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공 크기가 2.6 μm인 SPG (Shirasu porous glass) 막이 설치된 실험실 규모의 막유화 장치를 사용하여 막유화 에멀젼-겔 공정의 변수 조절을 통해 구형상의 실리카 입자를 제조하였다. 막유화 에멀젼-겔 공정의 변수로는 분산상 압력, 연속상 내 안정제 및 유화제의 농도, H2O/TEOS 비율 및 연속상에 대한 분산상의 비율로 설정하고, 이들 변수가 제조된 실리카 입자의 크기와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막유화의 공정변수들 중에서 분산상 압력과 연속상에 대한 분산상의 비가 증가할수록 실리카 입자의 크기가 증가하였다. 반면 안정제 및 유화제의 농도, H2O/TEOS 비가 증가할수록 입자의 크기가 감소하였다. 막유화 에멀젼-겔 공정변수의 조절을 통해 최종적으로 평균 입자 크기가 3 μm인 비교적 입도분포가 균일한 구형상의 실리카 입자 제조가 가능하였다.
마이크로파를 열원으로 이용하는 화학반응은 어려운 반응을 활성화시킬 수 있고 반응시간과 속도를 가속화하여 고수득율 및 높은 분자량을 얻는 고분자를 합성하는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Diels-Alder 반응을 실시하고 열적으로 안정한 측사슬계 2차 비선형광학고분자를 합성하였다. 일반적인 수열반응을 통해 얻어진 고분자와 물리적, 열적, 광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마이크로파 가열을 활성화하기 위해 용매를 달리하고 이온성액제를 첨가하여 반응을 조절하였다. PAMID시리즈의 다양한 고분자를 합성하였으며 이중에서 PAMID-M2는 10분간 120W의 전력을 사용하여 얻어졌으며 이 때 사용한 용매는 이온성액제가 소량 첨가된 trichloroethane을 사용하였다. 얻어진PAMID-M2의 무게평균 분자량은 18,300이었으며 분포도는 1.3이었고 높은 유리전이온도 (123oC)를 나타냈다.
Mo nanopowder was synthesized by ball-milling and subsequent hydrogen-reduction of powder. To fabricate ultra fine grained molybdenum, two-step sintering and spark plasma sintering process were employed. The grain size of specimen by two-step sintering and spark plasma sintering was around and , respectively. Mechanical properties of ultra fine grained Mo with relative density of above 90%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t room and high temperatures comparing to commercial bulk Mo of 99% relative density. This result was mainly explained by the grain size refinement due to diffusion-controlled sintering.
Iron(Fe)-Molybdenum(Mo) alloyed nanoparticles and nanowires were produced by the chemical vapor condensation(CVC) process using the pyrolysis of iron pentacarbonyl() and Molybdenum hexacarbonyl(). The influence of CVC parameter on the formation of nanoparticle, nanowire and size control was studied. The size of Fe-Mo alloyed nanoparticles can be controlled by quantity of gas flow. Also, Fe-Mo alloyed nanowires were produced by control of the work chamber pressure. Moreover, we investigated close correlation of size and morphology of Fe-Mo nanoparticles and nanowires with atomic quantity of inflow precursor into the electric furnace as the quantitative analysis. Obtained nanoparticles and nanowires were investigated by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energy dispersive spectroscopy and X-ray diffraction.
Self-standing TiO2 nanotube arrays were fabricated by potentiostatic anodic oxidation method using pure Ti foil as a working electrode and ethylene glycol solution as electrolytes with small addition of NH4F and H2O. The influences of anodization temperature and time on the morphology and formation of TiO2 nanotube arrays were investigated. The fabricated TiO2 nanotube arrays were applied as a photoelectrode to dye-sensitized solar cells. Regardless of anodizing temperature and time, the average diameter and wall thickness of TiO2 nanotube show a similar value, whereas the thickness show a different trend with reaction temperature. The thickness of TiO2 nanotube arrays anodized at 20℃ and 30℃ was time-dependent, but on the other hand its at 10℃ are independent of anodization time. The conversion efficiency is low, which is due to a morphology breaking of the TiO2 nanotube arrays in manufacturing process of photoelectrode.
Mesoporous alumina particles were prepared by spray pyrolysis using 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 (CTAB) as a structure directing agent and the effect of Al precursor types on the texture properties was studied using N2 adsorption isotherms, small-angle X-ray scattering (SAXS),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The surface area and the microstructure of alumina particles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Al precursor type. The largest BET surface area was obtained when Al chloride was used, whereas alumina particles prepared from Al acetate had the largest pore volume. According to small-angle X-ray scattering (SAXS) analysis, the alumina powders prepared using nitrate and acetate precursors had a clear single SAXS peak around 2θ = 1.0~1.5°, indicating that regular mesopores with sponge-like structure were produced. On the basis of TEM, SAXS, and N2 isotherm results, the chloride precursor was most profitable to obtain the largest surface area (265 m2/g), whereas, the nitrate precursor is useful for the preparation of non-hollow mesoporous alumina with regular pore size, maintaining high surface area (~233 m2/g).
A new High Frequency Induction Heating (HFIH) process has been developed to fabricate dense reinforced with Fe-Ni magnetic metal dispersion particles. The process is based on the reduction of metal oxide particles immediately prior to sintering. The synthesized /Fe-Ni nanocomposite powders were formed directly from the selective reduction of metal oxide powders, such as NiO and . Dense /Fe-Ni nanocomposite was fabricated using the HFIH method with an extremely high heating rate of . Phase identification and microstructure of nanocomposite powders and sintered specimens were determined by X-ray diffraction and SEM and TEM, respectively. Vickers hardness experiment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Fe-Ni nanocomposite.
논문은 혼합정수계획법(MIP)을 통하여 다품종 제조 시스템을 위한 생산계획수립 방안에 대하 여 연구하였다. 특히 자동차 부품 제조 기업의 다양한 제조 품목에 대한 수요 변화에 따라 Rolling Horizon 방식으로 생산계획을 수립하도록 함으로써, 수요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면서 도 한정된 기업의 생산 능력을 최대한 활용하고 생산 비용을 최소화하는 최적 생산계획을 수립하 여 실제로 기업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례를 연구하였다.
본 논문은 다품종 제조 기업이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기법을 이용하여 각 제품별 효율성을 평가하고 이에 따라 기업의 제품 선택에 적용하기 위한 방법을 연구하였다. 특히 국내의 자동차 부품을 제조하는 중소기업이 DEA를 적용하여 각각의 생산 품목별로 효율성을 분석하도록 함으로써, 생산 제품을 선택하는 의사결정에 활용하여 한정된 제품 개발 역량과 기업의 경영 능력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특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사례를 연구하였다.
제품의 제제조에 관한 연구는 최근 녹색사업(green business)으로서 주목을 받고 있는 청정생산 중 재활용의 한 부분으로서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리스크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재제조 가능성을 진단하는 실용적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재제조 설계과정에서 리스크평가를 지원하기 위해 각 프로세스의 안전수준을 반영할 수 있는 위험성분석표와 리스크 분류매트릭스를 개발하였다. 평가를 위한 분석표는 고품(core)을 재제조할 가치가 있는지에 대한 의사결정을 하는데 필요한 기준자료가 된다.
For the last two decades, remanufacturing has drawn attention for its expected economic and environmental benefits and becomes a matter of strategic importance not only for manufacturers, but also for nations, as can be seen in such advanced countries as the US and some other European countries. In light of the experiences of those countries, it is highly recommended that Korean manufacturing companies as well as the governmen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remanufacturing of their products, with a view to making contribution to global society by reducing the carbon-foot-prints of their products. This paper shows that the implications of remanufacturing the laser multi-function peripherals(MFPs) can provide with a good start in discussing and implementing the concept of remanufacturing a variety of different industrial products.
Shock absorber base assembly is one of the parts in shock absorber equipment which control the vehicle movement and absorb the shock and vibration to realize the stability and the comfort for the riding. This part demand hardness, reliance and rigorous density of the welded section because it is a resist pressure container which needs durability by being filled with gas and oil. However, the present engineering needs much time, high cost and shows low production rate due to the eight processes which are spot welding, reinforcement welding(MAG), prior process of base cap and tube for the precision and pressing etc. In this study we will analyze the problem of the processes for the base assembly and suggest an engineering to improve the problem innovatively using frictional welding. As the result of experiment by frictional welding using frictional heat, its hardness for the joining section became high and its precision showed excellence. Therefore we can expect the curtailment for the welding processes, the reduction of cost and excellent joining function.
본 논문은 공급 사슬 환경에서 중간 부품을 제조하여 기업을 대상으로 판매하는 중소 제조 기업의 가격 결정 전략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특히 국내에서 자동차 부품을 제조하는 중소 기업들이 고객사에게 중간 부품을 생산하여 납품하면, 고객사가 다시 이 부품을 활용하여 그 다음 단계의 부품을 생산하여 완성차 제조업체에 납품하는 공급 사슬 환경을 고려하였다. 중소 제조 기업이 생산한 부품의 완성차 탑재 여부는 완성차를 생산하는 대기업과 협상하고, 납품 가격은 해당 부품을 구매하는 고객사와의 협상에 의해 결정된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환경에서 중소 제조 기업이 최적의 가격 결정을 위하여 취할 수 있는 전략 수립을 연구하였다.
압출성형의 이점을 활용하여 영양적으로 단백질과 식이섬유가 풍부하며 조직감과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에너지바를 제조하기 위해서 탈지 삼종실 압출성형물의 팽화율, 밀도, 파괴력, 겉보기탄성계수, 수분흡착지수와 수분용해지수, 페이스트 점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압출성형물의 항산화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DPPH에 의한 전자공여능을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탈지 삼종실 에너지바 제조 후 품질특성 조사를 위해 수분함량, 색도, 관능검사를 측정하였다. 압출성형 공정변수는 수분함량(20, 25%), 배럴온도(110, 130oC)이였으며 수분함량 20%, 배럴온도 130oC에서 팽화율이 가장 높았으며 밀도, 파괴력, 탄성계수가 낮았다. 수분함량이 증가할수록 수분흡착지수가 증가하였으며 수분용해지수는 배럴온도 130oC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압출성형 탈지 삼종실은 페이스트 점도 값이 낮게 나타났으며 DPPH에 의한 전자공여능 값은 수분함량 20%, 배럴온도 130oC에서 항산화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탈지 삼종실 에너지바 제조 30일 후에 수분함량은 0.60-1.13% 상승하였으며 백색도와 황색도는 감소, 적색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평가 결과 압출성형 변수가 수분함량 20%, 배럴온도 130oC이며 탈지 삼종실이 첨가된 에너지바가 가장 좋게 평가되었다.
결론적으로 압출성형을 이용하여 삼종실을 첨가한 에너지바를 제조할 수 있었으며 중간소재인 압출성형물의 공정 변수는 수분함량 20%, 배럴온도 130oC에서 가장 좋은 조건으로 판단되었다.
생강이 가지고 있는 항산화력을 최대화 시키기 위해 다양한 제조 공정에서 흑생강을 제조하였다. 증숙 온도 및 시간에 따른 DPP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였고, 이를 반응표면 분석법에 의해 최적화된 제조 공정을 선정하였다. DPPH radical 소거능을 최대화 할 수 있는 최적 점을 설정한 결과 93.2oC에서 6시간의 증숙 공정이 설정되었다. 제조한 흑생강을 음료로 개발하기 위해, 매실 농축액과 꿀을 혼합하여 기능성과 선호도가 높은 음료를 제조하였다. DPPH radical 소거능, 플라보노이드 함량, 관능평가의 canonical 계수를 이용하여 수적 최적화를 통하여 최적 배합비를 구한 결과, 흑생강 추출물 14.2%, 매실농축액 5%, 꿀 10.8%로 나타났고 desirability가 0.615로 설정되었다. 이때의 종속 변수값들은 DPPH radical 소거능 46.0 mg/L, 플라보노이드 함량 29.9 mg/L, 선호도 5.284로 예측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