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he present study, the focus is on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mold dimensions on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a die during plasma activated sintering.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a cylindrical mold with various dimensions was measured using K-type thermocouples. The temperature homogeneity of the die was studied based on the direction and dimensions of the die. A temperature gradient exist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die during the plasma activated sintering. Also, the magnitude of the temperature gradient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sintering temperatu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owever, there was no temperature gradient. The temperature gradient of the die in the radial direction strongly depended on a ratio of die volume to punch area
본 논문은 2003년 3월부터 10월까지 광주광역시 도심 대규모 하천에서 선택한 총 14개 조사 지역에서 귀화식 물과 도시화지수를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전체 식물상은 76과 211속 273종 35변종 1품종으로 총 309종류가 확인되었다. 그 중 귀화식물은 14과 36속 44종 2변종으로 총 46종류가 확인되었다. 광주천에서는 미국개기장, 소리쟁이, 흰명아주, 토끼풀, 큰개불알풀, 돼지풀, 비짜루국화, 미국가막살이 및 서양민들레로 총 9종이 우점하였고, 황룡강에서는 소리쟁이, 토끼풀, 달맞이꽃, 돼지풀 및 망초로 총 5종이 우점하였다. 그리고 영산강에 분포하는 우점종은 광주천과 황룡강 우점종 이외에도 물참새피, 좀명아주, 다닥냉이, 개망초 및 도꼬마리 등이 나타나 총 16종이었다. 광주시 도심 하천의 평균 도시화지수는 17.2%, 귀화율은 14.9%로 확인되었다. 원산지는 유럽과 북아메리카가 각각 16종으로 가장 많았다. 도시화지수나 귀화율 같은 환경지수가 높은 도시 하천이나 둔치가 귀화식물센터 중 중요한 하나로 사료되었다.
동절기 시설내 온도분포를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온풍난방기용 이중덕트를 개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한 결과 관행 온풍덕트의 각 지점간 토출구 송풍온도 차이가 13 ~ 14℃인데 비하여 개선형 덕트인 이중덕트의 토출구 송풍온도 차이가 3 ~ 4℃로 나타나 각 지점간의 온도 불균형이 크게 개선되었으며 이중덕트의 각지점간의 생육정도도 관행덕트에 비해 크게 향상 된 것으로 나타났다. 수량에 있어서도 관행덕트를 사용한 재배시설에서 10a당 3,924kg에 비하여 이중덕트를 사용한 재배가 4,616kg으로 약 17%가 증수되었다. 그리고 반촉성 재배기간 동안 난방에 소요된 연료소모량은 관행덕트가 3,724ι/10a인데 비하여 이중덕트가 3,233ι 13%의 연료절감효과가 있다.
The coefficient of variation(CV) which is a relatively dimensionless measure of variability is widely used to describe the variation of sample data. However, the properties of CV distribution are little available and few research has been done on estimati
최대건조단위중량은 노상토 재료 특성으로서 매우 중요한 인자이다. 최대건조단위중량을 예측하는 기존의 모델들은 많은 변수를 포함하고 있어 다소 복잡해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사질토의 최대건조단위중량을 예측할 수 있는 간편한 식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36개 시료를 체분석하여 입도분포를 구하고, 다짐시험 한 후 그 결과를 회귀 분석하였다. 제안식은 변수로 노상토의 기하평균과 기하표준편차 또는 입도분포계수를 포함한다. 제안식의 검증을 위해 전국16개 지역의 채취 시료에 대한 최대건조단위중량의 실측치와 예측치를 비교한 결과 잘 맞는 것으로 밝혀졌다.
고흥 북부지역에는 화강암질 편마암, 반상변정질 편마암 및 미그마타이트질 편마암이 널리 분포하고 있다. 편마암류는 실리카-알카리 lUGS 분류도에 의하면 화강섬록암 영역에 해당된다. 미량원소는 SiO2 양이 증가함에 따라 Li,Zn, Sc, Sr, Ni, V, Y등 대부분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사장석 성분은 안데신으로 상당한 범위(An32-48)를 보여주며 석류석 성분에서 Xalm과 Xsps은 석류석 입자의 주변부에서 높고 Xpyp는 중심부에서 높으며, XFe는 석류석 입자 주변부에서 높은 변화를 보인다. 본 역의 편마암류의 모암인 화강암류는 대륙의 동시 충돌형과 후기 조산대 및 후 조산대 영역에서 형성되었을 것으로 예상되며 S형과 I형 화성암류가 모두 나타난다. 변성작용은 저압 내지 중압형의 고온 변성작용(803-913˚C, 6.1-7.3kb) 받은 후 저압, 중온의 후퇴 변성작용(570-726˚C, 2.2-5.1 kb) 및 녹니석화 작용 등의 중첩된 후퇴 변성작용이 수반되었다.
본 연구는 동해안에 위치하는 강릉 남대천 하구역의 대형저서생물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1997년 9월 22일에 총 15개 정점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채집된 저서동물은 총 50종, 5,664개체, 312g WWt의 생물량을 나타냈다. 중요 우점종은 빈모류에 속하는 Oligochaeta unid., 다모류의 Hediste japonica, Rhynchospio Glutaea, Poecilochaetus trilobatus, Scoloplos arm
Department of Oral Pathology, Dental Science Research Institute, College of Den디'su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It is well known that the expansion of radicular and dentigerous cyst is related to the change of osmotic pressure, while the prolifera디on ofthe 비피19 epithelium in odontogenic keratocyst. When the dentigerous cyst and odontogenic keratocyst has secondary infection, they present the loss of unique sπuctures and epithelial hyperplasia. There is a question whether inflammatory reaction affects cystic formation, expansion and their treatment. Present study i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flammation and epithelial hyperplasia using immunohistochemial study. Followings are result; 1. 까1e age of patients ranged from 10 to 73 years (mean age, 39 years) in radicular 이5t, 10 to 71 years (mean age, 35 years) in dentigerous cyst and 10 to 54 years (mean age, 23.4 years) in odontogenic keratocyst. The sex distribution of patient distributed 32 cases for male and 16 cases for female in radicular cyst, 13 and 10 in dentigerous cyst and equally 5 and 5 in odontogenic keratocyst. 2. Inflammatory cyst in the present study distributed 44/48 cases (9 1.7%) for radicular cyst, 15/ 23 cases for dentigerous cyst and 1/ 10 case for odontogenic keratocyst. 3. Evaluation of inflammatory reaction and antigen expression, ki-67 , cox-2 and glut-1 expression increase in the inflammatory radicular and dentigerous cyst. 4. In odontoge띠c keratocyst, expression of antigens increase regardless of inflammation. Above results showed that inflammation stimulate the proliferation of lining epithelium leading to cystic expansion.
The possibility to decrease agglomeration of Cu nano powders and their separation during pulsed wire evaporation (PWE) process was investigated by controlling the working gas system, i.e., the design of the gas path, the type and pressure of the atmospheric gas.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choose the optimal design of the gas path providing large specific surface area and high degree of separation of the synthesized Cu nano powders. It was also shown that an Ar+10∼50 mixture can be used in production of Cu nano powders, which do not react with nitrogen.
Being in an internet era, the rapid transmission of 3D mesh models is getting more important and efforts toward the compression of various aspects of mesh models have been provided. Even though a mesh model usually consists of coordinates of vertices and properties such as colors and normals, topology plays the most important part in the compression of other information in the models. Despite the extensive studies on Edgebreaker, the most frequently used and rigorously evaluated topology compressor,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of its five op-codes, C, R, E, S, and L, has never been rigorously analyzed yet. In this paper, we present probability distribution of the op-codes which is useful for both the optimization of the compression performance and a priori estimation of compressed file size.
연구지역의 차노카이트는 일반 화강암질암에 비해 암색을 띠고 사방휘석과 석류석을 함유하는 석영장석질암이다. 일부 지역에서 엽리가 발달하나 대체로 미약한 편이며 산상의 특징, 구성광물의 종류와 암석의 변형 정도 등에 의해 암상의 변화를 보인다. 주 구성광물은 석영, 사장석, K-장석, 사방휘석이며, 흑운모, 석류석, 앤쏘필라이트 등을 부분적으로 포함한다. 암석화힉적 분석 결과, SiO2의 함량이 61∼65%에 해당되었으며, 주위의 규장질 화성암 조성의 편마암류들과 연속적인 변화 경향성을 보인다. 주성분 산화물들의 변화 경향을 살펴본 결과, 각섬석 편마암, 회장질암을 제외한 주위의 편마암류들과 거의 동일한 체계성을 보였다. 차노카이트의 변성조건을 고찰하기 위하여 사방휘석-석류석 지온계와 사장석-석류석 지압계를 적용해 본 결과 석류석의 중심부의 경우 761˚C내외의 온도와 약 7 kbar의 압력 조건, 주변부의 경우 653˚C내외의 온도와 약 6.4 kbar의 압력조건을 지시하였다. 이는 차노카이트가 초기의 고변성작용을 받은 후 보다 후기의 저 변성작용에 의해 재평형이 이루졌음을 암시한다.
2002년 가을에 제주도를 중심으로한 동중국해 18개 정점에서 그랩으로 채니한 표층 퇴적물 속의 와편모조류시스트 분포 특성을 조사하였다 현미경 잔찰시 해상력을 좋게 하기 위하여 퇴적물을 HCl과 HF로 처리하여 그 속의 시스트를 관찰하였다 총 13속 21종의 와편모조류시스트가 출현하였는데, Spiniferites bulloideus가 우점종을 차지하고 있었다. 임의로 나눈 제주도 북부 해역인 Part 1정점들에서의 평균 시스트 농도(1,144 cysts
복숭아의 주요 식물기생성선충 종류를 밝히기 위하여 2000년부터 2002년까지 3년간 경북지역의 124개 복숭아 과원 토양으로부터 선충을 분리하고 선충의 종류, 밀도, 빈도(Frequency), 우점도(Simpson's index), 다양성지수(Shannon and Wiener index), 중요도(Prominence value)를 분석하였다. 식물기생성 선충은 총 124지점 중 97지점에서 발견되었으며 우점도는 0.717-0.881, 다양성지수는 0.221-0.286로 복숭아는 다양한 종류의 식물기생성선충에 의하여 피해를 받기보다는 몇몇 우점하고 있는 식물기생성선충에 의하여 피해를 받고 있었다 복숭아과원에서 중요한 식물기생성선충은 Tylenchorhynchus nudus, Criconemoides informis, Paratylenchus elachistus, Pratylenchus vulnus, Helicotylenchus digonichus 순이었고, 그 외 Aphelenchus sp., Tylenchus sp., Heterodera sp., Scutellonema sp. 등이 검출은 되었으나 중요종은 아니었다. 이번 조사에서 특히 국내 복숭아과원 토양에는 Paratylenchus elachistus가 널리 분포하고 있었으며, 반면 외국에서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는 뿌리혹선충류는 발견되지 많았다.
It is well known that glycoproteins, glycosaminoglycans and proteoglycans are of fllndamental importance to the processes of morphogenesis and cytodifferentiation dllring the teeth development. With HID-TCH-SP(High-iron diamine-thiocarbohydrazide-silver proteinate), slllfated glycosaminoglycans sllch as chondroitin slllfate and heparan slllfate have been localized at the 1I1trastructurallevel in a wide variety of tisslles. 까le pllrpose of this study were to characterize slllfated glycosaminoglycan profiles of hllman fetal tooth genns at 비trastructurallevel for the phase of morphogenesis and cytodifferentiation, and to detect the protein expression of sulfated glycosaminoglycan by immunoslot blot. Human tooth germs from the alveolar bone of twenty still born fetuses were f1xed in a mixture of 2% glutaraldehyde/ l% fonnaldehyde. The ultrathin sections were stained with HIDTCH- SP, and some sections were σ'eated with 0.05% solution of testicular hyaluronidase to identify the histochemical properties of the HID-TCH-SP stain deposits. For semiquantitative protein assay, immunoslot blot was done.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HID-TCH-SP staining showed sulfated glycocongugated deposits in DEJ, peritublllar dentin, and mantle dentin matrix, enamel prism sheath, interrod area, and enamel matrix. 2. Heparan sulfate deposits in DEJ resisted to testicular hyalllronidase treatment prior to HID-TCH-SP staining 3. In immunoslot blot, chondroitin slllfate was detected higher in enamel and dentin extraα , while heparan slllfate was relatively expressed in enamel and dentin extract, but rarely expressed in enamel or dentin extract. From the aboving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chondroitin and heparan sulfate w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D티, while chondroitin sulfate would in the development of enamel prism sheath, enamel matrix, and mantle or peritllblllar dentin of human fetal t∞th germs.
붉은점모시나비의 국내 서식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기존에 알려진 채집지와 표본자료, 그리고 실재 잔존 발생지로 알려진 경남 남부지방을 조사한 결과 경남 고성군과 의령군 2개소에서 발생이 재확인되었으며, 이 외에 조사기간 중 강원도 삼척에서 대량 서식지가 발견되었다. 종의 보전을 위한 복원계획 수립을 위해 대량사육기술 개발이 필요하므로 생활사 등 생태적 특성을 위한 기초조사를 실행하였다. 성충의 출현 시기는 5월 중순에서 6월 말까지였다. 산란은 기주식물 외에 주변의 마른 나뭇잎 등에도 하였으며, 암컷 한 마리당 127개까지 산란하였다. 늦은 봄에 산란된 난은 220여 일의 난 기간을 보내고 1월 11일부터 난각을 깨고 부화하며, 부화된 1령유충은 10여 일이 지나 섭식을 시작한다. 항온조건(, 75% RH, l6L:8D)에서 전 유충기간은 65.7일로 각각 1령충 11.2일, 2령충 7.3일, 3령충 12.8일, 4령충 16.2일, 5령충 18.2일이었다. 용기간은 21.3일이었으며, 성충의 수명은 26.2일이었다. 산란조건을 알아보기 위하여 크기를 달리한 산란실을 만들고 각 실 당 접종수를 달리하여 시험해 본 결과 222m이상 크기의 산란실에 암컷 3+수컷 1의 비율로 넣은 경우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흡밀용 당원을 개발하기 위한 실험에서는 흑설탕구와 Fructose구에서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