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본 연구는 환자의 인지기능을 쉽고 간편하게 평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재 수준에 맞는 치료계획을 세우는데 도움을 주는 Allen Cognitive Level Screen(ACLS)과 정신분열병 환자의 심리사회적 특성, 인지적 특성, 증상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30명의 정신분열병 환자를 선정하여 ACLS, 심리사회적 특성으로는 자아존중감척도, 대인관계변화척도, 사회적문제해결능력척도,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인지적 특성은 전산화 신경인지기능 검사 V4.0 중 언어기억검사, 단어-색채 검사, 위스콘신 카드분류검사, 증상은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PANSS)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 첫째, ACLS는 교육정도, 연령 및 유병기간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ACLS는 사회적문제해결능력척도의 하위항목인 인지척도만 제외하고 그 외의 심리사회적 특성과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ACLS는 언어기억검사, 단어-색채검사(색단어 단어읽기를 제외), 위스콘신카드분류검사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ACLS와 PANSS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정신분열병 환자에게 ACLS 실시 시 교육수준, 연령, 유병기간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이며, ACLS는 정신분열병환자의 증상 및 심리사회적 특성과는 관계성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신경인지검사 중 언어기억검사, 단어-색채 검사, 위스콘신 카드분류검사의 상관관계를 볼 때, 정신분열병 환자의 인지적 장애를 평가하는 유용한 도구로 여겨진다.
많은 정서 연구에서 주관적 경험인 정서를 보다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다양한 생리 반응을 통하여 객관적인 지표로 활용하고 있다. 특히 자율신경계 반응은 그 반응 패턴을 통하여 생리적 각성 여부를 추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정서 연구에서 오랫동안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부정정서(공포와 혐오)를 느낄 때 나타나는 심리생리반응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47명의 아동(연령: 11-13세, 남: 23명, 여: 24명)을 대상으로 시청각 동영상(Audiovisual Film Clips)을 이용하여 공포와 혐오정서를 유발시킨 후, 이 때의 심리반응 및 자율신 경계 반응(ECG, EDA, PPG, SKT)을 측정하였다. 심리반응 결과, 공포정서는 100%, 혐오정서는 89.4%의 적합성을 보였고, 아동이 경험한 정서 강도(효과성)는 공포 4.05, 혐오 4.07 (5점 만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율신경계 반응 결과, 두 정서 모두 대부분의 생리지표에서 안정상태와 정서상태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정서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공포 정서에서는 피부전도수준, 피부전도반응 수, 심박률, 호흡주기관련 심박률, 호흡수, 심박률 분산의 고주파수 성분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반면, 혐오 정서에서는 피부전도수준은 감소하고 피부전도반응의 수는 증가하는 패턴을 보여 공포 정서와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판매매장별 구매심리에 따른 디스플레이 항목 에 대한 전문가 평가와 매장 방문 고객을 대상으로 한 반응 설문조사를 병행하여 실제 판매환경에서의 VMD에 대한 통합적 분석을 행하고, 브랜드 감성과의 일치성, 브랜드 감성 형성 요인 등을 조사하여 판매 매장별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거리숍이 백화점내 매장보다 고객의 시선을 사로잡고 구매자극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각적 만족과 매장 방문 만족도는 고객의 구매의지와 비례관계에 있었으며 전문가에 의한 감성평가와 고객의 제품구매의지는 상관이 있었다 구매심리단계별 VMD 요소의 부족한 점과 이행이 잘 되는 점을 상호보완하면 각 판매 환경에서 VMD로 인한 즐거운 쇼핑문화를 이룩하고 또한 구매효과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고객반응을 바탕으로 한 소비자 조사를 통하여 매장 VMD 효과를 분석하고 상품구매 욕구와의 연관성을 이끌어냄으로써 소비자 조사 결과가 유용한 방법이다. VMD가 이뤄지는 곳은 실제 판매환경인 매장이므로 VMD의 효과와 고객반응에 대한 조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컴퓨터 에이전트가 우리의 일상에 미치는 영향력이 커지고 에이전트와의 상호작용이 대인 상호작용과 유사하게 변화할수록, 업무적 효율성보다 에이전트와의 상호작용에서 사용자가 겪게 되는 심리적 사회적 경험이 중요해진다. 사용자의 긍정적인 심리적 경험을 유도하기 위해 에이전트와 사용자의 상호작용에서 사회적 실재감(social presence)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연구들에서는 에이전트의 언어적/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에 대인적 요소를 적용함으로써 사회적 실재감을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인관계에서 매우 중요한 커뮤니케이션 요소인 상호적 자기노출(self-disclosure)이 사용자들의 사회적 실재감 인식과 에이전트 평가, 사용자 경험에 있어 어떠한 효과를 갖는지 살펴보고 개인의 성격변인인 애착유형(attachment styles)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사회적 실재감이 에이전트 평가와 사용자 경험에 대한 효과를 매개하는지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 사용자와 에이전트의 상호적 자기노출 교환은 사회적 실재감을 증진시키고 에이전트에 대한 호의적 평가와 긍정적인 사용자 경험을 유도하였으며, 향후 상호작용 의사를 증진시켰다. 피험자의 애착유형에 따라 사회적 실재감, 에이전트 평가, 사용자 경험, 향후 상호작용 의사가 다르게 나타났다. 종속변인에 대한 자기노출 교환과 애착유형의 효과는 지각된 사회적 실재감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에이전트 메시지의 설계에 커뮤니케이션적 측면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에이전트가 사용자들에게 미치는 심리적 효과는 사용자의 성격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firstly in Korea,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corpse-disgracing homicide by looking into the realities of corpse-disgracing homicide. Though official statistics was not complete, fifteen murderers were confirmed to commit corpse-disgracing homicide. All of their documented records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subcategories of Necrophilics no pure Necrophilics exist. That is, no one committed murder to be in love with dead body, but there were pseudo-necrophilics stimulated by corpses instantly. Inmates who committed corpse-disgracing homicides were from deprived environment and from low economic status. They used to be physically inferior. Because of such defects, they must have little opportunities to have relationship with women. Based on the MMPI profiles most of the participants who committed corpse-disgracing homicides presented relatively high score of Pd. Additionally murderers who had genital insertion, instead of alien substance insertion showed relatively high score of D. With consideration of MMPI profiles it is inferred that some murderers who committed corpse-disgracing homicides must have psychosis. However, they were institutionalized in a correctional facility instead of psychiatric unit. Although these people desperately needed medical care they were expected to behave like average inmates. If the present capacity of psychiatric units is too small, more metal health professionals should be employed at correctional facilities.
The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was established in 1995. Its stated purpose was to forster reconciliation by revealing the truth about killings and other gross violation of human rights committed between March 1960 and May 1994. The Commission's founding legislation requires that the TRC provide a factual, comprehensive and even-handed account of the gross violations committed on all sides in the conflicts of the past. It mandates the commission to identify the perpetrators of violations and hold them accountable. It also requires the TRC to place all violations in context by explaining the motives and perspectives of perpetrators as well as any prior provocation that might have influenced their actions. The central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ovide ways of grasping what reconciliation involves for us. The hearings of the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was well known to the world. They are not intended as an ordeal for those guilty of violating others' lives or a test for those questioned about the abuse of human rights. Nor should these hearings be simply a replay of people's pain when they recount what was done to themselves or their loved ones. Reconciliation should be taking place within and among the life of human who have a painful history. The fruitfulness of the term 'reconciliation' derives from the interplay possible between its use as describing an action, naming a process of which various actions are moments and providing a perspective in which to move from present realities into an unknown future. Without some experience of reconciliation effected in an action, we would have no idea how it as a perspective can throw light upon individual actions and bring hope to people's efforts.
교도소 내 수형자들의 고발사태로 근무하기 어렵다는 교정공무원들의 불평이 늘어 가고 있다. 이런 현상은 수형자들의 인권신장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나타난 결과들이다. 이런 즈음에 수형자와 교도관들의 심리-역동적 관계를 규명해서 양자의 상호 영향을 검토하는 것은 교도행정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고 기대된다. 수형자들을 통제, 지시하는 교정공무원과 그런 힘의 영향을 받는 수형자들은 모두가 재 사회화라는 공동목표를 향해 가고 있다. 그러나 한편은 힘을 행사하고 다른 한편은 힘을 받아 들어야 한다. 그래서 양자 사이에 힘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교도행정은 비효과적일 수밖에 없다. 힘은 보상, 강압, 합법, 참조, 전문성이라는 5 가지 출처에서 비롯된다. 그러나 현재 교정행정체계에서 보면, 교정공무원이 수형자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힘은 참조적 힘 밖에 없다. 수형자들에게 모범이 되는 교정공무원을 참조해서 자신을 뒤돌아보는 수형자들만이 그 힘의 영향을 받게 된다. 이런 맥락에서 보면, 수형자들의 재사회화는 전적으로 수형자 자신들에게 달려 있는 셈이다. 이런 이유에서 교정공무원이 힘을 가진 양 하며 수형자들에게 영향을 주려 하는 경우에 이들은 노여움과 혐오감을 가지고 공격적으로 대하게 된다. 교도 행정은 수형자들의 재사회화를 위해서 지금까지 수행 해 오던 근본적 틀을 전환해야 한다. 즉, 상과 벌에 의한 교도행정 보다는 인본주의에 의한 행정을 실시할 경우에 효과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find the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and their related factors among long-term convicts. Considering length of sentence, 355 inmates sentenced over ten-year incarceration were surveyed from 6 correctional facilities. The study trie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of long-term inmates which was defined "the extent of recognition attitude change", "attitude toward law" and the correctional environment factors(length of incarceration, penalty experience during incarceration, vocational training experience, level of satisfaction on treatment programs), importation factors(sex, age, education level, former incarceration experience). The major findings and implications on treatment for long-term inmates were as follow: First, a model of the correctional environment factors on "the extent of recognition attitude change" was not adequate. On the other h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treatment program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attitude toward law";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hich the correctional facilities gave, the attitude toward law was positive. Second, regarding importation model, "sex"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recognition attitude change". In "attitude toward law", all importation factors except for former incarceration experience had a statistical meaning; women, older and higher educated long-term inmates had positive attitude toward law. Third, seeing the influence of importation factors, early intervention than post care to the risky groups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re-offence is admirable. Also correctional treatment programs for long-term inmates should be provided based on individuality of long-term inmates. Finally, the study suggests that the correctional treatment focus on education programs to change recognition attitude for men inmates, the maintenance of family relations and adaption programs for women.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s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social stress in telecommunication service workers. In this survey, four hundred seventy workers and six variables(general characteristics, state of health, job characteristics, personality,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and job stress) were used to measure worker's subjective satisfaction and status of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135 workers(28%) were classified into a high risk group to stress, 317 workers(67%) were into a potential risk group, and only 18 workers(6%) were into a healthy group. Also the results indicated that job stress outcomes related to job characteristics, personality, and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사이버 공간은 기술적 및 사회적으로 많은 가변성과 복합성을 보이면서 매우 역동적으로 변모하고 있다. 10여년 정도인 인터넷은 우리들의 삶의 양식, 의미, 사회구조와 기능 그리고 의사소통에서의 상호작용 등을 극적으로 바꾸고 있다. 인간의 마음과 행동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는 심리학에서도 사이버 공간의 인간의 행동과 심리적 특성은 중요한 연구과제다.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 공간의 교류과정에 발생하는 심리적 특성과 개념은 아날로그 방식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오프라인 방식에서 온라인 방식으로의 영향을 받았으며, 정보화 세계의 특유의 새로운 문제들과 더불어 여러 분야의 문화적 구조가 재개념화,재구성화, 재평가되어야 함을 제시한다. 즉 변화되는 사회 내에서의 역할, 의의, 양식 등에 접근하는 방식을 사이버 심리학으로 재정리 할 필요가 있다는 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Recently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literatures begin to emphasize the influence of social, organizational or psychological context. Based on this research trend, this paper tried to re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climates and safety compliance. Based on the responses from 385 manufacturing workers, this paper reviewed the relationships among safety climates, safety motivation, and safety compliance.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at all safety climate factors(management involvement, leadership, safety training, precaution activities, safety system) have affirmative effects on safety motivation and safety compliance. Also, safety motivation appeared to have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5 safety climate factors and safety compliance. Especially it appeared to have ful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training/ safety system and safety compliance.
Recently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literatures begin to emphasize the influence of social, organizational or psychological context. Based on this research trend, this paper tried to re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climates and safety compliance. Based on the responses from 385 manufacturing workers, this paper reviewed the relationships among safety climates, safety motivation, and safety compliance.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at all safety climate factors(management involvement, leadership, safety training, precaution activities, safety system) have affirmative effects on safety motivation and safety compliance. Also, safety motivation appeared to have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5 safety climate factors and safety compliance. Especially it appeared to have ful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training/ safety system and safety compli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