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300

        1501.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천연식물소재 및 한약재 추출제재인 식물추출 혼합제재가 인체내에서 니코틴 분해능에 미치는 영향을 FRCFR5 세포주, Xenopus oocyte, 임상 실험을 통하여 검토하였다. 본 실험은 체내에 잔존하는 니코틴이 식물추출 혼합 제재에 의해 무독한 대사산물인 코티닌으로 분해량이 증가되고 동시에 NNK, NNN, NNA 등과 같은 폐암 유발물질인 니트로사민 유도체 생성 경로가 억제될 것이라는 가정을 전제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식물추출 혼합 제재에는 니코틴에서 코티닌으로 전환시키는 대사 활성물질이 함유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으나, 실제로 어떤 유효성분들이 관여하는지 그리고 정확한 작용 기작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분석 및 생화학적 연구가 앞으로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간세포에서 유래된 FRCFR5 세포주 실험 결과, 니코틴과 식물추출 혼합 제재가 첨가된 배지에서 니코틴과 물을 첨가한 배지보다 니코틴에서 코티닌으로 전환능력이 약 2∼3배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Xenopus oocyte에 직접 주사한 경우와 거의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임상실험 결과 식물추출 혼합 제재 음료를 음용하고 담배를 피운 실험군이 물을 음용하고 담배를 피운 대조군에 비해 약 2배 정도 높은 코티닌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는 실험군의 소변 중에 계속적으로 다량의 코티닌이 배출되는 것을 의미하며, 식물추출 혼합 제재 섭취시 체내에 존재하는 니코틴이 코티닌으로 지속적이면서 효과적으로 전환되는 것을 말한다. 이상의 생체 내·외 실험에서 알 수 있듯이 식물추출혼합물은 니코틴에서 코티닌 생성을 약 2배정도 증가 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1502.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염부하량이 높은 경안천과 오염부하량이 낮은 철원북방 비무장지대내 토교저수지에서 식물플랑크톤의 크기별 현존량과 chlorophyll a농도에 대한 계절적 변화 및 환경요인과의 상호관계를 조사하였다. 또한 식물 플랑크톤의 크기를 고려하여 > 8μm, 3-8μm, <3μm 세포 크기별로 분획하여 현존량과 chl. a 농도를 관찰하였다. 물리.화학적 환경요인은 경안천이 토교저수지보다 높게 나타났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경안천에서
        4,000원
        1503.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포도의 장님노린재 피해조사 결과 전국 159개 조사포장 가운데 113개의 포장에서 피해가 확인되었으며(발생포장율 71%), 산간지 등 격리된 소규모 재배지보다는 김포, 안성, 나주, 김천. 부여. 대전, 예산 등 포도 집단재배지에서 피해가 심했고. 1999년의 경우 심한 포장의 피해순율이 나주에서 85%, 김포에서 65%에 달했다. 포도나무의 생육초기에 발생하는 장님노린재의 종류로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 초록장님노린재, 명아주장님노린재가 확인되었으며, 이중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가 다른 종보다 채집개체수에서 월등히 많았다.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와 초록장님노린재는 거의 전국적으로 발생이 확인되었으며, 기주식물로는 애무늬장님노린재의 경우 포도, 살구나무, 벚나무 등 10종이 확인되었으며, 초록장님노린재는 더위지기, 쑥 등 10종이 확인되었다.
        4,000원
        1504.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기만 염습지의 식물상을 1999년 8월부터 2001년 10월까지 조사하였다. 본 조사는 경기만에 위치한 14개 내륙연안과 도서지역의 38개 지역에서 자연염습지, 사구, 폐염전 및 해안제방을 구분하여 수행되었다. 이 지역에서 조사된 염생식물은 17과 32속 46종이었는데, 이중 자연염습지에만 자라는 식물은 지채 (Triglochin mariti-mum L.), 천일사초 (Carex scabrifolia Steud.), 퉁퉁마디(Salicornia her
        4,000원
        1505.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골프장 주요 해충인 녹색콩풍뎅이(Popillia quadriguttata) 성충의 기주식물을 경남지역의 골프장에서 알아본 결과, 골프장에서는 13과 15속 15종의 식물을 식해하는 것이 관찰됨으로서 기존 문헌기록의 8과 11속 11종을 합하여 총 18과 25속 26종의 기 주식물이 기록되었다. 녹색콩풍뎅이의 섭식 가능 식물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내에서 조사한 결과, 34과 70종의 제공 식물 중 19과 30종을 섭식하였다. 골프장에서는 등나무를 선호하였고. 실내 실험에서는 찰피나무와 석류, 버즘나무, 이팝나무, 고욤나무를 선호하였다.
        4,000원
        1507.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ontent of inorganic metals in botanical pills and assess the safety of mineral balance in body. Inorganic metals (Fe, Ca, Zn, Na, Mg, K, Pb, Cd, Cr) were detected in 11 kinds, 51 samples by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inorganic metals in botanical pills was in the order of K(7933.32 mg/kg)$gt;Na(5848.58 mg/kg)$gt;Ca(2441.60 mg/kg)$gt;Mg(1595.34 mg/kg)$gt;Fe(353.14 mg/kg)$gt;Zn(22.49 mg/kg)$gt;Cr(3.51 mg/kg)$gt;Pb(0.24 mg/kg)$gt;Cd(0.09 mg/kg). In samples, Moms and Laminaria contained a great quantity of K and Na, Acanthopanacis cortex, Eucommia ulmoides, Pinus densiflora, Lycii fiuctus, Allium sativum for. pekinense, and Platycode radix had much more amount of K than that of Na, in the mean time, Artemisia capillaris, Carthamus tinctorius seed, and Rubi fiuctus had various kites of plenty inorganic metals. The contents of Pb in grouped samples by used parts, were in the order of radiac(0.54 mg/kg)$gt;cortex(0.36 mg/kg)$gt;leaves (0.20 mg/kg)$gt;fructus(0.20 mg/kg)$gt;seed(0.07 mg/kg), those of Cd were radix(0.16 mg/kg)$gt;leaves(0.09 mg/kg)$gt;fiuctus (0.07 mg/ kg)$gt;seed(0.06 mg/kg)$gt;cortex(0.03 mg/kg), those of Cr were radix(6.34 mg/kg)$gt;cortex(4.25 mg/kg)$gt;fructus (4.20 mg/ kg)$gt;leaves(2.14 mg/kg)$gt;seed(1.67 mg/kg). In the assessment of risk by the daily intake of botanical pills, the amount of Zn, whose PTWI was 7,000 ㎍/kg b.w/week, covered 0.13-0.83%, that of Pb, whose PTWI was 25 ㎍/kg b.w/week, coverd 0.24-1.94%, and that of Cd, whose PTWI was 7 ㎍/kg b.w/week, covered 0.32-2.08% of it.
        4,000원
        1508.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ontents of total flavonoids, total antioxidant status and superoxide scavenger activity of edible plants were measured. Among twenty one samples of leafy vegetables and teas, mugwort (Artemesia capillaris) and green teas gave high total flavonoids contents, 48.2 mg/g sample and 44.7 mg/g sample, respectively.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total flavonoids among eighty nine samples analyzed was 52.1 mg/g sample from propolis. When samples were tested for total antioxidant status, a kind of groundsel showed the highest Total Antioxidant Status(TAS) value, 13.4 mM among leafy vegetables and teas and green tea gave high TAS value, 11.84 mM. On the other hand, purslane gave the lowest TAS value, 0.01 mM. The superoxide scavenge activity was measured from the extracts of all edible plants. The superoxide scavenge activity of polygonatum(81.1%) and chrysantemum (78.5%) were the highest among leafy vegetables, teas and medicinalplants. On the other hand, ginseng, poria, cassiae semen and dioscoreae rhizoma showed no superoxide scavenge activities.
        4,200원
        1509.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반도 남해 연안 습지 지역에 자생하는 거머리말의 부포, 식물체 군집과 생육환경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0년 6월부터 12월까지 식물체와 생육환경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가 중 제주도 2개 생육지를 포함하여 남해 동부연안의 안골포에서 서부연안인 진도 강계까지 총 28개 생육지에서 자생 거머리말의 분포를 파악하였다. 거머리말의 생육지는 연안과 섬의 만, 보초, 하구와 같이 파랑의 영향이 적은 수심 0.5~8.0m의 조간대와 조하대 지역이었
        4,000원
        1511.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물플랑크톤의 종분포와 현존량의 수질에 대한 지표성을 이용하여 수원시 하수종말처리장 주변수역의 6개 정점을 선정하여 식물플랑크톤의 식물상을 밝히고, 특히 주로 특정 서식처에 분포하는 종을 조사함으로써 조사 수역의 오염 정도를 조사하였으며, 또한 계절별 현존량을 측정하여 하수종말처리장 주변수영의 오염정도와 연중 변화에 대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Engler의 분류체계에 따라 정리한 결과 4문 4강 11목 6아목 22과 2아과 54속 155종 20
        4,000원
        1514.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칠산도에서 확인된 관속식물은 37과 74속 71종 13변종으로 총 84종류였다. 꾸지뽕나무나 예덕나무가 출현하는 것으로 보아 남부아구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제1도는 밀사초와 사철쑥, 제2도는 밀사초, 제3도는 밀사초와 예덕나무, 제4도는 누리장나무 그리고 제6도는 참억새와 띠가 우점하였다
        4,000원
        1515.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절대하천 식생으로 중요한 위치를 갖는 버드나무과 식물의 분포특성을 파악하고, 또한 이들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과의 관계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안성천 수계의 상류에서 하류에 이르기까지 버드나무과 식물이 우점한 83개의 방형구에 대해 식생요인과 지형특성 및 토양환경의 조사분석을 토대로 수행되었다. 안성천 수계의 버드나무과 식물은 2속 11종이 출현하였고 평균 출현종수는 2.8종으로 조사되었다. 모든 수계에서 버드나무(5. koreensis)의 출현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전조사지역에 고르게 분포하는 경향을 보였다. 갯버들(S. gracilistyla)은 사토의 토양조건과 하상의 경사가 심하고 유속이 빠른 하천의 상류부와 저수지 하부에 분포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키버들(S. purpurea var. japonica)은 비교적 사토에서 출현빈도가 높았으며 단독으로 우점하는 경우는 드물고 갯버들(S. gracilistyla) 및 버드나무(S. koreensis)와 혼재하는 경우가 많았다. 왕버들(Salixgjandulosa)은 사양토와 양질사토에서 출현빈도가 높았고 연중수량이 풍부한 저수지 부근과 하천의 상류에서 운반되어 쌓인 모래 퇴적층인 하중도나 사주에 우점하는 경향을 보였다 정준상응분석 결과 버드나무과 식물의 분포는 미지형과 경사 등 환경구배에 의한 토양입자와 유기물 함량 등의 환경요인 수준과 밀접한 관련성을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4,200원
        1516.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an effort to investigate the germination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tannin containing forage crops (such as chicory, birdsfoot trefoil, Lotus pedunculatus, sulla, lespedeza, crownvetch, sainfoin), germinativity, seedling vigor, and productivity were
        4,000원
        1518.
        200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총채벌레의 천적으로서 농생태계에서 서식하는 애꽃노린재류(Orius spp.)는 노지에서는 O. sauteri(애꽃노린재), O. minutus(멋애꽃노린재), O. strigicollis, O. nagaii 4종이, 시설에서는 O. sauteri, O. minutus 2종만이 조사되었다. 종별 점유율은 O. sauteri가 83.0~92.5%로 전지역에서 가장 우점하였고, O. sauteri는 콩, 고추, 수박과 같은 노지작물 및 고추, 국화, 거베라와 같은 시설작물에서 압도적으로 우점한 반면, O. strigicollis는 하반기 남부지방의 국화, 장미 등 화훼작물에서, O. nagaii는 벼에서만 우점하였다. 애꽃노린재류의 최초 발생시기 및 발생양상은 식물의 개화시기 및 생육상태에 따라 달랐다. 발생시기는 조사된 식물 가운데 토끼풀에서 5월 하순으로 가장 빨랐으며, 콩, 메밀, 고추에서는 모두 6월 상순이었다. 발생 최성기는 모든 작물에서 두 번 관찰되었는데, 토끼풀과 메밀에서는 7월 상순과 8월 중순, 콩과 고추에서는 7월 중순과 8월 하순 또는 9월 초순이었다. 따라서 토끼풀과 같은 야생식물은 애꽃노린재류의 월동 후 서식처로서 중요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