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은 지속적인 형사사법제도의 개혁으로 교정비용 절감 및 재범률 감소 등 개혁의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영국의 교도소 개혁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우리나라의 교정처우 제도 개혁정책을 모색해볼 수 있다. 첫째, 개혁의 일관성이다. 보수당정부 때부터 신노동당, 그리고 연합정부는 이전 정부의 개혁정책을 계승하고, 문제를 보완하는 방식으로 교도소 개혁 정책을 추진 하였다. 둘째, 지속적인 법적 정비이다. 1991년의 형사사법법의 제정 및 2003년 동법의 개정, 2007년의 범죄인관리법, 2009년 검시관 및 법관법 등 개혁에 필요한 법적 토대를 갖췄다. 셋째, 범죄인관리법 등은 형사사법기관의 경쟁시스템을 도입하고, 교도소와 보호관찰소, 그리고 민영교도소와 민영보호관찰 등의 성과를 평가하고, 그 결과에 따라 공영의 민영화, 민영의 공영화 전환체제를 정착시켰다. 다섯째, 형사사법처우 기관의 성과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교도소와 보호관찰소 등의 성과평가에 필요한 지표를 개발하여 활용하여 평가의 객관성 및 공정성을 확보하였다. 여섯째, 2004년 범죄인관리청을 내무부에 설치했지만, 2007년 법무부로 이관하여 형사사법시스템의 효과적인 지휘감독체제를 구축했다. 일곱째, 수용자의 노동은 교도소의 본래의 기능인 처벌과 피해자를 포함한 사회배상을 강화하는 관점에서 강력하게 추진되었다. 여덟째, 임시석방제, 간헐적 구금, 사회내처우와의 연계 등 구금처우의 다양한 집행방식으로 교도소는 범죄인의 재사회화 역량을 강화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아홉째, 교도소는 공공보호협의회 등과 같이 경찰, 교육당국, 법원, 자원봉사자, 민영회사 등과의 협력적 네트워크를 범죄인의 재범방지 및 사회복귀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The proliferation of the Internet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applications, besides the conventional retailers, has led to a new form of distribution channel, namely home sopping through the telephone, TV, catalog or the Internet. The conventional and new distribution channels have different transaction costs perceived by the consumers in the following perspectives: the accessibility to the product information, the traffic cost and the opportunity cost for the time to visit the store, the possibility of ‘touch and feel’ to test the quality of the product, the delivery time and the concern for the security for the personal information. Difference in the transaction costs between the distribution channels results in the different selling prices even for the same product. Moreover, distribution channels with different selling prices necessarily result in different business surpluses. In this paper, we study the multilateral bargaining strategy of a manufacturer who sells a product through multiple distribution channels with different transaction costs. We first derive the Nash equilibrium solutions for both simultaneous and sequential bargaining games. The numerical analyses for the Nash equilibrium solutions show that the optimal bargaining strategy of the manufacturer heavily depends not only on the degree of competition between the distribution channels but on the difference of the business surpluses of the distribution channels. First, it is shown that there can be four types of locally optimal bargaining strategies if we assume the market powers of the manufacturer over the distribution channels can be different. It is also shown that, among the four local optimal bargaining strategies, simultaneous bargaining with the distribution channels is the most preferred bargaining strategy for the manufacturer.
The study proposes multiple TRIZ contradiction solution strategies for addressing PC (Physical Contradiction) and TC (Technical Contradiction) by implementing TRIZ cause-and-effect tree. The problem associated with TC of the ends is solved by PC of means which employs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auses and effects. The TRIZ contradiction solution strategies demonstrated in this research are classified into 3 types of combined strategy as follows: 1. To-Be PC and AS-Is PC, 2.To-Be PC and As-Is TC, 3.As-Is PC and To-Be TC. The combined strategy of To-Be PC and As-Is PC is similar to a divide-and-conquer technique. This strategy adopts parallel strategies using 4 separation principles in time, in space, between parts and the whole, and upon condition of two reversed-PCs. Moreover, its application elucidates the conflict relationship of two TCs from the study. The integrated 4 separation principles and 40 inventive principles present an effective synergy effect from the combination, and further addresses the problems in the TRIZ contradiction resolution strategies. Combined strategy of To-Be PC and As-Is TC implements the 40 inventive principles that To-Be PC of the means resolves the As-Is TC of the ends. Combined strategy of As-Is PC and To-Be TC also uses inventive principles to the As-Is PC of the means to solve the To-Be TC of the ends. In addition, propositional and logical relationship of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between TC and PC is used to support the validity of 3 TRIZ contradiction solution strategies. In addition, 3 other strategies of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validate the contraposition relationship of the truth table. This study discusses TRIZ case studies from National Quality Circle Contest from the years between 2011 and 2014 to provide the usage guidelines of TRIZ contradiction solutions for quality purposes. Examining analysis from the case studies and investigating combined strategies allows the users to obtain comprehensive understanding.
Lee Ha-young. 2015. “A Linguistic Contrastive Study on Korean and Japanese Persuasion Behaviors: Around strategic characteristics”.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3(3). 267~293. This study aimed to contrast and compare the Korean native speaker’s and the Japanese native speaker’s use patterns of language strategies in the persuasion situ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oliteness. Through this study, under the situation of ‘recommendation’ where the other being persuaded felt relatively less burden, the Korean native speaker and the Japanese native speaker showed the pattern using the same strategies for persuasion in the order of the ‘objectivity-pursuing strategy’ > the ‘speaker’s position-expression strategy’ > the ‘listener’s mind-inducement strategy’. Next, for the case that the other being persuaded was belonged to the lower status than the speaker in their social relations, it was found that Korean native speaker showed the tendency trying to persuade the other by using the ‘speaker’s position-expression strategy’ regardless the listener’s response types, but Japanese native speaker showed the pattern highly using the ‘speaker’s position-expression strategy’ only in the equal social relations betwe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the other being persuaded) if the other directly refuse the speaker’s suggestion. So fa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both Korean native speaker’s and the Japanese native speaker’s use patterns of persuasion strategies through various variables.
본 논고는 기독교 선교 전략을 모색하는 차원에서 다민족, 다문화 지역에 대한 선교 전략을 어떤 방식으로 접근할 것인가, 그리고 어떻게 그에 합당한 전략을 모색할 것인가를 러시아연방 내의 북카프카스 지역을 사례로 들어 논증한다. 즉 하나의 국가 내에서 다문화 이해를 통한 선교 전략에 대한 논의를 러시아연방 북카프카스 지역의 인문지리, 역사, 정치적 상황을 통해 통찰적으로 분석하는 내용이다. 본 논고에서는 북카프카스의 다민족 국가의 선교 접근 전략을 북카프카스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과 동시에 북카프카스에 속하는 체첸 민족을 북카프카스 민족 그룹의 대표 주자로 선정하여 체첸 민족을 중심으로 역사, 정치, 사회적 관계를 다루고 있다. 하나의 소수 민족을 연방 내에서 분석하는 것은 다민족 선교에 매우 주요한 관점을 제공한다고 판단된다. 체첸이 소연방 해체 이후 독립을 추구하였는데, 이 사실은 다민족 국가에 속하는 민족 그룹의 역사적, 정치적 특성들을 연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민족, 다문화 선교전략의 모델이 될 수도 있겠다. 본 논고는 북카프카스 인문지리 특성, 그리고 체첸공화국의 인문지리, 역사적 기원, 러시아 민족과의 관계, 체첸 전쟁 등 현재의 정치적 상황을 통해서 다민족 국가의 선교전략을 도출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본 논고에서 필자는 다민족 국가의 선교전략은 치밀한 지역연구를 통해서 그 전략적 방향성을 재고해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하였으며, 민족의 종합적 상황을 통해 구체적인 선교전략을 추진해야 한다는 당위성을 제시하였다.
멤브레인은 고유의 선택적 투과기능에 의해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특히, 환경 및 에너지용 멤브레인은 최근 학계의 기초 연구와 더불어 산업체의 활발한 상업화 연구가 진행 중이다. 환경 분야에서는 수처리용 멤브레인이 상용화되어 산업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의 기능을 더욱 최적화하기 위한 연구 및 혁신 기능을 도입하기 위한 개발이 산업체를 중심으로 활발히 진행 중이다. 또한 연료전지 및 이차전지에 폭 넓게 멤브레인 기술이 적용되고 있으며, 특히 연료전지나 레독스흐름전지는 본격 상업화를 위해 다양한 전략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코오롱에서 개발하여 상업화한 수처리용 멤브레인의 최근 개발 동향 및 연료전지 및 레독스흐름전지용 멤브레인 개발 현황 및 전략을 소개하고자 한다.
작물 재비시에 가장 중요한 것은 병해충관리이다. 최근 기후변화로 인하여 병해충 발생이 증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외래병해충이 유입되어 농작물 재배에 심각한 피해를 끼치고 있다. 그 중에서 다양한 식물바이러스가 창궐하여 농작물을 황폐화하고 있는데 이러한 바이러스들이 확산하는 중요한 방법으로서 곤충을 매개체로 이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퇴근 토마토농가에 심각한 피해를 끼친 토마토황화잎말림바이러스(Tomato yellow leaf curl virus; TYLCV)를 옮기는 유일한 매개충인 담배가루이(Bemisia tabaci)를 대상으로 바이러스 매개작용을 연구하였다. 분자생물학적 방법인 PCR방법으로 담배가루이의 TYLCV보독 여부를 진단하였다. 그리고 바이러스 보독에 의한 담배가루이의 습식패턴 및 행동변화를 바이러스 보독충 및 비보독충간에 비교분석하였다. 담배가루이는 TYLCV에 보독이 됨으로서 날개짓, 다리 떨기 등 몸의 움직임이 3-4배 증가했으며 또한 구침을 식물조직에 찔러 습식하는 기간이 짧고 비행빈도가 증가했다. 즉, 바이러스 보독충은 비보독충에 비해 훨씬 활동이 증가했으며 이러한 현상은 매개충에 의하여 바이러스가 전파되는데 유리한 조건이라고 판단된다.
풀무치(Locusta migratoria)는 벼과 작물(벼, 옥수수 등)에 큰 피해를 주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메뚜기목 해충의 하나로서 밀도요인에 의해 형태적으로 구별되는 단독형(solitaria)과 군집형(gregaria)을 나타낸다. 우리나라에서 풀무치의 대발생은 조선시대(1604, 강원)와 일제 강점기(1920, 평안)의 문헌에서 드물게 확인되고 있으나 과학적 개념으로서 군집형(약충) 풀무치가 집단적으로 이동하면서 농작물에 피해를 준 것은 2014년 8월 전남 해남군 산이면의 사례가 최초이다. 국내에서 풀무치에 대한 연구는 형태분류학적 연구에 국한되어 왔으며, 따라서 풀무치의 대발생을 예측하고 중장기적인 관리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계통분류, 생리생태,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방제 등 종합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표에서는 현재까지 풀무치의 유전적 계통, 발생시기, 발생환경(산란, 증식)에 대한 연구결과를 통해 풀무치의 대발생 가능성을 알아보고 예찰 및 방제에 관한 대응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갈색날개매미충은 중국 저장성(Zhejiang)에서도 여러 과수의 주요 해충으로 2009년부터 경기도, 충청남북도, 전라남북도 지방을 중심으로 감, 복숭아, 사과, 밤, 블루베리, 산수유 등의 과수에서 대발한 외래해충이다. 국내에서는 년 1세대 발생는 해충으로 약충과 성충의 흡즙과 감로 피해도 있지만 1년생 어린 가지의 줄기 속에 산란하는 특성으로 인해 더욱 큰 피해를 주고 있는 실정이다. 갈색날개매미충을 방제하기 위해서는 산란된 가지를 제거하는 방법이 있으나 블루베리의 경우 산란된 1년생 가지에서 다음 해에 꽃눈이 형성되므로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따른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부화한 약충이 야산으로 확산되기 전 방제하여 전체 밀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부화시기에 대한 예측이 따라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갈색날개매미충 시기별 성충 발생 및 산란에 의한 피해를 조사하였고 월동 난들의 부화 시기 예측을 위한 사전 연구로서 갈색날개매미충 난괴를 시기별로 채집하여 월동난들의 유면 생태를 조사하였다. 또한 주요 지역별 밸생개체들의 유전자분석을 통해 국내 침입 및 확산 경로에 대한 기초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해충 개체군 모형의 작성목적은 궁극적으로 합리적인 해충관리의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고 볼 수 있다. 복잡한 농업생태계 내에서 정확한 해충관리 의사결정을 위해서는 해충과 이에 작용하는 천적 개체군의 밀도 평가, 토양 등 환경과 관련된 작물의 생육상태 등이 고려되어야 하며, 기상적 측면에서는 해충 생활계의 미기상 분포, 그리고 경제적 측면에서는 방제비용과 이와 관련된 작물의 경제적 가치 등이 평가되어야 한다. 현재 해충 개체군 모형의 대부분은 온도 환경요소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작물의 생육상태에 따른 영향을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복숭아심식나방의 경우 시기 및 과종이나 품종별 과실 속에서 발육하는 유충의 생존율이 연간 개체군 동태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후지사과 품종의 어린 과실에서 낮은 유충 생존율은 후세대 발생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한 과실내부의 온도는 유충의 발육속도에 작용하여 모형의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과실발육모형과 과실 내부 미기상 추정모형이 접목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감귤에서 신초의 어린잎에 만 발생하는 귤굴나방의 개체군 모형은 감귤신초 발육모형의 접목이 요구되었다. 기존 보고된 감귤신초발생 자료를 이용하여 적산온도를 기반으로 경험적인 신초발생모형을 작성하였으며, 개체군 모형에 접목 방안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최근 패스트 패션 산업 내 브랜드들은 기획-생산-유통의 수직적 통합 프로세스를 통해 효과적으로 제 품을 생산하고, 판매함으로써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이러한 패스트 패션 브랜드들 의 성장을 심층적으로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전까지 패스트 패션 연구는 마케팅 측면과 운영관 리 측면으로 나누어졌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패스트 패션 산업의 성공을 설명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왜냐하면 경쟁업체들은 선두 업체들의 전략을 쉽게 모방을 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 의 전략적인 측면으로 패스트 패션 브랜드들의 경쟁 전략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Porter(1996)의 활동체 계도 모형, Kim & Mauborgne(2005)의 전략 캔버스 모델을 바탕으로 경쟁전략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글로벌 패스트 패션 브랜드들의 경쟁력은 높은 적합성을 가진 각 각의 활동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쉽게 모방이 힘든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관찰되어 진다. 활동체계도를 통해 경쟁기업들의 활동들을 파악하고, 국내 패스트 패션 브랜드들이 장기적인 시야를 가지고 경쟁우위를 가질 수 있는 전략 에 집중할 수 있다면 향후 국내 패스트 패션 브랜드도 좋은 성과를 거둘 수 있음을 시사한다.
Gasoline prices vary across Korea. Some gas stations charge higher prices, while others charge lower prices. In this paper, we try to find: why gasoline prices differ markedly across regions. We empirically estimate the determinants of gas prices by incorporating supply side factors as well as demand side factors into the empirical model. Empirical results show that both location-specific factors and store-specific factors affect gas prices. Concentration of competing stores, store brands, ownership of gas stations, and self-service availability influence gas prices. In addition, the availability of other customer services such as convenience stores, car wash, and auto repairs affects gas prices.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내러티브 영상콘텐츠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디지털 영상이미지가 현실과 맺는 관계의 변화나 수용자의 문화인터페이스 변화는 텔레비전 내러티브 콘텐츠 구성 및 영상스타일 전략에도 변화를 요구한다. 하지만 디지털 합성 기술의 발전과 그 기술의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내러티브 콘텐츠는 지각적 리얼리즘을 지향하면서 여전히 사진 사실주의를 완성하려는 영상이미지를 보여준다. 그렇다고 이러한 디지털 시대의 영상이 올드미디어 시대와 동일한 함의를 갖는 것은 아니다. 본고에서는 뉴미디어 환경에서 텔레비전 내러티브 콘텐츠의 영상 특징의 일단을 이해하기 위하여 SBS <별에서 온 그대>라는 드라마를 예시로 고찰한다. <별에서 온 그대>의 에필로그에서 몇 가지로 양식화되어 형상화된 영상들을 만날 수 있는데, 이들 영상들의 매개 전략은 흥미롭다. 비매개 전략으로 흥미로운 스토리를 담은 환영주의적 내러티브 세계를 구성하면서도 동시에, 불연속적 영상이 매체의 투명성에 반하여 하이퍼매개하면서 디지털 시대의 일반적인 영상 특성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본고는 이 드라마의 에필로그 영상이 비매개와 하이퍼매개 사이를 오가며 주는 영상의 매혹이 무엇인지, 또 이들은 디지털 시대의 영상들의 어떤 특징들을 공유하고 있는지 밝히고 있다.
As mass media has come to intervene with politics in a more proactive way during modern times, the image of a politician has evolved into a more relevant factor compared with political content. This phenomenon is known as "image politics", and such externalized images as non-verbal cues have grown in importance, along with the numbers of female politicians. Thus image strategy has been instituted as a major research theme in the field of political marketing, especially for female politicians. In accordance with this theme, this study aims to approach fashion as part of image strategy of female politicians, in order to reemphasize political fashion as a valuable resource. The methodologies employed in this study are based on both the literature and positive research. Female politicians have long utilized fashion styles that are, or are assumed to be, the most appealing to their target base of support in a predominantly male-centered sector. In this sense, appropriate choices in the usage of apparel items, colors, hair styles, accessories, and others according to each situation and respective hierarchies are of the utmost importance. When attending official ceremonies and other related meetings, the strategic superiority afforded to a scientific approach based on thorough fashion research, compared with personal taste is imperativ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within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fashion image, and how to utilize fashion for image strategy in practice, through the investigative synthesis and review of major preceding research.
본 연구는 2012~2013년 국내 전기차 시장에서 크게 논란이 되었던 콤보 전기 자동차 충전 표준과 국내 스마트그리드 표준 간 충돌 사례를 이해관계자 이론을 활용하여 분 석하였다. 사례 연구를 위해 문헌 조사 및 복수의 전문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전기 자동차 는 충전을 위해 전력망과 연결될 때 데이터 교환을 한다. 따라서 통신 표준 문제가 대두된다. BMW는 글로벌 전기 자동차 시장에서 업계를 대표하는 사실상 표준의 지위를 얻어 가고 있 던 콤보 충전 기술을 채택하여 국내 전기차 시장에 진입하였는데, 그 과정에서 국내 스마트 그리드 전력망의 원격검칭용 통신 기술과 상호 주파수 간섭을 일으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 문제를 둘러싸고 이해관계자들의 대립이 계속되면서 국내 전기 자동차 충전 기술 관련 표 준(국가표준 및 단체표준)화를 위한 의사결정들이 지연되었고, 이 논란은 2014년 1월 콤보 기술이 한국자동차공학회의 단체표준(KSAE SAE 1772-2040, 2014.1)으로 인정되면서 일단 락되었다. 이 사건은 전기 자동차 표준 그 자체만이 아니라, 융합산업 시대에 있어서 타 산업 표준과의 충돌 및 조정의 필요성을 부각시키는 의미있는 사례이다. 본 연구는 전기 자동차 충전 표준과 스마트그리드 표준이라는 이종 산업 간의 표준 충돌의 복잡한 역학 관계를 이해 관계자 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표준화 과정을 둘러싼 경험적 및 이론적 연 구가 충분하지 않다는 점에서, 이해관계자 이론을 활용한 사례 축적과 방법론 정립에 기여하 고, 또한 표준화 과정에 참가하는 이해관계자들이 이 과정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행위 양식 정립과 전략 수립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PURPOSES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areas from incidents on urban interrupted roadways and to develop traffic management strategies for each influence area.
METHODS :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various traffic management strategies for certain incidents were collected.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sure of effectivene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cidents was explored using an extensive simulation study.
RESULTS : From the simulation studies, traffic delays increased as the number of lane closures increased, and the impact of lane closures was reduced to the direction upstream from the incident site. However, the magnitude of the delay change depended on the degree of saturation. Using these characteristics, th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areas resulting from incidents were defined, and traffic management strategies were established for each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area and for each level of incident.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national traffic safety by preventing secondary incidents and by effective adaptation to incident ev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