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은 인류문명의 발달과 함께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여 왔다. 즉 조방적 농업에서 집약적 농업으로, 비합리적 농업에서 합리적 농업으로, 자연순환형 농업에서 투입형 농업으로, 양적중시 농업에서 질적중시 농업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농업행태는 주로 기후・풍토와 같은 자연조건, 농업기술의 구성과 생산력, 사회・ 경제적 구성과 변화 등에 따라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오늘날 농업의 형태변화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보다 기후변화, 식량의 안정 및 안전생산, 삶의 양식변화, 녹색 융・복합 기술 등 이라고 할 수 있다.
밭에서 작물의 재배형태는 크게 노지재배와 시설재배로 나눌 수 있으며, 재배지역 및 작물에 따라 다양한 재배유형, 방법, 체계 및 양식이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작물에 발생하는 해충의 종류, 발생시기 및 양도 다양하여 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되고 있다. 오늘날 농업현장에서 발생하는 해충을 관리하는 방법으로 화학적, 생물적, 재배적 방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방제는 다시 화학적 방제와 친환경 방제로 대별할 수 있다. 생물적 방제는 화학적 방제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해결하기 위한 방법과 수단으로 크게 기대되었으나, 우리농업의 구조적, 제도적 및 사회적 문제로 인해 현재 많이 위축되어 있는 상황이다. 종합적 해충관리도 지난 수십년간 꾸준히 강조되고 많은 노력이 투입되었으나, 농작물 재배현장에서 성공적으로 적용되는 경우가 드물어 빛바랜 상태에 처해 있다. 하지만 최근 해충관리 추세는 생력관리, 정밀관리 및 친환경관리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이를 위해 더욱 효과적 관리수단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더욱이 우리의 농업도 노지농업과 시설농업 중심에서 도시농업이라는 새로운 농업형태가 추가되는 상황에서 해충관리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해충관리 전략은 생리・생태적 특성 이용, 친환경자재의 최적화 이용, 융복합 소재와 기술의 고도화에 의한 정밀한 발생예찰 및 생력적
밀도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국제적으로 최빈국의 하나인 라오스는 1986년에 시장경제체제의 도입을 골자로 하는 신경제제도를 도입하고, 2003년에는 국가성장 및 빈곤퇴치전략(NGPES)을 채택하는 등 빈곤삭감을 목표로 하는 개발정책을 추진해 오고 있다. 그 결과 도시지역 빈곤층의 생활수준은 크게 개선되었고, 빈곤자비율도낮아지고 있지만, 도로, 관개시설, 전력 등의 사회간접자본의정비가 미흡한 농촌지역에서는 빈곤문제가 여전히 개선되고있지 않다. 선진국과 국제기구 등의 개발원조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고는 하지만 농촌지역보다는 도시지역에 대한 지원이집중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라오스의 빈곤문제는 도시보다는 농촌지역이, 평지보다는 고지대에서, 그리고 다수민족보다는 소수민족이 더욱 심각한 상황에 처해 있다고 할 수 있다.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의 개발격차는 양 지역의 소득불균형을확대시키고 있다.
관개용수의 이용이 제한적인 농촌지역에서는 건기의 농작물 생산이 급격하게 감소되며, 우기에 생산된 농산물을 자가소비용으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 농산물 가격이 상승하는 건기에도 시장에 판매할 농산물은 부족한 상황이다. 도시지역의 시장에 접근할 수 있는 도로가 없는 지역에서는 농업생산 확대에 대한 의욕이 매우 낮으며, 농산물의 공급량이 감소하는 건기에도 농업생산을 포기하는 농가도 많다.
라오스는 최근의 인구증가에 따라 주변국으로부터의 농산물수입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해마다 무역수지는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18) 하지만 라오스의 풍요로운 자연조건을 감안한다면 농업생산을 확대할 수 있는 여지는 크게 남아 있으며,충분히 식량자급을 이룰 수 있다는 것을 본문의 분석에서도알 수 있다. 농촌지역의 농업생산성 제고와 생산의 확대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관개시설의 정비 및 도시지역과 연결할 수있는 도로의 건설이 중요할 것이다. 사회간접자본 정비가 미흡한 농촌지역에 대한 개발원조나 공공투자의 확대는 이 지역에 대한 시장원리의 침투를 가속화시켜, 농업생산의 확대를 통한 빈곤퇴치에 기여할 것이다. 인구의 68.0%가 농촌지역에서자급자족에 가까운 농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GDP의 32.5%가농업부문에서 생산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농촌지역의우선적 개발은 매우 중요하다. 또한 라오스 정부가 목표로 하고 있는 밀레니엄개발목표의 달성에도 농촌지역을 우선한 개발정책은 효과적인 방안이 될 것이다.
This study is to review strategic priority for Defense Quality Management Factors of the Defense Agency for Technology and Quality. It is necessary to decide which quality factors are more important and which quality factors are relatively less important.
Recently, it is not sufficient that contemporary firms satisfy customers to be really successful, they must create new value. To do so, many firms focus on the blue ocean strategy. The blue ocean strategy proposed the strategic canvas as a main tool for i
Priority rules or sequencing heuristics conventionally used to determine resource allocation is to maximize the earned value on time and cost. This study provides a effective strategy-oriented approach for the program resource management problem with limi
상대적으로 비싼 에너지비용이 소요되는 신재생에너지를 사업화하기 위해서는 혁신적인 기술진보가 필수적이다. 신재생에너지 기술은 타 기술에 비해 충분한 실증-보급의 검증과정을 거치는 Long term High Risk의 특성이 있다. 본 연구는 전략적 니치 관리 (SNM, Strategic Niche Management) 개념을 적용하여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R&D를 단기 성과지향에서 중장기적 성장으로, 에너지시스템의 효율화 중심에서 사회시스템과의 상호교류 중심으로 전환하는 정책실행적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층적 관점(MLP, Multi-Level Perspective)을 분석틀로 하여 태양광 기술개발과제가 니치단계에서 사업화 단계로 성장하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분석결과 박막실리콘과 CIGS의 급속한 발전의 배경에는 개발주체가 과거 메모리 반도체의 NAND와 NOR 간 경쟁에서 사전적 학습효과가 있었다. 이를 통해 니치기술 중 경쟁기술이 존재할수록 학습효과는 더욱 배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산업계를 중심으로 학계와 출연연구소가 공동연구를 추진할 때 사업화로 진행되는 가능성이 높았다. 따라서 정부 연구개발의 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과제기획 단계에서 지원대상 발굴시 기존 시장을 확보하고 있는 산업군에서 얻을 수 있는 경험(실패 또는 성공), Network 형성 단계 등의 지식흐름을 검토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본 연구가 구성한 전략적 니치 관리(Strategic Niche Management)의 개념틀은 메타적 차원이며 향후, 실증을 위한 검증과 추가적 정합성 분석으로 구체화 할 것이다.
Jeon Jung-mi, 2012. A Study on Politeness Strategy in Advertising Texts.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0(2). pp. 401-423.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spect of realization for politeness strategy in advertising text. As the request in advertising text is the act of demanding something, it is the hard speech act in the position of listener. Accordingly utterer is needed to prepare proper way for not losing each other's face after full consideration of listener's position.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based on the strategy and stratagem suggested by Brown & Levinson(1987). Negative politeness strategy is preferred mainly in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Also, it is strategy that positive politeness strategy is preferred in commercial advertisement. This stratagem reflects utterer's strong intention which tries not to make listener reject by reducing listener's burden. Politeness are used by important strategy in advertising text as well as conversation. Strategic difference in the advertising text appears upon its own purpose which is public benefit or a specific profit which is pursued by private companies. But, politeness strategy used in advertising text is conversation strategy that is attained between utterer and listener.
목본식물의 초식에 대한 방어 전략을 알아보고자 가막살나무속 5수종의 잎에 대하여 형태적 특성, domatia 구조와 수, 초식곤충과 응애 서식 여부 등을 관찰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원주시, 평창군, 태백시, 태안군, 봉화군, 산청군 및 진주시에 생육 중인 나무에서 엽시료를 채취하여 2009년 5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관찰, 조사하였다. 포식응애와의 상리공생을 위한 domatia에 있어서는 아왜나무는 쌈지형, 분꽃나무는 호주머니형이었고, 산분꽃나무, 가막살나무 및 산가막살나무는 털북숭이형 domatia를 발달시키고 있었다. 엽당 domatia 평균 갯수는 산분꽃나무에서 24.0개/엽으로 가장 많았고, 분꽃나무에서 4.9개/엽으로 가장 적었다. 엽 표면의 털은 아왜나무를 제외한 가막살나무속 4수종의 엽신과 엽맥의 성모와 강모가 가장 많았으며, 분꽃나무, 산분꽃나무 및 가막살나무에서는 잎 생장이 완성될 때까지 잎의 표면에서도 성모가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엽연부의 엽맥 끝에 넥타를 분비하는 화외밀선(EFN)은 가막살나무 5 수종에서 모두 관찰되었다. 가막살나무, 산가막살나무에서는 잎 뒷면 선점(pellucid dot)이 분포하는 것이 좋은 방어전략이라 판단된다. 가막살나무의 선점에서 넥타를 먹는 포식응애들이 다수 관찰되었다. 엽당 응애의 개체수는 수종간 고도의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엽당 응애 개체수 평균은 산분꽃나무가 8.1마리로 가장 많았으며, 아왜나무가 2.6마리로 가장 적었다. 이러한 결과는 온대 활엽수종은 생존을 위하여 초식에 대한 다양한 방어전략을 발달시키면서 생육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지속가능한 산림생태계를 위한 수목의 초식에 대한 방어전략에 대한 많은 연구가 요청된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presents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HP) as a potential decision-making method for obtaining the relative weights of alternatives through pairwise comparison in the context of hierarchical structu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licit prior strategies for brand communication for Korean restaurants overseas. We created a questionnaire and surveyed experts at government agencies, restaurant companies, and universities from October to November 2011. By applying the pairwise comparison matrix, relevance was perceived as a more important strategy evaluation criteria than effectiveness or urgency. The highest-ranked strategy was the 'Identification of the BI and positioning of Korean restaurants' followed by 'Development of Korean food content for overseas promotion', 'Development of locally customized Korean food recipes and new Korean menus', 'Development of marketing communication strategies for Korean restaurants by countries', and 'Development of Korean restaurant differentiation strateg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effective Korean food globalization by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in the world market.
급변하는 경제 환경 속에서 이렇다 할 부족자원이 없는 국내 여건 속에서 게임산업은 타 산업과 비교할 때 고도의 성장성을 가지고 있는 산업이다. 국내에 PC방 산업이 활성화되는 1998년부터 13년 동안 한국은 세계적인 게임산업 국가로 성장하였다. 해외진출 성공에 필요한 요소는 사업파트너 발굴을 통한 공동 사업추진, 사전준비 강화와 초기부담완화, 우수한 수익모델과 기술력을 갖춘 기업의 진출, 사회문화적 특성에 대한 이해, 현지 네트워크의 구축 및 활용 등이다. 본 연구를 통해 게임개발사가 국제시장에서도 통할 수 있는 핵심기술역량을 확보하도록 최선을 다하고, 아울러 일찍부터 국내시장에서 더 나아가 해외시장에서의 기회를 개척하기 위해 보다 적극적으로 노력하길 기대한다.
부분 유료화 모델은 현재 MMORPG(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의 대표적인 소액 결재 기반 과금 방식이다. 본 논문에는 캐시 아이템 개발을 포함한 유료 판매 모델의 이론적인 근거를 확립하기 위해 제품 마케팅 분야에서 검증 받은 마케팅 전략과 마케팅 믹스 관점에서 MMORPG의 부분 유료화 모델을 정립하고 이 이론을 근거로 MMORPG를 위한 캐시 아이템 판매 모델을 이론적으로 체계화한다. 이 연구는 캐시 아이템을 포함한 MMORPG 부분 유료화 시스템을 제작하는데 필요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함으로써 이론적 근거가 확립된 체계적인 MMORPG 부분 유료화 서비스 개발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논문은 물류배송의 불확실성하에서의 생산자의 배송전략 문제를 다루고 있다. 즉 생산자의 배송수량이 전량 온전한 상태로 소매업체의 창고에 배송되지 못하는 상황을 고려한 것이다. 물류배송의 불확실성을 묘사하기 위해 물류배송을 위해 사용되는 개개의 트럭 또는 선박으로부터 발생되는 파손 제품의 수가 가각 독립적이며 동일한 확률분포를 따른다는 가정이 사용되었다. 또한, 최초 배송수량과 배송을 위해 사용된 전체 트럭 또는 선박의 대수를 기존의 단일구간 신문팔이
본 연구는 투자유치국가에서 행해지는 다국적기업의 기업시민행동에 대해, 전략적 요소 및 제도적 환경이 미치는 효과를 고찰한다. 한국에 상주하는 199개 다국적 기업을 분석한 결과, 다국적 기업의 기업시민행동은 투자유치국-투자모국간의 제도적 환경 차이에는 별다른 영향을 받고 있지 않지만 전략적 요소, 즉 소유 집중도 및 국제화 동기 차원과는 관련성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기할만한 점은, 다국적 기업의 구체적인 기업시민행동 (예를 들면, 환경차원의 활동)은 투자모국의 제도적 여건에 의해 더욱 촉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우리는 투자유치국가에서 행해지는 다국적 기업의 시민행동은 자원몰입의 정도 및 그들이 직면한 제도의 효과성에 의해 영향 받고 있음을 제시한다.
파나마의 농경지는 전체 국토면적 74,340 km2의 약 30%에 해당하는 22,300 km2이다. 파나마 전체인구 3,508천명의 약 25%에 해당하는 사람들이 농촌에 거주하고 있으며, 총 취업인구에서 농업부문이 차지하는 취업자 비중은 17.6%수준이다. 경제발전에 따라 전체 GDP에서 농업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은1995년 10.5%에서 2010년 4.6%로 감소하고 있으나 농식품수출이 파나마 전체 상품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75%로 매우 높은 수준이다. 주요 수출 농산물은 멜론, 수박, 바나나, 파인애플 등 열대과일이다. 이들 주요 수출품이 전체 농산물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이상으로 높은 수준이며, 열대과일 수출의 90%이상이 유럽연합과 북아메리카지역의 소수 국가에 집중되어 수출되고 있다. 또한 파나마의 전략 수출 농산물인 열대과일은 주로 부가가치가 낮은 신선상태로 수출 중으로 연도별 수출도 안정적이지 못한 상황이다. 우선 아시아 신흥시장 등 다른 수출유망 지역과 국가로 수출선이 다변화되지않은 이유는 첫째, 긴 수송거리로 인한 운송비 등 유통비용문제, 둘째, 콜드체인시스템 등 저장유통기술과 표준화 부족으로 인한 고품질 유지의 어려움, 셋째, 달러가치의 상승으로 인한 수출경쟁력 저하, 넷째, 고부가가치 상품개발 미흡과 식품가공산업의 미발달 등이다. 파나마의 기후 등 농업환경을 고려할 때 열대과일은 생산력 증진과 지속적 품질 향상을 통해수출경쟁력 제고가 가능하고 수출산업화가 가능한 분야이다. 하지만 파나마가 이들 품목을 한국, 일본, 중국 등 동북아시아주요 수출시장에 수출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해외시장 개척을 위한 더 많은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파나마 정부가 성공적으로 파나마산 열대과일을 동북아시아 시장에 수출하기 위해서는 이들 대표적인 수출 품목을 안정적으로 해외시장에 수출할 수 있는 수출단지 육성을 적극적으로 고려하고,이들 품목과 단지를 중심으로 해외마케팅이나 수출지원 프로그램을 집중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
1. 쌀은 필리핀의 주식이기 때문에 쌀 가격의 작은 변화는 필리핀인들의 삶에 심각한 영향을 준다. 필리핀은 1870년대 이후 쌀의 순수입국이었다.
2. 최근에는 필리핀이 매년 약 200만 톤의 쌀을 수입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은 최근에 한국과 같은 쌀 수입국들에 참고가 될 수 있는 여러 가지 이유 때문에 악화되었다.
3. 벼의 관개농지는 필리핀 전체 벼 재배면적 430만ha의 1/3이 조금 넘는 수준이다. 따라서 최근 10년간 쌀의 평균수량은 정미 2,324 kg/ha 수준이다. 비료와 수송 및 기타 재료와 같은 상대적 재료비는 정미의 생산비를 인상시켜서 $0.33 /kg 수준이다.
4. 필리핀 쌀 산업을 발전시켜 외국쌀의 수입을 감축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과감한 R&D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 또한 관개시설과 과학영농, 하부구조 등의 향상이 절실하다. 관개지에서의 쌀 생산성이 천수답에 비하여 평균 40% 이상 높기 때문에 관개시설에 대한 투자가 매우 중요하다.
5. 균형 잡힌 식량경제를 위해서는 빠른 인구증가율의 둔화도 필요하다.
6. 최근에 많은 옥수수 소비자들이 쌀의 소비자로 전이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옥수수의 식품으로서의 맛이 개량되거나 요리법의 개선이 요구되며 밭벼, 찰옥수수, 카사바등의 식용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7. 전국적으로 7,107개의 섬에 흩어져 있는 주민들에게 쌀을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쌀의 유통구조로 변혁이 실현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