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개혁에 대한 일련의 논의들은 교육개혁의 중요한 요소로 교사의 리더십을 지적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교사리더십은 효율적인 교수-학습과정에 초점을 맞춰 이해된 경향이 있다. 그러나 학교체육의 위기를 경험하고 있는 체육교사들에게는 더욱 다양한 영역에서의 리더십 발휘가 요구되어진다. 체육교사의 교수전문성 리더십이 중요하며 다음과 같은 리더십의 개발이 필요하다. 첫 번째는 초임교사를 위한 멘터(mentor) 역할을 위한 리더십이다. 많은 초임교사들이 현실과 이론의 차이로 인해 현실충격(reality shock)을 경험한다. 동료교사가 체계적으로 초임교사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기는 어렵지만 학교 상황을 잘 아는 선임교사들이 초임교사의 적응과 교수전문성의 개발을 지원하는 리더십 발휘가 필요하다. 두 번째는 예비교사들을 위한 교사교육자 역할을 위한 리더십이다. 교육실습에 참여하는 예비교사들은 학생신분에서 교사신분으로 전환되는 과정 겪는 어려움 극복을 도와주어 잘 준비된 교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교사의 리더십은 매우 중요하다. 세 번째는 교사연구자 역할을 위한 리더십이다. 지식 소비자로 인식되었던 교사가 현장 개선을 위한 지식 생산 연구자 역할을 하는 리더십이 필요하다. 체육교사가 발휘해야 할 리더십의 영역 확대에 대한 이해와 함께 리더십을 적절하게 발휘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기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변화에 대한 진지한 고려가 필요하겠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게임플레이에 대한 게이머의 인지적 처리과정을 살펴보고 게이머의 전문성에 따른 그룹 간 차이를 규명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최근 대표적인 MMO(Massively Multi-player Online)게임에 해당하는 월드오브워크래프트 게임에 대한 실증적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증적 실험을 통해 구두조서와 행동조서를 수집하여 게이머의 전문성 별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문가들은 정형화된 행동 패턴을 보인 반면 중급자와 초보자들의 경우 학습곡선과 특정행동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발견 하였다. 전문가들의 경우 게임 진행 초기 단계에서 수집과 같은 기능적인 행동이 집중된데 반하여 초보자들의 경우 게임 플레이 전반에 걸쳐 7가지 기능적인 행동(탐색, 전투, 3가지 유형의 수집, 회피, 대화)이 분산되어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게이머의 전문성에 따른 그룹 간 비교분석을 통해서 얻어진 일관성과 차이점을 제시한다. 이는 MMO게임을 디자인 할때, 게임 초보자, 중급자, 전문가에 대한 디자인 지침을 제공 한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MMO게임을 디자인 할 때 초보자들에 대한 게임 콘텐츠 개발에 중요한 기초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부산항의 미항만들기를 위한 기초 연구로서 항만경관을 인식하는 사람을 전문가, 시민, 방문객으로 구분하고 부산항 항만 경관에 대한 각 그룹의 의식을 비교분석하는 실증적 연구이다. 연구내용으로는 부산항 항만경관에 대해 세 그룹이 가지는 의식특성을 알아보고 그룹들 사이에 존재하는 의식차이를 분석하며 항목별로 구체적인 의식 차이점을 살펴봄으로서 그 결과를 바탕으로 부산항 항만경관의 개선 대책을 제시한다. 연구결과 전문가, 시민, 방문객은 부산항 항만경관에 대한 의식에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전문가그룹은 시민 및 방문객 그룹과 여러 가지 측면에서 의식차이를 보이고 있는 반면에 시민과 방문객그룹 사이에는 의식차이가 분명하게 나타나지 않고 있다. 따라서 향후 항만경관의 개선 및 평가에서는 전문가와 일반인의 의식차이를 고려하여 두 그룹을 구분하고 각각의 견해를 비교분석하여 적절한 의견을 항만경관계획에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기초 과학 교육을 담당하는 초등교사의 과학전문성과 연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초등교사의 과학 전문성에 대한 인식, 초등과학실험연수에 대한 인식, 실험연수 이외의 과학관련 연수에 대한 인식, 초등 과학관련 연수의 운영 방향으로 구성된 34문항의 설문지를 개발하여 전국의 초등 교사 45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초등교사의 과학전문성에 필요한 능력으로 과학에 대한 관심과 호기심을 증진시키는 능력과 실험, 탐구 지도 능력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고, 과학전문성 기준에 포함할 영역으로는 과학적 개념 이해 수준, 교육과정 이해 및 적용 수준, 실험․탐구 이해 및 수행수준을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초등교사의 과학전문성 확보를 위해 체계적인 대학의 과학교사 양성 프로그램의 개선과 실험 연수 등 직무 연수 프로그램의 개선, 지속적인 새로운 형식의 과학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해 줄 것을 요구하였다. 관주도적인 연수에 대한 만족도가 낮았으며 연수의 교육과정, 내용지식의 수준, 연수의 양, 강사에 대한 만족도가 낮았다.
한국 청소년의 95.6%가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고, 이 중 온라인 게임을 경험한 적이 있는 청소년은 82.5%이다. 인터넷 이용의 주 목적이 온라인 게임이라는 비율도 47%에 달한다. 심지어 10.6%가 심각한 게임 과몰입 증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학생과 학부모들은 온라인 게임과몰입 문제를 인식하고 있으면서도, 대부분의 학생과 학부모들은 전문상담사가 부족하여 제대로 상담을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장에서 게임 과몰입 상담의 대부분을 담당하고 있는 청소년 상담사들도 게임과몰입 전문 교육과정이 절실히 필요하고 참여할 의향이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생, 학부모, 그리고 현장의 상담사들을 대상으로 상담 중 필요한 교육과정을 조사하여 효과적인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제안하는데 있다. 본 연구 결과는 게임과몰입 전문상담사 양성을 가능하게 하여 게임 과몰입으로 고통 받고 있는 청소년들에게 도움을 줄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청소년들이 건전하게 게임을 이용하게 될 것이다.
This study has intended to elicit the definition of rural landscape, to classify rural landscape type, and to develop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rural landscape, meeting the definition through delphi expert survey method. The survey was performed five times for 80 days by 20 experts. The delphi expert survey asked experts as follows: 1) to fill out open-ended questions regarding the definition of rural landscape, and classification of rural landscape types, and evaluation indicators; 2) to provide their own feasibility evaluation regarding the results of the previous answer; and 3) to reevaluate the feasibility of the definition, types, and indicator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is study has found the appropriate definition of rural landscape like the comprehensive complex of physical (objective) and nonphysical (subjective) factors characterizing natural and/or artificial scenary of rural village itself Also, this study has developed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rural landscape in accordance with space types and landscape units classified. The developed indicators included areal ratio, the degree of green naturality, the building coverage ratio for physical landscape field, and skyline, landscape adjectives, color landscape, semantic scale.
본 연구는 유치원 실습지도교사의 전문성 발달과 전문성 발달의 하위 영역인 지식과 기술, 자기 이해, 생태적 측면의 발달에 따라 실습지도 관련 스트레스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제주특별자치도 공․사립유치원에 근무하는 실습지도 경험이 있는 교사 202명이었으며, 연구도구는 백은주와 조부경(2004)이 개발한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발달 자기평가 도구와 이진숙(2003)과 임승렬(2004)이 개발한 실습지도 관련 스트레스 질문지를 연구자가 수정보완한 도구이다. 유치원 실습지도교사의 전문성 발달은 평균 점수를 중심으로 상, 중, 하 세 집단으로 나누었으며, 집단의 차이에 따른 실습지도 관련 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F 검증과 Duncan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문성 발달과 전문성 발달의 하위 영역 중 자기 이해의 발달과 생태적 발달에 따른 실습지도 관련 스트레스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는 상인 집단이 중․하인 집단 보다 스트레스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폐광지역 전문계 여고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강원도 폐광지역 D여자고등학교 전문계열 2학년 학생 20명을 무선표집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0명씩 배치한 후 5주에 걸쳐 총 10회기의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진로결정수준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검사도구로는 Harren(1979)이 개발하고 Buck과 Daniels(1985)가 수정
본 연구에서는 중등학교 현장에서 요구되는 전문상담교사의 실제적 역할과 그 기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생 323명, 학부모 323명, 교사 307, 전체 95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한 후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에 대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개별 및 집단 상담활동, 교사 및 부모를 위한 자문활동, 학교상담 관련 행정업무, 학생이해 및 지도를 위한 정보수집 및 제공활동, 전반적인 학교 생활지도 및 상담체제에 대한 지원, 학교 및 학급 생활지도를 위한 교육과정 구성과 실행 등 여섯 요인이 산출되었고, 각 집단별 요구구조가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학생, 학부모, 교사들이 요구하는 전문상담교사의 공통적인 세부 역할 및 기능에는 개별 및 집단 상담활동 중 바람직한 진로선택 및 진로결정을 위한 상담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세 집단간 차이를 비교한 결과, 학생은 개별 및 집단상담 활동 중 바람직한 진로선택 및 진로결정을 위한 상담, 학부모는 학교상담관련 행정업무 중 학교상담실의 운영, 교사는 개별 및 집단상담 활동 중 집단 괴롭힘(왕따, 학교폭력)의 가해 및 피해 학생을 위한 상담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실 현장에 가면 곧 부딪칠 수 있는 문제에 대한 원리적인 이해와 접근의 필요성을 근대언어학의 큰 흐름을 중심으로 몇 가지 짚어본다. 특히 언어규칙(소위 문법)지도문제에서 (1) 기술문법 vs 규범문법 이슈를 통해, 보수적인 사고와 진보적인 관과의 대립양상이, 자신들이 가르치고 있는 언어/영어현상에서 어떻게, 또 현장에서 자신의 문제로 어떻게 드러날 수 있는가를 생각해보게 하는 것 중심으로, (2)구어와 문어의 차이와 그 관계를 포함해, 관(우위에 대한 관)의 변화를 통해 언어 특히 영어 교사가 끊임없이 고민하며 균형을 취해야 할 과제에 대한 이해, (3) 그리고 그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덕목 중, 학습자 이해를 위해 갖추어야 할 전공자로서의 tool--오류분석의 연습--을 활용 적용할 수 있는 능력배양의 필요성 등을 짚어 보이며, ‘진정 교실 친화적이고 현장에서 자신의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는 영어교사의 모습’을 구체적인 영어 사례와 함께 그려본다
본 논문은 교실친화적 교원을 양성하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사례기반 교수법을 소개한다. 구체적으로 사례기반 교수법과 관련된 문헌 분석을 토대로, 확장된 의미로서의 사례기반 교수법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초등수학교육에서 사례기반 교수법을 어떻게 개발할 수 있는지 전반적인 방법과 핵심적인 구성 요소들을 분석한 후, 구체적인 개발의 예를 제시한다. 또한 사례기반 교수법의 활용 방안 및 초등 교사의 수학과 전문성 신장 측면에서의 기대 효과 등을 논의한다.
교사의 전문성은 교육의 성패를 좌우하는 핵심 요인이고, 우리는 그 전문성이 직전 교사양성과정을 통해서 일정하게 길러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그 전문성이 발현되는 곳은 교실상황이고, 특히 교실상황 속에서 어떻게 교과를 가르칠 것인가 하는 교과 지도의 전문성으로 표출될 가능성이 높다.
우리는 교과지도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통로로 교과내용학과 교과교육학의 구분을 전제로 하는 교사 양성기관의 교육과정 이수를 설정하고 있지만,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견해가 더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대처 방안으로 우리는 교과교육학의 재구성을 생각해볼 수 있고, 그 새로운 교과교육학이 교실상황과 보다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는 당위를 받아들여 ‘교실친화적 교과교육학’이라는 개념을 상정할 수 있다.
교실친화적 교과교육학은 그런 점에서 교실상황 자체에 대한 분석에서 시작해서 각 교과의 수업이 진행되고 있는 과정에서의 모든 활동들, 교사 자신의 교과관이나 지식, 태도가 실제의 교과 수업과 평가에 미치는 영향 또는 관련성 분석을 그 연구주제로 삼을 수 있다. 이러한 주제들은 모두 교실친화력이라는 점에서 일관성을 지니고 있고, 이러한 새로운 교과교육학의 정립은 교실친화적 교사 양성의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과 개인연수에 대한 요구는 어떠하며, 유치원 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에 따른 개인연수에 대한 요구는 어떠한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 나타난 결과는 첫째, 유치원 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은 하위영역별로 고도의 지적 능력, 자율성, 직업윤리, 사회봉사 기능, 사회 경제적 지위의 순으로, 보통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사회경제적 지위는 낮은 인식을 나타내었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개인연수 내용의 하위영역은 유아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유아교육의 기초, 교사 교육, 정보화 교육, 교육 행정 및 운영, 건강, 대인관계 기술, 예술 및 문화 순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연수 방법의 하위영역은 문화 활동 참여, 매체 활용, 교육기관 참여, 단체 활동 참여, 사설기관 참여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 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 정도에 따른 개인연수 내용 및 방법에 대한 요구는 전체적으로 교직전문성 인식 정도가 중집단인 교사가 하집단 교사에 비해 높고, 상집단 교사가 중집단 교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