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사회복지실천(Social Work Practice)에 대한 연구들이 국․내외적으로 활발하게 증가하고 있다. 실증분석에 기초한 연구와 더불어 방법론적으로 더욱 정교한 연구가 이루어지지만 패러다임의 흐름과 관점, 그리고 이론과 모델은 아직 전통적인 사회복지실천모델이 커다란 변화 없이 적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기존의 사회복지실천의 이론과 모델은 지식정보사회에서 개인 및 사회, 그리고 국가 간의 상황변화에 따른 사회변동을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사회복지실천의 발달에 영향을 미친 이데올로기(Ideology)와 사회복지실천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사회복지실천에 근간이 되는 전통적 방법론을 역사적으로 전개하면서 사회복지실천의 시대적 변화의 당위성을 찾는다. 특히 사회복지실천 발달현상으로서의 통합적 방법과 문제해결과정모델의 등장배경 및 이론적 기반을 통해 역량강화모델의 유용성을 검토하고 새로운 사회복지실천이론으로 대두되고 있는 독일의 사회학자 Jurgen Habermas의 비판이론(Critical theory)인 의사소통이론을 통해 새로운 사회복지실천에 대해 이론적 함의를 고찰한다. 결론적으로 사회복지실천의 발달원인에 대한 고찰과 비교분석을 통해 새로운 이론적 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초 록
The research proposes two calculation methods for estimating the overall, within and between standard deviation of population. These standard deviations can be used to evaluate the process capability and performance indexes. The guidelines for using Cpk and Ppk according to the pattern of common and assignable causes are presented.
The malodor as the sense pollutions is rising to surface with a new environmental matter. Especially, malodor"s appeal is increasing steadily from a residential area of the industrial complex. The odor characteristic and odor active compounds of industries should be identified to solve this problem. The dye company was selected as a sample among the industries. Air samples of the dye company were sampled with polyester aluminum bag and it was analyzed by GC/FID/O and GC/MS. The feature of the complex odor was ironing, sour and burnt smell. The odor active compounds of individual odor which contribute these smell were mainly 2-ethyl-hexanal, octanal, 2-ethyl-1-hexanol and nonanal. This study will help odor problem of industries to solve effectively.
본 연구는 줄눈콘크리트 포장의 줄눈부에서 종 방향으로 발생하는 균열인 T형 균열의 발생 원인을 수치해석을 통해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다웰바를 포함한 줄눈콘크리트 포장 슬래브의 유한요소해석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이러한 모델에 환경하중을 재하하여 슬래브에 발생하는 응력 분포를 분석하였다. 슬래브의 컬링 시 다웰바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우선 다웰바가 없을 경우의 슬래브 컬링 거동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다웰바가 슬래브 컬링 시 T형 균열을 유발할 수 있는 횡방향 응력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시공오차로 인해 다웰바의 설치 깊이가 슬래브 중간 깊이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 슬래브에 발생하는 응력 집중 현상에 대해서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다웰바가 슬래브 중간 깊이에 제대로 시공되어 있을 경우에는 슬래브에 발생하는 횡방향 응력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다웰바가슬래브 중간 깊이보다 표면 쪽으로 치우쳐 위치하게 되면 슬래브의 컬링에 의해 슬래브표면에 횡방향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응력 집중은 슬래브와 다웰바의 접촉 성질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여러 다웰바들 중 높이가 다르게 장착된 다웰바의 위치가 슬래브의 안쪽에 존재할수록 이러한 다웰바 위치에서의 응력 집중현상이 매우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줄눈콘크리트 포장에서 T형 균열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시공 시 다웰바가설계위치에 정확히 장착되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set three kinds of situation and observed the various states such as carbonization by experimenting damages by fire of electric ir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ire did not occurred when the unpowered iron over mattress and cotton shirts was com busted completely by external flame because the temperature of surface of soleplate and mattress did not reach the minimum ignition energy and when the powered electric iron over mattress and cotton shirts was left for an hour with its temperature dial set to high because the temperature of combustibles did not reach the minimum ignition energy. The fire occurred when the electric iron in which the outer box, bi-metal switch, and temperature fuse were removed over mattress and cotton shirts was powered by through heater terminal, and then the electric iron, mattress, and cotton shirts were combusted by the fallen combustibles because the temperature of combustibles reached to the minimum ignition energy with the help of active transfer of heat.
It is very important to evaluate the priority of prevention factors and strategies in order to minimize industrial accident. It provides decisive information for accident prevention and safety management.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evaluation method of the priority through statistic testing with prevention factors and strategies by the cause analysis of cause and effect models. Especially, this paper uses priority matrix criterion to justify application of rank and objectivity. This paper is based on the results of a questionnaire of workers and managers who are engaged by real manufacturing and construction industries with less than 300 workers in the central region of Korea, where most of the fatal accidents have happened. Finally, the result provides one way to implement safety management for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The Cheongju Wonheung Ecological Park was constructed to help the multiplication of toads, following the beginning of the development of surrounding areas. A great number of CCA (Chromated Copper Arsenate)- treated wood structures were included in the construction around the pond and the migration passage to the nearby mountain (Guryong Mountain). Noticeable malformation, however, occurred in toad tadpoles and most of them were found to be dead after all.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the cause of the incidence, focusing on the contamination of the area with heavy metals. CCA-treated wood, soil, and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around the pond and they were analyzed for heavy metals. The results showed that teratogenic copper concentrations were highly elevated in pond water and soil samples, suggesting that CCA-treated wood may be a potential source of toad malformation.
The study on semiconductor industrial accident in korea has been focused on frequencies of each type, employee, characteristics, cause and un-safety condition, behaviour and so on. Those attributes of semiconductor industrial accidents were usually analyzed independently, so that it was hard to provides a well-process and systematic guide lines for efficient safety management. There fore, there were a few studies based on comprehensive survey in terms of sharp-type of safe management. The questionnaire survey carried out for the workers(284) who were responsible for safety management in to center with corporate company with semiconductor industry the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three factor of safety management. They were 1) Investment and operation and management for accident prevention, 2) Unsafe, safety management 3) General human error and behavior the industries of respondents were correlative with three group. Three Group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number of cases. Actually, the group with the larger investment and the better unsafe cause, human error a of accident prevention had a smaller cause of accident cases.
시민 건강을 위협하는 질병 및 식중독 오염의 감염 매개체가 되는 손에 대한 위생실태를 점검하고자 유아원, 초등, 중등, 고등학생 및 일반인 등을 대상으로 오염의 지표인 일반세균 및 대장균군과 식중독 원인균인 세균성이질, 살모넬라, 황색포도상구균, 장병원성대장균, V. parahemolyticus, Y. enterocolitica, B. cereus, C. perfringens, L. monocytogenes, C. jejuni에 대해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일반세균과 대장균군 등의 위생세균에서 대장균군은 유치원생 2명, 초등학생 6명, 성인에서 2명이 검출되었으며, 일반세균은 유치원생의 경우 평균 3.3 log CFU/hand, 초등학생은 3.4 log CFU/hand, 중학생은 3.2 log CFU/hand, 고등학생은 3.4 log CFU/hand, 성인은 3.3 log CFU/hand로 나타났다. 2. 식중독 원인균으로 총 62주(12.4%)가 분리되었는데 그 중에서 황색포도상구균 47주(75.8%), B. cereus 8주(12.9%), C. perfringens 7주(11.3%)로 나타났다. 3. 독소 발현 확인시험은 황색포도상구균의 경우 47주 중 25주(53.2%)에서 독소를 확인하였는데 A형이 22주(88.0%), A와 B형 복합주가 2주(8.0%), A와 C형 복합주가 1주(4.0%)로 나타났으며, B. cereus는 8주 중 7주(87.5%)에서 독소 생산주를 확인하였으나, C. perfringens는 7주 모두 독소를 생산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4. 항생제감수성 시험에서 분리된 황색포도상구균 47주는 ciprofloxacin, clindamycin, imipenem, rimethoprim/sulfamethoxazole, rifampin, vancomycin에 대해서는 100% 감수성을 나타냈으며, cefepime, chloramphenicol, cefotetan, gentamycin은 각각 91.5% 및 oxacillin(89.4%), tetracycline(87.2%)에 대해서도 높은 감수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항생제 내성은 ampicillin(91.5%), erythromycin(42.6%) 및 penicillin(95.7%)에서 매우 높게 나타났다. 2개 이상의 항생제 다제내성을 보인 균주는 총 44주였는데, 2제 다제내성 18주(40.9%), 3제 다제내성 15주(34.1%), 4제 다제내성 7주(15.9%), 5제와 6제 다제내성 각각 1주(4.5%)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cause of offensive odor incident that took place at Shin-Gil district in Seoul on 17. Nov. 2007. Ai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both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accidental sewage site both at the right after and long after the accident and analyzed by GC/MS method. The results of our initial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39 compounds with sufficiently detectable quantities (e. g., above ~ 1 ppb). These compounds can be classified into 3 classes of chemical groups which include: Benzene, Indene, and Miscellaneous. It further indicated that compounds with benzene(C₆H₆) ring were the most abundant species followed by several compounds with indene(C₉H₈) structure. Based on our analysis, we conclude that the release of industrial solvents with indene resin contributed most significantly to the observed malodor incident.
큰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은 분류학적으로 담자 균아문(Basidiomycotina), 주름버섯목(Agaricales), 느타 리버섯과 (Pleurotaceae), 느타리버섯속(Pleurotus)에 속 하는 사물 기생균으로 주로 아열대 지방이나 수목이 없는 초원지대, 남유럽, 중앙아시아, 및 북아프리카 등에 널리 분포하며 king oyster mushroom이라고도 불린다. 큰느타리버섯의 인공재배에 관한 연구는 1958년 Kalmar에 의해 최초로 시도된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국 내의 경우 1997년부터 보고되기 시작하였다. 국내에 처음 도입되어 시험재배를 통해 농가 보급 된 후 경남·북, 전남 지역을 중심으로 그 재배면적과 생산량은 급격히 증가 되 었으며 2005년의 경우 전체버섯 생산량의 26%를 차지할 정도로 대중적인 식용버섯으로 자리를 잡았다. 그러나 큰 느타리버섯은 온도, 습도, CO2와 같은 외부의 환경요인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인공재배에 어려움이 있으며 세심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00년 초반 큰느타리버섯에 대한 일정 생산능력을 갖춘 농가에서는 농가수익증대 및 대량생산을 위한 방법으로 종균배양이 완료된 PP병을 농가에 공급하기 시작하였으며 이로 인해 큰느타리버섯의 재배형태는 종균이 배양된 PP병만을 공 급하는 농가(배지분양센터)와 그 PP병을 구입하여 생육 만을 담당하는 농가(재배농가)로 이원화된 형태의 모습을 갖추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재배형태는 큰느타리버섯의 전국적인 재배확산효과를 가져왔으며 큰느타리버섯이 대 중적인 식용버섯으로 발돋움하는데 큰 기여를 하였다. 하 지만 이 과정에서 검증되지 않은 다양한 배지재료의 이용 및 인공재배에 대한 기본 원칙 등이 일정부분 등한시 되면 서 기존에 발생되지 않았던 새로운 형태의 병이 2002년 후반부터 출현하기 시작하였으며 2003년도 에는 전국적 으로 확산되는 형태를 보여 주었다. 이에 본원에서는 경남 을 중심으로 전국적으로 발생되는 이병 자실체로부터 다 양한 미생물을 분리하여 Koch's 의 가설에 준해 병원균을 확인 하였으며 분자생물학적 방법 및 생화학적 방법을 통 해 분류 동정해본 결과 Pantoea sp. 로 확인 되었다. 과거 느타리버섯과 팽이버섯에 대해 Pseudomonas tolaasii나 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 등에 의해 세균성 병해가 보고된 경우는 있었지만, 큰느타리버섯에 있어 Pantoea sp.에 의한 병해는 이번이 처음이다. 한편, 분리 확인된 병원균의 경우 느타리버섯, 팽이버섯, 양송이버섯 등의 자실체에 대해서도 이병능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60℃에서 10분간 처리 되었을 때도 생존 능력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들에 대한 방제방법으 로 클로르칼키, 유한락스, 차아염소산나트륨등을 이용하여 시험한 결과 20% 클로르칼키 400배 수준에서 가장 효과 적인 방제가 가능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출생률ㆍ사망률의 하락은 고령화 추세의 직접적 요인이다. 출생률ㆍ사망률의 하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소득 수준과 보건ㆍ위생 수준의 향상 외에도 인구 조정 정책이 있다. 1970년 이후부터 개시되었던 인구 조정 정책은 출생률의 하락을 가져옴과 동시에 고령화 추세의 가져왔던 정책적 요인이 되었다. 특히, 1980년 이후 실시되었던 계획 출산 정책은 고령화를 촉진시킨 요인이 되었다. 계획 출산 정책에 따른 고령화는 불가피한 추세이지만, 문제점은 고령화의 속도, 현재의 조건 및 지역 간 불균등성에서 찾을 수 있다. 중국에서는 고령화 추세가 유례없이 빠른 속도로 진행되어왔기 때문에 경제 발전 수준이 낮은 상태에서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다는 점이다. 선진국은 경제 발전이 높은 상태에서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지만, 중국은 고령화 사회로 진입할 무렵에 1인당 GDP가 아직 낮은 수준에 불과하였다. 또한, 고령화와 지역 간 격차와의 관련성도 관심을 가질 부분이다. 먼저 동부에 비해 서부의 노년 인구의 비율이 낮지만, 유소년 인구 비율은 높다. 또한, 총부양비에서 서부지역은 전국 평균보다 대체로 높다. 이로 보건대, 서부 지역이 동부 지역보다 소득 수준이 낮을 뿐만 아니라 더 무거운 부양 부담을 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A special cause producing temporary deviation in the underlying process can influence on process adjustment in First-Order System feedback control system. In this paper, the impact of special causes on the forecasts and the process adjustment that is based on the EWMA forecasts are derived for a first-order system. For some special causes with patterned type of contamination, the influence of the causes on the output process are explicitly investigated. A data set, contaminated by a special cause of level shift, is analyzed to confirm the impact numeric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