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092

        2961.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인생전반에 걸쳐 인지 과제 수행 중 자동자세와 감각통합 반응의 발달과 변화에 대한 메커니즘을 Posturography를 통해 규명하고 궁극적으로 노인들의 낙상을 예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획득하는데 있다. 건강상의 문제가 없으며 어떤 형태의 대근감각, 인지적 또는 신경손상이 없는 남·녀를 대상으로 만 8세에서 75+세에 걸쳐 6개 연령층을 각각 15명식 무선 표집하여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8-9세, 14-15세, 20-25세, 40-45세, 65-74세, 75세+). 피험자들은 인지과제 수행과 인지과제 수행 없이 지면반력기 위에서 6가지 조건을 1회 20초씩 각 3회 시행하여 복합평형점수, 조건별 평형점수, 감각분석, 동작전략, COG 정렬 등의 감각구성에 대한 점수들이 획득되었다. 운동제어 검사는 지면반력기의 6가지 움직임 변화에 대한 체중분배, 잠복기, 진폭 등이 획득되었고 발바닥의 아래쪽이동과 발바닥의 위쪽이동에 대한 적응점수 등이 획득되었다. 실험 결과 종합 평형성, 조건별 평형성, 감각분석, 전략, COG정렬, 잠복기, 적응도, 등에 대해서 연령증가에 대한 변화가 인지과제 수행 여부에 관계없이 나타났다. 그러나 그 변화는 인지과제 수행시 노인 집단에서 더 크게 나타나났다. 노인의 자세제어 능력은 다른 연령집단과 비교하여 볼 때 인지과제 수행시 자세제어를 위한 종합적인 감각 통합과 이에 따른 전략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고 이런 차이가 궁극적으로 많은 낙상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자동자세 반응에서 신경전달 속도와 적응면에서도 그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노인들의 낙상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신경계의 쇠퇴, 인지과제와 관련된 부적적한 감각통합, 그리고 돌발적인 상황에서의 자세제어 전략과도 관계가 있을 것으로 연구결과는 제언한다.
        2963.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oems of Wangsogun. had been written by many Korean, Chinese, and Japanese poets in ancient time. Today we can discover several different aspects from the their contents. On this parer, I would like to introduce the particular points of three nations' poems in which Wangsogun's life was divided in six terms. The first, I am interested in how poets of each nation described Wangsogun, before she left the court of Han(漢) in old time of China. In the poems, poets of three nations commonly told it very sadly at that time. However Japanese and Chinese poets did not say about it as sad as Korean do. It is very interesting thing that Korean poets sang the fact distinctly. Probably, in Korea the birth and growth of someone are accepted as an important thing than any other country. The second. Wangsogun had lived unhappily in the court of Han, because she didn't be recognized by Woenhe(元帝), the Emperor of Han. Among the poets of Japan and China, this problems were not accepted as a large issue except of Korea. The third, it was really miserable thing for the poets of three countries in ancient East Asia to describe the fact that Wangsogun departed for Hyungno(匈奴). Especially, In Japan, this subject of Wangsogun's poem, was accepted more serioulsy than the other countries. The fourth,it caused variety problems why Wangsogun had to be married to Hohansa(呼漢邪), the king of Hyungno. The poets of three nations generally explained that Wangsogun wanted to go there by herself, but that reason was different from each other country. The fifth, the life of which Wangsogun had lived in Hyungno, implicated lots of means in Chinese poems. In historical materials, it was treated very importantly whether Wangsogun was married to his son or not. But, in the poems, many poets of three countries criticized about incapability of Han dynasty. The sixth, at this part, I try to understand the reaction of poets who wrote the Cheongchong(靑家), Wangsongun's tomb. Many Korean, Chinese and Japanese poets sang the Wangsogun's conduct through description of Cheongchong. Especially Korean poets described the mood of Wangsogun's tomb less than Chinese poets. This aspect was caused from Korean poets had not have many opportunities to see the Cheongchong. On the above, Icompared three nations ancient poems which told the life of a woman who lived in the court of Han, and was married to Hohansa. We realize the fact that poets of three nations described the life of Wangsogun in various sides of hteir various versions. In many cases, Chinese poets sighed at the tragic fate of their own country, Korean expressed the sorrow of themselves through the Wangsogun's poems, and Japanese sang the grief of Wangsogun who had to go to Orangkae(胡)'s region.
        2968.
        200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삼백초의 3요소 시비 적량을 구명하고자 3요소 시비수준을 무비구 등 3요소별 4수준으로 11조합하여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양의 이화학적 변화는 pH, 유기물, 마그네슘, CEC 그리고 EC는 시험 전에 비해 시험 후에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인산, 칼리 그리고 칼슘은 상반된 경향이었다. 2. 건엽중은 무비구 281kg/10a에 비하여 3요소 시비구에서 26~108kg가 많았으며, 건근중은 무비구 610kg/10a에 비하여 3요소 시비구에서 19~157kg가 많았다. 3. 2년생 삼백초의 3요소 시비적량은 질소 7.1, 인산 2.5, 칼리 4.2kg/10a이었다.
        2969.
        200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Jisujeong is a bower Kim Deug-yeon builds to best of his ability from latter part of his fifties. The building is not merely for pastimes, but for his applying himself to his own study, teaching younger scholars, and carrying on his own life converted to Nature. The reason why he name his building 'Jisu' is as follows; for staying the flowing water, for making his mind clear, not only for the former purposes but for awakening others mind. In addition, it can be said that he reveals implicitly his likings for the mountain and water, and has both wisdom and benevolence. In Jisujeong and Eight famous spots in Jisujeong, he recites the surrounding scenery of his life. The contents of the two poems are the longing for the benevolent wizard's life in the mountain, but indeed his genuine message are the beauty of Nature, and the disinterested living with Nature. Jisujeong and Eight famous spots in Jisujeong, making the relationships and functions of the poet and the persona clear, result in the harmony or unison with natural phenomena. In these poems we can find out, doing away with his ambitions for success or desires for fame, devoting to Nature, his livings free from worldly life for himself to the end. It seems that Ode on Jisujeong has seven features. Firstly, it has a full length. It represents he is a talented literary man. Secondly, the effects of description are in good use. Thirdly, he uses many difficult historical allusions. Fourthly, not a matter of prestiges, his thoughts and deeds, his words and deeds are kept accord with. Fifthly, the feature of describing his feelings has in common with the former Chinese poems. Sixthly, he reveals that he is a manly man, and performs his own natural disposition. Seventhly, listing the characters he has studied and respected, he presents the orientation of his mind. Kim Deug-ueon is both a scholar and a literary man, living from the mid-sixteenth century to the early days in the seventeenth century. Of his works, there remain six hundred Chinese poems, sixty three sijios(three-verse Korean poem), one lyrics, twenty three Chinese proses. Judging from this we are not supposed to fail to notice his value in korean literary history.
        2970.
        200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 단작 만기 및 보리후작 건답직파의 수량성과 토양물리 과학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영남농업시험장 답작포장에서 1990년부터 1999년까지 10년간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품종은 동해벼('90-'96), 금오벼2호, 화영벼('97-'98), 금오벼 1호, 영해벼('99)를, 작부방식은 벼 단작 만기직파와 보리후작 벼 직파를 하였고 보리후작 벼 직파는 보릿짚제거후 직파와 보릿짚 시용후 직파를 실시하였던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아일수는 보리후작 건답직파는 8~9일로 벼단작 직파 9 일과 비슷하였고 m2 당 적정 입모 확보는 문제가 없었으나, 벼 단작 직파보다 입모수의 변이가 약간 컸으며 파종후 15~35일 초기생육에 있어 엽수는 비슷하였으나 초장은 2.8-10.7% 억제되었다. 2. 출수기는 처리간 차이가 없었고 초기 생육은 보리후작에서 약간 떨어졌으나 점차 회복되어 간장과 수장은 비슷하였으며 m2 당수수 증가로 영화수가 많았다. 3. 평균쌀수량('00~'99)은 보릿짚 시용구는 4.72 MT/㏊으로 벼 단작 직파보다 9%증수되었고 년차간 변이가 적었다. 4. 보리후작시 완전미 비율이 낮고 청미비율이 높아 품위가 떨어졌고 벼 단작과 비교시 이밀로즈함량, 단백질함량 및 Mg/K당량비는 비슷하였다. 5. 보릿짚시용시는 고상율이 낮아 토양공극율이 높고 토양 유기물이 증가되었으며('90(27.1 g/kg) → '99(보릿짚시용 : 36.1 g/kg, 벼 단작 : 25.5 g/kg)) 치환성양이온 Mg 및 K의 함량은 벼단작과 비슷하였으나 Ca함량은 증가 되었다.
        2971.
        2001.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파를 간이저장 할 때 발생하는 부패 및 변색구에 의한 상품성 저하를 감소시킬 목적으로 무차광. 55% 차광 및 95%차광을 처리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평균온도는 무차광에 비해 15%차광에서 1.0~2.9가 낮았고, 95%차광에서는 2.0~3.8가 낮았으며, 상대 습도는 차광정도가 높을수록 약간 높았다. 2. 처리별 조도 및 색도는 차광정도가 높을수록 낮았고, 저장 21일 후 변색구 발생율은 무차광 90.0%애 비해 55%차광 3
        2972.
        2001.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파 간이저장시 노지야적에 의해 발생하는 부패를 감소시켜 망과의 안전저장을 위하여 조립식 간이하우스를 이용하여 통풍조건 및 통풍구 재료의 크기에 따른 저장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평균온도는 노지야적에 비해 강제통풍에서 0.3~3.6높았고, 무통풍에 비해서는 1.4~8.2가 낮았다. 그러나 처리간 유의차는 없었다. 상대습도는 통풍처리구에서 무통풍 및 노지야적에 비해 약간 높았다. 구중감소율은 노지야적에서는 2.5%, 무통풍에서는 2.9%,
        2974.
        200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