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81

        1201.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산소운동능력의 차이를 보이는 두 집단이 각각 로윙에르고미터 최대하 운동을 실시한 후 혈중 활성산소의 변화에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구명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연구대상으로는 조정 선수집단 6명과 비선수집단 6명을 대상으로 최대유산소운동능력을 검사한 후 각각의 목표심박수 85~90%를 적용하여 로윙에르고미터 운동을 실시하였고 운동 전, 직후, 10분, 20분, 차30분에 각각 채혈하여 활성산소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유산소운동능력의 차이에 따른 활성산소의 변화에서 집단과 시기 간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한(p<.05) 차이를 나타내어 시기에 따른 변화의 양상이 집단 간 차이가 있었고 사후검증 결과 회복기 10분에서 20분 그리고 20분에서 30분 구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인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활성산소로부터 유산소운동능력이 우수한 조정선수집단이 비선수집단에 비해 긍정적인 회복 패턴을 보였다.
        1202.
        2010.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골프 참여자의 재미요인, 스트레스요인, 운동몰입, 운동중독, 운동탈진간의 인과관계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광주·전남지역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골프연습장에서 주당 3회 이상 연습하고 매월 1~2회 이상 필드에서 라운딩을 하는 골퍼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조사도구는 골프의 재미요인, 스트레스요인, 운동몰입, 운동중독, 운동탈진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AMOS를 이용하여 경로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골프참여자의 재미요인은 운동몰입에 직접적으로 인과성이 있었으나, 운동중독과 운동탈진에는 관계가 없었다. 둘째, 골프 참여자들의 스트레스요인은 운동몰입, 운동중독, 운동탈진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골프 참여자들의 운동몰입은 운동중독과 운동탈진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골프참여자의 운동몰입과 운동탈진, 그리고 운동중독과 운동탈진은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1203.
        2010.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장기간 복합운동이 여성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었다. 연구 참여에 동의한 총 24명의 노인들은 실험집단(12명) 또는 통제집단(12명)에 무선으로 배정되었으며 실험집단은 16주간, 주 3회, 하루 60분씩 복합운동(유산소+무산소)에 참여하였다. 두 집단의 평균을 비교하기 위하여 복합운동 시작 전과 8주, 16주 후에 각각 인지기능(Cognitrone test)과 우울(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 Korea Version)을 측정하여 이원변량분석 반복측정(2X3 repeated measures)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인지기능의 하위요인 중 정답반응비율과 정답반응수 그리고 우울에서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실험집단의 경우 사전, 8주, 16주순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16주 측정에서 가장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통제집단은 측정시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16주간의 복합운동은 여성노인의 인지기능과 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요약된다.
        1204.
        2010.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자전거 활동 참가자들의 스포츠 애호도와 운동정서 및 심리적 웰빙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따라 운동정서를 긍정 및 부정적 정서로 분류한 다음 스포츠 애호도, 긍정적 정서, 부정적 정서 및 심리적 웰빙의 관계를 스포츠 애호도 편향에 따른 긍정 및 부정적 정서와 심리적 웰빙의 차이분석과 구조모형분석을 이용한 관계분석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스포츠 애호도의 편향에 따라 긍정 및 부정적 정서와 심리적 웰빙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들 관계에서는 스포츠 애호도가 긍정적 정서와 심리적 웰빙에는 정적 영향을 미치며 부정적 정서에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정서와 심리적 웰빙의 관계에서는 긍정적 정서가 심리적 웰빙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정적 정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의 관계에서는 긍정적 정서가 부정적 정서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1205.
        2010.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VIA 분류체계에 근거한 규칙적인 운동참여자의 지각된 성격 강점을 탐색하기 위해 규칙적인 운동참여자 219명을 대상으로 개방형질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귀납적 내용 분석, 빈도분석, 교차분석을 실시하였으며, VIA 분류체계에 근거하여 분석한 결과 규칙적인 운동참여자의 지각된 성격 강점은 19개로 끈기, 낙관성, 활력, 유머감각, 신중성 등의 순으로 추출되었다. 특히 용기, 초월, 절제 덕목과 관련한 성격 강점이 규칙적 운동참여자의 성격 특성으로 부각되었으며, 여성은 남성보다 낙관성, 끈기, 활력에서, 남성은 여성보다 신중성에서 더 높은 빈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운동참여자를 이해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확보하고 운동과 성격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새로운 시각에서 접근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1206.
        2010.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중학생의 체육수업 동기와 체육수업을 통해 경험하는 운동정서, 체육수업에 대한 태도 차이 및 관계를 분석하여 적극적인 체육수업 참여와 체육수업 활성화를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교육청 산하 중학교중 1개교 남여 혼합 16개반 570명을 유층군집표집(stratified cluster sampling)하여 연구 대상자로 선정 한 후 체육수업 동기, 운동정서, 체육수업 태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남학생 293명 여학생 255명으로 총 548명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방법은 Cronbach`s α, 탐색적 요인분석, 기초통계, 독립 표본 t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에 따른 구체적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중학생의 체육수업 동기, 운동정서, 체육수업태도 차이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내적동기, 외적동기, 긍정적 운동정서, 체육수업태도에 대한 하위요인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년에 따른 중학생의 체육수업 동기, 운동정서, 체육수업 태도 차이에 있어 1학년은 기술체력 태도, 사회적 태도, 2학년은 무동기, 부정적정서, 3학년은 내적동기가 뚜렷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육수업 동기, 운동정서, 체육수업 태도의 하위 요인 간에는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학생의 체육수업 동기와 운동정서가 체육수업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내적동기가 66%, 긍정적 정서가 43.4%의 높은 설명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207.
        2010.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계층구조분석(AHP)을 적용한 운동발달평가 도구의 상대적 중요도를 제시하는 초기 연구로서 5-6세 남자 아동을 위한 대근운동발달 검사의 운동기술 요소 및 운동기술을 구성하는 수행기준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는 세부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쌍대비교 방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Expert Choice 2000 및 Microsoft Office Excel 2007을 활용하여 일관성 검증을 통해 신뢰도와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대근운동발달검사지 대분류의 상대적 중요도는 이동기술(0.527)이 물체조작 기술(0.473)보다 다소 중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대근운동발달 검사를 구성하는 이동기술에 있어서 상대적 중요도는 달리기(0.238), 홉(0.208), 슬라이드(0.165), 갤롭(0.152), 립(0.133), 제자리 멀리뛰기(0.103)의 상대적 중요도를 보였으며 물체조작 기술의 상대적 중요도는 받기(0.259), 오버핸드 던지기(0.234), 차기(0.183), 제자리 드리블(0.139), 언더핸드 던지기(0.093), 놓인 공치기(0.092)의 순으로 평가되었다. 끝으로 대근운동발달 검사지 전체항목의 상대적 중요도를 살펴본 결과, 받기 항목의 `공을 받기 위해 팔을 공이 오는 방향으로 뻗는다`, 달리기 항목의 `양발 모두 지면에서 떨어지는 비행구간이 있다`가 가장 높게 평가되었고 놓인 공치기 항목의 `주로 사용하는 손이 사용하지 않는 손 위에 있다`, `우타자 위치에 있는 아동의 왼쪽 어깨가 가상의 토스하는 사람을 향해 있다`가 가장 낮게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운동발달 현장에서 5-6세 남자 아동의 대근운동 능력을 검사할 시 수행기준의 가중치를 반영한 세분화된 검사결과를 제시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1208.
        2010.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외적 신호(external cue)의 제공은 파킨슨병 환자들의 운동 이상 증상을 완화시켜 수행의 향상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파킨슨병으로 진단은 받았으나 아직 어떠한 약물 치료도 받지 않은 초기(de novo) 파킨슨병 환자들(n=10)과 5년 이상 약물복용의 경험이 있는 중등도 파킨슨병 환자들 (n=10)을 대상으로 양팔 협응 움직임을 수행하는 동안 외적 신호의 제공 유무에 따라 양팔의 협응 수행능력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반대 위상 조건에서 외적 신호를 제공해 주었을 때 정상인 집단과 초기 파킨슨병 집단은 양팔 협응의 상대적 위상 오차값이 감소되어 수행의 향상을 나타내었으나 중등도 파킨슨병 집단의 경우 수행의 변화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협응동작 과제에서 양팔을 사용하여 비대칭적 동작을 수행하게 한 반대 위상 움직임과 같이 과제의 복잡성이나 난이도가 증가한 상황에서는 약물을 5년 이상 복용한 중등도 파킨슨병 환자의 경우 외적 신호의 제공이 수행 능력에 그리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외적 신호의 제공에 따른 동작 속도나 거리 조절 능력의 변화는 두 파킨슨병 집단 모두에게 나타났으나, 동작의 연속성 측정에서는 중등도 파킨슨병 환자 집단에서만 이상 증상의 완화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외적 신호의 제공에 따른 파킨슨병 환자의 운동 수행의 변화에 대한 기전을 밝히고 이를 근거로 실제적인 측면에서 파킨슨병 환자들의 진단과 치료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1209.
        2010.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양측성 재활운동프로그램을 통한 상지기능의 향상 정도를 운동기능 평가와 운동학적 측정을 통해 규명하는 것이다. 19명의 만성 뇌졸중 환자가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양측성 재활운동 그룹과 단측성 재활운동 그룹으로 무선할당하여 12주간의 재활운동을 실시하였다. 재활운동 프로토콜은 T-바 밀고 당기기, 손목 들어올리기, 암-컬(arm-curl), 전완 비틀기, 손가락 사다리의 5가지 세부 운동방법으로 구성되며, 양측성 재활운동 그룹은 각각의 운동과제를 수행할 때 환측 상지와 정상측 상지를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였다. 단측성 재활운동 그룹은 운동과제를 환측 상지만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훈련그룹에 따른 재활운동참여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Fugl-Meyer Assessment, Box and Block Test, 그리고 3차원 영상 분석을 사용하였다. FMA와 BBT는 환측 상지의 기능적 움직임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QUALISYS 3차원 영상분석 시스템은 뻗기 동작 수행시 환측 상지의 운동학적 변인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모든 그룹에서 재활운동참여를 통해 FMA 점수와 BBT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운동시간과 저크코스트는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또한 양측성 재활운동 그룹의 경우 단측성 재활운동 그룹에 비해 저크코스트에서 더 큰 감소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재활운동참여의 긍정적 효과와 양측성 재활운동프로토콜의 유용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1210.
        201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세계 컨테이너 물동량의 증가와 컨테이너선의 대형화로 인해 선박과 수심이 얕은 항구 및 부두를 연결하는 새로운 개념의 해상 운송 수단이 요구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하버 선형과 함께, Azipod 추진기 및 선수 스러스터(Bow thruster) 등으로 구성된 모바일하버의 조종수학모델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선체 유체력 및 Azipod 추력 등을 평가 적용하여 조종운동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모바일 하버의 조종운동 시뮬레이션에 의한 선회성능과 조종제어범위를 사전에 예측할 수 있었다. 또한, 모바일하버의 직진 시험 및 선회성능 시험에 있어 양호한 결과를 얻었으며, 접안 시 Azipod 추진기와 선수 스러스터를 이용한 최적의 조종운동 시뮬레이션을 확립하였다.
        1211.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2×2 성취목표 관점에서 중고등학생들의 체육 성취목표 프로파일에 따른 운동능력믿음과 기본 심리적 욕구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검사지의 탐색적 요인분석을 위한 1차 조사에 276명, 확인적 요인분석과 군집분석을 위한 2차 조사에 706명의 남녀 중고등학생이 참여하였다. 군집분석의 결과 3개의 유의미한 군집들이 확인되었다. 숙달목표성향이 높은 학생이 운동능력이 증가된다는 믿음이 강하고, 보통의 목표성향을 가진 학생은 운동능력이 안정적이라는 믿음이 더 높았다. 또한 숙달목표성향이 높은 학생일수록 체육수업에 대한 세 가지 기본 심리적 욕구만족 수준이 가장 높았다. 본 결과는 성취목표 프로파일에 따른 시사점과 관련하여 논의되었다.
        1212.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단계적변화모형에서 운동참여단계 이행의 결정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2009년 서울시에 거주하고 있는 당해 연도 30세 이상 성인 남녀 중 변화단계의 준비단계, 행동단계, 그리고 유지단계에 위치한 운동참여자 744명을 목적표집해 t-test와 이항로지스틱 회귀분석에 적용했다. 분석된 결과에 의하면 첫째, 준비단계는 남성(여성은 운동이익, 의식고양, 자극조절)이 자기효능감, 운동손실, 극적사고전환, 자기재평가, 반대조건화, 도움관계에서 높게 나타났고 행동단계(여성은 자극조절만)는 자기효능감과 도움관계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유지단계(여성은 운동이익, 의식고양, 자극조절)는 운동손실과 강화관리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남성은 준비와 행동단계를 구분하는데 자기효능감과 자기재평가가 결정요인이었으며 행동과 유지단계를 구분하는데 운동이익과 의식고양이 결정요인이었다. 여성은 준비와 행동단계를 구분하는데 강화관리가 결정요인이었으며 행동과 유지단계를 구분하는데 자극조절이 결정요인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단계적변화모형에서 운동참여단계 이행의 결정요인과 관련해 후속연구를 위해 논의했다.
        1213.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Deci와 Ryan(1985, 2002)의 자기결정이론에 근거하여 운동선수들이 지각하는 코칭행동과 운동동기와의 관계에서 심리적 욕구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J도에서 실시된 전지훈련에 참가한 운동선수 184명(남자선수: 134명, 여자선수: 50명)이었다. 참여자들은 코칭행동, 기본 심리적 욕구만족 및 운동동기 질문지를 완료하였으며, 공분산구조분석을 통해 변인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코치의 행동 유형 중 훈련/지도 행동은 자율성에 유의한 정(+)의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민주적 행동은 자율성과 유능성에 유의한 정(+)의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적 피드백은 관계성에 유의한 정(+)의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에 권위적 행동은 관계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리적 욕구만족 구인들이 운동 동기에 미치는 직접효과를 살펴본 결과, 자율성과 유능성은 자율적 동기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제적 동기에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코칭행동과 운동동기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욕구만족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민주적 행동만이 심리적 욕구만족을 경유하여 자율적 동기에 유의한 정(+)의 간접 영향과 통제적 조절에 부(-)의 간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코칭행동과 운동동기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욕구만족의 매개효과를 부분적으로 입증하였다.
        1214.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ADHD 아동의 운동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그들의 기분상태와 인지기능의 변화를 단일 피험자 연구 설계법을 통하여 장기간 심층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참여자는 연구의 목적에 부합토록 실험 시작 당시 서울 소재 C대학교 종합병원 소아정신과에서 ADHD로 판명되어 치료중인 초등학생 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측정도구로는 Rejeski(1985)가 개발한 기분상태 척도(Feeling Scale: FS)와 인지기능을 측정하기 위해 Wechsler(1991)가 제작한 웩슬러 아동지능검사(WISC-Ⅲ: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Third)를 곽금주, 박혜원과 김청택(2001)이 표준화한 한국 웩슬러 아동용 개인 지능검사 도구(K-WISC-Ⅲ)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설계는 단일피험자 설계(single subject design) 유형 중철회 설계(withdrawal design)의 대표적인 A1-B1-A2-B2 설계법을 채택하여 총24주 동안 심층적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절차를 통하여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DHD 아동의 운동 참여는 그들의 기분상태를 긍정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ADHD 아동의 운동 참여는 그들의 인지 기능 중 집중력과 처리속도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운동 처치 프로그램의 효과들은 단일피험자 설계법에 의거하여 A2단계(운동철회)와 B2단계(2차 운동처치)에서 재차 검증되었으며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ADHD 아동의 운동 참여에 따른 다양한 효과를 확장시키고 운동의 효과를 일반화 시키는데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1215.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개인종목 대학운동선수들의 운동지속의도를 규명하기 위하여 최근 스포츠 상황에서의 개인 심리요인의 기저요인으로 자율성, 유능성 및 관계성 욕구를 제시하고 있는 자결성 이론을 바탕으로 스포츠 동기, 스포츠 정서 및 운동지속의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439부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WIN/SPSS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분석, 탐색 및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들 분석 자료를 토대로 AMOS 7.0 프로그램을 통한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구조모형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개인종목 대학운동선수들의 관계성 욕구를 제외한 자율성과 유능성의 기본적 심리욕구는 선수들의 스포츠 동기와 정서 및 운동지속의도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동기가 운동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인들과는 달리 개인종목 대학운동선수들은 스포츠 정서가 스포츠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지속의도에는 기본적 심리욕구와 스포츠 동기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1216.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생활체육에 정기적으로 참가하고 있는 생활체육 참가자들의 운동만족을 평가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고 구조적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를 위한 절차로는 먼저 개방형설문지를 통하여 문항 탐색과 적절성 평정을 실시한 후 예비판에 기초하여 확정판의 신뢰도를 분석하고, 확정판의 구성개념 타당도를 점검하는 절차로 수행 하였다. 예비판에 대한 요인분석을 거쳐 2차로 10개 종목(골프, 윈드서핑, 볼링, 축구, 테니스, 수영, 헬스, 검도, 등산, 에어로빅)에 참여하는 생활체육 참가자 68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문항분석과 요인분석을 통해 신체적 기능향상(3문항), 운동능력향상(3문항), 사교증진(3문항), 심리적 안정(3문항), 건강생활(3문항)으로 총 5개요인 15문항의 최종 확정판을 완성하였다.
        1217.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아마추어 복싱선수들의 운동 동기를 탐색하기 위하여 각종 대회에 참가한 복싱선수 318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SPSS 12.0 ver.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급별 운동 동기를 비교한 결과 무동기는 중·고등학생에 비해서 대학·일반 선수의 점수가 높았다. 둘째, 체급별 운동 동기를 비교한 결과 체급이 높을수록 외적동기인 건강·체력의 점수가 높았다. 셋째, 1일 운동량에 따른 운동 동기를 비교한 결과 1일 운동시간이 많을수록 외적동기의 외적과시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경력별 운동 동기를 비교한 결과 내적동기의 성취감은 경력이 2∼3년인 복싱 선수들이 가장 높았으며, 4년 이상의 복싱선수 경력을 가진 선수의 성취감이 가장 낮았다. 외적동기의 외적과시는 경력이 4년 이상의 복싱선수들이 가장 높았으며, 1년 이내인 선수들의 외적과시가 가장 낮았다. 또한 경력별 무동기를 비교한 결과 경력이 많을수록 무동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1218.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내항성능이 우수한 선체는 나쁜 해상상태에서도 효과적으로 운항이 가능하고, 여객과 화물을 안정된 상태로 유지시키게 된다. 이러한 선체의 운동은 선속과 파도의 조우주파수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운동응답에 대한 평가는 입사파에 대하여 3자유도 운동에 대한 계산이 수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카타마란형 레저보트의 선형설계를 수행하여 이에 대한 운동성능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조우각과 선속의 변화에 따른 카타마란의 3자유도에 대한 RAO 및 RMS 값의 반복적인 평가를 통하여 양호한 운동응답을 보였다.
        1219.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10th Assembly of WCC will take place in Korea in 2013. Conservative Evangelical churches in Korea take the negative ideas against the WCC. What is the theology of Ecumenical Movement?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its theology. But it might be possible to catch the Ecumenical theological paradigm. Ecumenical movement produced the astonishing reports after a series of conferences or assemblies. Students who study the Ecumenical movement tend to be frustrated at its extraordinary documents. So I wonder whether any theological paradigm of the Ecumenical movement could be found. If so, we could grasp the total Ecumenical movement at a glace. According to W. A. Visser ‘t Hooft and Konrad Raiser, the Ecumenical movement in the first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had a theological paradigm of ‘Christocentric universalism’, which had the four elements: Christocentrism, the concentration on the church, the universal perspective of world, and history-centered thought. As the head of church, Jesus Christ let the whole church participate in God’s salvation history to save the whole world. However, the Ecumenical movement in the second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developed a new theological paradigm, which included the following four elements: Trinity and the kingdom of God, the deep study of the church, the radical study of the world (humanity) and the emphasis on the nature (creation). It could be said that God the Trinity as the Lord of the Kingdom of God let the whole church participate in the works of the Kingdom of God to save both the world (humanity) and the nature holistically. And the churches, as both sign and instrument of the kingdom of God, work to save the world (humanity) and the nature (creation) under the lordship of the Trinity. So we suggest its theological paradigm to be called as a ‘Trinity-centered universalism.’ As a conclusion, this study pointed up that the theological paradigm of the Ecumenical movement developed from Christocentric universalism to Trinity-centered one. Ecumenical movement took root in the ground in the Korean churches today. The Trinity-centered universalism as a Ecumenical theological paradigm could give the observers a coherent understanding and also provide every Ecumenical workers with a sense of solidarity.
        1220.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case of injury during a sports game, to punish the offender without exception might lead to withering of sports activities, whereas to get the offender exempted on the mere ground that injury occurred in the course of a sports game might cause plummeting of either legal stability or law-abiding spirit. So, it is vital to draw a bright line between criminal liability and moral obligation with regard to injury during a sports game. Scholars suggest the theory of victim's consent, the theory of tolerated danger, the theory of social reasonableness or the theory of non-legal issue as sources of justification to limit criminal liability. Each theory has its own merits and demerits. In order to punish the offender who inflicted injury by negligence during a sports game, general requirements of 'infliction of injury by negligence' occurrence of injury, ― causal relationship between offender's act and injury, breach of objective duty of care, etc.― should be met. Objective duty of care can be derived from statutes, past practices, social norm, logic, empirical rule or court decisions. In a sports game however, rules of the game may be the most important source of objective duty of care. As rules of the game enumerate matters that require attention in the entire course of a sports game, player's act against these rules can be treated breach of objective duty of care. It is excessive to deem all of the acts against rules of the game, including minor ones, breach of objective duty of care in light of the way a sports game is played as well as autonomy enjoyed in the sports field. Unless injury resulted from the act that had gone against rules of the game beyond reasonable expectation, the offender should not be found to breach objective duty of care. Rules of the game differ from type to type. In so-called type of rivalry sports games, rules of the game, while allowing the player or the team to make physical attack on the opponent to some extent, focus on diminishing or eliminating the possibility of injury. In so-called type of individual sports games, rules of the game prohibit dangerous act and call the attention of the players to avoid injury. To sum up, breach of rules may be treated more harshly and less flexibly in type of individual sports games than in type of rivalry sports games. The judgment under review in this paper has something to do with golf game, which belongs to type of individual sports games. The judgment thinks highly of rules of the game as source of objective duty of care. It also denies criminal liability in case of injury resulting from minor breach of rules of the game, which would reasonably be expected. On the face of it, the judgment seems to adopt the theory of social reasonableness. However, considering the courts usually dub social rule social reasonableness, the view taken by the judgment might be different from the theory of social reasonableness advocated by the scholars. The theory of social reasonableness relates to negation of applicability of criminal statute, whereas the view taken by the judgment might relate to negation of illegality. In such type of individual sports games as golf, the players enjoy game without physical contact with other participants, expecting reciprocal care to avoid unwanted injury. So it is somewhat improper to adopt the theory of victim's consent as source of justification to limit criminal liability in golf game. The judgment, in similar context, seems to have dismissed defense of 'victim's consent' raised by the accused. Even in case that the offender is held liable for infliction of injury by negligence with regard to injury during a sports game, the possibility to get relief is still open. If the offender reaches an agreement with the victim, he or she is able to avoid criminal punishment according to Art. 266 Para. 2 of the Penal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