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93

        441.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국제적인 활동을 펼치고 있는 일본의 무라카미 타카시와 중국의 차이 궈창이 전략 적으로 스스로의 ‘타자성’을 부각시키는 작품을 통해 해외 진출을 성공적으로 이룬 과정을 살피고 있다. 이는 에드워드 사이드가 말하는 오리엔탈리즘이 서양의 동양에 대한 통제 일뿐 아니라 동양 이 서양의 시각을 내재화시키는 측면이 함축됨을 보여주고 있다. 무라카미의 경우 미국진출을 염 두에 두면서 그 전까지의 시사적 작업에서 멀어지고, 현대일본의 특수층의 취미문화라 할 수 있는 오타쿠와 관련된 이미지들을 제작, 발표한다. 차이는 중국 미술계의 디아스포라라는 대대적인 이 주의 시절에 일본으로 이동하여, 중국의 4대발명품으로 일컬어지는 화약을 사용한 작업으로 자신 의 특수성을 각인시키는데 성공한다. 두 작가의 경우 모두 스스로가 개척해온 ‘타자 이미지’의 초 월을 통해 비로소 동양인 국제파 작가에서 단순히 ‘국제적’ 작가로 재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5,800원
        442.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 수업이 비판적 사고 전략의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 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 충청도 소재 4년제 사립대학교의 3학년 학생 260명을 대상으로 플립드 러닝 (flipped learning)을 기반으로 한 학습자 중심 수업 설계를 16주에 걸쳐 적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비판 적 사고 전략 검사의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수업 전과 후의 비판적 사고 전략의 수준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수업 전의 비판적 사고 전략 수준에 따라서 수업 후에 변화의 양상이 어떠한가를 알아 보기 위해 상ㆍ하 집단(25%, 75%)으로 분류하고, 이들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비판적 사고 전략 검사는 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전략을 측정하기에 적합한 요인구조를 가졌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학습자 중심 수업은 비판적 사고 전략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장 높은 차원인 비판적 반성 전략의 경우 수업 적용 전에 비해 가장 큰 향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업 전의 비판적 사고 수준이 낮은 집단이 수업 후의 비판적 사고향상의 폭이 더 크게 나타나 하위집단일수록 학습자 중심 수업이 효과적이라는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결과를 확인하였 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몇 가지의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비판적 사고의 향상을 위해서는 학습자의 활동 과 개별학습, 협업, 소통이 중시되는 학습자 중심 수업을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였고, 학습 수준에 따라 학습자 중심 수업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측면에서 의의 가 있었다.
        5,200원
        443.
        2016.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444.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아메리칸 르네상스 벽화에 드러나는 와스프 계층의 타자화 전략과 그들의 지배 이 데올로기를 이민의 급증이라는 사회적 문맥 내에서 고찰한 연구이다. 1880년대 이민의 급증으로 사회적 위기의식을 느낀 와스프 계층은 와스프 문화를 지키는 과정에서 그들 문화의 범주를 지형 학적으로, 인종적으로, 종교적으로 제한했다. 이 시기 아메리칸 르네상스 벽화들은 와스프 지배층 의 지배 이념과 이상을 포함하고 있으며, 와스프 계층은 이 벽화들을 통해 지배 이데올로기를 강화 하려 했다. 다문화주의로 변화하는 시기 아메리칸 르네상스 벽화들은 와스프 계층의 상반된 두 가 지 전략을 보여주었다. 한편으로는 이주민들을 자신들의 영역에서 분리해서 자신들만의 공적 영 역을 강화시키는 방식과 또 다른 한편으로는 회유와, 설득을 통해 자신들의 영역으로 편입시키는 방식을 보여주었다.
        7,000원
        445.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정신장애자 범죄자에 의한 연이은 강력범죄로 인하여 정신장애 수용자의 교정 처우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정신장애의 범죄의 원인성에 대한 논란은 계속되고 있지만, 정신장애 범죄자에 대한 교정처우전략의 필요성은 시급하다. 그런데 캐나다는 2007년 10월에 발생한 여성재소자 애슐리 스미스의 교도소 내 자살사건을 계기로 정신장애 수용자에 대한 교정처우전략을 매우 체계적으로 준비하고 집행 중에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첫째, 캐나다의 정신장애 수용자에 대한 교정처우전략을 분석하고, 그 특징을 살펴볼 것이며, 둘째, 이를 통하여 향후 한국의 정신장애 수용자에 대한 교정처우정책의 개선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캐나다 교정국은 2008년 11월에 수용자 정신건강을 위한 연방 및 지방교정국 협의체를 구성하였다. 이 협의체는 캐나다 정신건강위원회의 지원을 받아 수용자의 정신건강 및 정신장애 치료를 위한 전략을 수립하여 2012년에 교정시설 정신건강전략을 발표하였다. 이 전략은 프레임워크와 집행전략 등 두 가지의 기본적인 틀을 가지고 있다. 캐나다 교정국은 정신건강전략을 구체적으로 실행하기 위하여 2014년 5월 1일에 교정시설 정신건강행동계획을 발표하였다. 정신건강행동계획은 연방교도소 수용자의 정신장애 여부에 대한 적시평가, 효율적인 관리, 적당한 개입, 교도관 등에 대한 지속적인 훈련, 강력한 관리 및 감독 등의 다섯 가지 전략을 명시하였다. 그리고 그 집행여부에 대한 모니터링을 캐나다 교정감사관이 매년 공공안전부장관에게 백서 형태로 보고하고 있다. 캐나다의 정신장애 범죄자에 대한 교정처우전략을 통하여 다음과 같이 정책적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근거법의 정비가 필요하다. 현행 국민건강보험법, 치료감호법, 형집행법 등으로는 지속적인 치료는 어렵다. 둘째, 외부치료기관과의 연계가 필요하다. 지역사회의 전문의료시설 및 의료진의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치료시설 확충 및 전문의료진의 확보가 선행되어야 한다. 현재 부족한 치료감호소 및 교정시설의 의료진의 충원이 시급하다. 넷째, 형사사법기관 및 민간정신치료기관과의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한다. 수사기관과 교정기관, 그리고 보호관찰소 및 지역사회의 정신의료시설과의 협업이 필요하다. 다섯째, 수용자에 대한 정신장애 여부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가장 우선되어야 한다.
        6,100원
        446.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roduct liability (PL), which began enforcement in 2002, refers to the legal responsibility of the manufacturers or sellers (wholesales or retailers) for the property damage or bodily harm caused by their product. With a strong enforcement of the Product Liability (PL) Act, companies are required to structure and operate a response system to defend or prevent product accidents efficiently, but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MEs) are unable to respond more aggressively due to limitation of management resources. In this manner, it is important to develop response strategies for SMEs to efficiently cope with the PL Act. In this paper, the PEST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Technological) analysis is performed to reveal the impact of the PL Act on SMEs in macro-economic point of view. To formulate SME’s PL response strategy, SWOT analysis is performed to categorize each factors from PEST analysis and AHP is applied to identify the intensities of SWOT factors. The prioritized SWOT factor, results of PEST-SWOT-AHP analysis, are used to formulate SME’s PL response strategies. The study results are briefly summarized as follows. To reduce product defects, it is necessary for SMEs to formulate PL response strategies for each phase of the product life cycle by continuously collecting and analyzing PL cases in the same industry or for similar products. In addition, SMEs should invest more technological effort to ensure product safety. Further, SMEs should spread PL awareness to all staff members by training internal PL experts. Moreover, a SME should enroll in PL insurance and spread this information to its customers so that they become aware that the company is proactively conforming to the PL law.
        4,000원
        447.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China's economy has entered a state of rapid growth from high growth to the growth of the so-called “The New Normal". In such a situation, "The Belt and Road" Initiativeas become the key of project The Chinese Dream. The cultural construction in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is really the key areas. According to this judgment that we say: "The Belt and Road"Initiative contains several important cultural significance. Its main contents are as follows: On the one hand, "The Belt and Road"Initiativeis not only the main spirit inheritance policies of socialist culture in contemporary Chinese, and The Chinese Dream future cultural policy to realize the plan. Second, "The Belt and Road" Initiativeis an important measure to spread China excellent traditional culture, create a good national image. Third, "The Belt and Road"Initiativein the construction of "people connected" is to expand cultural exchanges and strengthen people-to-people exchangesas the key target practice. Fourth, "The Belt and Road" Initiativeof advocacy and practice means to seek spiritual world through trade exchange settlement. This is to achieve the unity of the world "the Chinese Confucian philosophy, advocated "multicultural coexistence", "harmonious but different" pattern of world civilization. In a word, "The Belt and Road" Initiativeis not only an economic strategy, but more important is to promote along the cultural exchanges between the people all over the country. Chinese government is convinced that only relying on the profound Chinese culture, in order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finally realize the harmonious and win-win old world.
        5,100원
        448.
        2016.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연구에서는 메조스코픽 교통 시뮬레이션 모형인 DTALite와 대기오염 배출량 산정 모형인 MOVES Lite-K를 활용하여 교통운영 전략 수행시의 이동성 변화와 대기 오염물질 배출량 변화를 평가하는 연구 를 수행하였다. 수원시를 대상으로 DTALite으로 교통 네트워크를 구축한 후, 첨두율 완화, 차량 교체, 재 차인원 증가 전략을 시행하는 시나리오를 시뮬레이션을 각각 수행하여 미시행 시나리오인 Baseline 시나 리오와 비교분석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성 지표인 속도와 오염물질 배출량에 대하여 비교 평가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그림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네트워크 평균 통행 속도는 22.4 mph에서 첨두 집중율 완화, 재차인원 증 가의 시나리오에서는 평균 통행 속도가 각각 약 5 mph, 1.9 mph 증가하였다. 차량 교체 시나리오의 경 우는 교통수요가 동일하기 때문에 시행전과 유사한 평균 속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1에는 Baseline 시나리오 대비 대기오염 배출량의 변화율이 정리되어 있으며 시나리오별로 다음과 같은 감소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된다. ‧ 첨두율 완화 시나리오 : 교통혼잡을 완화시킴으로 인해 오염물질 배출량이 약 6~9% 감소 ‧ 차량 교체 시나리오 : 18%의 CO2 감소, 28%의 CO 감소. 교체된 차종인 휘발유 소형 승용차가 기존 차종인 휘발유 중, 대형 승용차 보다 CO2, NOx, CO, PM 배출율은 낮지만 HC 배출율이 높기 때문에 다 른 오염물질은 감소하였으나 총 HC 배출량은 증가하였음 ‧ 재차 인원 증가 시나리오 : 10%의 재차 인원 증가율을 적용하였기 때문에 차량 수요가 약 9% 감소하였고 오염물질 배출량도 수요 감소와 유사한 수준의 7~10% 감소를 보임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통해 교통정책 대안별 네트워크 평균 속도 및 오염물질 배출량 변화를 분석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방법론이 교통운영전략, 교통정책, 교통사업 평가 시 활용된다면 이동성 과 환경적 측면을 함께 고려할 수 있는 주요 판단 지표를 의사 결정자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449.
        2016.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에서는 충격파 모형을 이용하여 능동식 우선신호의 최적 신호시간을 산정하기 위한 모형을 제 시하였다. 본 신호 최적화 모형을 이용하여 능동형 우선신호 기법 중 Early Green 및 Green Extension 이 적용되는 조건에서 충격파 면적을 산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평균통행시간 및 교차로 진출시각을 이용해 충격파의 발생 속도를 산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이용해 우선신호로 인한 현시 변 화량에 따라 충격파 면적 변화량을 산정할 수 있다. 또한 교차로 전체의 충격파 면적이 최소화되는 신호 시간을 산정하여 우선신호로 인해 증가하는 일반차량의 지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우선신호 신 호시간 산정 모형의 효과평가를 위해 VISSIM과 ComInterface를 이용한 미시적 시뮬레이션 분석을 시행 하였으며, 이동류의 포화상태를 고려하여 지체 최소화를 위한 신호시간이 산정됨을 확인하였다. 독립교차 로를 대상으로 하는 사례분석에서 우선신호를 위해 비우선현시를 균일하게 단축하는 전략 대비 본 모형에 서 일반차량 지체가 10% 이상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트램, BRT, 중앙버스 전용차로 등 대중교 통 우선시설이 확산되고 있는 최근 국내 상황에서 신호교차로의 운영효율을 높이기 위한 새로운 우선신호 제어 방법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겠다.
        450.
        201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의 목표는 남북한이 정치적으로나 경제적으로 하나가 되어 통일국가를 이루는 것이다. 통일 이전이라도 남북한이 평화를 이루어 서로 화해하고 협력하여 함께 살아야 한다. 109년 전 평양 대 부흥을 경험하고 제2의 예루살렘으로 불린 그곳이 다시 회복되어 전 세계에 평화의 마음을 가지고 영혼들을 살리며, 다시 오실 예수 그리스도를 전하는 나라가 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인간 삶의 본질적인 변화를 추구하는 기독교선교에 있어서 북한 동포들의 사고방식이나 생활습관 등의 환경적인 요소들을 연구하고 분석하는 것은 필수불가결한 요소일 수밖에 없다. 진정한 의미의 민족화해를 이룩하기 위해 화해와 통일을 목표로 북한의 인권과 탈북자 문제를 중심으로 살펴보면서 남북관계에서 한반 도 통일의 전망을 제시한다. 한국교회의 중재자적 접근은 정의와 진실 에 근거한 평화와 조화를 이루는 일에 매우 중요할 것으로 강조된다. 통일 선교정책의 평화 이해와 전략은 북한선교정책전략에서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한 접근과 모색을 통하여 북한 인권의 실태, 북한 이탈주민, 탈북여성의 인신매매와 탈북고아, 요덕수용소, 북한 인권법을 중심으 로 전개했으며, 북한선교정책 유형에서 남북관계의 이중성을 어떻게 전환시켜서 접목하는지를 서술하였다. 선교의 유형들이 다양한 창구로 변함에 따라 북한선교의 기독교정 체성에 관한 문제가 서서히 제기되었다. 또한 지구, 세계화로 대변되는 오늘의 시대는 모든 것이 자본의 논리로 관찰되고 있다. 이로 인해 가난한 국가들과 가난한 사람들의 어려움은 더욱 가중되고 있고, 엄청 난 분단비용을 감수해야 하는 한국과 북한의 국민들 역시 어려운 상황 가운데 놓여있다. 이러한 시점에 우리 기독교인들은 북한선교에 힘을 모아야 한다. 북한선교는 예수 그리스도의 선교명령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민족의 생존적 차원에서, 자유라는 미명 아래 당연시되는 무한 경쟁을 도전하는 차원에서 기독교인들의 중요한 과제이다. 그러므로 한국교회는 미래 북한선교사역에 있어서, 먼저 북한을 더 이상 한국과 북한이 서로 대립되는 관계로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미래를 함께 주도할 동반자로 인식해야 한다. 그렇게 될 때 한국교회 미래는 민족 모두에게 진정한 희망이 될 것이며, 통일정책에 북한선교 정책이 기독교인들의 북한선교는 큰 의미를 창출할 것으로 본다.
        8,400원
        451.
        201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14년부터 전 세계를 공포와 두려움과 불안으로 가득 차게 만든 곳이 있다면 중동 이슬람국가(IS)일 것이다. 지금도 중동문제는 해결하 기가 어렵지만 그 해결점을 찾기 위해서는 우선 부족, 식민지배, 종교를 알아야만 한다. 이 세 가지는 역사적으로 첨예하게 대립되어온 부족 간의 갈등과 강대국으로부터 받은 식민지배, 종파간의 첨예한 갈등에 의한 내전과 폭력, 테러의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이슬람교는 1400년 동안 수니파와 시아파 간의 충돌은 지금 도 계속되고 있으며, 이는 세계정치를 혼란스럽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그런 가운데 이슬람의 세계선교 전략을 인지하기 위해서는 이슬 람교의 역사, 서구사회의 이슬람교를 비롯하여 최근 이슬람교의 상황을 파악해야 한다. 최근 이슬람교의 상황으로서 이슬람국가의 태동과 활동, 이슬람의 세계관과 타키야 전략, 이슬람교의 한국 전래와 상황을 면밀하게 아는 것도 중요할 것이다. 그리고 이슬람교의 세계선교 전략에 대한 대응방안으로 이슬람교의 다와 정책, 한국에서 이슬람교가 펼치는 틈새전략과 성장요인을 이해해야 한다. 특별히 한국교회가 이슬람교의 다와 정책에 대한 기독교 적 대응을 하려면 종교적 안정감과 성경말씀에 사로잡히는 일, 이슬람교 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기독교의 좋은 전통과 관습을 확인하고, 사회적 질문에 대한 명확한 답변을 제시하며, 하나님 의 자녀로서의 정체성을 좀 더 분명하게 보여줄 필요가 있다. 그 외에도 한국사회에서 전략적으로 건축되는 모스크 사원 방문을 자제하고 이슬 람교의 대중매체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고, 교회성장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인 전략을 세워야 복음전도에 장애를 받지 않을 수 있다.
        8,600원
        453.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해 남서해역과 같이 용존 무기 질소(dissolved inorganic nitrogen; DIN)가 제한된 환경에서 우점 규조류 Chaetoceros debilis와 Leptocylindrus danicus의 용존 유기 질소(dissolved organic nitrogen; DON)의 이용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질소원으로 DIN은 질산염과 암모늄, DON은 동해에서 중요한 비율을 차지하는 글리신(glycine)과 요소(urea)에 관하여 각각 평가하였다. Monod 식으로부터 유도한 C. debilis의 최대생장속도(μmax)와 반포화상수(Ks)는 질산염에서 1.50 day-1와 1.62 μM, 암모늄에서 1.13 day-1와 6.97 μM, 글리신 1.46 day-1와 3.36 μM, 요소 0.93 day-1와 0.55 μM으로 나타났다. 또한 L. danicus는 질산염에서 1.55 day-1와 5.21 μM, 암모늄에서 1.57 day-1와 4.57 μM, 글리신 1.47 day-1와 3.80 μM, 요소 1.42 day-1와 1.94 μM이었다. 두 종 모두 요소에서 용존 무기 질소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친화성이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높은 친화성은 DIN 제한된 상태에서 C. debilis와 L. danicus이 생장을 유지하기 위해 요소를 이용할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따라서 동해 남서해역과 같이 DIN이 제한된 해역의 경우, DON의 효율적인 이용이 식물플랑크톤의 우점화 전략에서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 생각된다.
        4,000원
        454.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외식시장에서 패스트푸드로 대표되는 햄버 거 브랜드들의 이미지가 현재 소비자들에게 어떻게 인지되 고 있으며, 향후 어떠한 이미지로 변화하는 것이 경쟁이 치 열한 시장에서 효과적인 마케팅전략이 될 것인가를 분석하 고자 하였다. 즉, 브랜드 개성을 적용하여 지각도 구축을 통 한 재포지셔닝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스트푸드 브랜드 개 성은 ‘친숙함’, ‘활발함’, ‘전문성’, ‘신뢰성’, ‘세련성’ 등 다 섯 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다섯 가지 브랜드 개성 요인을 기초로 바이플롯(Biplot)을 이용하여 전체집단의 지 각도를 도출한 결과 ‘맥도날도’와 ‘롯데리아’가 가장 서로 가 깝게 위치하고 있으며, 이는 소비자의 인지 상에 서로 경쟁 관계에 놓여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리고 ‘KFC’와 ‘버거킹’이 비교적 독립된 위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맥도날드’ 와 ‘롯데리아’는 ‘친숙성’, ‘맘스터치’는 ‘열정’과 ‘신뢰성’ 및 ‘세련성’이라는 브랜드 개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에 반해 ‘버거킹’은 여타 다른 브랜드 속성들과는 다 소 거리가 떨어져 있음을 파악하였다. 이는 소비자들에게 다 른 브랜드와 차별화된 독특한 브랜드 개성 이미지가 부족하 다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셋째, 성별, 브랜드 신뢰도, 브랜드 만족도 등에 따른 세분 집단 간 지각도를 도출한 결과 서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남성의 경우 가장 차별화 된 브랜드 개성 속성으로 ‘세련성’과 ‘친숙성’이며, ‘맥도날 드’와 ‘롯데리아’가 서로 유사 이미지로 인지되고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는 ‘신뢰성’이 가장 차별화된 브랜 드 개성 이미지로 나타났으며, ‘맘스터치’가 ‘신뢰성’, ‘KFC’ 가 ‘전문성’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신뢰도가 낮은 세분집단에서는 ‘전문성’과 ‘세련성’이 가장 차별환 된 속성 으로 나타났으며 ‘맥도날드’가 ‘친숙성’과 ‘열정’ 이미지를 지닌 브랜드로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신뢰 도가 높은 세분집단의 경우는 ‘친숙성’이 최대속성으로 나타 나며 ‘롯데리아’가 그러한 브랜드 개성 이미지를 가장 많이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BBQ’가 ‘열정’과 ‘신뢰성’, ‘KFC’가 ‘전문성’을 지닌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브랜드 저만족도 집 단에서는 ‘세련성’이 가장 차별화된 최대속성으로 나타나며, ‘전문성’이 최소속성으로 나타나고 있다. ‘KFC’가 ‘세련성’, ‘맘스터치’가 ‘신뢰성’과 ‘열정’을 지닌 브랜드로 인지되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고만족도 집단에서는 ‘열정’이 가장 차별화된 속성으로 나타나며 여기에는 ‘BBQ’가 가장 가까운 브랜드로 인지되고 있으며, ‘전문성’이 최소 속성으 로 ‘맘스터치’가 가장 가까이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롯데리 아’가 ‘친숙함’에 가장 가까우며 그리고 유사 이미지 브랜드 로는 ‘맥도날드’와 경쟁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버거 킹’은 ‘신뢰성’ 이미지요인에 가장 가까이 하고 있음을 살펴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소비자들이 어떤 브랜드 개성 이미지를 가장 선호하는지와 그 이상점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비교 대상 브랜드 여섯 개의 선호도를 조사하여 각 브랜드의 선호집단과 이상점 벡터를 구하였다. 그 결과 전체집단은 ‘맘 스터치’를 가장 선호하며, 이의 브랜드 개성 이미지요인으로 는 ‘열정’, ‘신뢰성’, ‘세련성’을 지닌 것으로 평가받고 있었 다. 그리고 전체집단의 최대속성은 ‘친숙성’으로 향후 시장 에서 ‘친숙성’이미지를 좀 더 보완하는 전략을 구축할 필요 가 있다. 남성들은 ‘맥도날드’를 가장 선호하며 ‘친숙성’을 지닌 브랜드로 인지하고 있다. ‘맥도날드’는 향후 시장에서 ‘세련성’과 ‘전문성’을 좀 더 보완하는 재포지셔닝전략을 구 축할 필요가 있다. 여성들은 ‘KFC’와 ‘맘스터치’를 가장 선 호하며 이들 브랜드에 대해 ‘전문성’과 ‘신뢰성’을 지닌 것으 로 인지하고 있다. 앞으로 경쟁시장에서 ‘열정’ 이미지요인 을 더 보완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브랜드 신뢰도와 만족도가 낮은 집단은 ‘KFC’를 가장 선호하며 각각 ‘신뢰성’과 ‘세련 성’을 지닌 것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추가적으로 ‘전문성’과 ‘열정’을 보완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브랜드신뢰 도와 만족도가 높은 집단에서는 ‘맥도날드’를 가장 선호하며 ‘전문성’과 ‘친숙성’을 지닌 브랜드로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맥도날드’와 ‘롯데리아’는 현재 시장에서 시장점 유율 우위에 있으나 후발 브랜드 ‘맘스터치’의 ‘신뢰성’과 ‘KFC’의 ‘전문성’에는 다소 부족한 브랜드 개성 이미지를 지 니고 있음을 파악할 수가 있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보완전 략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기존의 선행연구에서도 패스트푸드 햄버거의 브랜드 개성 은 종종 도출하였다. 그러나 지각도상에서 비교대상 브랜드 의 경쟁관계와 그 이상점은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였다. 시장에서 서로 경쟁관계에 있는 패스트푸드 햄버거 브랜드 이미지를 공간 지각도상에 도출하여 재포지셔닝 전략을 개 발한 것에 본 연구의 차별성이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내포하고 있다. 브랜드 개성을 평가하는 속성변수들이 선행연구들을 참고로 그대로 적용한 것으로 향후에는 급변하고 있는 시장의 변화 를 적용한 다양한 속성변수들이 추가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표본의 대표성문제가 있다. 부산지역 대학생들 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한 데 그 한계점이 있다. 추가연구 에서는 다양한 연령층, 지역 및 직업군 등을 고려한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4,000원
        455.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할랄 식품시장은 전체 식품시장의 17.4%(1조 880억원, ‘12년)를 차지하는 거대 시장으로 세계적인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말레이시아 현지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국식품 및 HMR에 대한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K-FOOD의 이슬람시장 진출 전략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설문 조사에 응답한 소비자 표본 집단은 약 41%가 무슬림이었으며 거주 형태에서는 “가족과 동거”가 38%, 독신가구(자취) 비율이 51%로 높게 나타났다. 말레이시아 현지 소비자의 약 65%가 식품을 구매할 때 할랄 로고를 확인한 후 구매하며 할랄 로고를 확인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소비자는 약 35%였다. 이 는 무슬림 이외에 웰빙을 중요시하는 비무슬림도 주요 고객 대상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할랄 인증을 획득한 제품을 구매하는 이유로는 “제품의 신뢰도 문제”라고 답한 소비자 표본의 비율이 약 81%로 응답하였다. 말레이시아 소비자 대다수는 즉석식품(HMR)에 관하여 약 82%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거의 매일 구매하는 비율도 52%에 달하였다. HMR 제품 구매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으로는 영양적 가치 > 맛 > 편리성 및 간편성 = 양 > 시간 절약 성 > 가격 > 다양한 메뉴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수입제품에 대한 인식 조사에서는 약 52%가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 으며 3회 이상 수입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도 84%에 달해 수입제품이 말레이시아 소비자 집단에 익숙한 것으로 나타 났다. 한국 식품에 대해서는 보통~긍정적이라는 답변이 50%이었으나, “경험한 적이 없다”는 응답도 35%로 나타나 한 국 식품에 대해 경험이 적다는 문제가 나타났다. 또한 한식을 경험한 소비자의 경우 약 64%가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 한식에 대한 친밀도가 높아지면 한식에 대한 인식도 긍정적으로 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상의 설문조사 결과를 종합 해 볼 때, K-FOOD의 말레이시아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먼저 할랄 로고를 획득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현지 인이 선호하는 맛과 기호에 맞는 HMR을 개발을 통해 친밀도를 높이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한국 식품 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 확대를 위해 프로모션 진행, 소비자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슈퍼마켓, 전문매장 등 다양한 유 통채널 확보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457.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05년과 2007년에 시행한 중소기업기술통계조사에 모두 응한 중소 기업 중 전자부품, 영상, 음향, 통신 장비 업체(KSIC 32) 142개사를 대상으로 외부 자원 활용 과 흡수능력이 2년 후 경영성과와 혁신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흡수능력이 이 들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를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동기술개발 여부와 정부지원액으로 측정한 외부 자원 활용은 성과에 유의미 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매출액에 대해서만 R&D투자비는 정(+)의, R&D인력비는 부(-)의 영향을 끼쳤다. 그리고 흡수능력의 조절효과는 측정방식과 독립변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 다. 즉, 공동기술개발을 수행할 때의 성과는 R&D투자비가 증가할수록 향상했지만, R&D인 력비는 반대로 작용했다. 그리고 정부의 자금지원이 늘어날수록 성과가 향상하는 기업은 R&D투자비가 낮거나 R&D인력비가 높은 기업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중소기업의 외부 자원 활용이 내부 역량을 대체하지 못하며 오히려 흡수능력을 축적하여 외부 자원 활용의 효과를 극대화 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공 동기술개발을 수행할 때에는 중소기업의 적극적인 R&D투자가 필요하며 정부의 자금지원은 R&D인력을 보유하고 있으나 자금을 확보하지 못해 독자적인 기술개발이 어려운 기업에 더 욱 효과적이다. 본 연구는 제한된 산업과 표본에서 이루어진 한계가 있지만, 종단적 자료를 통해 인과관계를 규명함으로써 기존 연구들의 한계를 극복하였다.
        6,100원
        458.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해외시장에 진출한 한국기업 현지자회사의 CSR 활동의 유형과 동인을 살펴보고, 현지자회사의 CSR 활동이 자회사의 경영성과에 기여하는지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제도이론, 이해관계자이론 및 자원기반이 론 등 기존 CSR 연구이론을 통합적인 시각에서 조망하면서 현지자회사 CSR 활동을 반응적 CSR과 전략적 CSR로 유형화하고, 전략적 CSR을 중심으로 CSR 활동의 동인을 파악하였으며, 더 나아가 각각의 CSR 유형과 경영성과와의 관계를 연구모형으로 설계하여 검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현지자회사의 CSR 활동을 반응적 CSR 과 전략적 CSR로 구분하였는데, 반응적 CSR 활동이 현지에서의 법, 규제에 대한 대응적 성격이 강한 반면, 전 략적 CSR 활동은 현지에서의 네트워크 구축, 경영자원 투자 및 가치사슬 혁신활동과 연계하여 보다 장기적이고 전략적인 특성을 갖고 있다. CSR의 동인에 관한 연구결과, 현지 ‘이해관계자의 영향력’ 및 자회사의 ‘현지화 수준’ 변수가 반응적 CSR보다 는 전략적 CSR에 보다 큰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CSR과 경영성과에 관한 연구결과는 전략 적 CSR이 반응적 CSR보다 현지자회사의 재무 및 비재무성과 모두에 보다 큰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기업 해외자회사를 대상으로 해외자회사의 CSR 활동을 반응적 CSR과 전략적 CSR로 유형화하 고 경영성과와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또한 탐색적 시도로써 전략적 CSR의 특 징을 정의하고 전략적 CSR의 동인 및 성과효과에 있어 반응적 CSR과의 상대적인 영향도를 분석해 봄으로써 기 존 CSR 문헌의 연구범위를 확대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글로벌 시장에서의 위상 및 역할이 증가하고 있는 한국 기업의 해외자회사들이 현지 이해관계자 및 제도 특성은 물론 역량과 전략방향을 고려하여 현지에서의 지속가능 경영 관점에서 CSR 활동의 정책방향을 수립하고 세부 프로그램을 설계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6,700원
        459.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료전지는 화석연료, 특히 내연기관을 대체할 수 있는 가장 대표전인 에너지 기술이다. 가장 중요한 핵심 재료 중 하나로서 연료기체의 장벽 역할을 함과 동시에 수소이온전달 역할을 하는 고분자 전해질 막(PEM)이 있다. PEM 내부에서 수화 채널은 수소이온의 전달통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많은 연구자들은 높은 함수율을 저가습 상태에서도 유지하여 우수한 수소이온 전달 능력을 보유할 수 있는 상분리현상을 통한 친수성 채널 형성에 대하여 초점을 맞추어 왔다. 본 총설에서는 이 러한 낮은 가습조건에서도 높은 수소이온전도도를 갖는 술폰화 PEM들의 합성 전략에 대하여 논의 하여보고, 다른 연구자들 의 고성능 탄화수소계 PEM의 설계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4,500원
        460.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에너지자원의 안정적인 확보는 국가발전을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혁신시스템 관점에서 우리나라의 에너지관련 정책결정시스템을 분석하고 그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혁신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혁신주체 측면에서는 에너지의 안정적인 수송을 위한 전략적인 강화방안이 미흡하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연계측면에서는 국방영역을 제외한 혁신주체들 간의 연계는 비교적 양호하였으나 안보적 관점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국방영역과 타 혁신주체들 간의 연계는 미흡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부구조 측면에서는 에너지안보 관점에서 국방영역의 하부구조인 전력건설 논의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제도적 측면에서는 에너지안보에 관한 국방영역의 역할에 대한 제도적 정립이 미흡하여 향후 국가 에너지안보와 관련된 거버넌스에서 국방영역의 참여가 제도적으로 명시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