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297

        1061.
        201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강원도 홍천군 지역의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2008년 4월부터 2009년 5월까지 총 13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그 결과 관속식물은 43목 118과 443속 903종 6아종 125변종 18품종 3교잡종으로 총 1,05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그 중 한반도 특산식물은 37분류군이며, 산림청 지정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이 35분류군 이었고 국외반출 승인대상 식물에는 61분류군이 조사되었다. 또한 환경부 지정 법정 보호식물은 4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224분류군으로 집계되었다. 한편 귀화식물은 45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4.3%, 도시화지수는 16.1%로 나타났다. 조사된 1,055분류군의 유용도는 식용이 359분류군(34%), 약용 293분류군(27.7%), 목초용 166분류군(15.7%), 관상용 143분류군(13.5%), 목재용 41분류군(3.9%), 섬유용 25분류군(2.3%) 그리고 공업용이 3분류군(0.2%)으로 나타났다.
        7,800원
        1062.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기 조성된 옥상녹화지의 동 식물상 모니터링을 통해 옥상녹화지의 생태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대상지는 서울여대 행정관 옥상녹화지역으로 조성 당시인 2005년과 2009년 현재 식재 식물의 생존여부와 이입식물, 출현 동물군 중 곤충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식재당시인 2005년의 경우, 식물은 식재종 26과 100종이었으나, 2009년 조사 결과 23과 62종으로 나타났다. 이 중 식재식물은 14과 40종으로 줄었으며, 이입식물은 11과 22종이 출현하였다. 곤충은 2009년 총 9목 7과 21종이 출현하였으며, 육안조사법으로 8목 15과 19종, 먹이 유인포획법으로 5목 5과 5종이 발견되었다. 곤충은 주로 비행하여 대상지에 출현한 것으로 보이며, 문헌조사로 밝혀진 곤충의 특성과 연관하여 분석한 결과 대상지의 식물을 식수로 이용하거나, 서식처로 사용하는 등 식물과 밀접한 연관성을 보였다.
        4,000원
        1063.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중금속이 낙엽의 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충남 청양의 폐금광의 광미에 분포하는 쑥(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과 쇠뜨기(Equisetum arvense)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광미는 높은 중금속 함량과 낮은 유기물 함량을 가지고 있었다. 광미의 중금속 함량은 대조구 토양에 비해 비소(As)는 약 13배, 카드뮴(Cd)은 약 28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크롬(Cr), 니켈(Ni) 및 아연(Zn)은 약 3배에서 6배 높게 측정되었다. 광미와 대조구 토양에서 채집한 식물체내의 중금속 함량은 광미에서 채집한 식물에서 현저히 높게 나타났으며, 쑥 잎의 경우 As는 약 23배, Cd은 25배 높게 나타났으며, 쇠뜨기 지상부의 경우 As는 58배, Cd은 11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구에서 분해 결과 중금속 농도가 높은 쑥의 잎과 대조구에서 채취한 잎이 각각 50.4%, 65.7%가 분해되었다. 또한 광미에서 진행된 분해 결과 쑥의 잎은 폐광지역에서 채취한 잎과 대조구에서 채취한 잎이 각각 31.6%, 57.5%가 분해되었다. 쑥의 줄기의 분해결과도 잎의 분해율과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쇠뜨기의 지상부의 분해는 대조구에서 분해된 결과 광미에서 채집된 쇠뜨기와 대조구에서 채집한 쇠뜨기가 각각 77.8%와 89.3%가 분해되었으며, 광미지역에서 분해 결과 각각 67.6%와 82.1%가 분해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광미에서 생육하는 식물체의 중금속의 함량이 높을수록 분해가 느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중금속이 낙엽의 분해에 영향을 미친 것이라고 판단된다.
        4,000원
        1064.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독도의 식물상과 식생을 모니터링하여 독도생태계의 보존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독도의 식물상은 29과 48속 49종 1아종 3변종 총 53종류로 기록되었다. 이 중 특산식물은 섬기린초와 섬초롱꽃 2종류이고, 귀화식물은 갓, 방가지똥, 큰이삭풀, 콩다닥냉이, 흰명아주, 둥근잎나팔꽃 등 6종류로 확인되었다. 특히, 둥근잎나팔꽃은 본 조사에서 처음으로 보고되었다. 식생형은 주로 해국-땅채송화, 해국-갯제비쑥, 왕호장근-도깨비쇠고비, 돌피, 물피군락 등으로 구분되었다. 독도에 분포하는 식물에 대한 오동정의 논란이 지속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분류군별 전문가의 조사가 필요하고, 고유식생을 유지하기 위하여 귀화식물 및 재배식물의 모니터링과 관리가 필요하다.
        4,800원
        1067.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reate an artificial wetland in rooftop greening. We monitored species and changes of flora in wetland and rooftop greening. As shown the consideration and possibility of supplying the artificial wetland in rooftop greening through flora in wetland, this study tried to find methods to create a efficient flora space. This results are listed as belows. The species were applied to artificial wetland in rooftop greening and come up to ‘General standard for selecting plants’ among hydrophyte in wetlands. The plants of Potentilla kleiniana, Penthorum chinense, Scirpus radicans, Scirpus triqueter, Veronica undulata, Mentha arvensis var. piperascens, Salvia plebeian, Sagittaria aginashi, Aneilema keisak, Stachys riederi, Alisma canaliculatum, Eclipta prostrata, Sparganium stoloniferum turned out an appropriate species. This research was expected to create a various environment and component of species by introducing many types of plants in ecological wetland on rooftop greening.
        4,000원
        1068.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에 아직 많이 이용되지 않는 식물 중 실외 정원의 화분에서 봄부터 가을까지 잘 견뎌낼 수 있는 자생식물을 조사하기 위해 2007년부터 2009년까지 한국 30여 지역을 탐사하였다. 일반적인 화분(직경 27.5 cm ×높이 27.5 cm) 과 걸이용 화분(직경 27.5 cm ×높이 13 cm)에 식물을 채 취하여 심거나 파종하여 충남 성환(북위 36´´56´ 동경 127´´09´)의 정원에서 재배하여 생육이 좋은 것으로 파 악된 자생식물은 일반적인 화분용으로는 13과 29속 38종 (초본식물 37종류, 목본식물 1종류)이었으며, 걸이용 화 분용으로는 28과 43속 46종(초본식물 29종류, 목본식물 17종류)이었다. 이 중 이용 가능성이 가장 높을 것으로 기대되는 식물은, 일반적인 화분에는 박주가리과의 박 주가리, 도라지과의 염아자, 국화과의 인진쑥ㆍ사자발쑥ㆍ 물쑥, 사초과의 가는그늘사초, 화본과의 수크령ㆍ강아지풀, 꿀풀과의 배초향ㆍ긴병꽃풀ㆍ꽃향유ㆍ산박하ㆍ들깨풀, 콩 과의 털갈퀴나물, 후추과의 후추등, 장미과의 분홍찔레의 16종이었고, 걸이용 화분용으로는 박주가리과의 박주가 리, 국화과의 좀씀바귀, 메꽃과의 메꽃ㆍ둥근잎유홍초, 마과의 마, 꿀풀과의 긴병꽃풀ㆍ백리향, 콩과의 제주달구 지풀ㆍ털갈퀴나물, 방기과의 새모래덩굴, 후추과의 후추 등, 미나리아재비과의 긴잎으아리, 장미과의 분홍찔레, 양 지꽃, 꼭두서니과의 계요등, 꼭두서니, 포도과의 담쟁이 덩굴 18종이었다.
        4,300원
        1069.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광주천의 5개 지점에서 2003년 4월부터 2004년 2월 까지 부유 및 부착 조류를 조사한 결과 총 8강 19목 6아목 35과 4아과 79속 274종이 동정되었다. 군집 구조는 규조류가 절대우점하는 가운데, 녹조류와 남조류 등이 포함된 다양한 종조성을 나타냈다. 조사기간 동안 부유조류는 방림교정점과 양동시장정점에서 총 137종이 채집되어 가장 다양한 부유조류 분포를 나타냈고, 유촌교정점에서 118종이 출현하였으며 동산타워정점에서는 50종이, 증심천정점
        4,000원
        1070.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영산강의 7 조사지점에서 식물플랑크톤의 크기별 분포양상을 수온과 관련하여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조사대 상지역에서 1년간의 조사를 통해 동정된 식물플랑크톤은 녹조류가 48속의 123종(46%), 규조류가 27속의 89종(34%) 그리고 남조류가 12속의 25종(9%) 등으로 총 265종이었다. 식물플랑크톤의 크기별 구분은 Fenchel (1987)이 제시한 2~20 μmm의 미소식물플랑크톤, 20~200μm의 소형식물플랑크톤, 200
        4,000원
        1071.
        2010.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floristic composition of resources vascular plants of Mt. Yongmunsan (1,157m). This work was investigated during the April to September in 2009. Resources vascular plants were composed of 97 families, 267 genera, 351 species, 4 subspecies, 38 varieties and 7 formae, total 400 taxa. Among the investigated resources plants, 11 taxa (2%) were Korean endemic species. The special plants based on floral region by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39 taxa; V grade species 1 taxa, IV grade species 3 taxa, III grade species 6 taxa, II grade species 9 taxa and I grade species 20 taxa. A naturalized plants were 23 species, correspond to 7.93% of total 290 species appeared in South Korea.
        4,600원
        1074.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고추와 배추에서 피해가 많은 해충인 복숭아혹진딧물의 친환경방제 방법에는 천적, 친환경자재 등이 이용되고 있다. 본 시험에서는 복숭아혹진딧물의 방제에 적용할 수 있는 식물추출조성물로 이루어진 친환경자재를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내 페트리디쉬와 포트 검정에서는 1% Pyrethrin+0.6% Matrine (PM), 1.5% Natural Pyrethrins (NP), 10% Nicotine (NI) 3종류의 식물추출 조성물을 이용하였다. 페트리디쉬 검정에서 복숭아혹진딧물에 각 식물추출조성물을 500배, 1,000배, 2,000배 농도로 처리한 후 24시간째 살충력을 조사한 결과 PM, NP, NI 모두 500배와 1,000배 농도에서 95% 이상의 높은 치사율을 나타내었다. 포트 검정에서는 고추와 배추 유묘가 심겨져 있는 포트에 각 식물추출조성물을 각각 3일, 5일, 7일 간격으로 1회, 2회, 3회 살포한 후 5일째까지 24시간 간격으로 치사율을 조사한 결과 PM, NP, NI의 500배 농도 처리에서는 살포간격에 상관없이 90% 이상의 살충력을 보였다. 그러나 1,000배 농도로 3일과 5일 간격으로 처리하였을 때는 85% 이상의 살충력을 보였지만, 7일 간격 처리에서는 80% 이하의 살충력을 나타내었다. 2,000배 농도로 3일과 5일 간격으로 1회와 2회 처리에서는 살충력이 낮았으나, 3회 처리에서 80~85%의 살충력을 보였으며, 7일 간격 처리에서는 살충력이 매우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시험의 결과를 토대로 3종류의 친환경자재를 복숭아혹진딧물의 방제에 이용할 때는 1,000배 농도로 3일~5일 간격으로 살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1075.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허브식물는 기능 및 건강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는 식품 제조 원료로 사용되고 있으나, 소면적 작물로 그동안 허브 병해충에 대한 기존 자료가 부족한 상태이다. 이에 고품질 허브생산을 위해 요구되는 해충 종합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사전조사로 허브에 발생하는 해충의 종류 및 발생소장이 규명되어야 한다. 이에 준고냉지에 20종의 허브식물을 식재하여 해충발생 특성을 2008년과 2009년 2년간 육안조사한 결과를 아래와 같이 보고하고자 한다. 발생한 해충은 총채벌레목 1종, 노린재목 4종, 매미목 4종, 나비목 8종, 딱정벌레목 1종, 파리목 1종, 거미강 1종, 기안목 1종 등 총 21종이었다. 허브식물별 해충발생수를 조사하였을 때, 바질 8종, 페퍼민트와 레몬밤, 7종, 세이지, 로켓샐러드 6종, 배초향, 구절초 5종, 벨가못, 펜넬, 한련화 3종, 로즈마리, 오레가노, 백리향 2종, 라벤더, 케모마일, 에키네시아, 고수, 쳐빌, 로즈제라늄 1종이었고, 노지에서 재배할 경우는 피해 해충 종수는 더욱 감소하였다. 해충피해가 발생하지 않은 허브식물은 재배환경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비가림하우스에서는 마조람 1종에서, 노지에서 재배한 허브식물 에서는 라벤더, 케모마일, 오레가노, 마조람, 백리향, 에키네시아, 고수, 로즈제라늄에서는 해충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 이후 해충발생특성 및 피해정도에 대한 지속적인 조사가 요구되며, 이러한 자료를 기반으로 해충방제체계를 구축하여 농가의 안정적인 생산을 유도하여야 할 것이다.
        1076.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현재 우리나라에서 멸종위기보호야생동식물로 지정되어 있는, 꼬마잠자리는 습지의 식생천이나 대규모 개발에 의해서 서식지가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꼬마잠자리의 독특한 서식지에 출현하는 식물상을 조사함으로서 향후 꼬마잠자리의 서식지 복원 및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조사지역은 꼬마잠자리가 높은 밀도로 서식하고 있는 3곳(문경 농암면, 문경 산북면, 영동)으로 하였다. 서식지의 환경적 특성은 사면의 하부에서 상부까지 서식지의 위치에 상관없이 연중 수심이 2-10cm로 유지되면서, 직사광선이 차단되지 않는 개방된 습지에서 주로 서식하고 있었다. 꼬마잠자리 서식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29과 50속 62종 9변종 2품종으로 총 73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조사된 식물들의 각 과별 구성종은 사초과와 벼과가 각각 21.9%와 13.7%로 많이 나타났다. 조사 지역별로는 영동에서 37분류군, 문경 산북에서 48분류군, 문경 농암에서 4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들 3곳에서 공통으로 출현한 식물종은 버드나무, 고마리, 벼룩나물, 좀고추나물, 매듭풀, 바늘꽃, 통발, 골등골나물, 별날개골풀, 골풀, 청비녀골풀, 사마귀풀, 뚝새풀, 조개풀, 도깨비사초, 방동사니대가리, 쇠털골로 총 17분류군이었다. 출현한 관속식물 73분류군의 생활형을 살펴보면, 휴면형은 수생식물(HH)이 24종, 1년생식물(Th)이 15종, 1년생수생식물(HH(Th))이 14종으로 많이 출현했다. 번식형에서 산포기관형은 풍력산포와 중력산포를 가지는 것(D1,4) 이 25종, 중력산포형(D4)이 23종으로 많이 출현했다. 지하기관형은 영양번식형 (R5)이 34종, 자동산포형(R3)이 15종으로 많이 출현했다. 생육형은 직립형(e)과 총생형(t)이 각각 21종으로 많이 출현했다.
        1077.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6~2008년 동안 새만금 간척지에서 조성된 인공 염생식물 군락지와 새만금 방조제 배수갑문 수위 관리의 연관성을 밝히기 위해 배수갑문 수위특성 및 사유, 염생식물 군락지의 공간적인 분포와 형성 과정, 수위변화에 따른 염생식물 분포공간분석을 시도하였다. 배수갑문 수위조절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파종 후 생장기의 평균수위와 연평균 수위와의 차이는 유사했으며, 연간 최저수위 및 최고수위가 파종 후 생장기에 나타났다. 3년동안 4,315만m2에 염생식물 군락지가 형성되었으며 총 2,673만m2에 대해 인공적인 염생식물 군락 조성이 시도되어 291만m2을 제외한 표고 약 1m 이상의 2,382만m2(89.1%)에 염생식물 군락지가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파종지역 염생식물 군락지 형성에서 해수의 평균수위나 최저수위보다도 최고수위가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경운 및 토양 피막 여부가 군락지 형성의 2차적인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4,000원
        1078.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태안해안국립공원 15개소 일대의 관속식물은 117과 326속 436종 49변종 6품종 2교잡종으로 총 49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태안해안국립공원은 해안과 주변의 섬을 포함하고 있는 지역으로 남부지역에 주로 분포하는 천선과나무, 후박나무, 참식나무 및 사스레피나무 등과 해안사구지역에 주로 분포하는 해당화, 통보리사초 및 갯그령이 나타났다. 그리고 단풍나무, 사철나무 및 동백나무 등 낙엽활엽수와 상록활엽수가 혼합되어 분포하고 있어서 해안이라는 지역적인 특징과 중부아구와 남부아구의 점이지대로서의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종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총 53종으로 I 등급에 해당하는 종은 순비기나무, 두루미천남성 및 큰천남성 등으로 41종이 확인되었고, II 등급에 해당하는 종은 꽃창포 1종이 확인되었으며, III 등급에 해당하는 종은 모감주나무, 솔장다리 및 굴거리나무 등으로 7종이 확인되었고, IV 등급에 갯강활 1종, V 등급에 통발 1종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도깨비가지, 미국자리공 및 달맞이꽃 등 17과 44속 51종 1품종으로 총 5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 중 생태계교란야생 동 식물로 알려진 도깨비가지, 서양금혼초와 양미역취 등 3종은 물리적 제거와 같은 관리가 요망된다.
        4,500원
        1079.
        2010.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목포항을 중심으로 영산강 하구둑과 장좌도 동북방 해역에 대한 2004년부터 2009년까지의 월별 수질 변화 및 식 물플랑크톤 변동을 파악하여 목포항의 오염 현황과 생태계의 건강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수온, 염분 등과 같은 환경요인은 하구둑 근해 수역에서 월별, 계절벌 변화가 큰 것으로 보이며, 장좌도 근해수역까지 이러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식물플랑크톤 종 조성은 해양환경의 변화에 비하면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였다. 따라서 목포항 주면 수연은 6년 동안 하구둑의 담류 방류에 의한 인근 수역의 월별, 연도별 해양환경 변화 폭이 크게 나타났으나, 식물플랓크콘에 미치는 영향은 다소 미비한 것으로 보여 해양생태계의 기본적 먹이공급에는 큰 이상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