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71

        341.
        201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벤처기업의 여유자원 수준이 기업의 국제화 수준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이러한 영 향이 벤처기업이 속한 국내산업 환경의 특성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벤처기업이 보유한 여유자원은 해외 시장에서 기업이 마주할 수 있는 제도적, 문화적 장벽으로 인한 어려움을 극복하게 해주고, 기 업의 위험추구행동을 가능하게 해주며, 경영진 및 이해관계자의 심리적 여유를 갖게 해줌으로써 기업 국제화를 증가시킬 수 있는 선행요인이 될 수 있다. 한편, 국제화에 대한 여유자원의 효과는 경쟁의 바탕이 되는 국내산업 환경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업 환경의 성장성이 낮고, 집중도가 높으며, 역동성이 높을수록 여유자원을 활용한 국제화가 가속화 될 것으로 예측하고, 이를 가설화하여 논의를 전개 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2001년부터 2014년의 기간 동안 한국증권선물거래소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제조업 기 업 507개를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한 결과, 유동비율로 측정된 벤처기업의 고재량 여유자원은 총매출 대비 해외 매출 비율로 측정된 국제화 수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산업 환경의 조절효과를 검증 한 결과, 성장성이 낮고 역동성이 높을수록 여유자원이 국제화에 미치는 효과는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 한 결과는 선행연구에서 일관된 연구결과를 보여주지 못했던 기업 여유자원과 국제화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시사 점을 제공하는 한편, 우리나라 벤처기업의 국제화를 높일 수 있는 조직적․환경적 변수를 고찰하였다는 측면에서 기여점을 가진다.
        8,300원
        342.
        201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농진청에서 수행하고 있는 아프리카 국제협력프로그램인KAFACI 사업의 일환으로 우간다 등 8개국에 ‘통일형 다수성벼 품종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아프리카에서정상적인 생육과 수량을 나타내는 다수성 통일형 품종인 밀양23호와 아프리카의 재래종인 O. glaberrima를 이용하여 밀양23호의 유전적배경을 보유한 근동질 계통인 BC4F1을 육성하고, 약배양을 통해 유전적 고정계통을 육성하였다. 이 중 50개계통을 우간다에서 생물검정을 실시한 결과, 아프리카에서 문제시되는 Yellow Mottle Virus (RYMV), Bacterial LeafStreak(BLS), 흰잎마름병 및 도열병에 복합저항성인 계통으로판명되었다. 특히 RYMV에 대한 저항성은 저항성원이 결여되어 있는 병으로 본 연구를 통해 육성한 계통들은 향후 아프리카에 적응하는 내병성 다수성 품종개발에 유용한 재료를 활용 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343.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2013년 경남 농촌현장포럼 마을들을 대상으로 색깔마을 유형과 농촌어메니티자원에 따 라 마을유형을 분류하고 농촌현장포럼 효과를 분석하여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을유형별 현장포 럼 효과 분석 결과를 토대로 색깔마을 1유형과 하위 30% 마을은 기초인프라와 주민역량강화형, 색깔마 을 2유형과 중위 40% 마을은 체험관광과 2차 산업화형, 색깔마을 3유형과 상위 30% 마을은 체험관광 과 6차 산업화형으로 재유형화 하였다. 또한, 설정된 유형에 따라 앞으로 농촌현장포럼과 마을발전방향 등을 제시하였다.
        4,000원
        344.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배추과 종자들의 고 함유 바이오 활성 화합물 배추속 및 무속의 유전자원들을 선발 하고, 이를 활용한 고부가가치 기능성 상품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배추속(양배추, 녹색꽃양배추, 콜라비, 꽃양배추) 및 무속(무) 유전자원 총 92점을 대상으로 라디컬 소거능을 이용한 항 산화활성과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다. 배추속 및 무속 종자들의 항산화활성과 플라 보노이드 함량의 평균간에는 유의차가 있었다. 배추속 변종들간에도 항산화활성,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 이드 함량이 통계적으로 유의차가 있었다.‘Tropic Sun Plus(B8)’양배추 등 총 22점의 배추속 품종 및 계통을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품종 및 계통으로 선발하였고 시판 무종자인‘Taeyang(R43)’과 육성 계통인‘13-FM 136-5×13-FM 138-1(R33)’의 항산화활성이 각각 142% 및 157%으로 실험한 유전자 원들의 종자 중 가장 높았다. 폴리페놀의 함량이 높은 배추속 유전자원은‘Tropic Sun Plus(B8)’양배 추 등 총 10점이였고,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에서 육성한 무 계통인‘13-FH 20-1(R4)’및 ‘13-FH 20-2(R5)’의 폴리페놀 함량이 높았다.‘Megaton(B14)’양배추 등 총 14점의 배추속 품종 및 계통을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은 품종 및 계통으로 선발하였다.‘13-FH 20-2(R5)’무의 플라보노이 드 함량은 1,000mg·100g-1이상으로 플라보노이드 고 함유 종자로 활용가치가 높은 계통이였다. 이상 의 결과로 항산화활성이 높고 바이오 활성 화합물의 함량이 높은 유전자원들을 선발하였고, 유전자원들 을 종자 기능성 가공품으로 활용하여 부가가치를 높히는데 기여할 것이라 판단되었다.
        4,500원
        345.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약재는 전초, 잎, 뿌리, 종자, 열매 등 다양한 부위가 약용부위로 활용되고 있다. 우수한 한약재를 안정적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종자의 특성 분석 및 발아율 검증을 통해 우량종자를 선발하고 발아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 하다. 특히 한약자원식물의 종자는 다른 작물종자와 비교하면 모양과 크기 및 내·외부 형태적 특징이 매우 다양하다. 본 연구에서는 비파괴측정기술인 광학현미경(Light microscopy) 와 X-선 회절분석법(X-Ray Diffractometer)을 이용하여 한약자원식물의 종자의 내·외부 특성을 평가 하여 건전종자를 파악하였고, 분광분석법(Hyperspectral system)을 이용하여 종자의 발아율을 예측 하 였다. 23개의 한약자원식물 종자를 대상으로 외부형태(길이와 폭)와 내부형태를 관찰하여, 배(Embryo) 의 상태가 건전한지 파악하였다. 종자표면이 거칠고 입체적인 표면을 가진 종자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종자들은 건전성 여부가 파악되었다. 한약재 내복자(萊菔子, Raphanus seed)로 사용되는 무(Raphanus sativus L.)종자를 선정하여, 192개의 종자를 임의적으로 선발한 후 국제종자검정협회(ISTA) 규정에 따 라 발아율 실험을 실시하였다. 총 192립의 종자 중 150립의 종자가 발아하였고, 42립의 종자가 발아되 지 않았으며, 이것을 바탕으로 발아 종자와 비발아 종자의 예측가능 모델 스펙트럼의 자료를 확보하여 최적 모델개발에 적용하였다. 발아측정모델을 만들기 위해서 근적외선 분광분석기(FT-NIR), 단파 적외 선 초분광기(SWIR) 및 가시/근적외선 초분광기(Vis/NIR)를 이용하여 발아 유무를 예측한 결과, 가시/ 근적외선 초분광기(Vis/NIR)를 이용한 분석 결과(Accuracy=90%)가 단파 적외선 초분광기(SWIR) 분석 결과(Accuracy=71%) 및 근적외선 분광분석기(FT-NIR) 분석결과(Accuracy=85%)보다 예측율이 높았 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한약자원식물 종자의 특성를 평가하고, 발아율을 예측하여 건전종자 및 우량종 자를 선발하는 기술로 활용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4,300원
        346.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주요 석재 생산지인 익산시에 소재하는 5개 지구의 폐채석장을 대상으로 관광, 휴양, 산업 등의 시설로 개발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익산시의 제반 여건, 법규, 개발계획, 현장여건을 분석한 결과를 조합하여 폐채석장 개발과 관련된 SWOT분석을 하고 대응전략을 구상하였다. 그리고 모든 분석과 대응전략을 기반으로 하여 대상 지구별로 적절한 개발유형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지구별 개발유형은 낭산1지구는 물을 활용한 문화/ 레포츠단지, 낭산3지구는 빛을 활용한 음악/문화단지, 낭산4지구는 꽃을 활용한 자연/휴양단지, 함열1지구는 나무를 활 용한 자연복구 및 생태공원, 용기지구는 돌을 활용한 저장/물류단지이다. 대상 지구별로 아이템의 개발 가능성, 개발효 과, 개발과 관련된 문제점 등을 제시하였다.
        4,200원
        347.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가 생물자원의 핵심지역인 한국 국립공원의 자연환경 보전, 이용에 나타나는 공원관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립 공원의 자연생태계 건강상태를 파악하여 관리 할 수 있는 과학적 평가 수단이 필요하다. 미국 공원청의 Vital signs, 캐 나다 국립공원의 Ecological Integrity 등 선진국에서는 현장 관리와 연계성이 높은 자원 모니터링 지표를 선정하여 국립 공원을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본 연구는 2011~2014년 국립공원 생태계 건강성 평가를 활용한 국립공 원 자원관리 방안을 마련하여 국립공원 보전방향 확립 및 현장 관리력을 향상하고자 하였다. 국립공원 생태계 건강성 평가 연구 대상지역은 육상형 15 개 국립공원인 지리산, 경주, 계룡산, 설악산, 속리산, 내장산, 가야산, 덕유산, 오대산, 주왕산, 치악산, 월악산, 북한산, 소 백산, 월출산이다. 국립공원은 일반생태계와 다르게 스트레 스에 대한 평가 지표가 필요하며, 스트레스 지표를 기본체계 로 하여 발생되는 문제점을 도출하여 보존, 복원, 관리가 진 행된다. 따라서, 건강성 평가 지표는 자연생태계의 온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생태계구조(종다양도지수, 멸종위기종지 수)와 인위적인 교란을 나타내는 스트레스(생태계교란종지 수, 수질지수, 파편화지수)로 구분하였다. 국립공원 생태계 건강성 평가의 각 지수는 5등급 기준을 선정하여 평가하였다. 종다양도지수(H')는 각 분류군별로 등 급화하였다. 멸종위기종지수는 우리나라 멸종위기종의 총 종수를 기준으로 각 공원에 분포하는 멸종위기종수의 비율 을 환산하였으며, 생태계교란종지수는 우리나라 외래생물 총 종수 대비 해당 국립공원의 외래생물 종수 비율을 지수화 하였다. 수질지수는 환경부 하천수 수질환경기준으로 생물 학적 산소요구량(BOD), 용존산소(DO)를 평가한 결과이고, 파편화지수는 국립공원 단위면적당 탐방로 길이의 비율을 환산하였다. 2011~2014년 국립공원 생태계 건강성 평가결과는 2011년 3.49점, 2012년 3.54점, 2013년 3.66점, 2014년 3.73점으로 지 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으며, 세부지수별 평가결과를 살펴보 면, 종다양도 지수는 2011년 3.35점, 2012년 3.78점, 2013년 3.90점 2014년 3.95점으로 상승하고 있고, 멸종위기종지수는 2011년 3.07점, 2012년 3.07점, 2013년 3.40점, 2014년 3.73점 이며, 생태계교란종지수는 2011년 4.93점, 2012년 4.93점, 2013년 5.00, 2014년 4.60이고, 수질지수는 2011년 3.43점, 2012년 3.07점, 2013년 3.13점, 2014년 3.43점이며, 서식지파 편화지수는 2011년 2.67점, 2012년 2.87점, 2013년 2.87점, 2014년 2.93점이다. 2011~2014년까지 가장 많이 상승한 지수는 멸종위기종 지수이며, 종다양도지수, 수질지수, 서식지파편화지수는 지 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반면, 생태계교란종지수는 감소하 고 있는 실정이다.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는 이러한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공 원관리를 실시하여 멸종위기종 서식지 보호 및 복원, 조사 등을 실시하여 ’11년 133종에서 ’14년 155종으로 증가하였 으며, 국립공원 생물종도 자연자원조사, 자원모니터링, 직원 현장 조사 등을 통하여 ‘11년 15,727종에서’14년 18,654종으 로 2,492종 증가하여 종다양도지수가 상승하였으며, 수질지 수는 전공원 계곡 수질 ‘매우좋음’ 등급을 달성하였으며 습 지 보전, 계곡 내 인공보 철거, 오수처리시설 관리 등 수생태 계 보전관리 강화를 통하여 BOD는 ’11년 0.33, ’14년 0.45, DO는 ’11년 7.97, ’14년 9.49로 상승하였다. 서식지 파편화 지수는 국립공원 타당성 조사 등을 통하여 공원면적은 ’11년 3,094.702㎢, ’14년3,170.064 ㎢으로 증가하였으며, 탐방로 길이도 ’11년 1,393.55km, ’14년 1,406.75km도 증가하였으 나, 생태계를 파편화하는 샛길 차단 및 샛길 단속 등을 강화 하였다. 위 4가지 지수는 상승하였으나, 생태계교란종지수는 교란종식물제거 면적이 해마다 증가(’11년 →’14년 796,596 ㎡)하고 있는 반면 돼지풀, 큰입배스 등 서식지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지수가 하락하고 있어 주요종에 대한 과학적 관리방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국 국립공원에서는 생태계 건강성 평가를 활용 국립공 원 자원관리 방안을 마련하여 공원관리 정책지원, 과학적이 고 체계적인 관리
        348.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우리나라 전통한우인 칡소, 흑우, 백우의 생시, 이 유시, 12개월령, 18개월령, 24개월령의 체중과, 체형형질을 비 교분석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공시축은 농촌진흥청 국립축 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에서 2011~2014 년도 까지 사육된 칡소 10두, 흑우 15두, 백우 7두를 이용하였다. 개월령별 체중 변화를 살펴보면, 생시 ~ 12개월령 체중은 흑 우가 가장 높았고 칡소는 가장 낮은 경향을 보였고, 18개월 령 ~ 24개월령 에서는 백우가 가장 높게 조사되었고 칡소가 가 장 낮게 조사되었다. 전통한우 24개월령 체형형질 측정치가 암소는 같은 개월령 의 황우와 비슷하게 추정되었지만, 수소는 26개월령 황우 거 세우와 비교하여 큰 차이로 낮게 추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황우 수소의 개량효과를 시사하는 결과라고 사료된다. 암소의 번식관련 형질인 고장, 좌골폭과의 상관관계를 살펴 보면, 칡소는 체중, 체장, 요각폭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흑우는 체고, 십자부고, 요각폭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백우는 모든 형질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수소의 강건 성관련 형질인 흉위, 흉폭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칡소는 체장, 고장, 요각폭, 곤폭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흑우는 체중, 십자부고, 고장, 요각폭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백 우는 좌골폭을 제외한 모든 체형형질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보 였다. 이러한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체중 및 체형형질의 중요 한 간접선발 지표로 암소는 요각폭, 수소는 고장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종합적으로 칡소, 흑우, 백우에 대해 우리 고유유전자원으로 서의 보존의 한계를 극복하고 향후 이들의 산업적 이용을 고 려할 때 무엇보다도 개체 수 확보가 가장 시급한 과제이다. 이를 위해서 학계, 연구계 및 산업계가 연계된 체계적이고 다 양한 연구와 이들에 대한 구체적인 개량방향 및 목표설정 등 이 먼저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349.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지역 수집종 달래(Allium monanthum Max., wild chive)를 대상으로 수집 지역 간의 주요 작물학적 특성과 유전 적 다양성 등을 비교·분석하여 품종 육성의 기초자료로 활용 하고자 수행하였다. 1. 충청도 수집종의 경우 초장의 평균이 50.89 cm 약 5 cm 로 타 지역 수집종에 비하여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타 형질에 비하여 변이가 적었다. 엽폭은 지역 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잎집 길이는 충청도 수집종이 2.56 cm로 타 지역 수집종에 비 하여 다소 짧았다. 2. 조사한 유전자원의 잎집 길이는 0.63 ~ 8.67 cm의 범위를 보여 이중 잎집 길이가 긴 유전자원들은 품종육성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엽수와 간테의 경우 지역 간 큰 차 이가 인정되지 않았지만 변이계수가 커서 자원 간 변이의 폭 이 넓은 형질로 판단되었다. 3. 출아일자는 평균 3월 7일로 수집 지역간 큰 차이가 없었 으나 2월 24일인 조생종과 3월 14일인 만생종도 있었다. 종구 의 무게는 평균 1.43 g으로 지역 간 큰 차이는 없었지만 경기 도 수집종의 경우 변이의 폭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주당 자구의 생산능력은 지역 간 변이가 컸으며 충청 수 집종의 경우 평균 6.53개로 타 지역보다 2배 정도 높았다. 5. 수집지역 간 유전적 다양성 정도는 충청도가 유사도 0.329로 가장 높게 나타나 타지방에 비하여 유전적 다양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라도로 0.148가장 적게 나타났다. 한 편 변이계수에 따른 군집의 수는 경상도 수집종의 경우 29개 로 전체 조사자원 중 약 50%만이 coefficient 0.25에서 군집 화 되었으며 충청도는 71.4%가 구분되어 유전적 다양성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350.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회복지사의 이직률이 높은 것은 비단 어제 오늘의 문제가 아니며, 이로 인해 사회복지 학계에서는 오랫동안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 관련 연구를 시도해 왔다. 그러나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탐색적으로 살피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며, 사회복지사들이 어떠한 요인에 의해 이직의도를 갖게 되는지, 그리고 여성친화적 인적자원관리와 관련하 여 살펴본 연구는 거의 없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여성친화적 인적자원관리와 사회복지사의 이직의 도 간의 관계에서 이중몰입(조직몰입, 경력몰입)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부산ㆍ경남 지역 사회복지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1,162명을 대상으로 우편 설문을 실시한 후, 회수된 875명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회복지조직의 여성친화적 인적자원관리는 사회복지사의 이 직의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중몰입은 여성친화적 인적자원관리과 이 직의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효과분해 결과, 경력이동의도에는 조직몰입의 매개효과가 더 크고, 경력변경의도에는 경력몰입의 매개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관의 여성친화적 인적자원관리와 관련한 시사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6,100원
        351.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우디아라비아 북부지역에서 수집된 홍화 총 100자원에 대 한 총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여 항산화활성이 높은 홍화자원을 선발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총 100자원의 홍화유전자원에 대한 총폴리페놀 함량은 14.2 ± 0.41 μg GAE mg−1dw에서 81.6 ± 1.56μg GAEmg−1dw 까지 분포하였다. DPPH 라디컬 소거능은 1.6 ± 0.07 μg ASC mg−1 dw에서 14.1 ± 0.23 μg ASCmg−1 dw까지 활성을 나 타냈다. ABTS 활성은 34.5 ± 0.70 μg Trolox mg−1 dw에서 156.5 ± 3.06 μg Trolox mg−1 dw까지 평가되었다. 항산화활성 을 측정한 DPPH와 ABTS 활성간에는 상당한 유의성(r = 0.954**)을 보였다. 2. 홍화자원 100자원의 총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활성 결 과값에 대한 상호관계를 분석하여 활성이 높은 그룹(Group1)을 얻었다. Group1에 포함된 8개의 홍화자원은 나머지 그룹에 속한 자원들에 비해 항산화활성이 높았으며, 이중 K185841, K185879, K185863은 Group1내의 다른 자원들보다도 항산화 활성이 상당히 높아 홍화육종이나 기능성물질연구에 좋은 소 재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4,300원
        352.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imate biomass and to provide management plan through populati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survival rate, instantaneous coefficient of natural and fishing mortalities, and age at first capture of Flathead grey mullet, Mugil cephalus, in the coastal waters of Yeosu. Survival rate (S) of the flathead grey mullet was 3.671. The instantaneous coefficients of natural mortality (M) and fishing mortality (F) was estimated to be 0.325 /year, 0.962 /year for flathead grey mullet. Also fist capure age of flathead grey mullet was 3.61year. The current biomass of the flathead grey mullet in the study area was estimated to be 19.6 M/T and F0.1 and F40% were estimated 0.340 /year, 0.225 /year. For the stock assessment result, flathead grey mullet was not overfished but overfishing.
        4,000원
        353.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충남지역에 분포하는 사유림에 대한 포괄적인 개념의 산림경영율을 지역별, 임상별, 영급별, 경급별, 주요 수종별로 구분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충청남도 사유림에서 조사된 제 5차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 고정표본점은 총 971개소이며, 사유림 내에서 포괄적인 산림시업이 이루어진 고정표본점은 총 752개소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충청남도 전체 사유림에 대한 포괄적인 산림경영율은 약 86.37%로 나타났다. 지역별 사유림에 대한 매년 연도별 산림 경영율은 공주시에서 14.07%로 가장 높은 경영율을 보였고 반면에 홍성군이 1.14%로 가장 낮은 경영율을 보였다. 임상별 산림경영율은 활엽수림에서 33.2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반면에 혼효림에서 22.87%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영급은 3영급(33.77%)과 4영급(37.64%)에서 가장 높은 산림경영율로 나타났으며, 경급은 소경목(43.27%), 중경목(35.18%), 대경목(1.41%)으로 갈수록 산림경영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충남지역에 분포하는 사유림의 포괄적인 사유림경영율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354.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광물자원에 관한 세 가지 유형의 스마트수업 모듈을 개발·적용한 후 그 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일반계 여자고등학교 1학년 6개 학급으로 실험집단 100명, 통제집단 111명이다. 실험집단에게는 태블릿 PC를 2인당 1대 제공하고 세 가지 유형의 스마트수업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서는 교사중심의 강의식 수업을 실시하였다. 광물에 대한 흥미도 검사는 5단계 리커트 척도의 10문항을 사용하였고, 이해도 검사는 광물, 광상, 광물자원의 생성과정 등에 대한 15문항을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광물과 광물관련 학습에 대한 흥미 범주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광물과 암석을 직접 관찰하고자 하는 탐구의욕 범주에서는 두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광물에 대한 이해도에서 실험집단의 점수가 통제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상위수준 학생들에게 스마트수업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수업의 장단점에 대한 인식조사 결과, 관련 자료를 찾고 다양한 형태의 산출물을 만드는 경험을 흥미롭게 느끼며 장점으로 인식한 반면, 정보량이 많아 의견조율 및 의사결정이 어려운 점을 단점으로 지적하였다.
        4,300원
        355.
        201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두 가지 요인으로 제휴 포트폴리오 내의 자원(resources)과 교섭력 (bargaining power)을 지목하고, 이들이 각각, 그리고 동시에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포트폴리 오 내의 자원을 통한 가치창출(value creation) 효과와 교섭력을 통한 가치전유(value appropriation) 효과를 구분한 선행 연구들을 확장하여, 본 연구는 두 가지 효과가 함께 시너지를 낼 수 있다는 상호보완적 관점에서 자 원과 교섭력을 함께 고려하여야 한다는 논의를 제시하였다. 글로벌 소프트웨어 산업의 196개 기업의 제휴 포트 폴리오를 분석한 결과, 제휴 포트폴리오 내의 자원만을 고려하거나 교섭력만을 고려한 경우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발견하지 못하거나 부분적으로만 발견할 수 있었다. 한편, 자원과 교섭력을 함께 고려한 경우 기업성과에 주는 긍정적인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기업은 제휴 포트폴리오의 자원과 교섭력을 모두 고려할 수 있는 통합적인 관점을 가져야 하며, 한 가지 요소가 충족되더라도 다른 한 가지 요소가 충족되지 않을 경우 제휴 전략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8,300원
        357.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reen roofs are gaining much interest in many cities around the world due to its multi-purpose effects of water conservation, flood mitigation and aesthetic benefits. However it may cause additional water demand to maintain green plants, which may intensify the current and future water shortage problems. While ordinary concrete roofs and normal green roof drains off rain water, concave green roof system can retain rain water because of its water holding capability. In this study, the water conservation effect of concave green roof was compared to normal roof on #35 building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For seven rainfall events the amount of stored rainwater and runoff were measured and proved water conservation effect of the concave green roof system. The concave green roof system of which area is 140m2 showed effect of water conservation from 1.8ton to 7.2ton and the most influence factors on water conservation in green roof are rainfall and antecedent day. If this concave green roof is applied to many buildings in the cities, it is expected as a way to water conservation through rainfall storage.
        4,000원
        358.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focuses on the case of FIRA(Korea Fisheries Resources Agency) and analysis the introduction effect of BSC(Balanced Score card) implementation. So it will set forth the improvement method and the implications for Quasi-governmental organizations which are trying to introduce or are operating the BSC system. This study suggests how to improve the problems of BSC as below : ① Building of reasonable and balanced evaluation index system ② Acquiring of comparability and equality through adjustments of group evaluated ③ Enhancing of competence and professionalism of evaluating group ④ Alleviating of difference gap of performance incentives and promoting of non-money incentives ⑤ Enhancing of positive acceptance and recognition for BSC.
        6,000원
        359.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TAC policy and to examine the effective annual TAC quota in the sandfish stock rebuilding plan using a bioeconomic modelling method. In the analysis, first, a sandfish bioeconomic model was developed by combining a sandfish stock population model and economic models by fishery and second, achieving stock rebuilding targets and changes of fishing revenues by the level of annual TAC quota were examined. Model results indicated that the TAC 1,500ton policy would have the greatest impact on the increase of sandfish stock biomass comparing to the status quo and other TAC policies. In addition, it was evaluated that the total fishing revenues of coastal gillnet and danish seine fisheries could be increased the most in the TAC 2,500ton policy. In both cases of TAC 3,500ton and 4,000ton, the fishing revenues of both fisheries were inversely reduced due to the decrease of catch by coastal gillnet and the decline of market prices by danish seine’s excessive catch. Furthermore, they would have a negative impact on sandfish stock biomass.
        4,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