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084

        2961.
        200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Jisujeong is a bower Kim Deug-yeon builds to best of his ability from latter part of his fifties. The building is not merely for pastimes, but for his applying himself to his own study, teaching younger scholars, and carrying on his own life converted to Nature. The reason why he name his building 'Jisu' is as follows; for staying the flowing water, for making his mind clear, not only for the former purposes but for awakening others mind. In addition, it can be said that he reveals implicitly his likings for the mountain and water, and has both wisdom and benevolence. In Jisujeong and Eight famous spots in Jisujeong, he recites the surrounding scenery of his life. The contents of the two poems are the longing for the benevolent wizard's life in the mountain, but indeed his genuine message are the beauty of Nature, and the disinterested living with Nature. Jisujeong and Eight famous spots in Jisujeong, making the relationships and functions of the poet and the persona clear, result in the harmony or unison with natural phenomena. In these poems we can find out, doing away with his ambitions for success or desires for fame, devoting to Nature, his livings free from worldly life for himself to the end. It seems that Ode on Jisujeong has seven features. Firstly, it has a full length. It represents he is a talented literary man. Secondly, the effects of description are in good use. Thirdly, he uses many difficult historical allusions. Fourthly, not a matter of prestiges, his thoughts and deeds, his words and deeds are kept accord with. Fifthly, the feature of describing his feelings has in common with the former Chinese poems. Sixthly, he reveals that he is a manly man, and performs his own natural disposition. Seventhly, listing the characters he has studied and respected, he presents the orientation of his mind. Kim Deug-ueon is both a scholar and a literary man, living from the mid-sixteenth century to the early days in the seventeenth century. Of his works, there remain six hundred Chinese poems, sixty three sijios(three-verse Korean poem), one lyrics, twenty three Chinese proses. Judging from this we are not supposed to fail to notice his value in korean literary history.
        2962.
        200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 단작 만기 및 보리후작 건답직파의 수량성과 토양물리 과학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영남농업시험장 답작포장에서 1990년부터 1999년까지 10년간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품종은 동해벼('90-'96), 금오벼2호, 화영벼('97-'98), 금오벼 1호, 영해벼('99)를, 작부방식은 벼 단작 만기직파와 보리후작 벼 직파를 하였고 보리후작 벼 직파는 보릿짚제거후 직파와 보릿짚 시용후 직파를 실시하였던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아일수는 보리후작 건답직파는 8~9일로 벼단작 직파 9 일과 비슷하였고 m2 당 적정 입모 확보는 문제가 없었으나, 벼 단작 직파보다 입모수의 변이가 약간 컸으며 파종후 15~35일 초기생육에 있어 엽수는 비슷하였으나 초장은 2.8-10.7% 억제되었다. 2. 출수기는 처리간 차이가 없었고 초기 생육은 보리후작에서 약간 떨어졌으나 점차 회복되어 간장과 수장은 비슷하였으며 m2 당수수 증가로 영화수가 많았다. 3. 평균쌀수량('00~'99)은 보릿짚 시용구는 4.72 MT/㏊으로 벼 단작 직파보다 9%증수되었고 년차간 변이가 적었다. 4. 보리후작시 완전미 비율이 낮고 청미비율이 높아 품위가 떨어졌고 벼 단작과 비교시 이밀로즈함량, 단백질함량 및 Mg/K당량비는 비슷하였다. 5. 보릿짚시용시는 고상율이 낮아 토양공극율이 높고 토양 유기물이 증가되었으며('90(27.1 g/kg) → '99(보릿짚시용 : 36.1 g/kg, 벼 단작 : 25.5 g/kg)) 치환성양이온 Mg 및 K의 함량은 벼단작과 비슷하였으나 Ca함량은 증가 되었다.
        2963.
        2001.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파를 간이저장 할 때 발생하는 부패 및 변색구에 의한 상품성 저하를 감소시킬 목적으로 무차광. 55% 차광 및 95%차광을 처리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평균온도는 무차광에 비해 15%차광에서 1.0~2.9가 낮았고, 95%차광에서는 2.0~3.8가 낮았으며, 상대 습도는 차광정도가 높을수록 약간 높았다. 2. 처리별 조도 및 색도는 차광정도가 높을수록 낮았고, 저장 21일 후 변색구 발생율은 무차광 90.0%애 비해 55%차광 3
        2964.
        2001.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파 간이저장시 노지야적에 의해 발생하는 부패를 감소시켜 망과의 안전저장을 위하여 조립식 간이하우스를 이용하여 통풍조건 및 통풍구 재료의 크기에 따른 저장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평균온도는 노지야적에 비해 강제통풍에서 0.3~3.6높았고, 무통풍에 비해서는 1.4~8.2가 낮았다. 그러나 처리간 유의차는 없었다. 상대습도는 통풍처리구에서 무통풍 및 노지야적에 비해 약간 높았다. 구중감소율은 노지야적에서는 2.5%, 무통풍에서는 2.9%,
        2966.
        200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973.
        2001.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E필름과 스티로폴 상자를 이용한 생강 저장시 탄산가스 흡착제 및 저장 온 .습도가 생강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PE필름이나 스티로폴 상자에 생강을 저장하여 온 습도와 환기공수 및 탄산가스 흡착제 처리에 따른 효과를 검토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PE 필름 포장에 의해 중량감소가 현저하게 억제되었으며 0.05 mm보다 0.08 mm에서 중량감소율은 낮았으나 부패율 및 곰팡이발생율이 높았고, 저장온도별로는 15에 비하여 1에서
        2977.
        200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질소비료를 3~7회 분시하여 옥로차의 수량 및 품질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5회 분시가 타처리에 비해 생육과 수량이 많고 타처리에 비해 총질소, 총아미노산, 비타민C 함량이 약간 많았으며 탄닌, 카페인, 엽록소, 총유리당 함량은 3회분시를 제외하고 4~7회 분시에서 거의 차이가 없었다. 지방산 함량은 2,888~2,933mg/100g이었고, 특히 5회 분시에서는 ole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ld 함량이 가장 많았다. 옥로차 감칠맛 성분인 theanine을 포함해 16종이 아미노산을 분리 정량한 결과 5회 분시가 타처리에 비해 theanine 함량이 72~513mg/100g더 많았다. 관능평가에서 3회 분시가 80.2점으로서 다른 처리보다 낮았고, 5회 처리가 84.7점으로 가장 높았다. 결론적으로 5회 분시처리가 다른처리에 비해 수량도 양호하고 차 품질도 우수하여 옥로차의 적정 분시첫수라고 생각된다.
        2980.
        200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돈분뇨 발효액비를 양채류인 결구상추의 재배에 비료원으로 활용하면서 환경오염 부담을 경감하고자 강원도 고랭지 지역인 대관령에서 수행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돈분뇨 발효액을 토양에 처리하였을 때 대조구인 화학비료시용구에 비해서 결구상추의 생육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수량은 돈분뇨 발효액 처리구에서도 저농도인 50배 희석구에서 가장 높았다. 돈분뇨 발효액 처리시 결구상추에 흡수되는 영양소 함량은 대조구인 화학비용시용구에 비해 증가되는 경향이었으며, 돈분뇨 발효액 희석구와 비교할 때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다. 시험전 토양에 비해 돈분뇨 발효액를 처리한 후 pH, EC, 토양의 질소(NH4-N, NO3-N), Av. P2O5, Ex. Ca 및 Mg함량은 뚜렷한 변화가 없었다. 본 시험결과 돈분뇨 발효액에는 많은 양의 비료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과다 시용시에는 작물피해는 물론 토양이나 지하수를 오염시킬 수 있기 때문에 결구상추의 경우 관비재배시 50배 희석하여 시용하면 작물생육과 환경 측면에서 매우 바람직하다고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