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59

        441.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ther culture is useful and significant tool for producing haploid or doubled haploid (DH) plants in crop breeding system. Androgenesis is the way of inducing haploid and DH plants from anther (immature pollen) or microspore culture. In vitro androgenesis is efficient technique for introducing complete homozygous lines in one generation, thus less time and expense could be necessary than conventional plant breeding. In maize, anther culture is important system for shortening the breeding cycle and enhancing selection efficiency. Anther culture technique is also applicable to various researches such as molecular genetics, genetic engineering, genomics, and plant biotechnology. We review the past and present studies on anther culture and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future researches on androgenesis in maize. The combination of androgenesis with other techniques such as molecular breeding and biotechnology is producing a variety of variety of maize species. In addition, we suggest strategy to develop androgenesis technique adapted to Korean research environment.
        442.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e last 10 years, the annual number of published journal articles on biochar has increased dramatically. In addition, biochar research in South Korea has received much attention in a variety of research field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biochar research trends using bibliometric analysis methods and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 South Korea.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compiled from online international and domestic scientific articles from 2010 to 2015. Annual production, institutes, main journal titles, research fields and frequency of keywords were analyzed to assess current research trends. As a result, biochar research in South Korea was found to be initially 10 years behind the global trend, but in 8th place globally in terms of published articles as of 2015. Future research on the long-term ecological/environmental effects of land-applied biochar and factory-scale production systems is necessary to promote practical use of biochar in South Korea.
        443.
        201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르면 극한강우사상이 현재보다 더 강화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기후변화의 영향이 추정절차에 반영되지 않는 다면 가능최대강수량(PMPs)을 과소 추정하게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본 연구에서는 미래의 강우 변동이 반영된 PMPs가 추정된다. PMPs 계산을 위하여 수문기상학적 방법이 이용되며, 기존에 사용되어오던 지형영향비를 대신하여 산악전이비가 가능최대강수량의 산정에 적용된다. 미래 주 요호우사상들로부터의 DAD는 기상청 RCM (HEDGEM3-RA) RCP 8.5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일 강수자료를 기반으로 편의보정 및 이동평균 된 변화인자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산출된다. 미래 PMPs 산출결과, 현재보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증가율은 2045년 기준으로 평균적으로 연간 3 mm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먼 미래로 갈수록 PMPs의 증가율은 커졌으나 미래강우자료로부터 유발되는 PMPs 추정의 불확 실성 또한 증가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444.
        2015.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robiotics are defined as live microorganisms that, when administered in adequate amounts, conferred a health benefits on the host by FAO/WHO. Probiotics can help to maintain the balance of microflora in the digestive tracts and these beneficial activities provide prevention from diseases to the host. Bifidobacteria and Lactobacilli strains are most commonly used as probiotics. In many categories, probiotics are applied to different types of products like foods, dietary supplements, functional foods, and even drugs. Fermented dairy products are the most popular and efficient vehicle for administration. Probiotics are part of the much larger functional food and beverage market and one of the prime beneficiaries of the latest growth trend of fortified and functional foods. Until 2011, Japan, U.S, and Western Europe were the largest markets for probiotics, both in terms of consumption as well as growth. Since 2011 however, Asia Pacific, Eastern Europe and Brazil have had a tremendous rise in revenue from probiotics and are expected to remain in the product growth stage over the next five years. The primary reasons for the success of probiotics fortified foods in these markets are the increasing awareness about their potency and efficacy and the willingness of customers to pay extra for something healthy. The global probiotics market revenue was 27.9 billion US dollars in 2011 and is expected to reach 44.9 billion US dollars in 2018 with 6.8% annual growth rate. Growing consumption of fermented milks and increasing concerns over digestive and gut health are major driving forces and these demands has translated into increased R&D spending and new product developments over the last three years.
        445.
        201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미래 전망 불확실성 요소를 감안한 근 미래(2011∼2040년) 극치 강수전망과 빈도분 석을 CMIP5 (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Phase 5) 9개 GCMs (General Circulation Models)를 사용하여 수행 하였다. 또한, 기후자료의 유역규모 비모수적 상세화 및 편이보정 기법을 적용하여, 다중 모델 앙상블(MME)을 통한 불확실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RCP4.5와 RCP8.5 시나리오 모두 한반도 근 미래 극치 강수특성인자의 연간 변동성과 불확실성이 커지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강우빈도해석 결과 2040년까지 50년과 100년 빈도 확률강수량이 최대 4.2∼10.9% 증가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다중모델 앙상블 GCMs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국가수자원 장기종합 개발계획과 기후변화 적응대책 마련 등 기후변화 방재관련 정책결정 및 의사결정 지원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447.
        201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건강이 질병이 없는 상태에서 신체적, 정신적 및 사회적으로 안녕한 상태로의 개념변 화와 다양한 건강 문제는 보건교육의 필요성을 증대시켰다. 학교보건교육은 2008학교보 건법 개정과 보건교육과정고시로 인해 체계적으로 보건교육을 실시하도록 하였다. 2009 이전까지의 보건교육은 수업전후 지식, 행동, 태도 변화에 대한 효과연구가 주를 이루었 으며, 2009 이후 보건교육과정과 교육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보편적이 지 못했다. 보건교육은 실천중심학문이므로 건강지식을 증가시키고 태도변화를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개인 삶과 관련된 이야기와 관련시켜야 하고 실제생활에 가깝게 건강행 위를 실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내러티브 수업으로의 변화가 요구되었다. 또한 내 러티브 접근은 성관련 문제, 흡연, 자살, 만성질환 등은 자신의 경험을 이야기하는 것을 통하여 자아의 통합과 치유가 일어나도록 하는 치료적 의미를 가질 수 있었다. 보건교육 의 방법, 보건실 장면에서 치료도구로 내러티브 접근을 제안하였다.
        448.
        201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ESP (Ensemble Streamflow Prediction)기법을 활용한 가뭄전망 체계를 구축하고 가뭄예보에 있어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과거 관측 수문기상 및 지형정보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전역에 지면모델(Land Surface Model, LSM)을 구축하고 유출량(Historical Runoff, HR)을 생산하였다. 또한, 모의기간 동안 과거 30개 기상자료와 초기 토양수분량을 이용하여 선행시간별(1, 2, 3개월) 전망된 유출량(Predicted Runoff, PR)을 생산하였다. 평가결과 여름 및 가을철 보다 봄철 및 겨울철에 정확도가 높았으며, 1개월 전망 이후로는 정확도가 낮게 나타났다. 가뭄지수는 국내 가뭄해석에 있어 검증된 표준유출지수(Standardized Runoff Index, SRI)를 활용하였으며, PR_SRI을 산정 및 평가하였다. 1, 2개월 전망에서는 과거 HR이 고려되어 ESP HR에 비해 정확도가 크게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선행시간별 상관계수는 평균 0.71, 0.48, 0.00, 평균제곱근오차는 0.46, 0.76, 1.01로 나타났으며, 건조기에 정확도가 높게 나타나 1, 2개월 전망까지는 ESP를 활용한 국내 가뭄예보의 활용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449.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 꽃가루(약) 배양은 유용유전자의 조기고정으로 육종년한 단축을 위한 육종법으로 실용화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이 배양법에 의해 1985년 처음으로 농촌진흥청에서 화신벼를 육성한 이래 현재까지 20여 품종이 육성되었고, 국외에서는 IRRI에서 1995년 첫 약배양 유래 품종이 육성되었다. 국내에서 이 육종법은 전통교배육종에 비해 품종육성 기간을 2년정도 단축시켰다. 도입초기의 주요 목적형질은 양질, 내병충성이 강화된 품종이 육성되었으며 최근 2000년대 들어서는 기능성 등을 포함하고 있다. 그간 국내 약배양 유래 품종육성 수는 1985년 이래 전통교배 품종수의 약 8%정도였으며, 농가재배 면적은 지난 30여년 동안 2,200천ha정도 재배되어 왔다. 주요 육성품종으로는 화성, 화선찰, 화영, 화봉, 호평으로 꾸준히 재배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에서 벼 약배양 기술은 어느 작물보다 일찍 시작하여 생명공학의 기초를 이루어 성공적으로 실용화를 이루어냈고, 앞으로도 기후변화 등에 좀 더 다양한 유용형질이 요구되는 즈음, 이 약배양법은 유용변이체 및 형질전환체 등을 조기 고정하는데 중요기술로 이용하게 될 것이다.
        450.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SWAT 모형을 이용해 용담댐 유역을 대상으로 k-fold cross validation 기법을 사용하여 신뢰성 있는 RCP 기반의 미래 유출량을 산정하고 이를 과거 연구와 비교하여 SWAT 모형을 이용한 기후변화 유량 전망 결과의 차이의 요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총유출량은 baseline 대비 2040s, 2080s 기간에 RCP8.5 시나리오에서는 17.7%, 26.1% 증가, RCP4.5 시나리오의 경우에는 21.9%, 44.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이를 선행 연구와 비교해 본 결과 같은 모형을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유량 전망치의 경우 연구결과 간 최저 10.3%에서 최대 53.2% 차이를 보였다. SWAT 모형에는 물리적 기반 모형으로 27개의 많은 매개변수가 존재하고 사용자마다 모형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차이가 많이 발생할 수 있다. 향후 이러한 차이요인을 저감하여 표준화된 유량시나리오 생성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451.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tried to assess the future projection of the climate as a tourism resource in Gangwon region based on Tourism Climatic Index (TCI) and two RCP scenarios(RCP4.5 and RCP8.5) datasets. TCI combines ve climatic aspects relevant for outdoor tourism activity: daytime comfort(CID), average (or daily) comfort(CIA), sunshine(S), precipitation(P) and wind(W). The mean annual variation of TCI at most of stations shows bi-modal peak pattern, but the variation at Daegwallyeong shows unique summer peak pattern. During the 21st century, TCI in summer has distinct declining trend, and this tends to be more rapid in higher emission scenario(RCP8.5) than in lower emission scenario(RCP4.5). We found Daegwallyeong is expected to experience the most distinguished change in the late 21st century as annual variation pattern of TCI is likely to shift from summer peak to bi-modal peaks. Spatial distribution of the future TCI shows that maximum changes are likey to occur along high mountains(Backdudaegan), and summertime( June to September) climate conditions for tourism activities are expected to be increasingly deteriorated, while wintertime conditions are expected to be preferable more or less. It notes that magnitude of the change in RCP8.5 scenario estimates 2-3 times larger than in RCP4.5 scenario. To identify causes of the long-term TCI trends, we analyzed the contribution level of each sub-index to the trends. Consequently, it reveals that the most primary contributor is CID. However, CIA, P, and S also can highly contribute in some cases.
        452.
        2015.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종교개혁은 세계사적인 의미를 가진 사건이다. 루터의 종교개혁은 1517년 비텐베르크에서 95개 논제를 게시함으로 시작되었고, 2017년 비텐베르크에서 종교개혁 500주년이 세계 모든 그리스도인들에 의해 축하될 것이다. 그렇다면 그것은 어떻게 축하되어야 하고,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가? 이를 위한 좋은 토대가 되는 것이 “2017년 종교개혁 500주년 전망”인데, 이 논문에서 이것이 자세히 분석되며 이를 근거로 종교개혁의 역사적 의미와 16세기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의 영향력이 서술된다. 종교개혁은 여기서 네 가지 범주로 고찰된다. 먼저 세계사적인 사건으로, 그리고 종교적, 신학적 사건으로, 그리스도인의 성숙을 가져다주며 정치, 경제, 문화를 변혁시킨 사건으로 서술된다. “2017년 종교개혁 500주년 전망”에는 교회, 사회, 정치, 교육 등에서 변화시키는 영향력이 잘 요약되어 23개 명제로 서술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2017년 종교개혁 500주년은 특별히 기독교 교회 일치를 위한 기회이자 동시에 도전이다. 종교개혁은 근원적으로 교회의 분열을 의도한 것이 아니라 교회를 갱신하고자 한 것이었다는 것은 중요한 사실이다. 종교개혁에 대한 바른 숙고는 오히려 교회 일치를 강화시킨다. 종교개혁 500주년 기념대회는 루터교인들뿐만 아니라 모든 개신교인, 아니 모든 그리스도인들에 의해 축하되어야 할 것이다.
        453.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frastructure of the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has been rapidly aging in spite of the major qualitative growth over a short period of time for the last fifty years and interest in the social needs for maintenance has been increasing. Consequently, the paradigm of the domestic infrastructure maintenance market is changing and the needs of users are gradually increas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domestic maintenance survey and analysis, first-class and second-class public structures specified by the 'Special Act on the Safety Control of Public Structures' are showing remarkable results and effects through the enactment and improvement of related laws.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domestic maintenance market and its status and ensuing reactions regarding policy were proposed for future improvement.
        454.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레일의 간격을 유지하고 레일에서 전달되는 열차하중을 도상으로 분포하는 역할을 위해 사용되는 철도침목으로는 목침목이 가장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목재 자원의 고갈로 인하여 콘크리트 등 점차 새로운 재료로 대체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가장 오랜 기간 사용되어온 목침목의 현황과 전망을 분석하고 대체재로 부상하고 있는 콘크리트, 플라스틱 등 다른 재료에 기반한 침목들의 장단점과 연구 개발 현황 및 미래 침목 시장을 예측하였다. 특히 침목과 관련한 세계시장 동향과 지역적 특수성을 감안한 각 권역별 특성을 기반으로 국내 시장 동향 및 향후 전망을 예측하였으며, 최근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합성침목과 관련하여 국내 침목기술의 현황도 분석하였다.
        455.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가뭄은 그 특성상 홍수에 비해 점진적이고 피해규모가 광범위하여 효율적인 대처가 어려운 기상재해이다. 그러나 이런 가뭄의 특징은 가뭄관리에 장점이 되기도 한다. 즉 적시에 경보해야하는 홍수와 달리 가뭄은 진행속도가 느려 시간적으로 대처할 여유가 있기 때문에 비록 진행중일 지라도 초기에 이를 감지할 수 있다면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미국 등 수문기상 선진국에서는 장기예측정보 및 수문모델의 연계를 통해 여러 가뭄전망정보를 생산하고 있으며, 웹 기반으로 이를 제공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가뭄전망정보의 생산 및 활용이 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기상예측정보 기반의 가뭄정보 생산기술이 요구된다. 최근 기상청에서는 기존 UM (Unified Model)에서 Glosea5 (Global Seasonal forecasting system 5, GS5)의 체계로 전환한바 있다. GS5는 한국 및 영국의 공동계절예측시스템 운영을 목적으로 개발된 것으로 그동안 여러 평가 및 검증을 통해 국내 현업 장기예보에 활용되기 시작하였다. 다만, 가뭄예보에 있어 GS5 정보가 활용된바 없기 때문에 이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GS5로부터 가뭄전망정보를 생산하고 가뭄예보의 활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GS5의 과거 hindcast 기간(1996년∼2009년)에 강수량, 최고, 최저 및 평균기온, 평균풍속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LSM에 입력하여 유출전망정보를 생산하였다. 수문학적 가뭄지수인 SRI(Standardized Runoff Index)를 산정하고 가뭄감시에서의 SRI와 비교분석하였다. 1개월 전망의 경우 과거 2개월의 관측자료의 활용으로 SRI의 거동이 감시정보와 유사하였으나, 2개월 및 3개월 전망으로 갈수록 차이가 높게 나타났다. 상관계수는 선행시간별 0.82, 0.58, 0.31로 나타났으며, 계절별로는 가을 및 겨울철에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RMSE는 평균 0.52, 0.88, 1.19로 나타나 선행시간 길어질수록 감시정보와의 거동 및 평균적 심도의 차이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1개월 전망까지는 GS5가 가뭄예보에 활용성이 높다고 판단되며, 향후 실시간 조기경보시스템을 통해 현업화가 추진된다면 국내 가뭄관리 및 기술개발에 큰 기여를 할 것이라 기대된다.
        456.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후변화 모델을 통해 미래 전망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는 것은 다양한 분야에서의 적응과 대응 전략을 수립하고 이상기후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총 20개의 기후변화 모델 자료(1981∼2100년)를 수집하였으며 미래 시나리오는 RCP 4.5와 8.5시나리오를 사용하였다. 한강유역을 대상으로 지역오차보정을 통해 지역적인 스케일의 불일치를 개선하고 특히, 미래 시나리오에 대해서는 비정상성 분위사상법을 통해 미래 시나리오의 추세가 왜곡되지 않도록 하는 NSQM기법을 제안하였다. 베이지안 모델 평균기법(BMA)을 적용하여 각 관측소별로 가중치가 높은 모델만을 선별한 최적의 모델 조합을 통해 강우자료의 정확성과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베이지안 앙상블 강우의 R2=0.54, NSE=0.53, RMSE=90.49 mm로 단일모델에 비해 상대적으로 개선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미래 시나리오에 대한 전망결과 온실가스 배출농도가 높은 RCP 8.5 시나리오의 증가율이 RCP 4.5 시나리오에 비해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극치수문사상분석을 위해 GEV Scaling과 SPI가뭄지수를 이용한 홍수 및 가뭄의 IDF와 SDF곡선을 전망하였다. 확률강우량 산정 결과 관측기간의 500년 빈도, 지속시간 10분에 해당되는 강우강도가 224.1 mm/hr인 것에 비하여 RCP 4.5, RCP 8.5 시나리오 각각 279.8 mm/hr, 299.7 mm/hr로 기준 시나리오에 비해 증가하는 전망 결과를 나타냈다. 가뭄의 경우, 한강유역은 가뭄에 대한 민감도가 낮은 것으로 전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불확실성을 줄이고 다양한 통계적인 분석결과를 제시함으로써 극치수문사상의 전망이 가능하였다. 이를 통해 수자원 변동성과 취약성을 파악하고 수자원 계획 및 운영을 위한 정보 제공에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457.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에서는 수업에서 이야기가 활용되는 기법을 중심으로 사례기반, 문제기반, 시나리오기반, 내러티브기반이라는 스토리텔링 수업 유형을 구분하고, 각각의 특징과 그것들을 뒷받침하는 연구들을 검토했다. 사례는 과거에 일어났던 일에 대한 이야기이다. 사례기반 수업에서는 문제와 해결책이 정해져 있다. 내러티브는 허구적인 것 혹은 실제로 일어난 것일 수 있다. 이것은 다른 유형의 이야기보다 학습자를 훨씬 더 몰입하게 한다. 시나리오기반 수업에서 이야기는 어떤 해결책을 평가하는 준거를 가지고 있다. 시나리오와 상호작용하면서 학습자가 어떤 결정을 하고 행동하는지에 따라서 결과는 달라진다. 문제기반 수업은 최적의 해결책 준거나 기준이 없는 비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을 가르치고자 할 때 특히 적절하다. 이야기를 활용하는 수업은 정보처리에 필요한 인지 전략, 즉 주의집중 안내, 정교한 부호화, 지식 조직, 자기 참조, 감정 유발 등을 촉진함으로써 학습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모든 스토리텔링 수업의 기저에는 패턴 인식자로서 정신을 보는 이론이 있다. 우리는 비슷한 구조, 사건, 맥락을 유의미한 전체로 연합해서 정신적인 삶을 조직하고 파악하려고 한다. 이야기를 통해서 지나간 삶의 트라우마를 치유하고, 미래에 대비해서 새롭게 의미를 구성하고, 준비할 수 있는 것은 바로 이러한 정신적 작용 덕분이다. 스토리텔링 수업은 학습자들이 능동적으로 학습에 참여하고, 질문하고, 협력해서 상호작용하도록 장려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미 정해진 지식과 내용을 전달하는 것이 교사의 역할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에게는 다소 불편한 것이 될 수 있다. 스토리텔링 수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와 과제에 대한 이해, 대안적인 교재 개발, 수업 전략 등의 차원에서 교사들의 새로운 인식과 변화가 필요하다.
        458.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신뢰할 만한 기후변화정보를 생산하기 위하여 CORDEX 권고사항을 바탕으로 5개의 지역기후모델을 이용하여 동아시아 지역의 상세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생산하였고, 관측과의 비교를 통하여 모델 성능을 평가하였다. 이후 현재(1981~2005년)와 미래(2025~2049년) 기후전망 자료의 비교를 통하여 강수와 지상온도에 대한 기후변화 전망을 수행하였다.동아시아 강수와 온도에 대한 개별 모델의 모의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Historical 실험 결과를 관측자료와 비교하였다. 모든 모델이 남중국해를 포함한 아열대 태평양의 강수를 과다 모의하고, 벵골만 부근에서 강수를 과소 모의하였다. 동아시아 몬순 강수대는 모든 모델에서 비교적 현실적으로 모의되어 중위도 지역의 강수 오차는 작게 나타났다. 그리고 모든 모델이 0.7 이상의 공간상관관계를 보이며 동아시아 지역의 강수 공간 분포를 현실적으로 모의하였다. 지상온도의 경우 모델 모두 관측자료에 비하여 동아시아 대륙에서 한랭편차를 갖는 공통된 문제점이 나타났지만, 높은 공간상관관계를 보이며 비교적 현실적인 동아시아 온도를 모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기후모델을 이용하여 산출된 미래 기후변화시나리오가 신뢰할 만하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미래 기후변화에서 강수의 경우 모델 모두 전반적으로 열대지역에서 강수가 증가하고, 아열대 북서태평양 부근에서 강수가 감소하는 패턴을 보였다. 5개 모델 결과를 단순 평균 앙상블한 결과, 중위도 부근에서 대류성 강수는 증가하는 반면 비대류성 강수는 감소하였다. 대류성 강수의 증가는 지구 온난화에 의한 대기불안정도의 증가, 비대류성 강수의 감소는 제트기류의 약화뿐만 아니라 북서태평양 고기압의 확장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지상온도의 경우에 모든 모델에서 전반적인 온도 상승이 나타나고 고위도에서 상승이 뚜렷한 패턴을 보였다. 이들 모델의 앙상블 평균 결과 해양에 비해 대륙에서 온도가 크게 증가되었는데, 지구온난화에 의해 비열이 작은 대륙에서 장파 복사량이 크게 증가하여 온도 증가율이 더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대륙에서 최저온도가 최고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뚜렷하게 증가하였다.기존의 단일 지역기후모델 대신 다중 지역기후모델을 이용함으로써 동아시아 강수와 온도 전망의 불확실성이 감소되어 신뢰할 만한 기후변화전망 자료 생산이 가능해졌다. 이를 기반으로 동아시아 몬순, 태풍, 가뭄, 열파 등의 극한 기후에 대한 전망을 산출할 계획이다. 더 나아가 이렇게 신뢰도가 확보된 기후변화전망자료는 농업, 수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460.
        2014.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신재생에너지 공급량은 꾸준히 증가 추세에 있으며 이 중 바이오에너지는 1,334천 TOE로 15.1%에 해당한다. 바이오에너지는 생물유기체를 변환시켜 바이오디젤, 바이오에탄올, 바이오가스, 매립가스, 바이오액화유 등의 에너지원을 생산하는 것으로 특히, 바이오에너지 원별 발전량을 살펴보면 매립가스가 40.8%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바이오가스는 3.8%에 해당하는 38 GWh가 발전에 사용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바이오에너지 중 가스상에 해당하는 바이오가스와 매립가스에 중점을 두어 ‘35년까지의 에너지화 잠재량을 산정하고, 그 잠재량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하여 현 여건에서의 방해인자 및 향후 개선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유기성폐자원 별로 발생원의 특성이 다르고 발생량에 영향을 주는 인지가 각각 다르므로 해당 폐자원에 적합한 모형을 적용하여 발생량을 예측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단계별 잠재량 - 이론적 잠재량, 지리적 잠재량, 기술적 잠재량, 시장 잠재량 - 을 전망하였다. 폐자원 부문에서 이론적 잠재량이란 해당 폐기물이 모두 수거된다는 전제하에 확보할 수 있는 에너지 총량에 해당하며, 지리적 잠재량은 폐기물 수거율이나 폐자원에너지화 시설이 입지할 수 있는 지리적인 여건을 고려한 잠재량으로 물량 확보 측면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기술적 잠재량은 현재 기술 수준을 반영하여 에너지 효율 계수 및 가동율 등을 고려한 잠재량이며, 마지막으로 시장잠재량은 실질적으로 보급 가능한 잠재량으로 이미 재활용 등의 타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물량을 제외하고, 향후 정부의 에너지화 정책이나 기술 개발에 따른 비용단가 변화 등을 반영한 잠재량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기성폐자원 (음식물류, 음폐수, 가축분뇨, 하수슬러지)와 매립가스 자원회수 잠재량을 각각 살펴보고 향후 정책적 여건을 반영한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 폐자원의 적정 처리 및 고부가가치화를 달성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