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평생교육사가 인식한 전문성, 조직특성, 조직 몰입의 수준을 조사하고, 평생교육사 의 조직몰입에 대한 조직특성 및 전문성인식수준의 영향요인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다 양하고 복잡한 평생교육 현장에서 전문성을 요구받고 있는 평생교육사의 전문성을 높이고 그들이 속한 평생교육기관의 업무효과성 향상을 위한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 울 및 인천에 소재하고 있는 기관에서 평생교육 관련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평생교육사 2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연구 과제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SPSS for windows 18.0프로그 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또한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선행 연구를 기초로 실증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문헌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근거로 하여 평생교육사의 조직특성과 조직몰입에 관련된 국내외에 발표된 논문과 저서들을 통하여 이론적 배경을 검토하고 최근의 연구동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 대한 결과는 가설을 중심으로 볼 때, 먼저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성별, 결혼여부, 근무형태, 연령, 최종학력근무경력에 따라 조직특성, 전문성인식, 조직몰입은 집단 간 유의한 차 이를 나타냈으며, 또한 평생교육사의 직업전문성 인식이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는데, 하위영역 별로는 프로그램 운영능력, 마케팅능력, 행정업무능력, 교수업무능력에 대해서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평생교육사의 조직특성 인식이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하위영역 별로는 보상공정성, 상사관계, 고용보장성에 대해서 영향을 갖는 것 으로 나타났다.
오늘날 외식 산업 뿐만 아니라 많은 기업들은 치열한 경 쟁 속에서 생존하기 위해 시장에 대한 환경 분석 및 고객의 요구 파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특히 인적 상호작용 이 많은 외식업의 경우 지속적으로 고객의 요구를 파악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편식 으로 다양한 소비자들이게 소비되고 있는 만두 전문점 이용 고객을 대상으로 유무형 상품 속성의 중요도와 성취도를 조 사하고, 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분석을 실시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3년 6월 3일부터 2013년 7월 2일까 지 30일간 수도권에 거주하는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실시하 였고 총 540부 중 500부(92.6%)를 유효 표본으로 분석하였 으며, 자료 분석은 SPSS 18.0 통계 패키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유형적 상품인 메뉴는 감각적 요인, 건강 요인, 위생 요인, 외적 요인 4가지로 요인이 추출되었고. 무 형적 상품인 서비스의 속성은 응대 요인, 촉진 요인, 포장 요인, 시각적 요인, 공간적 요인 5가지로 요인이 추출되었다. 메뉴 및 서비스의 속성의 요인분석 결과 모두 선행 연구와 유사하였고 메뉴와 서비스 속성은 메뉴의 종류 및 운영형태 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이 아닌 일반적인 상품 속성으로 요 인화 됨을 알 수 있었다. 유무형 상품의 속성에 대한 중요도와 성취도의 차이를 대 응표본 t-검정으로 살펴본 결과 메뉴의 중요도 평균은 5.21, 성취도 평균은 4.89이며, 21가지 품질 항목 중 5개를 제외한 항목에서 중요도와 성취도 간에 유의적인 차이(p<0.01)가 있 었다. 무형적 상품인 서비스의 중요도 평균은 5.22, 성취도 평균은 4.77로 30개 항목 중 1개 항목을 제외하고 중요도, 성취도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1). 유무형 상품의 중요도와 성취도를 분석한 결과 메뉴의 감 각적 요인, 위생 요인은 (1) 사분면(유지)에 포함되었고, 건 강 요인은 (3) 사분면(저순위), 외적 요인은 (2) 사분면(과잉), (3) 사분면(저순위)에 위치해 있었다. 메뉴 속성별 중요도-성 취도 차이 정도를 살펴본 결과 현재 I.사분면(유지)에 위치해 있는 많은 속성들의 중요도와 성취도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므로 현재 메뉴의 속성이 (1) 사분면 (유지)에 속했다 할지라도 단순 유지가 아닌 개선이 함께 진 행되어야 하겠다. 무형적 상품인 서비스의 경우 응대 요인과 시각적 요인은 대부분 (1) 사분면(유지)에 포함되었으며, 촉 진요인은 모두 (2) 사분면(저순위), 포장요인과 공간적 요인 은 다양하게 배치되었다. 다만 종업원들의 친절도, 매장 내 섭취, 대기 장소 품질 항목은 (4) 사분면(집중)에 위치한 만 큼 신속한 문제 해결이 추진되어야 하겠다. 메뉴의 IPA 분석 결과와 같이 서비스도 현재 (1) 사분면(유지)에 위치된 많은 속성들이 중요도, 성취도간의 차이 크므로 현재 수준의 유지 가 아닌 개선이 함께 진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고객들이 인지하는 유무형 외식 상품의 속 성을 IPA로 분석하여,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최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하는 상품 속성과 과잉으로 투자되는 속성을 시각 적으로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단순히 IPA 좌표에 나타난 속성만을 분석하지 않고 속성별 중요도 성취도 간의 차이 정도를 함께 고려하여 종합적인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 기에 한정된 인적, 물적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무엇보다 기존의 연구들과 달리 유무형 상 품을 동시에 분석하였기 때문에 향후 외식업에서 실질적인 상품개발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외식 만두 전문점 이용 고객들을 대상 으로 한정적인 연구를 수행되었기에 동일한 아이템을 주력 상품으로 판매한다 하더라도 업체별 운영방식이 상이하고, 주요 고객 및 입지가 상이하여 고객들의 요구는 다를 수 있 다는 점이 연구 결과에 반영되지 못했다. 그러므로 향후 다 양한 타입별(프랜차이즈, 일반매장 등) 추가 조사가 필요하 며, 이러한 지속적인 연구를 현장에 적용한다면 경쟁력 있는 상품 개발과 매출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겠다.
This research study aimed to examine the seriousness related to sodium over intakes that is becoming a global issue, evaluate how the recognition of sodium-reduced products and its acceptance can influence the intention of purchasing sodium-reduced products, and generate basic data for establishment of marketing strategy of campaigns such as reducing sodium intake and commercialization of sodium-reduced produc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 acceptance of sodium-reduced product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purchasing intention of sodium-reduced products, while the attitude towards sodium and recognition of sodium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purchasing intention of sodium-reduced products. Extension of these research findings to ordinary people and the analysis of main causes that affect the recognition of sodium-reduced products and purchasing intention provide a solid basis for efficient sodium-reduction publicity and development of directions for campaigns.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의 경력개발역량이 긍정심리자본과 경력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개 전문대학 1학년 재학생 223명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경력개발역량은 긍정심리자본의 자기효능감, 희망, 복원력, 낙관주의에 유의미한 영향 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경력개발역량은 경력탐색행동의 직업에 대한 탐색과, 자신에 대한 탐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긍정심리자본의 자기효능감과 희망은 경력탐색행 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넷째, 긍정심리자본은 경력개발역량과 경력탐색행동 간 의 영향관계에서 부분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전문대생의 긍정심리자본이 높아지도록 동기부여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경력개발역량과 경력탐색행동의 성과로 연결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 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 대학 및 공공연구소에 투입하는 R&D재원으로 창출되는 논문, 특허 등의 지속적인 증가에도 불구하고 사업화 수준은 선진국에 비해 현저히 낮다. 이에 대학 등 공공 연구기관의 연구성과 제고와 지식 재산역량 강화를 위한 TLO의 역할이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대학들이 재원의 한계 등으로 TLO에 전문 인력의 유치가 어렵고, 지식재산 권 출원 및 등록에 따른 행정적인 단위업무 정도만 수행하며 기술이전 및 출원 등록업무를 외부 기관에 의뢰하여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특허청이 실시하고 있는 특허경영전문가 파 견사업의 평가를 통해서 TLO의 역량과 전문성이 대학의 특허 및 기술이전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이공계관련 126개 대학을 선정하여 사업을 지원받은 대학과 그렇지 않은 대학 간의 성과 차이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사업을 지원받은 후 경과시간이 오래된 경우 특허 출원 및 등록건수, 기술이전 계약건수에서 긍정적인 영향이 나타나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대학의 기술이전 및 사업화 성과 제고를 위해서는 전문가 확보와 장 기간의 전문성 확보노력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농촌사회의 소득수준 및 생활수준 향상과 더불어 농촌 공공공간 및 시설향상에 대한 요구는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으며 이에따라 정부도 최근 다양한 방식의 농촌개발과 예산지원을 추진해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농촌 공공공간 및 시설의 지원 시 시설의 종류 및 입지 선정이 적절하지 않아 시설의 중복투자, 이용부족으로 인한 시설방치 등 다양한 문제점들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농촌마을에 분포하고 있는 다양한 공공공간 및 시설의 분포를 분석하고 이들에 대한 농촌마을의 유형별 중요도를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주요 연구방법으로는 100명을 대상으로 한 전문가 설문과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를 이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세 개의 농촌마을 유형 즉 거점면, 권역, 마을단위의 유형별로 주요 공공시설들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50개 마을을 분석한 결과 농촌마을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공공시설은 마을회관, 쉼터, 체험센터, 마을진입부, 안내시설로 나타났다. AHP는 세 단계의 비교로 이루어졌는데 첫 번째 마을유형별간의 쌍대비교에서는 거점면, 권역, 마을 순으로 중요도가 나타났다. 농촌 공공공간과 마을유형간의 쌍대비교에서는 모든 마을유형에서 기초생활시설, 문화 복지시설, 농촌관광시설, 소득시설의 순으로 중요도가 나타났다. 마을유형과 공공공간, 공공시설 등 각각의 가중치를 종 합한 중요도에서는 거점면의 경우 공동주차장의 중요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상수도시설, 공동화장실, 마을회관 순으로 나타났다. 권역에서는 공동주차장의 중요성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상수도시설, 체험센터, 마을회관 의 순으로 나타났다. 마을단위에서는 버스정류장이 가장 중요한 시설로 평가되었으며 다음으로 저수지, 하수처리장, 체 험센터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비록 마을의 독특한 사회문화적 환경을 고려한 공공시설의 중요도 평가에는 한계를 안고 있으나 농촌마을에서의 공공시설 계획 시 마을유형의 특성을 고려한 시설의 상대적 중요도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 로 적절한 시설을 선정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considers a paternity and kinship analysis system(PKAS) being currently used in real sites. A knowledge-based expert system is propos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PKAS in terms of accuracy, speed, training time, and satisfaction, which are common measures for evaluation. The knowledge base, one of the most important components in the knowledge-based expert system(KBES), consists of a rule made from random matching algorithm, decision rules of allele types and guide rules of options. The last two rules are learning incrementally from sample data. The results show that PKAS armed with the expert system ensures the better performance with regard to these criteria than the existing system. Especially as far as speed is concerned, as the sample size increases, it outperforms the existing one. As the number of samples increases, while processing time increases nearly exponentially in the existing PKAS, it does linearly in our proposed system.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research the difference in additional marketing satisfaction by lifestyle of Korean restaurant customers (focus on foreign students at university in Gangwon province). In this research,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ANOVA were carried out. Lifestyle was divided into seven factors and six clusters. Additional marketing satisfaction was divided into three factors. Additional marketing satisfac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y lifestyle of foreign students. First, ‘employee’ had a highest point at C3 ‘convenience·internet searching pursuit’ but lowest point at C4 ‘brand preference pursuit’ (p<0.001). ‘Service process’ had a highest point at C1 ‘safety·health pursuit’ but lowest point at C5 ‘effort pursuit’ (p<0.001). ‘Tangible clue’ had a highest point at C3 ‘convenience·internet searching pursuit’ but lowest point at C5 ‘effort pursuit’ (p<0.001). Additional marketing can reduce customer uncertainty, ambiguities, and wavering about eating at restaurants by intangibility of service. As a result, food-service corporations need to manage additional marketing as well as increase satisfaction and loyalty of customer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statical analysis of data (828 data in 2010, 752 data in 2012, 648 data in 2014) in order to evaluate laboratory awareness difference of research employees working in different types of universities.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university institutes in the order of polytechnic colleges, university, and junior college showed the highest laboratory safety awareness in 'awareness and education of laboratorial safety regulation' and 'awareness in laboratory risk factors'. Second, the difference in safety awareness of universities by year(years that conducted current status survey) was the highest in year 2014, then in 2010, and in 2008. Third, the difference of research employees working for laboratory safety management by year(years that conducted current status) showed that university had the highest laboratory safety awareness in year 2010, but it changed to polytechnic colleges in year 2012 and 2014.
Through this study, we could recognize the difference in safety awareness of research employees working in university institutes
이 연구는 언론 전문직주의의 위기와 한계가 한국 언론 현실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공영방송을 둘러싼 갈등을 중심으로 논의해 보았다. 전문직주의를 구성하는 중요한 태도적 요인이라고 할 수 있는 자율성, 행동 준거로서의 조직과 자기규제에 대한 믿음, 공공서비스에 대한 인식,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이 한국을 대표하는 공영방송에서조차 무너지고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위기가 단순히 방송저널리즘 실천의 장애를 넘어 건전한 민주주의 형성과 유지, 그리고 발전에 커다란 위험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나아가 공영방송이, 국가나 정부 권력에 대한 비판과 견제가 아닌 관행적 도구로 전락되고 있음을 여러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결국 공영방송이 관료제화로의 위기로 치닫고 있으며 이로 인해 방송저널리즘의 역할과 책임이 심대히 훼손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공영방송 저널리즘의 본질적인 정체성을 회복하기 위해서 무엇보다 언론 전문직주의 복원을 위한 성찰이 필요하고 공영방송 지배구조도 개선되어야 함을 제안하고 있다.
Nanotechnology has been growing constantly and it is becoming the leading technology in scientific research and development. Although nanotechnology has important applications in broad variety of fields without boundary of any particular industrial area, the study of nanotechnology related to its commercialization has been conducted in a few ways. To put that figure in context, this study investigates public and expert perceptions about negative potentials of nanotechnology. Through a series of surveys with public (N = 541) and experts (N = 62), we analyzed about public willingness to pay for nano-applied products. Survey results showed that public and experts preferred nano-applied products in the order of electronics, cosmetics, and food and medicine. Experts express high payment intention to electronics rather than public intention. In addition, the survey results showed the purchasing intention of both public and expert group was affected by the attributes of nano-applied products in the order of risk fatality, risk chance, certification, and labeling. But experts put more importance in risk fatality than risk chance comparing to public. Through the case analysis of the effects of labeling and certification, we revealed either labeling or certification can induce both public and experts to buy the nano-applied products with high risk chance and low risk fatality. However, for the nano-applied product with high risk fatality and low risk chance, both labeling and certification are simultaneously required to make customers have positive purchasing inten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be utilized for the nanotechnology-based company to get the consumer behavior information about nano-based product and to establish their marketing strategy.
Depending on the growth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size of construction sites are becoming enlarged, and construction work is becoming diversified as well. However, this increases risks of safety accidents. In order to alleviate this problem, some large construction companies have implemented a Safety Patrol Management System (SPMS) in order to reduce accidents on construction sites. Aimed at the construction sites where SPMS has been applie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alculate the proper number of SPMS safety mangers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the number of safety managers per person for each site with different sizes and the converted accident ratio. In addition, we also aim to calculate the adequate amount of SPMS safety management costs compared to the total amount of construction expenses required once SPMS is introduced.
본 연구는 시설원예 작물 재배 농가들을 대상으로 응답자들의 항목별 선호도를 분석하고, 농업현장에서 농민들이 체감하는 원예단지에 대한 만족도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평가하고자 하였다. 분석 대상은 크게 생산관련 소모품 공동구입, 온실시설 기자재 공동구입, 공동 육묘 생산, 공동 냉난방시설 사용, 공동출하, 토양 검사 및 인증제도를 포함하는 공동 활동부분과 생산기술정보, 온실시설관리정보, 유통관련정보, 생산기술교육, 온실시설관리교육, 유통관련교육을 포함하는 정보교류 및 교육부분으로 나누었다.
공동활동 부분의 IPA분석결과 소모품 공동구입, 기자재 공동구입, 공동출하 항목이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높아 지속적인 유지가 필요하며, 공동육묘 생산, 공동냉난방 시설 등 2개 항목은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낮아 우선순위를 낮추어도 될 것으로 판단된다. 소모품 및 기자재 공동구입에 대한 단지별 생산자 니즈를 파악하고, 원예전문생산단지가 수출집중형인 경우에는 공동출하 체계를 적극 활용해 수출대상국별 경쟁력 있는 교섭권을 더욱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 한편, 육묘장과 냉난방시설의 경우, 정부지원을 받아 시설을 소유하고 있는 비율이 높기 때문에 중요도-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CO2 저감을 위한 환경친화적 신재생 에너지의 활용 및 지속가능한 농업의 관점에서 고찰해보면, 에너지 이용 효율성 제고 및 환경 친화적 원예단지 조성이 중요한 부분이라는 것을 인지해야 할 것이다. 또한, 토양 검증 및 인증 항목은 중요도에 비해 만족도가 높아 과잉관리가 개선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원예전문생산단지 평가 지표에서 가점을 주는 평가항목들이기 때문에 이미 잘 관리가 되고 있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정보교류 및 교육부문의 IPA분석결과 가장 집중적으로 관리되어야 할 요인으로 생산기술 교육이었으며, 원예전문단지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생산기술 교육을 타 교육(온실관리 및 유통관련 교육) 보다 집중적으로 실시해야할 부분으로 평가할 수 있다. 생산기술 정보, 온실시설 관리정보, 유통관련 정보는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높아 지속적으로 잘 유지해야 할 필요가 있는 요인들이다. 다양한 정보에 대한 응답자들의 중요도와 만족도가 높기 때문에, 농가들의 적극적인 정보 교류를 활성화 시키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구성원들의 정보교류 어플리케이션, SNS 활동 혹은 홈페이지 활용, 공식적인 정기모임 및 정보교류 회의를 위한 협의체를 구성 등을 들 수 있겠다. 온실관리 교육, 유통관련 교육의 2개 요인에 대해서는 우선순위를 낮추어도 좋은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생산성 향상 및 시설원예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정부 주도의 시설원예단지 규모는 더욱 확대될 것이므로, 본 연구의 결과가 원예전문생산단지의 운영에 효율적으로 적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e establishment of corporation’s Business Continuity Plan(BCP) is to maintain corporations’ own business and establish the response plan in order to resume operation in a short time period when crisis situations occur due to natural disaster and human error. This study has presented all types of procedures and criteria which are needed to establish the airport crisis response system in order to maintain the business continuity by utilizing BCP technique.
Basically the risk response procedures must be established in the process of (1) preparation stage, (2) plan development stage, (3) documentation stage, (4) test & maintenance stage. The guideline has been suggested that each stage must be carried out in the sequence of Policy & Planning Responsibility, Business Impact Analysis, Recovery Strategy & Plans, Emergency Plan & SOP, Training Awareness and Maintenance & Review
이 연구는 뉴스 미디어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연합뉴스가 빅데이터 저널리즘을 어떠한 방식으로 활용해야 하는지에 관하여 심층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연합뉴스 기자들과 빅데이터 저널리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뉴스 미디어 환경 변화, 변화하는 연합뉴스의 위상과 전략, 빅데이터 저널리즘의 필요성과 활용방안에 관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미디어 환경의 변화는 소비자들이 뉴스 생산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 주었지만 불확실한 뉴스 유통이나 선정적 기사 양산, 언론의 신뢰도 하락 등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하고 있었다. 연합뉴스는 언론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도매상 역할과 일반 독자들과 만나는 소매상 역할을 동시에 맡게 되었고, 이에 따라 속보 외에도 일반 독자들의 요구에 맞춘 새로운 기사의 형식과 내용을 시도하는 전략 수정이 요구되고 있다. 저널리즘의 신뢰성과 공정성을 회복하기 위한 혁신 방안 중 하나로 제시된 빅데이터 저널리즘은 탐사보도, 지역보도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고 이를 위한 선결 과제로 전담 부서와 인력 확충, 기자 교육 프로그램 마련, 공공 데이터 확보 등이 실무적 차원으로 제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