멍게 유생의 뇌포에는 2개의 감각색소세포인 평형기와 안점 이외에 또 다른 감각세포로 추정되는 수압수용체세포가 존재한다. 수압수용체세포 형성에 관해서는 현재까지 거의 알려진 것이 없다. 본 연구에서는 수압수용체세포 형성에서 FGF 신호전달 과정의 관련성을 조사했다. 수정란에 Hr-FGF9/16/20 antisense MO를 미세주입했을 때, 발생한 유생에서 수압수용체세포 특이적 Hpr-1 항원의 발현이 검출되지 않았다. 32세포기부터 FGF 수용체 억제제
Hepatoprotective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Acer mono and A. okamotoanum were compared after beingextracted by low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LTHP) at 20 MPa and 60℃ for 15 minutes. Extraction yield of both A.mono and A. okamotoanum was increased about 40~43% by this extraction process. On scavenging activities, the bark of A.okamotoanum from this extraction process showed the highest activity as about 97%. This value was higher than that fromconventional water extraction and A. mono extracts. Both of A. mono and A. okamotoanum showed high ability on nitritescavenging, but decreasing tendency according to increasing of pH. On SOD-like test, A. okamotoanum had the highestactivity as 46.28% at 1.0㎎/㎖ concentration. A. okamotoanum extracted by LTHP also showed the highest activity as197.38% in adding 1.0㎎/㎖ concentration. Generally, the extracts from low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extraction pro-cess are higher hepatoprotective and antioxidant activities than that from conventional water extraction. It can concludethat the bark of A. okamotoanum has better biological activities than other parts of A. mo
면우 곽종석은 한주 이진상의 수제자로 寒洲學派를 대표하는 학자였다. 그는 당시에 이단으로 배척받던 한주의 성리설을 수용하였고, 그가 한주에게 執贄의 禮로 올린 지의록은 한주 성리설의 입문서가 되어 경상우도의 신진 학자들 사이에 두루 읽혀 한주학파의 형성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면우는 지의록에 대한 한주의 답변 중에서 유독 氣質之性 한 조목에 대해 반론을 제기하여 한주와 논변하였다. 喜怒哀樂의 감정이 일어나기 전인 未發 상태에서 기질이 있느냐 없느냐, 기질의 개념이 들어갈 수 있느냐 없느냐의 문 제를 가지고 논변을 전개한 것이다. 면우는 관점을 달리하는 논거를 두루 제시 하며 기질지성을 희노애락 미발의 상태에서의 性의 개념에 넣어야 한다고 주장 했고, 한주는 자신이 朱子의 晩年定論이라 믿는 설에만 의거하여 기질지성은 性의 개념이 아님을 강조했다. 즉 면우는 기질은 성과 함께 태어날 때부터 형성 되는 것이니, 기질에 의해 제약된 성이라 할 때 ‘기질에 의해 제약된’까지도 성 의 개념에 넣어야 한다고 생각했고, 한주는 성의 時分인 미발에서는 氣가 작용 하지 않고 성의 본체만 온전히 드러나므로 기질을 성의 개념에 넣을 수 없다고 생각했다. 면우는 실상을 무시할 수 없다고 생각했고 한주는 개념 정립을 중시 했다고도 할 수 있다. 또한 면우는 기질지성에 대한 기존 학설들을 무시할 수 없다고 생각했고, 한 주는 어디까지나 자신이 고증한 주자와 퇴계의 만년정설만을 논거로 삼았다. 면우는 ‘미발 상태에서 기질이 없지는 않지만 기질을 말할 필요는 없다’ 한 한 주의 결론을 받아들였다. 그러나 그렇다고 하여 면우가 기질지성에 관한 기존 학설의 개념들을 다 부정한 것은 아니다. 면우는 미발을 性의 상태로 규정, 기 질이란 개념을 용납하지 않는 한주의 학설을 수용하면서 여러 관점에서 기질지 성의 실상과 개념을 함께 보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면우의 이러한 학문 성향이 그 후에 나오는 그의 학설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살펴보는 것은 추후의 과제로 남겨둔다. 이 문제는 스승인 한주의 학설과 대체에서 다를 수 없는 면우의 학설 의 성격을 규명하는 데에도 중요한 관건이 될 것이다.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the publishing, dissemination, and reception of Beethoven's music during his lifetime and after his death. The common and different aspects among Beethoven, Mozart, and Haydn in these three fields were investigated. Since the active working periods of the three composers were different within the range of 1770-1810's, the practices of publishing and dissemination changed. Since the music market was rapidly gr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ser, publisher, and the public was also changing. As a result, the process of reception of Beethoven's music was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the previous time.
This paper especially put focus on the early phase(1792-1803) of Beethoven in Vienna. The process of construction as a new master composer in the musical world of Vienna was also discussed. In addition, the role of supporting groups for Beethoven among aristocratic salons was investigated. The changes in musical taste and ideology were also illuminated. Furthermore, the roles of published edition and reviews of music journals such as Allgemeine Musikalische Zeitung, Berliner Allgemeine Musikalische Zeitung, Wiener Allgemeine Musikalische Zeitung, and Caecilia in the reception of Beethoven's music were discussed.
온라인게임 산업은 게임 콘텐츠라는 문화기술(CT)과 네트워크 통신망이라는 정보기술(IT)이 융합된 기술 기반의 서비스 산업이로, 최근 그 시장규모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온라인게임에 대한 소비자들의 수용 요인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게임이라는 엔터테인먼트 기반 기술의 수용이 타 기술의 수용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개인의 신념(Belief)-태도(Attitude)-의도(Intention)라는 연속적인 수용 과정임을 밝히고, 동시에 온라인게임의 경우 그 기술적 특성에 따른 쾌락적, 실용적 수용 동기가 이 수용과정에 작용하고 있음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존 기술 수용 모형(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연구를 바탕으로 도출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온라인게임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잠재변수를 유용성, 용이성, 즐거움, 편익으로 세분화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된 변수 간 구조적 연관성을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엔터테인먼트 기반의 기술인 온라인게임의 수용에 있어 그 기술적 특성인 쾌락적 측면(즐거움)과 실용적 측면(자기 개발 가능성, 금전적 편익)을 나타내는 잠재변수가 이용자의 태도 및 행위의도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온라인게임의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이론적으로 엔터테인먼트 기반 기술의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잠재변수들을 파악함과 동시에 게임 기업으로 하여금 이용자의 채택 및 시장에서의 확산을 유인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설계하는데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goals of this study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pplying liquid aluminum chloride (AlCl3) to rice hulls on pH and soluble reactive P (SRP). A total of 800 broiler chicks (4 treatments × 4 replicates × 50 birds) were housed into 16 floor pens in a single house for 5 weeks. The treatmen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control, 100 g of liquid AlCl3/kg of rice hulls, 200 g of liquid AlCl3/kg of rice hulls, and 300 g of liquid AlCl3/kg of rice hulls. Liquid AlCl3 was sprayed on the rice hulls surface at a rate of 100 g, 200 g, and 300 g liquid AlCl3 per kg rice hull. pH values and SRP content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with the increased liquid AlCl3 levels in comparison with control.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RP contents were observed among all treatments at 3 and 4 weeks. Applying 100 g, 200 g, and 300 g liquid AlCl3 to rice hulls reduced SRP contents by 18, 25, and 52% for 5 weeks,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e control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using liquid AlCl3 on rice hulls should be promising for reducing water contamination and resulted in a reduction in SRP contents, which reduced pH.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diverse information adoption pathways per pathway of information composition category including 'information perception', 'information assessment', and 'information adoption' and examined information adoption characteristics per pattern. In addition, differences among agricultural researchers and farmers per information adoption stage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se analyses, as for farmers' information adoption pathways, while the formal extension type and the situational reaction diffusion type used the direct pathway of 'information perception → information adoption,'the agriculturist connection type and the systematic approach type did not use the direct pathway of 'information perception → information adoption' but, instead, adopted information by moving from the 'information perception → information assessment' pathway to the 'information assessment → information adoption' pathway, with information assessment as the intermediation. In the case of farmers, information adoption was the highest in comparison with information assessment and information perception in all patterns whereas, in the case of agricultural researchers, the results were exactly opposite those of farmers. By suggesting an information adoption pathway appropriate to each pattern, this study sought to enhance information adop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improving immune activities of natural water-soluble sulforaphane extracted from Brassica oleracea var. italica by nano encapsulation process. The nanoparticles of the sulforaphane extracted with ultrasonification process at 60℃ promoted human B and T cell growth, about 7~35% compared to the control. The secretion of IL-6 and TNF-α from T cells were also enhanced as 2.6×10-4pg/cell and 2.1×10-4 pg/cell, respectively, by the adding nano samples. NK cell activation was improved about 8%, compare to the control in adding cultured medium of T cell added nano samples. It was also found that sulforaphane extracted from B. oleracea var. italica had highly inhibitory activity on hyaluronidase as IC50 about 200 μg/ml. It can be concluded that natural water-soluble sulforaphane samples by nano-encapsulation, each size is 200 nm, extracted from B. oleracea var. italica has high immune activities through higher efficiency of bio-activation than conventional extracts.
최근 시민 단체와 학계에서는 미디어 교육에 대한 논의가 확대되고 그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것은 미디어 교육이 국가 경쟁력과 관계가 깊고, 그 사회의 문화와 맥을 같이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역기능 또한 만만치 않다. 특히 현재의 청소년들은 가장 많이 미디어를 접하고 있지만 미디어를 읽고, 쓰고, 비평할 수 있는 미디어의 주인으로써 능력을 갖추었다고 볼 수는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미디어 교육이 제도권 교육속의 도입되어야 한다는 입장에서 학교 미디어 교육의 필요성과 우리나라의 미디어 교육의 현황 및 청소년의 미디어 활용 성향을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미술 교과서를 분석하고 현재 미술교육에서 실시하고 있는 미디어관련 수업의 종류와 현황을 토대로 미술교육을 통한 학교 미디어 교육의 발전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poultry litter amendments on pH and soluble reactive phosphorus (SRP) in poultry litter. Two laboratory studies were conducted for 42 d in Exp. 1 and for 10 d in Exp. 2, respectively. The poultry litter was treated with various amendments which included 4 g fly ash and 4 g AlCl3 (AlCl₃.6H₂O)/100 g litter in Exp. 1 and 4 g alum(Al₂(SO₄)₃.14H₂O), 8 g alum, 8.66 g liquid alum, and 17.3 g liquid alum/100 g litter in Exp. 2; untreated litter served as control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pH between control and T1(4 g fly ash) and SRP contents between T1(4 g fly ash) and T2(4 g AlCl₃) in Exp. 1.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H and SRP contents in Exp. 2 was observed among all treatments(P< 0.05). In experiment 1, T1(4 g fly ash) and T2(4 g AlCl₃) at 42 d decreased SRP in litter by 47.1% and 62.6% of that from litter alone, repectively. In experiment 2, T1(4 g alum), T2(8.66 g liquid alum), T3(8 g alum), and T4(17.3 g liquid alum) treatments at 10 days reduced SRP contents by up to 36.2%, 62.9%, 87.0%, and 83.9%, respectively,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s. Decrease in SRP contents was chiefly associated with reduction in litter pH. These results indicate that use of various litter amendments to limit P solubility has potential and should be pursued as a means of reducing soluble reative phosphorus during short term.
동강 김우옹은 남명 조식의 수제자로서 조선중기 남명학파의 저명한 학자이 다. 김우옹의 학문은 스승인 조식의 영향 아래에서 형성되었다. 그러나 그 근원 을 찾아보면, 보다 더 직접적으로 주자의 영향권 아래 있다. 주자와 김우옹의 정치론과 학문론을 비교해 본 결과, 이 두 학자의 영향 관계 는 매우 직접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들의 정치론을 살펴보면, 군주론에서는 군 주의 정치적 역량보다 군주의 마음을 가장 중시하였고, 신권론에서는 나라를 경영하는 주체로서 신하의 권한을 옹호하고 있으며, 붕당론에서는 군자와 소인 을 엄격하게 구분할 것을 요구하고, 외세론에서는 시종일관 외세배격의 논리를 지녔다. 그리고 학문론에서는 주자학의 공통된 이념인 ‘性卽理’를 공유하였고, 敬과 실천을 매우 중시하였다. 또한 이들은 인격적 면에서도 매우 유사한 면모 를 보여주고 있었다. 남명학을 두고 주자학이 아니라는 의견이 있기도 하지만, 적어도 김우옹의 삶 과 사상을 살펴본 결과 김우옹을 위시한 남명학파는 철저히 주자학의 기반위에 서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鄭琢은 이황과 조식의 문하에서 수학한 학자이자 관료였다. 그는 이황에게서 心學의 요체를 배워 스승을 중심으로 심화되고 있던 조선 유학의 心學化 현상 의 한 가운데에서 활동하였다. 조식으로부터는 壁立千仞의 기상을 배워 불굴의 절의를 실천하였다. 그의 정신 세계의 원천은 유학의 경전이었고, 그 중에서도 소학, 대학, 중용을 가장 중시하였다. 내용적으로는 경-중용-절의의 세 요소가 서로 유기적으로 연관되어 하나의 체계를 구성한다. 중용과 절의를 최 선의 가치로 본 유가의 철학에 세계와 인간의 신성함에 대한 성찰을 더하면서, 수양에 의한 인격화 및 사회적 확산을 도모하는 도정에 나타난 것이 정탁의 학 문이다. 그의 시대의 사림파들은 도덕으로부터 독립된 利害의 세계를 허용하는 대신 의리론에 입각하여 이해의 세계를 재해석하고, 이해 타산이 아닌 순수한 도덕 감정에 의해, 私心없는 도덕성에 의해 영위되는 삶을 살고자 하였다. 그것 은 일상의 세계를 이상적 도덕 관념과 실천으로 엄밀하게 통제하여 감을 뜻한 다. 이 목표를 이루기 위해 心性論과 理氣論을 검토하고 그로부터 추출된 진리 를 修養論에 의하여 體化하고자 한 것이 이 시대 학자들의 학문이었다. 그러나 이런 흐름의 영향 하에서 도덕적 관념을 일상화하고, 세계와 인간의 본질을 신 성화하는 정탁의 생각은 도덕적 근본주의라고 부를 수 있는 것으로서 세상을 바라보는 아주 좁은 시각이다. 정주학적 세계관과 윤리관의 착근과 순수성에의 몰입은 이념의 경색화와 다른 것이 아니었다. 전기 관학파가 의리와 함께 실리 를 함께 중시하다가 이해의 함정에 빠졌다면, 사림파는 도의의 순정성을 중시 함으로써 일상에 대한 탄력적 대응 능력을 상실하였다. 정탁은 정주학이 이 두 모습을 모두 드러내던 시기에 활동한 학자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