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8

        141.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selected The Old Rectory, Sissinghurst and East Lambrook Manor as a case study location that is meaningful to discuss potager garden, herb garden and harvest garden, which is a topic of productive garden.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growth potential of Korea's rural house into a garden that embellishes decoration and appreciation. The application method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case study location will be, first, organizing the shape of the flower bed and then adding additional materials along with the main materials. Second, it can increase the appreciation of productive garden through layering method and making it abundant. Third, it can be utilized well by pursuing artistic feature by combing unique color and texture of edible plants. Lastly, for the weakness of flat structure by short edible plants, vertical structure shall be utilized to provide decoration and frame. Also, by using natural materials, the ambiance of the garden can be presented.
        142.
        201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옥상정원 구성요소에 따른 이용자 만족도 연구를 위하여 서울시에서 지원한 18곳의 옥상정원 방문이용자를 대상으로 방문동기, 시설물, 식물관리, 기능 및 환경, 동선 및 접근성, 이용 후 평가만족도에 대하여 총 304명을 방문 설문하였다. 그 결과 옥상정원 방문동기는 이용자의 이용 후 전체만족도에서 그리 큰 영향으로 작용하지 않았으며 단순회귀분석결과 영향이 적은 구성요소로(β=0.236)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시설물(β=0.609), 식물관리(β=0.623), 기능 및 환경(β=0.595), 동선 및 접근성(β=0.679)은 이용 후 전체만족도에서 높은 구성요소로 연구되었다. 또한 동선 및 접근성(β=0.679)이 다른 구성요소와 다르게 만족도에서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접근성이 옥상정원의 이용과 만족도에 실제적으로 영향을 주는 가장 큰 구성요소로 분석되었다. 옥상정원의 만족구성요소가 전체 만족도에 미치는 다중회귀분석 결과 중요도 순위는 동선 및 접근성(β=0.348), 시설물(β=0.178), 기능 및 환경(β=0.173), 식물관리(β=0.153)순으로 연구되었다.
        143.
        201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선진국형 창의적 체험활동의 한 장르로서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정원문화교육 프로그램을 시험운영하고 이에 대한 만족도를 비교분석하여 세부 프로그램의 구분기준을 제시하였다. 일반인을 통하여 현장체험활동의 관심도별 선호경향을 분석하였고 대학의 전문교양과정을 통한 프로그램진행으로 지역별, 전공계열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프로그램개발을 위해서는 선행 문헌을 조사하고 전문가를 패널로 구성하여 브레인스토밍 방식에 의한 인터뷰조사를 통해 프로그램의 방향을 도출하고 이를 기준으로 시험적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이를 바탕으로 정원박람회 현장프로그램 체험자를 대상으로 프로그램 선호도를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정원문화향상을 위해 개발된 교육프로그램은 정원활동에 관심도가 높은 그룹은 적극적인 체험프로그램과 구체적인 디자인프로그램을 도입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과 관심이 적은 초보자는 간단한 산책으로 정원을 감상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활용함이 좋다는 결론을 얻었다. 강의실프로그램은 공간디자인성격의 실내정원이 인테리어관련분야이므로 거주형태가 삭박한 서울과 도시거주자에게 만족도가 높았고 원예치료도 서울 중심으로 도시지역거주자에게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다른 프로그램은 지역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반면 대학의 전공 계열별인 자연계과 인문계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세부프로그램 개발 시 도시와 서울권과 수도권 및 지방의 경우를 고려하여 프로그램내용의 비율을 조정하여 설계하고 현장프로그램은 초급자와 중급자 고급자로 나누어 초급은 간단한 활동으로 고급은 적극적인 텃밭 가꾸기와 같은 지속적인 노작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지역의 기술센터, 문화센터, 복지관, 식물원, 대안학교 등과 정보교환으로 교육내용을 피드백 하는 유기적 교육프로그램 적용이 적합하다. 또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재 및 교구 개발이 지속적으로 보완 된다면 궁극적 목표인 창의적 체험활동영역으로 정원 문화 교육프로그램이 정착 될 수 있을 것이다.
        144.
        201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10년 첼시 플라워 쇼의 휴식 정원의 경우는 꽃은 꽃대가 높이 올라가며, 꽃의 크기가 작고, 착생밀도가 높고, 파스텔톤의 꽃이 주로 사용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꽃의 특징이 두드러지기 보다는 잎과 잘 어울리는 소재를 사용하여 자연스러운 스타일을 나타내었다. 잎의 경우, 작은 잎이 밀생하고, 선형의 형태이고, 열과 거치가 있으며, 두꺼운 잎과 무늬가 있는 잎이 등장하여 사용되고 있었다. 잎의 풍성함을 통하여 야생적인 느낌과 시각적 질감의 효과뿐만 아니라, 촉각적 특성이 강한 소재를 사용하여 관상 가치를 높이고 있었다.지금까지의 자연적인 식재에 관한 연구는 개념에 중심을 두었으나 이 연구는 2010년 첼시 플라워 쇼의 휴식정원에 사용된 식물의 종류와 질감의 분석을 통해 특성과 경향을 알아본 것으로 최근의 정원에서 나타나는 주제와 식재경향을 구체적인 수종의 제시와 함께 질감이라는 미적기준을 통해 그 특성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고 본다.
        146.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동철기 옥상정원의 식물관리 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시에서 지원한 18개소의 옥상정원을 대상으로 식물관리 실태를 현지 조사 및 정원관리 담당자와의 면접설문을 통해 조사 분석한 결과 동철기 옥상정원관리에서 식물관리(33.3%), 냉해(22.2%), 물 관리(11.1%, 시설관리(11.1 %) 외에도 홍절기 병충해(5.6%) 방생으로 식물관리에 어려움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옥상정원에서 동절기에 관상이 가능한 식물은 상록수의 Pinus densiflora(반송), Taxus cuspidata(주목), 낙엽수에서는 Coruns alba(말채), 초화류는 Pachysandra tennímllís(수호초)가 가장 많았으나 관상 가능한 식물이 1~3종으로서 종류가 매우 빈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동절기 상록수에 대한 정기적인 물 관리의 중요성 인식이 필요한 것으로 연구되었다.
        149.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단분화성 정원줄기세포의 장기간 체외배양 중에 확립되는 다분화능 정원줄기세포는 배아줄기세포와 유사한 특성을 가져 3배엽성 세포로 체외분화가 가능하며 기형종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를 통해 outbred 생쥐(ICR strain)로부터 확립된 다분화능 정원줄기세포의 형질전환 가능성을 확인하며, 배아 내로 주입하여 유전적 키메라를 형성하는 효율을 배아줄기세포와의 비교를 통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다분화능 정원줄기세포를 넣은 배아로부터 태어
        150.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thesis intends to explicate T. S. Eliot’s Four Quartets with 배e image of the rose-garden as an important c1ue to it. The mystical experience of rose-garden is the starting point of “Bumt Norton", the first poem of Four Quartets. ln “Bumt Norton", this ecstatic moment of illumination can be said to save the poet from the flux of time, even momentarily. At tbis time Eliot applies the Dantean concept of “tbe still poinl of tuming world" to tbe rose-garden experience. This image of rose-garden repeats ilself in the rest of the poem. However, the meaning of visionary experience is criticized within the work itself. In the concluding section of “Easl Coker", tbe poet altempts 10 revise his altiludes to those mystical experiences. He wishes to put more value on the enlarged consciousness covering the collective community rather than the isolated ecstatic moment of one solitary mystic. ln “The Dry Salvages" he is concemed with giving poetic form to tbeological tbougbts sucb as Annunciation and lncamation. The poet accepts historic lncamation, namely the birtb and life of Jesus Cbrist on earth, as the intersection point of the limeless with time. However, when he poeticizes the Chrislian doctrine, he just takes the method of connecting lncamation with the small experiences of iIIumÎ.nation. Now we can realize the rose-garden experience of “Bumt Norton" as “The hint half guessed" or "the gift balf understood" of Incamation, as it were, a sbadow of lncamation. Finally, at the end of “Little Gidding" the poet reaches the rose-garden once more. At tbis time tbis last rose-garden could be thought to be a more expanded one than that of “Bumt Norton", for we know well tbat it only could be reacbed after various spiritual, p이itical, and historical disciplines.
        152.
        200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백화점 옥상정원의 실태와 시각적 선호도를 규명하기 위해 서울과 경기도 소재의 백화점 중 옥상정원이 조성된 경관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내용은 백화점 옥상정원의 실태를 조사하고 일반인과 학생,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대상별 선호도와 선호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 산술평균, t-test, 분산분석,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연구의 수행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서울 및 경기소재 백화점 옥상정원의 실태조사 결과 대상지의 진입공간은 옥상정원이 시작되는 공간으로 출입문에서 정원을 바로 조망할 수 있도록 조성되었으며, 시설물이나 식재가 제한적이었다. 또한 백화점 내부와 연결되는 공간의 특성상 바닥 마감은 화강석과 데크가 많이 사용되었다. 중심공간은 옥상정원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이용자의 활동도 많은 공간으로 주로 수경시설 및 휴게시설, 공간 장식요소 등이 도입되는 경우가 많았다. 수목의 식재는 플랜터를 활용한 주제목 위주의 단순한 형태로 조성되는 경우가 많았고 하부식생은 잔디를 도입하여 시각적 개방감을 주고 있었다. 경계공간은 건물의 시설물을 차폐하고 주변 경관의 시각적 저해요소를 차단하기 위해 주로 수직적 형태의 수목이 많이 식재되었다. 시설물로는 휀스의 설치가 두드러졌다. 백화점 이용자들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조성되는 옥상의 이벤트공간은 공연과 전시, 음악, 패션쇼 등을 진행하기 위한 무대와 공간 장식요소를 배경으로 사진을 찍을 수 있는 포토 존으로 구분된다. 무대로 조성된 경우는 목재 데크가 주로 사용되었고 무대의 배경을 위한 휀스가 설치되어 있었다. 선호도 분석 결과, 다양한 시설물의 도입과 아름다운 경관을 형성하고 시각적 개방감이 우수한 신세계백화점 죽전점(case 10)이 7.78점으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건물의 시설물이 많이 노출되어 있고 협소한 공간으로 인한 다양한 활동 공간의 부재를 나타내는 삼성플라자(case9)가 5.39점으로 가장 낮은 선호도 값을 나타내고 있었다. 공간 장식요소 유·무에 따른 선호도 분석결과 공간 장식요소가 설치된 옥상정원의 경우 6.41점의 선호도 값을 나타냈으며 공간 장식요소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 선호도는 6.05점으로 공간 장식요소가 설치된 경우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는 식재 위주로 조성된 공간에 조형미가 가미된 공간 장식요소가 볼거리의 역할을 하고 시각적 흥미를 유발시키는 것으로 보였다. 조성 면적에 따른 선호도 분석은 너무 좁은 면적에 옥상정원이 조성된 경우 면적의 제약으로 설치할 수 있는 시설물이나 공간 분할의 어려움이 있고 식재의 경우도 제한적이므로 시각적으로 개방감이 떨어지고 설치된 시설물이 조화롭지 못하게 보인 것으로 보였다. 반대로 넓은 면적에 조성된 경우 공간의 아늑함이 떨어지고 시각적으로 편안함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보였다. 옥상정원의 선호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선호도를 종속변수로 하고 충분한 편의시설, 아름다운 경관, 시각적 개방감, 풍부한 녹음, 세련된 분위기, 아늑한 공간감, 다양한 활동 공간을 독립변수로 하여 스텝와이즈(stepwise)방식의 다중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문가 집단과 일반인 집단 모두 아름다운 경관이 가장 영향력이 높은 인자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문가 집단에서 두 번째로 높게 평가된 아늑한 공간감과 가장 영향력이 낮은 요인으로 나타난 충분한 편의시설은 일반인 집단에서는 영향력이 서로 상반되게 나타나 전문가 집단과 일반인 집단의 견해차이가 있었다. 이 결과를 근거로 하면 옥상정원 조성 시 이용자인 일반인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여 편의시설이 충분한 아름다운 정원을 계획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백화점 옥상정원은 도심에서 자연을 감상할 수 있는 공간으로, 심미적으로 아름다운 공간이 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와 더불어 백화점을 이용하는 고객들이 이용하는 공간이자 쇼핑중의 휴식을 제공하기 위한 장소이므로 이용자들의 휴식을 위한 벤치나 카페테리아 등 충분한 편의시설이 도입되어야 할 것으로 보였다. 본 연구는 백화점 옥상정원의 바람직한 조성방향을 제시하고자 백화점 옥상정원의 시각적 영향을 조사·분석한 연구로 조사시점의 서울 및 경기지역의 백화점 옥상정원의 전수를 실태 조사하고 선호도를 분석한 내용이므로 그 의의가 있다고 본다. 그러나 일반적인 모든 백화점 옥상정원에 적용하기에는 한계를 지니고 다고 할 수 있다. 향후 백화점 옥상정원의 바람직한 조성방향의 제시를 위해서는 시각적 영향과 더불어 실제로 그 공간을 이용하는데 따르는 실태에 관한 심도 있는 연구도 필요하리라 판단된다.
        153.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a part of the research on the western private garden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beginning and changes of cottage garden style in New Zealand. Early immigrants came mainly from the southern countries of England. Once established, many colonists imported plants from England for nostalgia's sake. They aspired to the high fashion of the times, which was the Gardenesque style. At this time flower-gardening was undergoing a considerable growth. During the second half of the nineteenth century, the new design trend in Victorian gardens was formality. Victorian Cottage gardens in New Zealand had much more formality than today's interpretation of this style. At the beginning of the twentieth century, the new theme of the garden was a highly romantic eclecticism, which arose the integration of the formality and the naturalism. Between the 1940s and the 1960s, the vegetable garden that was the norm back was common, but on the wane throughout New Zealand. In the second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a number of new approaches to the garden-making have emerged. Postmodernism also led New Zealanders to search for a National Identity. An eclecticism which re-ordered material in this way could serve the purpose of maintaining the content while radically altering the form. The English cottage garden transferred to the front yards of New Zealand has produced a New Zealand style cottage garden, that is a copy for which there was never an orignal. Viewed from the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and changes of New Zealand Cottage Garden Style, it can be characterized as a practical, independent, and innovative garden based on the combination of utility and beauty.
        159.
        2008.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원예식물을 이용한 실내소형 컨테이너정원 조성 및 원예치료활동 등에 활용하기 위한 컨텐츠를 개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어린이 교육용 컨텐츠로는 주로 향이 나는 식물과 움직이는 미모사나 소리에 반응하는 무초나 식충식물 컨텐츠를 활용하여 흥미를 유발하거나 동화정원을 만들어 어린이 동화를 중심으로 인형을 만들어 배치하고, 동물형태 토피어리를 이용하며, 밀폐형 비바리움컨텐츠를 만들어 식충식물, 식물+물고기, 식물+곤충, 식물+애완용동물(거북이 등)으로 조성할 수 있을 것이다(Table 1). 또한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컨텐츠의 경우 노인의 건강상태를 최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원예컨텐츠를 계획하는 것이 필요하며 일반적으로 노인의 건강정도는 양호한 경우, 휠체어를 사용하는 경우, 관절이 부자유 하거나 치매를 앓고 있는 경우로 구분되며, 또한 신체적 장애 외에도 심리적 장애와 사회적인 장애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Table 2, 3).
        160.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ur Natural environment is being destroyed and green area is being reduced by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and those cause environmental problems. In result, increased play hour with TV, computer games, video games rather then spend a time in nature and plants in children’s. This problems cause children’s emotional impoverishment and passive-dependence inclination. And made children scruple thinking and judging by themselves and it makes children exposure to social problems. Therefore loss of humanity and crisis are rapidly increase educational standardization and this is the cause to decrease children’s pure sensitivity and feelings and decrease cultivate desirable humanity for advancement of physical, emotional, social, intellectual things. For solution, this paper propose Kid Garden for equally cultivate interests, concern, imagination, internal emotion and feelings and increase children’s curiosity about nature for get back into good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and nature. On this study, make a model reflects children’s suggestions includes plays what they want to do, materials, safety, color, preferences those are analyzed results through survey analysis bases on Preference-Analysis of Kid Garden, the most preferred Kid Garden is a unreal Garden showed in fairy tale "The Wizard of OZ". We propose a Kid Garden model, it based on preference-analysis to get each details of preference, for experience plays what they want to do, horticulture activities for feel five senses, harmonize with nature in limited interior space and help children to expand their dream and an ideal. Children are growing constantly. During growing process children raise their dream and hope and made healthy ego. Experience various culture and experience of nature will help to cultivate children’s, most of children who live in desolate buildings, humanity. Thus, this paper proposes a Kid Garden which is necessary to children, has various forms and contents for children’s demands. Furthermore, we need to make custom gardens consider of age, area, characteristic of space. And we need well organized and designed educational environment for help to understand about plant and increase horticulture activity time in children education curriculums.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