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선 치료에서 일정한 호흡주기의 유지가 필요한 흉부 및 복부를 치료할 때 환자의 자세와 belly board device의 사용 여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호흡신호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임상적용에 관한 유용성을 검정하였다. 호 흡주기유지는 supine 자세에서 비교적 양호하게 나타났으며, prone 자세에서 호흡주기 유지가 양호하지 않은 경우에 belly board를 적용하여 85%가 유의하게 다른 패턴의 호흡주기를 보였고, 57%는 호흡주기 유지가 양호하게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피험자의 비만도와 체중에 따른 호흡주기유지 안정성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안정성의 상대 적 비교지수로 분석한 시간의 흐름에 따른 호흡의 안정성 유지는 supine 자세에서 비교적 안정적이었으며, 호흡주기 유지의 검정통계결과와 일치하였다(p=0.044, kappa=0.607). 흉부 및 복부 심지어 골반의 방사선치료에서도 호흡에 의한 환자의 움직임은 중요한 고려사항 중 하나이다. 환자의 치료부위와 target의 위치, 예상되는 plan의 beam arrangement에 따라, 환자의 자세 및 device의 여부가 결정되지만, 본 연구와 같이 호흡신호의 통계적 분석과 이의 적 용을 통해, 호흡유지에 최적의 자세, belly board와 같은 device 사용여부를 결정하여, 호흡주기의 유지 및 호흡의 안정 도 유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입체적 분포를 형성한 시각신경계에 대하여 MRI 시스템의 경사자기장으로써 하나의 스캔 대상단면을 3 차원 형태의 여러 방향으로 향하게 하는 다중사위 스캔각도의 변화에 관하여 실험하였고 기존의 단순각도 사방향 검사 방법과 비교 고찰 하였다. 입체적 분포를 이루는 뇌의 시각신경계에 대하여 MR 시스템의 경사자기장으로써 국내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시각신경의 사위영상화를 위한 기존의 사위(시상-관상단면) 스캔방법과 다중사위(시상-관상-횡단 면) 스캔각도의 변화를 실험하였다. 그 결과 다중각도를 이용한 사위스캔 방법이 기존의 스캔방법에 비해 더 넓은 영 역의 해부학적 정보를 나타내는 것을 영상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시각신경을 명료하게 나타내기 위해서는 영상단면두 께와 펄스시퀀스의 선택도 고려되어야할 것으로 확인 되었다.
The poem “Marina” of T. S. Eliot technically takes the play Pericles of Shakespeare in terms of two voices: the surface pattern based on a dramatic story of Pericles, prince of Tyre, and the deep pattern based on a ultra-dramatic feature of solemn music. Shakespeare is regarded as a dramatist and poet in his later works, such as Pericles, in which he uses a system of related allusions in dramatic situations to reflect implicitly on drama and its program in a unity of poetry and music. Eliot technically steals it in a different way, called his own program, where he secures a solemnity by virtue of a gaiety of content, and a gaiety by virtue of a solemnity of content. His poem thus is poetry which uses the order in which Pericles is written and his technical relations to the play in conversational language and dramatic situations on the surface and in ultra-dramatic aspects in depth. In the ultra-dramatic presentation, musical pattern, and liturgical treatment of characters’ emotions proceed to comment on the recognition scene (V, i) of the play. In the poem, the ultra-dramatic aspects refer to “Eliot’s perspective on life that is as if from beyond life.” The hidden music from the recognition scene (V, i) of the play seems supernatural, as if we are taking part in a ritual. Finally in terms of synchronicity, Hercules, a stoical character in Seneca, is taken for Pericles in Shakespeare; and Senecan Shakespeare is almost certain to be produced in Eliot’s poem “Marina.” We can see this synchronicities value in Eliot’s view of stoical life, taken from Seneca and Shakespeare as well.
This studi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growth responses and yields of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which were grown with organic cultivation using two organic fertilizers and two green manure crops of hairy vetch and rye in 2008 and 2009. The lengths of stems and roots were not clearly different between organic and conventional cultivations. The root diameters and the branch numbers were slightly thicker and more in all treatments of organic cultivation than that of conventional cultivation in 2008, although the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cultivating methods in 2009. The dry weights of shoot and root were heavier on organic cultivation than those on conventional cultivation. The T/R ratios were commonly higher in organic culture, showing more clearly in 2008 than 2009. The yields were generally higher in organic cultivation than those in conventional cultivation in 2008 although the effect did not clear on yield in 2009. The organic cultivation using of organic fertilizers and green manure crops would be new method to have safety and qualitative products. The techniques of organic cultivation for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would be studied more on utilizing the natural organic resources.
경부 CT검사 시 선속경화인공물(Beam Hardening Artifact)에 의해 제 6번 7번 경추 및 추간판 등의 질환 및 그밖 에 해부학적 구조를 정확히 구분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경부 CT검사를 시행할 경우 자세의 변화방법을 적용한 견관절 의 방향과 위치에 따른 영상평가 및 커널값의 변화에 따른 영상평가를 통하여 선속경화 인공물의 원인을 알아보고 가 장 적절한 검사자세 및 Kernel값을 실험을 통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경부 CT검사를 위해 내원한 환자 30명(2010년 7월1일 ~ 2010년 12월31일까지 내원한 환자)을 대상으로 Somatom Sensation 16(Siemens, Enlarge, Germany)장비 를 이용하였고, workstation은 AW 4.4 version(GE, USA)을 이용하였다.. 환자 자세는 견관절의 방향과 위치에 따라 세가지 자세로 변화를 주었으며 양쪽 팔을 편안하게 위치시킨 바로 누운 자세(group N), 왼쪽 팔을 거상 시킨 자세 (group S) 그리고 양손을 외 선위(eversion)시켜 최대한 아래로 내리는 자세(group P)로 견관절의 방향을 변화를 주 어 스캔을 시행하였고, 두 번째로 영상 재구성 방법을 이용하여 스캔 데이터에 커널값을 B10(very smooth), B20(smooth), B30(medium smooth), B40(medium), B50(medium sharp), B60(sharp), B70(very sharp)로 변화를 주어 재구성 하였다. 검사자세의 변화와 Kernel값의 변화를 주어 얻어진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각의 노이즈 값 측정과 영상평가를 통하여 분석해보았다. 경부 CT검사 시 검사자세는 양손을 외선위(eversion)시켜 최대한 아래로 내 리는 자세(group P)로 하며, 커널 값은 B40(medium)또는 B50(medium sharp)으로 재구성할 경우 가장 적절한 자세 와 커널값으로 분석되어 임상에 적용 시 매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To investigate a comparison of rice yield and quality by a utilization of green crops using barley and hairyvetch,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rice (Oryza sativa L.) organic cultivation field. Convention barley harvest (CBH), Green barley crop (GBC), Green barley+Green Hairyvetch crop (GB+HVC), and Non-Green crop (NGC) were treated in rice cultivation field. The results obtained as following: 1) Culm length and pancile length in Convention barley harvest (CBH) cultivation were longer than organic cultivation but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treatments. Yields of milled rice in Green barley crop (GBC) and Green barley+Green Hairyvetch crop (GB+HVC) were by 90.3% and 95.9%, respectively. 2) Protein contents in Green barley crop (GBC) and Green barley+Green Hairyvetch crop (GB+HVC) were by 5.7% lower than 6.6% in Convention barley harvest (CBH) cultivation. Amylose contents in all treatment were similar as range 18.8% to 19.1%. Whiteness contents in Green barley crop (GBC) and Green barley+Green Hairyvetch crop (GB+HVC) were slightly higher by 38.9% and 39.1%, respectively, than 37.7% in Convention barley harvest (CBH) cultivation. 3) Palatability values in Barley harvest (BH) and Non-Green crop (NGC) were slightly higher by 82.0 and 83.8, respectively, than 77.6 in Convention barley harvest (CBH) cultivation. 4) Head rice in Non-Green crop (NGC) was 95.5%, while that of Convention barley harvest (CBH), Green barley crop (GBC), and Green barley+Green Hairyvetch crop (GB+HVC) were slightly low as range 93.8% to 94.2%. White core and belly rice in Convention barley harvest (CBH) cultivation was the highest level by 1.7%. 5) Leaf blast, neck blast, sheath blight, rice stem maggot, rice leaf roller, rice leaf-tier, and green rice leafhopper were occurred lightly in rice field.
본 연구에서는 원심모형시험기를 이용하여 강원도 강릉시 소재 장현 저수지의 축소 모형에 대하여 월류 시 제체의 붕괴 거동 특성을 파악하고, 제체보호공법을 고찰하였다. 원심모형시험 시 모형 단면은 1/50로 축소하여 축조하였고 LVDT, 간극수압계를 설치한 후 월류시험을 수행하였다. 월류시험은 차수매트 보강방법에 따라 미설치 시, 상류사면 및 제정부근 설치 시, 상하류 사면 전체 설치 시 등으로 나누어 수행되었다. 원심모형시험 결과 차수매트 설치 시 제체의 세굴과 토사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차수매트의 보강을 최소한으로 한 상류사면 및 제정부근 설치 시에 하류사면의 유실은 불가피하게 발생하지만 상·하류방향으로 발생되는 제체의 절단은 막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자치단체 소관 소규모 저수지에서 집중호우로 인한 월류 상황 발생을 사전에 예측하여 제체보호공법을 적용한다면 우기 시 빈번하게 발생하던 저수지 붕괴 사고는 막을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최근 우리나라는 기상이상으로 인한 자연재해 현상의 증가뿐만 아니라 다양한 인적 및 사회적 재난의 증가로 매년 다양한 종류의 재난, 재해의 피해를 입고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다양한 교통 방재 분야에서는 자가 승용차 위주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으나, 차량을 소유하지 않은 이용자, 노인 청소년, 어린이 등은 재난 발생시 신속한 대피를 하는데 매우 취약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재난 발생시 이용 가능한 수송수단을 검토하고 분석하여 각 수송수단의 역할 정립하여 재난 영향권 내 존재하는 모든 사람들이 자가 승용차뿐만 아니라 다양한 교통수단(버스, 지하철, 철도, 항만, 항공기 등)을 이용하여 대피할 수 있도록 수송수단의 역할 정립에 대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수송수단의 역할을 바탕으로 재난 발생시 자가 차량을 이용한 대피방안 뿐만 아니라 비차량 이용자(대중교통, 스쿨버스, 관용 및 군용차량 등)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활성화된다면 한정된 도로를 통한 대피가 더욱 안전하고 신속하게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안동댐 조정지에서 낙동강 하구 사이의 낙동강 구간에 대하여 4대강 사업에 의한 하도 준설과 보(수문) 건설이 낙동강 본류의 하류 측 홍수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하도의 홍수추적 모형인 HEC-RAS(River Analysis System) 4.1.0 Version 부정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하도준설 전·후에 대한 각각의 계산 모형을 구축하였고, 2011년 5월에서 7월 사이 홍수사상을 대상으로 각 보 및 주요 수위표 지점에서 관측수위와 수문완전개방(Full Open Gate) 상태의 홍수위를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하도준설 후 모형에서는 HEC-RAS 모형 내의 Rule Operation 기법을 적용하여 보의 상류 및 상류 수위표의 수위에 따른 가동보 수문을 개방하는 4가지 운영방안을 제시하였고 주요 지점별 수문운영 조건에 따른 수위수문곡선 그리고 계획홍수위, 관리수위, 운영조건, 수문완전개방 상태를 비교한 수위곡선 마지막으로 낙동강 전 구간에 대한 수문운영 및 수문완전개방 그리고 수문운영 및 계획홍수위의 홍수위를 비교하였다.
○ 지진가속도계측기 설치대상 시설
○ 지진가속도계측기의 설치 위치
○ 지진가속도계와 기록계 연결방법
○ 지진가속도 계측자료의 저장방법 및 전송방식
○ 지진가속도계측기의 성능 및 표준규격
○ 지진가속도계측기 설치 사업 추진시 권고사항
- 협상에 의한 계약
- 안정화에 필요한 과업기간 확보
- 서버급 시스템 구성
- 계측자료 연계방식 명기
- 성능인증
- 자유장 지진가속도계의 설치 위치
- 관리대장 등 보고서는 온라인 등록·제출토록 명기
- 지진가속도계측기 조기 설치
전이성 척추암 환자를 대상으로 1.5 T MR 기기에서 조영제 주입 전⦁후 확산강조영상에서 전이가 된 요추의 신호 대 잡음비, 대조도대 잡음비, 현성 확산 계수가 어떤 변화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영상의 정량적 분석에서는 전이성 척추암 그룹의 경우 조영제 주입 전 확산강조영상에서 전이성 척추암이 있는 부 위와 척추암이 있는 부위의 위, 아래 척추등 세 부위의 신호대 잡음비는 척추암이 있는 부위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조 영제 주입 후 확산강조영상에서는 조영제 주입 전보다 세 부위 모두 신호대 잡음비가 상대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척추암 이 있는 부위의 위, 아래 척추등 두 부위 에서는 대조도대 잡음비가 상대적으로 증가했다. ADC map영상에서는 조영제 주입 전에서 신호대 잡음비는 척추암이 있는 부위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조영제 주입 후에서는 조영제 주입 전보다 전 이성 척추암이 있는 부위와 척추암이 있는 부위의 위, 아래 척추등 세 부위 모두 신호대 잡음비가 상대적으로 감소했 다. ADC map영상에서의 현성 확산 계수는 조영제 주입 전에서 현성 확산 계수는 척추암이 있는 부위에서 낮게 나타 났으며 조영제 주입 후에서는 주입 전보다 세 부위 모두 현성 확산 계수가 상대적으로 감소했다. 정상 그룹의 경우 확 산강조영상에서 요추체 3, 4, 5번 세 부위 모두 신호대 잡음비가 상대적으로 증가했고 ADC map영상에서는 조영제 주입 후 확산강조영상에서 세 부위 모두 신호대 잡음비가 상대적으로 감소했다. ADC map영상에서의 현성 확산 계수 는 세 부위 모두 현성 확산 계수가 상대적으로 감소했다. 영상의 정성적 분석에서 조영제 주입 후 확산강조영상에서 전이성 척추암이 있는 부위의 신호강도가 증가하였고 ADC map영상에서는 신호강도가 감소하였다. 조영제 주입 후 확산강조영상에서 전이성 척추암이 있는 부위와 척추암이 있는 부위의 위, 아래 척추 등 세 부위 모두 신호대 잡음비와 대조도대 잡음비가 증가하고 현성확산계수가 감소하는 결과를 얻었고 조영제 주입 후 확산강조영 상이 여러 가지 척추질환으로의 적용에 도움을 줄 것이라 사료된다.
다능성 세포를 포함하는 골막은 골모세포와 연골세포로 분화될 수 있다. 그리고 배양된 골막유래세포는 골형성 능 력을 가지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골막유래 세포들과 골이식재 간의 상호작용을 평가하는 것이다. Sprague-Dawley 랫드의 두개골 골막에서 세포를 분리한 다음, 배양된 골막유래세포를 beta-tricalcium phosphate (β-TCP)와 함께 임계결손부 크기의 두개결손부에 이식하였다. 모든 랫드는 골이식 수술 후 8주째에 희생되었으며, 골이식부의 골형성 능력은 일반방사선, micro CT 및 조직검사를 통해 평가되었다. β-TCP와 함께 이식된 골막유래세 포는 골결손부에서 더욱 증가된 석회화작용을 나타내었으며, 골결손부 안쪽 및 가장자리에 골밀도 증가와 신생골이 형 성되었다. 특히 골막유래세포는 β-TCP만 단독으로 이식하였을때보다 함께 이식 시 효과적으로 신생골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배양된 골막유래세포가 골결손부에서 골형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