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mber's perception toward organizational climate is an abstract concept but generally it has been used in the meaning of Organizational climate by members, in an attempt to give an idea of what kind of meaning an organization can have from a psychologica
This study was aimed at analyz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uch factors as industrial environment, technological cooperation,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and management performance that are essential to technological innovation of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For this aim, a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ich of the factors in industrial environment has impact on technological cooperation of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An empirical analysis was also performance to find what kind of effects the technological cooperation may have on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management performance. From the analyses, it became known that: first, changes in industrial environment have influence on technical cooperation factors including production technology, technical information, technical manpower and fund for technology that are assorted by means of factorial analysis; second, the technological cooperation of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has impact on their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and third, the technological cooperation of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has impact on management performance.
민관협력지원서비스의 성과평가를 위한 새로운 지표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가정정책사업인 건강가정지원센터의 평가체계를 살펴보면서 재평가의 의미를 도출할 수 있었다. 통합적 가정정책의 출발이라는 상징적 의미를 갖고 제정된 건강가정기본법에 따라 설치되는 공적 전달체계로서 건강가정지원센터는 현재 3~4년의 사업경험을 갖고 전국적 네트워크 속에서 사업을 하고 다수의 건강가정지원센터가 처한 다양한 상황과 환경을 고려하여, 내실화 및 활성화에 주목하여 평가지표 및 그 운영체계가 조정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건강가정지원센터 설치 목표를 달성할 수 있기에는 적절한 체제 구축의 수준을 탐색함과 건강가정사업의 지속적 품질 개선을 위한 환류, 그리고 강점과 약점의 분석을 통한 내부적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과 공적 전달체계로서 국민과 시민에 대한 책임성 완수와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성과 홍보라고 할 수 있겠다.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건강가정지원센터 평가지표는 2008년도까지 활용되어 오던 지표와의 연계성을 견지하면서, 동시에 시기적인 환경과 요소의 변화를 반영하여 차별성을 가져야 하며, 새로운 평가지표를 통한 평가의 목적은,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질에 대한 전반적인 점검을 통한 일종의 인증개념 혹은 사업 단위 효과성 점검을 통해 지속적인 재정 지원/인센티브 수여의 근거 확보 혹은 기존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운영상황 점검을 통해 강․약점 점검 및 성장 유도 중 마지막 항목에 보다 적합한 것으로 방향을 정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각종 컨설팅, 프로그램의 모니터링이라는 기능을 부각시킬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 in the financial and economic effectiveness of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It means that the final goal of customer satisfaction is the maximization with firms' financial performance, enterprise could survive through the creation of continuous financial performance. Companies are working in various ways to identify the direct relationship of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with financial and economic effectiveness in order to justify and validate customer satisfaction management. In this study, the influence of customer satisfaction on the financial performance is examined. Customer satisfaction index, the key non-financial performance measure has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firms' financial performance index. Moreover, high customer satisfaction has a competitive advantage, so it can be the key success factor of firm's financial performance improvement.
본 연구는 협력적 노사관계를 통하여 조직의 성과로서 QWL과 직무만족 그리고 조직몰입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기본가설을 중심으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기업체 근로자 48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아울러 재직기간, 기업역사, 노조유무, 종업원 수 등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로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것과 동일하게 적용되었고, 변수들의 타당성과 신뢰성도 기준을 충족하였다. 둘째로 협력적 노사관계가 성과변수 모두에 매우
본 논문은 한국에 있어서 종업원의 재량적 노력(discretionary effort)과 은행지점의 재무적 성과와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한다. 재량적 노력은 조직 구성원의 공식적 역할기대를 넘어선 추가적인 직무수행노력과 구성원의 적극적 협력, 도움, 제안, 선의나 이타주의와 같은 자발적 행동으로서 여러 가지 방식으로 나타날 수 있다.은행과 같은 서비스 산업에 있어서, 구성원의 재량적 노력은 성과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재량적 노
본 연구는 2001년부터 2003년까지 '후지'/M.9가 재식된 밀식사과원에서 적정 수세와 적정 착과량을 조사하였다. 엽과비는 평균 과중(y=1.715x+205.02, R2=0.66**)과 수량(y=-35.156x+5963.7, R2=0.44**)에서 고도로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주당엽수와 평균 과중 또한 상관이 있었다. 그러나 착과량에 따른 수체생육, 과실품질 요인중 당도 및 착색도에서는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격년결실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300g 이상의 과실을 생산하는 기준은 엽과비는 55 수준에서 착과량이 주당 약 55~64개의 수준이 적합하였다. '후지'/M.9 밀식재배시 성목기의 안정된 수세 기준은 평균 신초장이 20~25cm, 신초 정지율이 95% 이상수준을 보여야 되는 것으로 판단되며, 보다 세부적으로는 2차 생장이 거의 발생되지 않으며 과대지 비율은 적어도 20~30% 정도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In today's business environment faced in very quick change, Human Resource Management play a key role in sustaining corporate competitive advantage and boosting organizational competency. Based on a former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how individual Human Resource Management practice effects business performance and labor relations. Business performance is a positive influence on employee royalty and devotion. Also it is more influenc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industrial relation of corporate.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can find the significant influence from Human Resource Management practice and industrial re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