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72

        361.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ctivity ratios of global trunk muscles and local trunk muscles in relation to adjustments in the level of task difficulty while performing stability exercises in easily applied bridging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Twenty healthy subjects performed bridging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while the level of task difficulty was plate was used in the same posture for all the exercises. EMG was used to examine the activity ratios of the global muscles and multifidus in relation to the level of task difficulty. Moreover, the activity ratios of the multifidus muscle, the erector spinae and the gluteus maximus muscle were measured. A one-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was used, and a Bonferroni correction was conducted (=.05). When the bridging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were performed at different difficulty levels, the activity of the multifidus muscle, which is a local muscle, was high in all three exercises. Also, compared to low intensity and intermediate intensity exercises, high intensity exercises showed more significant differences (=.05). Among all the muscles, the multifidus showed the highest activity at intermediate intensity.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in the case of bridging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low intensity or intermediate intensity exercises are more suitable and efficient for local muscle stabilization.
        4,000원
        362.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원형 박판 구조물의 안정성에 대하여 해석 하였다. 임계하중은 하중을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구조물이 파괴가 발생하여 안정성을 상실 하는 상태에서 가장 작은 하중을 의미한다. 판구조의 안정성을 임계하중의 크기로 기초를 두고 해석 하였다. 원형 박판구조의 차분해석은 일반 판구조와 같으므로 최근에 많은 연구의 대상이 되어왔다. 차분법은 복잡한 구조물에서도 물론, 다양한 경계조건을 포함하는 문제에 이르기까지 효과적인 수치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본
        4,000원
        363.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mino acids complex and choline supplementation on the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and oxidative stability of Hanwoo (Korean cattle) beef. Fifteen months-old-Hanwoo steers were assigned into two groups and fed on a basal diets with or without amino acids complex (≥25% L-lysine monohydrochloride+≥8% DL- methionine)+choline (≥25% choline chloride) for 12 months. After slaughter, the M. longissimus from carcasses were stored at 4℃ for 7 days. Catalase, glutathione peroxidase and total superoxide dismutase activities were found to be unaffected by supplementation of amino acids+choline. After 2 days of storage, significant decline (p<0.05) in lipid oxidation (2-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was observed when supplemented with amino acids+choline. However, supplementation of amino acids+choline maintained meat color as indicated by higher CIE L* (Lightness), a* (Redness), b* (Yellowness) and C* (Chroma) values during storage. It was therefore concluded that supplemental amino acids+choline could stabilize the lipid oxidation stability and meat color in Hanwoo beef.
        4,000원
        365.
        2011.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장의 안전성 평가를 위하여 지하 사일로와 그 주변의 굴착손상영역 (EDZ) 및 단열암반을 고려한 지하수유동해석과 핵종이동해석의 통합모델을 개발하였다. 사일로를 다중방벽개념으로 고려하여 사일로를 구성하는 3개의 특성지역 (waste, buffer, concrete)으로 구분하여 해석하였고, EDZ는 사 일로 주변과 건설운영 터널 주변의 손상영역을 고려하였다. 단열암반의 불균일성은 분리단열 (discrete fractures)로 부터 해석된 불균일한 지하수 유속계로 도출하였고, 그 결과를 핵종의 이동경로를 모사하는데 사 용하였다. 현 모델은 핵종누출에 따른 사일로 배치의 최적화와 안전성의 정량화를 도출하는데 사용가능하다
        4,000원
        366.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본 연구에서는 CA(Cellulose Acetate; CA)안경테 전용 가공장비의 40,000 rpm급 고속 주축시스템에 대하여 구조설계 단계에서 안정성을 검토하였다. 방 법: 안경테 전용 주축시스템의 베어링 윤활과 예압구조 선정 및 주축계의 정/동/열적 특성 분석을 통하여 고유진동수, 최대변형, 열변위를 예측하였다. 결 과: 안경테 가공장비 주축의 윤활시스템은 최소미량급유방식인 오일-에어 방식을 채택하였으며 정동적분석 결과 안정성이 확보되었으나, 열변위량은 최대 0.135 mm로 고속 회전 시 주축 발란싱과 성능에 문제가 발생 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결 론: CA안경테 전용 가공장비의 40,000 rpm급 고속 주축시스템을 설계 단계에서부터 윤활 및 예압구조를 선정하였으며, 정동적분석을 통하여 구조안정성이 우수함을 예측하였다. 그러나 회전에 따른 열상승 및 열적변형에 취약하여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367.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estimated on the stability of W/O type emulsified fuel using by capacitance sensor, so it conclud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or the first 24 hours, prepared emulsified fuel reveals phase separation ratio of 5%, maintains stable status which verifies the stability of emulsified fuel. Adding more water increases the phase separation ratio rapidly, and adding more surfactant displays stable emulsification. Adding water causes larger size of water droplet diameter, and adding surfactant mixture causes smaller size of water droplet diameter. In conclusion, the size of W/O type emulsified fuel water droplet diameter is directly related to the volume of surfactant, and density of water droplet diameter changes thedistribution according to water contents.
        4,000원
        368.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강풍시 차량의 주행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분출형 방풍벽을 고안하였으며 풍동실험을 통하여 그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풍동실험에서는 4종류의 분출형 방풍벽과 기존의 다공형 수직방풍벽 2종류에 대해서 간이차량모형의 표면압을 측정하였으며 방풍벽으로부터 차량의 이격거리 및 성토부의 유무에 따라 방풍벽의 성능을 고찰하였다. 실험결과, 본 연구에서 고안된 분출형 방풍벽은 충실율 25%~50% 사이의 수직방풍벽과 동등한 방풍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운전자의 시야확보에 유리하며 교량구조물에 적용시에는 기존의 방풍벽에 비하여 수풍면적이 감소하여 공기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신개념의 방풍시설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369.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effect of wind load on the structural stability of a container crane loading/unloading a container on a vessel. The overturning moment of a container crane under wind load at 75m/s velocity was estimated by analyzing reaction forces at each supporting point. And variations of reaction forces at each supporting point of a container crane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wind load direction and boom shape.
        4,000원
        370.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amellia sinensis L. (green tea) seed oils were prepared by roasting at 213℃ and pressing (RP), pressing (P), and nhexane extraction (H).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RP, P, and H samples, including fatty acid composition, color, and sensory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RP, P and H samples were thermally oxidized at 180℃, and oxidative stability was determined by DPPH, CDA, and p-AV at 0, 20, 40, 60, and 80 min. Compared to the P and H samples, RP resulted in significantly higher thermal oxidative stability according to the DPPH, CDA, and p-AV results (p〈0.05). The ratio of unsaturated fatty acids to saturated fatty acids among RP, P, and H sampl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The oleic acid and linoleic acid contents in green tea seed oils were 58 and 23%, respectively. Hunter's color value of lightness (L) for the RP, P, and H samples was not significant. Redness (a) of RP was 3.47±0.119 and yellowness (b) of H was 60.10±2.483, which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to RP samples, H and P samples had the highest color and off-odor values in the sensory evaluation. RP samples showed the highest taste value and were significant overall (p〈0.05). The thermal stability of RP extraction was more stable than any other method. Camellia sinensis L. seed oil extracted by RP had better sensory characteristics than other edible oils, including soybean oil, grape seed oil, and extra virgin olive oil.
        4,000원
        371.
        201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붉은팥과 검정팥 종피에 함유된 천연색소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추출방법에 따른 색소 추출 효율과 저장안정제 첨가에 따른 저장 안정성과 특성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붉은팥 종피의 용액 추출 시 까지는 온도가 높을수록, 시간이 경과될수록 색소 추출 효율이 높게 나타났으나, 에서는 시간이 경과될수록 색소 추출효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며 pH 조건에서는 pH 5가 가장 효율적이었다. 2. 검정팥 종피의 용액 추출 시 온도가 높을수록, 시간이 경과될수록 색소 추출 효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pH 조건에서는 pH 5가 가장 효율적이었다. 3. 착액 추출 시, 붉은팥의 경우 pH 5의 전처리가 증류수보다 색소 추출량이 많았으며, 검정팥의 경우 단시간 전처리에서는 증류수가 pH 5에서 보다 색소 추출량이 많았지만, 4시간 이상의 전처리에서는 오히려 pH 5에서 많게 나타났다. 4. 저장 안정제로 Methionine을 첨가한 결과에서는 붉은팥 종피의 경우에는 첨가량이 많을수록, 검정팥 종피의 경우에는 10mmol첨가가 20mmol 첨가보다 안정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372.
        201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수수피에 함유된 천연색소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추출방법에 따른 색소 추출 효율과 저장안정제 첨가에 따른 저장 안정성과 특성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용액 추출 시 온도가 높을수록, 시간이 경과될수록 색소 추출 효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pH 조건에서는 pH 4가 가장 효율적이었다. 2. 착액 추출 시, 단시간 전처리에서는 증류수가 pH 5에서보다 색소 추출량이 많았지만, 20시간 이상의 장시간 전처리에서는 오히려 pH 5에서 많게 나타났다. 3. 수수피 색소용액의 pH 변화에 따른 색도는, pH가 증가할수록 옅은 황색에서 짙은 황색을 거쳐 붉은색 톤으로 변화하였다. 4. 저장 안정제로 Methionine을 첨가한 결과에서는 첨가에 따른 수수피 색소의 안정화 효과에서 저장기간 18일까지는 변색 지연 효과를 보였으며, Methionine 10 mmol 첨가>20 mmol 첨가>무첨가 순으로 안정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4,000원
        373.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서남권 돔 야구장의 불안정 거동을 파악하고자 한다. 해석 대상 구조물의 설계하중과 이들의 조합 하중에 의한 하중모드에 대하여 구조물의 비선형 Snapping 현상을 조사하며, 초기 불완전성은 접선강성행렬의 고유치해석을 통해 좌굴 모드를 얻고 이를 비선형해석에 이용한다. 단 부재좌굴 또는 국부좌굴 등은 본 연구과제의 연구범위에 고려치 않으며, 전체좌굴 현상에 한정한다.
        4,000원
        377.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Various research on the surface of the ski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pidermis and composition of ion have been performed. Traditionally, bamboo extract was used as an important material for enhancing healthy condition of a skin. Bamboo salt is well known as one of the most famous traditional medical treatmen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stability of P/S (Polyol-in-Silicone) emulsions containing a fair amount of bamboo salt in the range of 0.5~5.0 wt%. For improving the stability of emulsions, we varied the quantity of fatty alcohol and wax ester in emulsions and the stability was checked using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We also studied the efficacy of treating the P/S emulsions containing bamboo salt. From the experiment, the emulsions show the mitigation of stimuli, enhancing the skin hydration and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skin.
        4,000원
        378.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시범적으로 빗물 자원화 시설을 설치하여 대상 단면에 대해서 그 운영과정을 가 정하여 안정해석 방안을 검토하여 그 결과를 정리하였다. 안정해석에서는 시설물이 정상적으로 운 영되는 경우와 비정상적인 상황을 가상하여 실제 지반조사 자료를 근거로 컴퓨터 모델을 이용하여 해석을 실시하였다. 해석결과 이상상황에 대한 해석결과보다는 정상상태로 운용하는 경우에 안정성 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설계나 유지관리를 위해서는 저수조의 규격결정시 토질조사가 중요한 것으 로 판단되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