to select optimal obesity judgment tools for reliable sampling of obese subjects from 2,425 female measurement data out of 2004 Size Korea project’s raw data. From previous researches related to obesity, 7 obesity judgment tools were chosen. 2007 obesity rate(26.3%) of Korean female adults was refered in selecting optimal obesity judgment criteria in the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t was verified that BMI was the most suitable in judging and sampling the obese subjects by the percentile analysis. Röhrer index was also reliable in grouping the obese subjects from a population. Secondly, it was concluded that the obesity ratios of relative weight 120 and higher group, Röhrer index 1.6 and higher group and waist girth 80cm and higher group were the most similar to obesity rate of Korean female adults by 2007 National Health & Nutrition Survey. Thirdly, 30 direct measurements, age, 2 drop values and 6 ratios of 7 groups by the obesity judgment tools showed the significance each other at p<0.001 level. On the other hand, “bust point to bust point” and “waist to hip length” measurements didn’t show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7 groups. Conclusively, 4 to 5 satisfactions out of 7 obesity judgment criteria were adequate and sufficient in sampling the obese subjects. If it is needed the strict criteria for judging the obesity, 5 satisfactions and higher group will be the best choice as the obese subjects. However 4 satisfactions and higher group generally, will be adequate for sampling of the obese subjects.
Japanism represents a Japanese sense presented in Collections by many world-class western designers who are inspired by Japanese Kimonos. This study analyzes how the traditional Japanese costumes were applied to the modern clothing and the mix and match style appeared at the Japanism fashion based on the Fashion Collections during the three years from the spring of 2006 to the winter of 2008. The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preceding studies, literature, fashion magazines such as Vogue, Elle, Marie Claire, and the Collections during the three years.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Japanism covers: the application of Kimono design, Kimono sleeves, Kimono neck line to coats, jackets, one-pieces, and blouses; the application of traditional geometrical patterns, flower patterns, and natural patterns. These patterns were presented by print, dyeing, and embroidery; lastly, the employment, utilization, function, and adjustment of Obi(belt) to Japanese style clothing and also to modern clothing. Japanism fashion presented sportism, feminism, and eroticism by using mix and match. This analysis can contribute to the application of the ethnic clothing to modern clothing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xpression of Hybrid in Contemporary Hair Design that is one kind of total fashion. In this research, by background of the hybrid characteristics of the messes culture art, the hybrid characteristics of the hair design has been defined as characters which is the mixture of timeless spaces, styles, sexes, unsuitable elements and cultures. The results of analysis by the expression of the hybrid hair design after 2000 is like this. As the researching, the hybrid characteristics of the hair design by the mixture of unsuitable elements and styles have been presented the highest. The result of the frequency of the apparition in the hair design molding elements according to the expression of the hybrid hair design, the hybrid characteristics of the unsuitable elements and style has been presented ideological form and the artificial form was the highest. The case of the hybrid of the activated texture, the unsuitable elements, style and timeless space has been presented excellently one after another. In the color tone, the mixture of the style, the unsuitable elements and timeless space has been presented one by one. The case of the hybrid of the image, the unsuitable elements that is the highest the frequency of the apparition was presented the image of the avant-garde, the fantastic and humor one after another.
In this study, the symbols and visual expressions employed in the food culture content of official website designed to promote three cities in Korea, Seoul, Jeonju and Jeju, were subjected to semiotic analysis. In this study, it was assumed that these websites reflected the varying perspectives of the people behind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these routes of Internet communication, and the semiotic choices made in order to exemplify each city’s food cultural image. The aim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communication strategies of food cultural branding in the terms of the online content regarding Seoul, Jeonju, and Jeju with a focus on the comparative points in these cities’ official websites. This study included conducting semiotic content analyses of the aforementioned cities’ official web pages in an attempt to determine the food branding strategies used to differentiation and produce more favorable perceptions of these three cities. Building upon the findings drawn from this comparative study, the present work can be used to determine more effective ways of strategically differentiating the images of local food culture associated with these cities from the view of brand communications. This study also demonstrates viable directions for designing web content for a city where the food cultural messages can be delivered in a thoughtful and effective manner.
Coupled with the international expansion of Korean culture in recent years, a number of restaurants from Korea have been trying to tap into the global market pl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non-Korean patrons in Korean Restaurants in New-york city. The survey was conducted at six popular Korean restaurants, all of which had been recognized in the Zagat Survey in recent years, located in prime business districts in Manhattan.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ix local Korean restaurants that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analyzed. After employing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restaurant operators, a qualitative analysis identifie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segmentation of restaurant operation. Self-administrated survey questionnaires were used to acquire quantitative data. Primary data were collected from non-Korean patrons at the six participating Korean restaurants in New York City in 2008 (N=245). The patrons who answered the survey indicated that they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Food’; however,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the ‘Beverage’ and ‘Value’. In addition, older patrons (55<) were not as content with the ‘Food’ as the younger patrons. The most influential satisfaction variable that affected a patron’s intention to revisit the Korean restaurant was ‘Food’ and ‘Overall experience’. This study findings will help Korean restaurant operators and marketers better understand their patrons and formulate strategies to cater and target segments more effectively.
환경특성에 따른 집박쥐(Pipistrellus abramus)의 반향정위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2009년 4월부터 8월까지 경상북도 경주시 천북면 일원의 주간 휴식장소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환경특성 유형은 일몰 후 출현순간, 출현 후 이동, 논 경작지, 산림 가장자리, 개방공간, 주택단지 등 6개 유형으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환경특성에 따른 차이 및 서식지간 이동과 먹이포획을 위한 비행 사이에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부 환경으로의 출현 순간에서는 짧은 시간의 FM 시그널만 확인되었으며, 개방 공간에서는 긴 시간의 CF 시그널 형태의 음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환경특성에서는 펄스의 형태적인 차이는 있었지만 FM과 CF 시그널을 혼합하여 이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먹이포획을 위한 비행과 서식지간 이동을 위한 비행에서는 펄스의 지속시간을 제외한 펄스 간격, 최고 진동수, 개시부와 종결부 진동수에서는 두 가지 비행패턴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확인되었다. 출현순간을 제외하고 서식지간 이동을 위한 비행시에는 곤충의 반향을 감지하여 곤충의 탐색에 적합한 협대역의 FM 시그널과 긴 펄스 지속시간을 가지는 형태를 보였으며, 먹이포획을 위한 비행에서는 폭넓은 탐색과 정확한 위치파악을 위한 광대역의 FM 시그널과 짧은 시간의 펄스 지속시간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다차원척도법에 의한 그루밍 사용자의 2차원 감성 모델을 정의함에 따라 터치폰의 GUI 요소를 결정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진행되었다. 첫 번째 단계로 그루밍(Grooming) 사용자들의 라이프스타일을 조사하여 Norman(2002)에 의거한 감각적, 행태적, 그리고 심볼적 레벨의 감성요소를 추출하였다. 두 번째 단계로 요인분석을 이용하여 대표 감성 어휘를 도출한다. 세 번째 단계로 도출된 대표감성 어휘는 다차원척도분석을 통해 2차원 감성 모델링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매핑 된 그루밍 사용자의 감성과 터치폰 GUI 요소의 관계성을 설문 한 후 정규화를 통해 0~1사이의 정량적 수치로 디자인에 반영될 주요감성 어휘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 터치폰의 43개 디자인 요소에 해당하는 그루밍 사용자의 6개의 대표감성으로 '특이한', '주관이 뚜렷한', '세련된', '자유로운' '열정적인', '깔끔한'을 제시하였다. 또한 정규화를 통해 각각의 GUI 요소를 디자인 할 때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감성을 제시하였다.
해기직업에 대한 안정이 없으면 인적요인에 의한 해양안전도 크게 개선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해기직업 진입단계에서 부터 은퇴하기까지 생애에 걸쳐 해기사의 직업경로를 개발함으로써 보다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해기직업 생활과 해양안전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해기직업 경로모델을 설정하고 해기교육기관 진입자, 해상근무자, 육상근무자 2,8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직업경로에 따른 행동요인 분석 결과, 첫째, 해기교육기관 진입자들에게 교육환경 개선과 해기직업생활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전달하고 둘째, 소득수준과 같은 경제적 요인은 해기직업 진입자에게는 동기요인이 되지 못하며 셋째, 적정 시기에 육상근무를 위한 하선유도가 해기직업의 매력화와 파생적인 장기승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넷째, 해기면허체계를 단순화시켜 조기에 상위면허를 취득함으로써 상위직책에 근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해역이용협의에 따른 협의서 검토현황과 연안이용형태를 분석한 결과, 공유수면 점 사용은 공작물설치와 해수 취배수, 공유수면 매립은 산업단지조성, 항만 어항개발과 도로건설의 점유율이 높았고, 점 사용은 서해에서 그리고 매립은 남해에서 우세하였다. 지역별로는 전남, 경남지역과 인천 경기지역에서 이용행위가 많았다. 해역이용협의 검토량은 2008년이 전년도에 비해 약 200건 이상 증가하였고, 협의과정에서 준설토 해양투기, 매립, 준설, 해수 취배수, 바다골재채취와 규사채취에 대해 보완요청이 주로 이루어졌다. 연안이용은 대부분 해양환경기준 I등급 또는 II등급의 지역에서 집중되었고, 특히, 법령상 해양 규제지역인 특별관리해역에서는 항만 어항개발과 관련된 매립과 공작물설치, 국립공원에서는 공작물설치와 호안정비가 많았다. 또한, 수산자원보호구역에서는 호안정비, 공작물설치와 해수의 취배수 행위가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평가되었다. 해역이용협의제도의 제반적인 합리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방법 등 개선방안을 제도운영 및 정책적인 측면과 협의서 작성과 관련한 해양환경영향평가 측면으로 구분해서 정책제언을 제시하였다.
As the human mixed saliva plays important roles for the protection, regeneration, immunity, and molecular transfer/ signaling in the oral and gastro-intestinal mucosa, the salivary contents have great implications for the general health of human body. Nevertheless, the analysis method of human saliva has not been well developed up to date, because the proteins of mixed saliva are rapidly interacted with each other and easily degraded by proteolytic enzymes and microorganism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immunoprecipitation-based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IP-HPLC) for the analysis of human mixed saliva. The representative IP-HPLC analyses were performed to compare among different subjects in variable general conditions. Compared to the normal control the subjects suffered from bacterial infections of gastro-intestinal enteritis, chronic periodontitis, and acute necrotizing gingivo-stomatitis showed dramatic increase of LL-37 level depending on the severity of diseases, while the subject suffered from Herpes stomatitis, a viral infection showed great increase of β-defensin 2. These data indicate that LL-37 in human mixed saliva is more responsible to the bacterial infections of gastro-intestinal enteritis, chronic periodontitis, and acute necrotizing gingivo-stomatitis, while β-defensin 2 is more responsible to the viral infection of Herpes stomatitis. This study also suggeststhat the IP-HPLC be easily applicable to the wide range of biological samples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an objective protein.
Most propionic acid is added to food (especially breads) as preservatives and its form is sodium or calcium salt. Most countries admitted propionic acid as food preservatives but a tolerance limit is somewhat different according to countries. Recoveries of the official method for propionates reported as 50.0~60.0%. Accordingly new rapid determination method for propionates was developed using formic acid added sodium chloride (5 g) and ether (formic acid : ether = 1 : 2) as the extraction solvent to improve the official method with the complex processes. Propionate was dissolved from the samples with formic acid omitting steam distillation and ion exchange procedure. Then propionate in formic acid was extracted with ether and sodium chloride again. A 1 μl aliquot of the filtrate of ether was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 Recoveries from sample A and B fortified with propionic acid sodium salt were 85.0 % and 90.0 %,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