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paper describes case studies on workflow impact analyze with an enterprise ontology (EO). We build the EO with an ontology editor Prot?g? and integrate concepts of enterprise architecture and a process model into it to expand the EO. We use the exp
Samples were taken from the surface waters around Dokdo Island to measure the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water qualities from June 23 to 26, 2007. Water temperature and dissolved oxygen were in the range of 20.7~20.9oC and 7.01~7.74, respectively. Salinity and pH were in the range of 34.5~34.8‰ and 8.23~8.37, respectively. Population densities of aerobic oligotrophic bacteria and heterotrophic bacteria by plate counting method were in the range of 2.4±0.5×103~3.0±0.3×103 and 4.4±0.6×103~6.0±0.9×103 cfu ml−1, respectively. Among thirty-seven isolates isolated from surface waters around Dokdo island by using 16S rDNA analysis, dominant species were closely related to Actionobacteria (7 clones), α-proteobacteria group (6 clones), and γ-proteobacteria group (4 clones).
This study lists the vocabulary of the inscriptions on SeoGwol-YeongGeon-DoGam-UiGwe(西闕營建都監儀軌 1831). This study also deciphers and explains the meanings of them. In advance, this study compares them with the vocabulary of the national language in the middle ages and in modem times. There are two important missions in deciphering a transcription marking of the architectural vocabulary of UiGwe(儀軌). One is to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reading method of transcription marking and the other is an explanation of what that means. As a result, we can correctly understand the UiGwe(儀軌) written in transcription marks. If we could decipher the transcription markings of the documents as it is, we cannot only recover plenty of vocabulary related with characteristic architecture in the age of the later Joseon Dynasty, but also correct wrongly used vocabulary in the present. As a result, we can standardize and adjust the vocabulary use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In advance, we can correct errors of spelling and mistaken explanations in the Korean Encyclopedia.
본 연구에서는 확률적 지진취약도 분석방법을 3경간 FCM 교량에 적용하여 지반특성에 따른 지진취약 교각의 위치와 교각 상 하부에서의 소성힌지 발생 상태를 수치예제 결과의 분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취약도 곡선을 최대지반가속도(PGA)의 변수에 대한 대수정규분포 함수로 가정하고 대수정규분포 함수의 주요 계수인 중앙값과 대수표준편차는 최우도추정법(Maximum Likelihood Method)으로 구하였다. 또한 지점별 상이한 지반특성은 "도로교표준시방서"에 제시되어 있는 지반의 등가 스프링을 사용하여 해석모델에 반영하였으며, 지진취약도 분석에 필요한 구조물의 손상지수로 교각의 소성힌지에서의 회전연성도를 이용하였다.
Rapid spread of the internet has made our everyday life more convenient, however it has brought some problems along with it. Especially, undergraduate student are losing their social ability as they become absorbed in the internet game, act selfishly in the cyber space and lose interest in studying. As a result, they become isolated from their friends and experience difficulty in the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In this paper, the influence factors of internet game addiction is investigated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and statistics techniques. This study is to define the influence an important factors of internet game addiction using a questionnaire to internet game player and expert group. It is believed that this study will be more receptive to results that include the priority weights of internet game addiction among the addiction group, non-addiction group and expert group.
Seoul has been watched at its symbolic image which is the capital of one nation. since then Joseon was established. So, most of study about Seoul placed too much emphasis on like next; urban organization, palace, government office and public establishment. On the other hand, it is lacking in study of the individual building, the residential district, the change of building-lot. This study is to make up a deficiency from study of Gaokdohyung(家屋圖形site and floor plan). Gaokdohyung(家屋圖形) is drawings of building lots & houses existed in Hanseongbu漢城府(modem Seoul). It is possessed in Jangseogak and all 24 sheets. It is merely 24sheets but has many urban information in that. Housing of number 116 expressed in Gaokdohyung are consist on the house of Sadaebu士天王(noble class) Joongin中人(middle class) Sangmin常民(commoner), Villa(Byeolseo別墅) and connecting stores etc. Houses in Gaokdohyung has characteristic that most building lot is very specious and owners are variety of social position. The study of Gaokdohyung will progress through analyzing diachronic change of individual building lot & house. In the event,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to find out change of urban tissue & architecture. So, i intend to seek for entity of urban tissue and urban house in Joseon Period differ from now, and to study out those have been changed continuously forward now.
본 연구는 평지 지역과 산지 지역의 일 강우량의 상관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지리산 국립공원 근처의 기상청과 국립공원관리공단 소속의 관측소에서 각각 측정된 강우량 자료를 상관계수와 통계적 의존 지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상관계수는 평지 지역 사이는 평균적으로 0.78, 산지 지역 사이는 0.91로 나타났으며 평지 지역과 산지 지역 사이의 분석에서는 0.62로 나타났다. 통계적 종속지수의 경우, 평지 지역 간에는 2.82, 산지 지역 간에는 2.90, 평지 지역과 산지 지역 사이에는 2.59로 평균값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일 강우량에 대하여 평지 지역과 산지 지역 간의 상관성은 약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우수한 흑쌀보리 육성을 위하여 동아대학교 종합농장 수도포장에서 실시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교배친은 무조성인 흑피맥 Otello, 늘쌀보리 및 흰쌀보리 등 3품종으로 2000년 4월에 교배하여 6월에 채종하였다. 그리고 2001년 F1세대를 거쳐 2002년 F2세대에서 2007년 F7세대까지 12계통을 분리계대육성하여 homo화 시켜 흑쌀보리의 육성의 교배친과 이들 F7세대의 교배조합에 대한 유전력과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교배친에서는 유전분산이 환경분산에 비하여 높았으며 유전분산은 천립중이 15.2658로 가장 높았던 반면, 망장이 0.0833으로 가장 낮았고 모든 형질에서 고도의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유전력은 β-glucan이 99.99%로 가장 높았으며 망장을 제외한 각 조사형질에서 95%이상의 높은 수치를 보였다. F7세대의 교배조합에서도 모든 형질에서 고도의 유의성을 나타내었으며, 유전분산에서 천립중이 6.9148로 가장 높았다. 교배친에서 β-glucan 함량과 천립중간에, β-glucan 함량과 망장간에서는 유의한 정의 상관이었고, 수장과 β-glucan 함량간에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F7 세대의 교배조합에서는 천립중과 β-glucan 함량간에서 정의 상관을 보였으나 그 수치는 다소 낮았다.
하중전달효율은 다웰이 설치되었거나 설치되지 않은 콘크리트포장 줄눈의 구조적 성능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ABAQUS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줄눈 콘크리트장의 3차원 모형이 본 연구를 통하여 구축되었다. 기층과 노상이 접착되어 구성된 하부층 위에 3개의 슬래브가 놓였으며, 스프링 요소를 사용하여 인접한 슬래브를 줄눈에서 연결하였다. 콘크리트포장의 다양한 줄눈강성을 모사하기 위하여 다양한 값의 스프링 상수를 입력값으로 사용하여 그 관계를 조사하였으며, 스프링 상수가 커질수록 줄눈의 하중전달효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슬래브와 기증의 다양한 탄성계수와 두께를 사용하여 슬래브의 거동과 하중전달효율에 미치는 재료물성과 기하학적 형상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노상의 탄성계수는 기층의 탄성계수와 슬래브 및 기층의 두께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 또는 영의 온도구배에서보다는 음의 온도구배에서 슬래브의 거동과 하중 전단효율이 더 민감 하게 변화하였으며, 낮은 강성의 줄눈은 슬래브의 온도구배에 더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도시부 도로에 대한 서비스 수준 평가는 통행속도, 지체 등과 같은 정량적인 부분만을 고려하였다. 하지만 도시부 도로를 이용하는 운전자들은 정량적인 부분이외에도 도로의 청결, 타운전자의 법규위반 등의 정성적인 측면에서도 영향을 받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량적인 부분과 정성적인 부분을 함께 고려하여 평가지표를 도출하고, 서비스 측면의 개선사항 도출시 주로 경영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기법을 변형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변형된 IPA 분석기법은 분석대상 및 항목간 상대적 수준을 반영하여 서비스 수준이 평가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사례분석 지역으로 서울시 강남 3개구, 강북 3개구를 선정하여 도시부 도로의 서비스 질 평가가 수행되었으며, 변형된 IPA 평가를 토대로 도로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지역별 개선항목을 도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3차원 유한요소법과 층탄성프로그램인 BISAR를 통해 얇은 아스팔트 콘크리트 표층의 피로균열 수명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아스팔트 표층에서의 예측 인장변형률 결과를 광폭타이어와 바이어스 프라이 타이어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11R22.5와 10×20 bias ply 타이어의 접지압력 분포도를 분석하였으며, 서로 다른 해석방법을 이용하여 아스팔트 표층 하단부와 상단부에서의 예측인장변형률을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두 타이어의 접지압 분포는 유사했지만 11R22.5광폭타이어가 10×20 bias ply타이어와 비교해 상당히 큰 연직방향 접지압력을 보였다. 타이어 중앙에서 아스팔트 콘크리트 표층 하단부에서의 예측 인장변형률은 타이어 접지면적을 측정하여 충탄성프로그램인 BISAR에 적용한 BM해석법이 컸으며, 타이어 가장자리로부터 3.5cm 떨어진 곳에서의 상층부 예측 인장변형률은 3차원 접지압을 이용한 3차원유한요소법에 의한 해석이 가장 큰 값을 보였다.
트럭은 상대적으로 낮은 운송비용과 그 운영의 탄력성 때문에 화물 운송에 가장 널리 이용되는 교통 수단이다. 그러나 전체 교통량에서 트럭교통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은 곳에서는 심각한 안전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트럭사고는 다른 차량간의 사고보다 더 심각한 부상이나 사상자를 야기 시킬 수 있다. 따라서, 트럭 교통과 관련된 안전 문제는 교통 시스템을 운영, 관리하는 공공부분과 이러한 시스템을 이용하는 일반 운전자에게 있어 중요한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트럭관련 사고 자료를 이용하여 교통 조건에 따른 사고 형태를 조사하고 통계기법을 사용하여 현장에서 조사된 사고 요인들 중 어떤 것이 가장 큰 트럭관련 사고 요인인지를 분석한다. 이 연구를 위한 자료는 TASAS의 database를 이용하였다. 중요 사고 요인이 분석이 되면,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트럭 관리 전략에 대해 논의해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국가 및 지역 공공기관에서 연구 개발 지원을 위한 기술 중요도 평가시 SOM 신경망 분석을 통해 합리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을 나노소재분야의 기술에 시험적으로 적용하여 적용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타당성 분석결과 SOM 신경망 분석을 통해 우선적으로 개발이 필요한 유사기술로 이루어진 기술군을 도출하였고 여러개의 기술군간 비교를 통해 기술간의 관계를 유추할 수 있는 보다 나은 기술중요도 평가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델파이 방법을 적용하여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국가의 기술 및 연구개발 정책을 결정할 때 델파이 방법의 단점인 전문가의 합의된 의견이 틀리는 부분을 보완해서 검증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은 . 델파이 방법을 사용하여 기술 예측을 하는 경우 특허 문서와 같은 대상 기술 분야의 기술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 두가지 방법을 통해 나온 결과를 상호 비교 분석하여 델파이 방법의 결과의 타당성을 검증토록 한다.
Mail centers play an important role such as sorting and transporting postal items in the process of postal logistics. Therefore, there is need of efficiency measurement of the facilities to reduce the inefficiency of factors. But only few attempts have so far been made at measuring the efficiency of postal logistics hub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a reasonable suggestion for the improvement of inefficient mail centers. So this study found the efficient mail centers and inefficient mail centers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and compared inputs and outputs of the former with those of the lat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