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79

        1141.
        201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d analyze how two different groups of students who took P.E. lessons from P.E. teachers and sports instructors respectively during a semester perceived the objectives, contents, learning․teaching method, evaluati
        8,300원
        1142.
        201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ducational impact to students from Hanaro teaching on elementary physical classes by investigating the process of perception changes of students who avo ided the elementary physical classes through Hanaro teac
        5,400원
        1143.
        201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basic data for PAPS whose operation is at an early stage to gain ef fectiveness in school scene by analyzing the elementary teachers' recognitions about 5 components of PAPS operation - measurement, assessment, treatment, ap
        5,800원
        1144.
        201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을 베이스로 하는 무수한 서비스들 중에서 SNS 미디어 이용시 발생할 수 있는 프라이버시 이슈와 관련하여 미디어 특성별 선택과 이용 동기, 프라이버시에 침해에 대한 염려, 프라이버시 보호전략, 노출범위 및 비용, 그리고 책임소재 등에 대한 패턴과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SNS 미디어 이용으로 인한 프라이버시 침해 사례들과 이와 관련해 진화되고 있는 프라이버시권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살펴보고 대학생 이용자 대상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결과를 토대로 하여 그들의 SNS 프라이버시에 대한 인식을 관련 변인들과 함께 분석하고 있다. 적극적 이용자 몇몇을 제외한 대부분의 이용자들은 SNS 미디어 이용시 자신의 정보와 컨텐츠 그리고 의견 등의 노출 확률이 높아지는 것과 범위가 확대되는 것을 경계한다. 반면 자신에게 이득이 있다고 판단되면 기꺼이 자신의 프라이버시를 포기하기도 한다. 시스템내의 프라이버시 보호 기능에 대한 믿음, 자신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통제하고 있다는 자신감, 프라이버시를 해칠 수 있는 서비스의 설정을 자신이 선택할 수 있다는 점은 이용자로 하여금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책임이 자신에게 있다고 인식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8,400원
        1145.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10년 1월 현재 평가인증시설의 보육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보육시설의 평가 인증제도에 대한 인식과 사후관리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를 조사하여 평가인증시설의 요구에 따른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에 따른 사후유지관리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첫째, 시설규모에 따라 보육시설 종사자의 평가 인증 통과 후 인식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평가인증 후 사후관리에 대한 질 평가는 대체적으로 모든 평가인증 영역에 걸쳐 향상되었다고 볼 수 있으나 시설들 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는점은 각각의 상황이 다른 상태에서 실시되어 각 기관의 평가결과가 다른 것으로 유추 할 수 있었다. 셋째, 시설규모에 따른 보육시설 종사자의 평가인증 통과 인식과 사후유지관리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 본 결과 인식수준이 높을수록 사후유지관리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토대로 앞으로 보육시설의 종사자인 보육교사는 보육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핵심요소이기 때문에 보육교사들이 인증의 과정을 통해 스스로 성숙하는 매우 중요한 과정임을 인식하도록 해야 하겠다. 이러한 보육교사들이 평가인증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형성하도록 하는 과정은 평가인증제의 영유아에게 질적으로 우수한 보육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전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5,700원
        1146.
        201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환경관련 텔레비전 뉴스에서 시각적 요소인 영상과 자막이 정부의 4대 강사업에 대한 수용자의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 그리고 이슈관여도에 따라 그러한 시각적 요소가 ‘주변단서(peripheral cues)’로써 수용자의 태도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칠 것인지, 점화효과 이론과 정교화가능성 모델 이론을 배경으로 살펴보았다. 2009년 MBC 뉴스데스크를 통해 방송된 뉴스 중에서 정치, 경제, 환경 분야의 뉴스, 총 40개를 표본으로 추출하여 4개의 클립을 구성하고, 오디오 클립, 무자막 비디오 클립, 자막 비디오 클립 등 3가지 형태로 모두 12개의 클립을 제작하여, 335명의 대학생들을 노출빈도와 노출형태에 따라 6개 집단으로 구성하여 비디오 클립들을 시청하게 하였다. 사전 설문조사, 4주간의 실험, 사후 설문조사의 순으로 실시된 설문조사 결과를 성별, 미디어 소비량, 관여도 등을 통제한 공변량 분석결과, 환경관련 텔레비전 뉴스가 정부의 4대강 사업에 대한 수용자의 태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그 과정에서 영상과 자막이 4대강사업에 대한 수용자의 태도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시각적 점화효과(visual priming)’가 나타남을 검증하였다. 그리고 관여도와 시각적 요소의 상호작용효과 관련 가설들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지지되지는 못했지만, 영상은 이슈 관여도가 낮은 수용자 집단에게 주변단서로, 그리고 자막은 이슈 관여도가 높은 수용자 집단에게 중심단서로 사고의 정교화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6,700원
        1147.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노인 관절염환자를 대상으로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따른 방문재활서비스에 대한 요구도를 파악하 여 노인 관절염환자에 대한 방문재활치료모델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 2009년 8월 현재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3개의 노인복지관과 1개의 주간보호센터에 등록된 재가 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150부를 배부하여 110부가 회수되었고, 회수된 설문지 중 79부 (72%)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설문지는 방문재활서비스 요구도(10문항)와 관절염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한국형 WOMAC(Western Ontario and McMaster University Osteoarthritis)검사와 수정 바텔지수(Modified Barthel Index: MBI)로 구성하였다. 한국형 WOMAC과 수정바텔지수(MBI), 시각적통증검사(Visual Analogue Scale: VAS)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피어슨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한국형 WOMAC의 기능 수준에 따른 일반적 사 항, 의학적 사항, 방문재활서비스 인식도, 방문재활서비스의 필요성과 이유, 방문재활서비스의 구체적 욕구에 대하 여 교차분석(3XR)을 통해 분석하였다. 유의수준 α는 .05로 하였다. 결과 : 대상자 79명의 진단명은 퇴행성관절염 환자가 61명(79.2%)이었으며, 통증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부위는 슬 관절로 나타났다. 방문재활서비스에 대한 인식도는 낮았지만 응답자의 93.7%(74명)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고, 기능별로는 1등급에서는 15명(19.0%), 2등급에서는 44명(55.7%), 3등급에서는 15명(19.0%)이 방문재활서비 스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에서 재가 노인 관절염 환자는 가정에서 제공되는 재활서비스에 대해 높은 요구도를 갖고 있 음을 알 수 있다. 향후, 재가 관절염 노인들을 위한 실증적인 방문재활서비스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보완되어 야 할 것이다.
        4,500원
        1148.
        201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함께 디지털 저작물의 자유로운 유통환경이 갖춰지면서 불법적인 저작물 유통이 저작권산업 성장을 저해하고 있다. 네트워크를 통하여 불법 유통되는 저작물을 차단하기 위해서 다양한 기술적 조치들이 취해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기 배포되어있는 저작물에 대해서도 차단할 수 있는 특징기반 필터링 기술이 웹하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를 중심으로 다수 채택되고 있다. 특징기반 필터링 기술은 해당 저작물에 대한 특징 DB를 사전에 구축해야하며, 이를 위해서는 원본 저작물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다. 그러나 원본 저작물의 접근에 대한 중복성과 신뢰성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기술업체가 개별적으로 특징 DB를 구축하고 있기 때문에 효과적인 표준 인터페이스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3자에 의해서 신뢰성 있는 표준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특징 DB를 효과적으로 구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4,000원
        1149.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과학교육의 목표인 과학탐구에 대해서 초임과학교사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교사의 과학탐구에 대한 인식은 학생들의 과학탐구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고려할 때 연구의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126명의 초임교사들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과학탐구에 대한 인식과, 과학의 본성, 그리고 과학-기술-사회의 관계에 대한 인식을 파악할 수 있는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초임과학교사에 의한 과학의 본성과 과학-기술-사회 관계에 대한 인식을 포함하여 전반적인 과학탐구에 대한 인식은 코딩작업을 통해 파악되었으며 이 과정을 통한 자료수집 및 분석의 타당성 및 신뢰성은 과학교육전문가와의 토론을 통해 구축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임교사들은 과학탐구를 실험적인 절차적 기술과 과학적 사고를 함양하는 기회로 정의하고는 있지만 과학탐구를 하는 이유와 과학탐구를 실행하는 데 있어 교사의 역할은 실험적인 절차적 기술을 함양하는 기회로 파악하고 있었다. 과학탐구에 대한 정의나 목적 또는 교사의 역할에 대해서는 정의적 영역에 해당하는 요소는 거의 파악되지 않았다. 과학의 본성에 대해서는 과학적 관점보다는 순수한 관점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과학-기술-사회의 관계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 주었었다. 초임교사를 위한 조직적인 교사교육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4,800원
        1154.
        201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hanges in social, economical, and cultural environments affect the meal practices of children. The transmission of traditional Korean food culture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presents not only a well-balanced diet but also contributes to shaping ident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esent meal practices and views, as well as demands on traditional food culture education to reflect future educational plans. Half of the students ate breakfast everyday and 72% ate a traditional Korean style breakfast. About 38% of the students participated 2-4 times per week in meal preparation and 34% participated in clean-up after the meal once a day. Although 6th graders had greater skills in basic cooking, they tended to be more passive upon applying their skills in daily meal practice. For traditional food culture education, 89% of the experienced and 86.2% of the inexperienced groups agreed on the necessity of traditional food culture education. Students attained traditional food culture knowledge through Silgwa, practical coursework within the curriculum, and by teachers leading classes. They were also educated by parents, mass media, and books outside of school. The preferred methods of class teaching were lecture and experiential learning. The preferred subjects to learn were 'cooking classes based on taste development', 'learning food ingredients through vegetable growing', 'traditional Korean food manners', and 'traditional Korean food culture and seasonal foods' as well as nutritional education. Fifth graders ha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s meal practices and traditional food culture education. Traditional Korean food culture and nutrition education should be integrated and developed into regular subject curricula to improve children's meal practice and inheritance of traditional food culture.
        4,000원
        1155.
        201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Korean adults to investigate Makgeolli drinking behavior, preference, and perception about Makgeolli and health, as well as Makgeolli complaints and prices. A survey questionnaire was formulated to obtain information on demographic variables, drinking habits, and perceptions about Makgeolli's function, price, and complaints.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468 adults living in the capital a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Makgeolli (16.1%) was third preferred, following Soju (45.1%) and beer (30.7%),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y gender and income, but the preference for Makgeolli increased with increasing age (p<0.001). According to the survey, the largest reason both genders drank Makgeolli was that it tastes good. Men preferred Makgeolli for its health effects and cheap price, while women preferred it for the atmosphere while drinking it. Also, older people and those with higher incomes preferred drinking Makgeolli for its health effect rather than its good taste (p<0.001 for each).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y gender for the question "Do you think that Makgeolli has a health-promoting effect?" Overall, 51% of the subjects gave positive answers and only 5.9% gave negative answers. Significantly, older people and those with a higher income had a higher rate of answering positively to this question. Belching (45.1%) and headache (29.9%) were the most common symptoms among the side effects of drinking Makgeolli.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y gender or income, but older people had a higher rate of belching and fewer headaches than younger people (p<0.001). Women had a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perceiving that Makgeolli was cheap than men. Age and income differences did not influence price perception. To the question "What is the ideal price for high quality Makgeolli", 32.1% answered that the present rate (1,000 won) was ideal, and 59.4% answered that a price between 1,000 and 2,000 won was idea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high preference for Makgeolli is due to its good taste and health effects. However, belching and headache caused by drinking Makgeolli were the most common complaints and, thus, must be solved. Some opinions indicated that Makgeolli must eliminate its low-quality image, but, according to this survey, most subjects answered that the ideal price of higher-quality Makgeolli should be increased slightly, which would cause price resistance.
        4,600원
        1156.
        201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merican's perception and preference for Korean kimchi. A questionnaire was used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126 males (40.4%) and 186 females (59.6%) residing in Illinois and California. Approximately 68% of the respondents had eaten Korean food. The perception of kimchi was the highest with a mean of 3.62. The respondents felt that the "Kimchi is a good side dish with cooked rice", "Kimchi (with garlic) prevents SARS", whic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M=3.06, p< .001), and "Kimchi prevents adult diseases" (M=3.24, p< .01). When evaluating the different kinds of kimchi, onion juice kimchi had the most preferred taste and also the highest overall acceptability (M=5.50, p< .05) of the second days. In the sensory evaluation by kimchi use, the best taste (p< .001) was in the order of kimchi pizza (M=6.58), kimchi dumplings (M=6.40), and kimchi chicken a'laking (M=6.33). The order for overall acceptability (p< .001) was kimchi dumplings (M=6.30), kimchi pizza (M=6.25), kimchi bacon roll, kimchi fried rice, and kimchi chicken a'laking (M=6.17).
        4,000원
        1157.
        201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according to well-being value perception and the foreign visitor Korean food experience. An analysis of variance and a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hypotheses.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ost important quality when eating Korean food was "taste" (37.3%). (2) The most important well-being value recognition items for Korean food were "kimchi" and "bulgogi". "Bibimbap is well-being food" (3.82 points) and "Korean food is healthy because it consists mainly of cereals and vegetables" (3.56 points). (3) The subjects highly recognized the "improvement in service quality of Korean restaurants" (3.59 points) with regard to the importance of a globalization strategy for Korean food. (4) High-intake Korean foods were "bibimbap", "baechookimchi", "galbigui", "pajeon", and "bulgogi", in that order. In contrast, the intake frequency for "songpeon", "sikhei", and "guksu" was very low. (5) The subjects thought that the globalization possibility for Korean food was high, as foreigners ingested a lot of baechookimchi. (6) The most effective well-being value recognition item for globalizing Korean food was "Korean food is nutritious and good for the health" followed by "I have much interest in Korean well-being food". and "Korean food is a well-being food because it contains many fermented and seasonal items", in that order. (7) The most effective food for globalizing Korean food with a high-intake frequency was "baechookimchi", followed by "galbigui", "guksu", and "bibimbap".
        4,300원
        1159.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s for educating juveniles on desirable body image recognition by examining their body image recognition and comparing and finding problems according togender and body mass index (BMI)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15, their average height was 162.5㎝, their average weight was 53.5㎏, and their average BMI was 20.1㎏/㎡. Male students wanted togain weight and female students wanted to lose weight. As for body shape, female students thought that they were fat more often than male students. Also the more overweight the students were, the higher their concerns and experiences toward weight control. Among weight control methods, exercise scored highest in all BMI groups. Over 80%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ir weight control effort were not systematic such as via professional counseling. As for the frequency of eating breakfast and dinner in female students, the more a student was overweight, the lower their frequency of eating breakfast and dinner. Many respondents answered that a typical meal time was ``10∼20 minutes``. The average eating habit score for all subjects was 38.0. The eating habit scores of male stud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emale students,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BMI groups. Eating habit score of ``I have more than two meals with rice everyday`` in female overweight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other two group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female students` degree of preference for a slim body shape were higher than those of male students. In addition, weight control by students is not systematic through professional counseling; instead they attempt to control their weight by themselves such as a meal skip, which lead to potential danger that they may lose weight carelessly. Therefore, correct body image recognition is greatly needed, and families and schools should make ceaseless efforts to help students properly control their weight and have correct eating attitudes.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