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RPOSES : In this paper, pedestrian-oriented time assured traffic operation (POTATO), adopted in Korea at a single crossing pedestrianoriented operating area, is explored and applied to a simulation experiment and test site to verify the operation efficiency.
METHODS : Three candidate plans are presented as a method to operate pedestrian-oriented signal operations that can overcome the restrictions on signal controllers in Korea. The selected POTATO and TOD signal operation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delay and pedestrian queues, present length, and number of times were used as comparative indices.
RESULTS : Scenario-specific simulations confirmed that the delay, compared to TOD signal operation, was reduced by up to 5 s/ped depending on the vehicle traffic volume and the number of pedestrians. For the vehicle delay, the results increased up to 8.99 s/veh, depending on the traffic volume of the vehicles and pedestrians. As a result of the test site operation, POTATO operation improved by 5.12 s/ped (approximately 46.69% improvement) compared to TOD operation in the hours commuting to school and by 2.84 s/ped in the hours commuting from school (approximately 51.13% improvement). In case of vehicle delay, the delay increased by 2.35 s/veh (approximately 64.39%) in the hours commuting to school and 1.20 s/veh (approximately 21.11%) in the hours commuting from school compared to the TOD operation.
CONCLUSIONS : Through simulations and test site pilot operation verifications, the effects of pedestrian delay improvement were more positive if POTATO proposed in this study was low in vehicle traffic.
The topic of indoor air quality has attracted great interest since urban dwellers spend over 90% of their time indoors, such as public facilities, public transport and homes. In this study, the changes and current status of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and improvement policies for public facilities in Korea were discussed. Furthermore, we investigated the concentration and contamination status of indoor air pollutants based on the indoor air quality guidance and inspection report from 2007-2017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As a result, we found that while the PM10 concentration in public facilities decreased consistently, there was no clear change in the CO2 concentration. The HCHO concentrations were high in museums, art galleries, and postpartum centers, etc. The child care centers showed a high concentration of TCB. In conclusion, we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arget substances according to the type of facility to manage indoor air quality efficiently. Intensive management and monitoring are particularly needed in child care centers to improve the indoor air qualit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study is to identify the perceptions of both primary ELL(English Language Learner)s and English teachers on MMP(Multimodal Media Production)-embedded English instruction at a primary English class. In order to answer this question, 182 primary ELLs and 2 English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A questionnaire survey was administered to the focal participants and an open-ended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the teachers. The results show that overall perceptions on MMP were comparably high among ELLs,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s, grades and English levels in terms of learning interest. The teachers’ interview revealed that MMP would trigger deeper understanding of the lesson and ELLs’ voluntary active class participation by heightening motivation, self-confidence and interest in learning English. In sum, the implementation of MMP-embedded English instruction has positive pedagogical effects for young ELLs since it may promote essential literacy skills in the 21st century as well as help in affective domains.
오늘날 조직은 빠르게 변화하는 외부 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자 조직과 업무에 적극적인 태도를 가지고 직무열의가 높은 조직구성원을 필요로 한다. 조직구성원의 직무열의를 효과적으로 이끌어내기 위 해서는 조직구성원에게 구체적인 목표와 지속적 관심을 제공하는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 구현이 필요하 며, 외부적인 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직무열의로 이어지기 위한 조직구성원의 내적 동기부여 과정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기관 구성원을 대상으로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내적동기를 매개로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A공공기관 조직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배포하여 이중 회수된 287부를 통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변혁적 리더십은 내적 동기, 직무열의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적 동기는 직무열의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적 동기는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열의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하여 내적 동기는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열의의 관계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조직구성원의 직무열의 향상을 위하여 조직에서는 상급자에게 변혁적 리더십의 구현을 위한 교육 활동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조직구성원의 내적 동기를 고양할 수 있는 직무환경을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정보 기술 발전으로 인하여 제품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이 오프라인과 2D중심에서 온라인과 3D로 이동하면서 효율적인 정보 전달을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시도는 실물이 부재된 온라인 공간에서 단순히 제품의 정보를 전달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소비자에게 가상의 체험을 제공하면서 온라인 쇼핑의 다변화 및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360 제품 이미지는 피사체를 회전시켜 촬영하여 대상을 다양한 시점에서 입체적으로 볼 수 있는 실사 기반의 VR이다. 360 제품 이미지는 기존의 정지 이미지와 비교하여 대상물에 대해 풍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주목받고 있다. 360 제품 이미지는 다양한 제작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이에 따라 이용자의 반응에 차이가 있으나 기술의 역사가 짧은 만큼 관련 연구 또한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60 제품 이미지의 제품의 형태와 소스 이미지의 수에 따라 변하는 이용자의 반응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쇼핑몰에서 많이 접할 수 있는 상품군 중 대표적인 제품들을 선정하여 360 제품 이미지를 제작하고 75인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의미분별법을 적용한 실험 설문을 통해 360 제품 이미지에 대한 감성 반응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360 제품 이미지에 대한 수용자의 감성을 이해하고 파악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대법원 2016. 10. 27. 선고 2014도16271 판결(대상판결)은 관세포탈죄를 처벌하기 위한 포탈세액을 산정하는 방법으로 관세법 제31조에서 제35조까지 보충적 과세가격 결정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고 판시하였다. 반면 관세법에서는 관세법 제31조에 따른 ‘거래가격을 기초로 한 관세평가’가 과세가격 결정의 원칙임을 선언하고 있으며 이는 WTO 관세평가 협정을 따른 것이다. 대상판결의 위 판시는 실체적 진실의 발견을 목적으로 하고 죄형법정 주의의 원칙의 따라야 하는 형사소송에서 실제 거래가격에 따른 관세액 이 아닌 실제 거래가격에 가깝게 추정하는 것에 불과한 보충적 과세가격 결정방법으로 산정한 관세액으로 관세포탈죄의 구성요건인 포탈세액을 결정할 수 있는지 의문을 던진다. 본고는 먼저 조세포탈죄를 처벌하기 위해 포탈세액을 ‘추계(추정계산)’ 할 수 있다는 조세포탈죄에서의 논의를 대상판결에 적용하여, 예외적인 방법으로 포탈세액의 기준이 되는 과세가격을 추정할 수 있는지 검토하였다. 그리고 WTO 관세평가 협정의 원칙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를 살펴보고, 이러한 원칙과 대상판결의 관계를 ‘실체적 진실 발견’의 관점에서 분석했다. 그리고 앞선 논의를 바탕으로 대상판결이 형법의 명확성의 원칙과 형사소송법의 증명책임의 원칙을 위반하지 않는지 검토하였다. 대상판결은 죄형법정주의 원칙과 WTO 관세평가 협정의 원칙에 부합하며, 관세포탈범에 대한 처벌의 필요성, 관세포탈범에 대한 형사소송에 서의 실체적 진실발견, 그리고 형사법의 원칙들이 적절히 균형을 이루어져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다만, 보충적 과세가격 결정방법을 적용함에 있어 명확성의 원칙이 한 걸음 양보해야 한다는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따라서 본고는 검사가 보충적 과세가격을 결정하는데 기초가 되는 사실이 정확하다는 점과 해당 방법이 실제 포탈세액을 최대한 근사하게 추정할 수 있는 객관적 방법이라는 점을 합리적으로 보여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본고는 검사의 이러한 입증책임이 전제되어야 대상판결이 보충적 과세가격 결정방법을 통해 포탈세액을 특정할 수 있다고 판시한 것이 명확성의 원칙에 어긋나지 않음을 강조하였다.
Purpose: This is a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study that aim to examine the effect of smart problem-based learning (PBL) teaching method using flipped learning to meta-cogni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level of nursing students. Method: The subjects were 76 students who took basic nursing practice, which is a major subject, from August 29 to December 13, 2018. A questionnaire was used to measure meta-cognition in web-based self-directed learning. The self-efficacy measurement used a scale consisting of self-regulating efficacy, task difficulty preference, and confidence. The measurement of practical satisfaction is a 5-point Likert scale that employs a questionnaire. Flipped learning uploaded a 10-minute lecture video, and the subjects learned through PC or smartphone. PBL teaching was developed in two modules: gavage and indwelling urinary tract. Results: Result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of meta-cognition after education than before education (t=3.21, p=.043). Academic self-efficacy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before and after education. Practice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raining than before training (t=-2.19, p=.032). Conclusion: The smart PBL teaching method using flipped learning is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for nursing majors. Nursing students with high meta-cognition will be able to perform well in their learning outcomes; therefore, this positive performance experience will enhance self-efficacy.
본 연구의 목적은 이탈리아 매너리즘 회화에 적용된 패러디가 형식적 유희를 넘어 당시 시대상을 반영하거나 비판하는 능동적 조형수단임을 밝히는 데 있다. 먼저 이 글은 16세기에 가장 인용도가 높은 작품인 미켈란젤로의 <최후의 심판>에 나타난 패러디 양상을 검토한다. 그는 원작의 문맥과 내용을 고려하여 작중인물에 고대 조각의 파토스를 잔존시킨 것 외에도 다양한 관점의 서사를 창출해 냈다. 또한 이 글은 미켈란젤로의 추종자 중 하나로 꼽히는 피렌체 출신 화가 아뇰로 브론치노의 작품에 담긴 패러디적 요소에 주목하면서, 그가 어떤 맥락에서 어떤 방식으로 원작과의 생산적-전복적 관계를 형성해 나갔는지 분석해본다. 대가의 작품을 무의미하게 모방하곤 했던 16세기 후반기 다수의 매너리즘 화가들과 달리, 브론치노는 세련된 기교의 역설을 통해 원작이 내포하고 있는 메시지를 시대적 요구에 맞게 재구성함으로써 기존 이데올로기에 저항하는 예술적 전환점을 성취하였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필립 케이 딕의 과학소설『안드로이드들은 전기 양을 꿈꾸는가?』와『유빅』에서 나타난 SF적 상상력과 종교적 비전을 고찰하는데 있다. 딕은『안드로이드』와『유빅』에서 우리의 세계가 고도의 과학기술과 자본주의로 인해 인간의 탐욕과 불안으로 가득 찬 엔트로피적 세계임을 비판하면서 이것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머서주의’와 ‘유빅’이라는 종교적 비전을 제시한다. 딕은 작품에서 ‘머서주의’를 통해 인간 본성의 선과 악을 인정하고 인간 존재의 불완전함을 받아들이고 극복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감정이입을 기반으로 하는 머서주의는 선과 악의 극단적인 대립을 강조하는 전통적 종교의 경직된 사고를 해체하고 자신과 타자의 경험 공유를 통해 자기 구원을 선언할 수 있음 을 재현한다. 또한 로고스로 확인되는 유빅을 통해 구원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딕은 신성은 거룩한 교회나 성소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닌 주변과 일상의 삶에서 발견될 수 있음을 이야기하며 종교의 의미가 단순히 믿음의 문제 뿐만 아니라 인간 존재와 공동체적 가치를 실현하는 궁극적인 신념임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심박 측정용 기기 및 의류에 있어 배터리 충전 및 기기의 부피감으로 인한 불편함을 개선하고,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하여 목적에 따른 심박 측정을 가능케 하는 심박 측정용 스마트 의류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심박 측정 기기는 2가지 타입으로 모듈화되어 개발되었으며, 탈부착을 통해 목적형 및 지속적 심박 측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목적형 심박측정 기기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심박 센서를 내장하고 필요시에 스마트 폰 태깅을 통해 심박 측정이 가능하게 하는 의류에 부착된 타입으로 개발되었으며, 지속형 심박 측정 기기는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및 배터리를 내장하여 목적형 기기와 결합을 통해 통신 및 전원을 지원, 지속적으로 심박 측정이 가능한 시스템으로 구성되었다. 심박 측정을 위한 섬유 전극은 은사 기반의 편물 전극으로, 심박 측정에 용이하도록 대흉근 아래에 위치하도록 디자인되었으며, 목적형 심박측정 기기가 전극과 연결되도록 구성되었다. 연동 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경험요소, 주요기능 및 사용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개발되었으며, 사용성 향상을 위하여 스마트 폰 태깅을 통해 자동 동기화가 되도록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심박측정 스마트 의류 시스템의 심박측정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10명의 20대 남성 피험자를 대상으로 2단계의 실험을 설계하고 진행하였으며, POLAR RS800을 통해 측정되는 신호를 기준 심박으로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목적형 스마트 의류 시스템의 평균 심박수는 85.37, 기준 기기 심박수는 87.03으로 96.73%의 정확도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T 값 –1.892 (p=.091)로 두 신호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속형 스마트 의류 시스템의 평균 심박수는 86.00, 기준 기기 심박수 는 86.97로 97.16%의 정확도를 보였으며, T 값 –1.089(p=0.304)로 두 시스템 간의 측정 차이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심박측정이 가능한 모듈형 스마트 의류 시스템을 개발하고 검증한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모듈화 된 심박측정 의류 시스템 개발로 불필요한 기능으로 인한 가격 상승을 줄임으로써 이원화된 상품 기획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한국사회에서 노인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기대수명이 증가함에 따라, 노인의 행복에 대한 관심이 매우 증대하고 있고 노년기의 행복에 대한 연구가 많아지고 있다. 그런데 이같은 노년기의 행복에 관한 연구에서 젠더의 차이가 쉽게 간과되는 경향이 있다. 한국사회의 경우 생애사적으로 남녀 간의 경험차가 상당하다는 점에서 젠더 차이에 기반한 노년기 행복 연구에 필요해 보인다. 이런 문제의식 하에 본 연구는 젠더 차이가 사회적 지지와 노년기의 행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여성노인과 남성노인 간 사회적 지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인 물질적 지지와 긍정적 상호 작용이 젠더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행복에 관한 분석에서도 젠더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년기 행복에서 사회적 지지는 두 집단 모두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의 확대와 노년기의 행복 증진을 위하여 어떤 노력이 수반되어야 하는지 제언하고, 동시에 그것이 갖는 함의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전자상거래기업의 해외진출이 활발한 원인을 진출방식을 통해 확인하는 것이다. 중국의 전자상거래기업은 중국 국내시장의 폭발적 성장에 힘 입어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글로벌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전자상거래의 핵심은 신속한 배송이다. 그러나 전통 국제물류는 배송시간이 길고 물류 원가가 비싸며 반품 등 서비스가 낙후되어 전자상거래에 적합하지 못하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새로운 물류시스템이 등장하였는데 대표적인 것이 해외창고방식이다. 해외창고방식은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이용하여 현지 소비자의 수요를 미리 예측하여 제품을 현지에 설립된 창고에 배송함으로써 판매기회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비수기에 제품을 미리 해외창고로 배송함으로써 배송 성수기를 피하고 저렴한 비용에 해외창고로 보낼 수 있다. 특히 반품이나 교환, 제품 추적에도 4차 산업혁명 기술이 융합되어 전통 국제물류가 가진 단점을 보완하였다. 비록 판매예측이 빗나갔을 경우 리스크가 발생하지만 해외창고방식은 이러한 장점을 바탕으로 중국 전자상 거래기업이 글로벌시장에 영향력을 확대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중국 전자상 거래기업은 해외창고방식을 바탕으로 중국 국내시장이 아닌 세계의 시장으로 그 영 역을 확대하고 있는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is examined the effects of simulation practice education with problem-based learning methods on nursing students' learning attitudes, learning satisfacti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solving ability. Method: A quasi-experiment singl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adopted. Simulation education was conducted by utilizing problem-based learning methods to teach the following topics to nursing students enrolled in 4th grade in S city: respiratory, circulatory, and nervous system.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12 weeks,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19. Paired t-test and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Results: Learning attitude and problem-solving abil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xperiment. Among the sub-areas of problem-solving abil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ollowing: problem recognition (p<.001), information gathering (p<.001), confident thinking disposition (p<.001), acceptance to carry out an adventure (p<.001), evaluation (p=.027), and feedback (p<.001). In addition, learning attitud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learning satisfacti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solving ability.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variety of iterative studies and simulation scenarios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simulation training.
페르시아 전쟁(기원전 490-479년)을 시작으로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죽음(기원전 323년) 에 이르기까지 크고 작은 전투와 전쟁이 끊임없이 벌어졌던 그리스의 전장에 세워진 트로파이온에는 고전기 그리스인들의 전쟁과 승리에 대한 관념이 담겨있다. 그리스의 초기 트로파이온은 전장에 전쟁의 승패가 결정된 직후에 세워진다는 특징을 갖는다. 그리고 그것을 세움으로써 승자는 신들에 대한 감사를 표현하고 미래의 전투에 대한 승리를 담보하고자 하였다. 동시에 이것은 전우들과 승리의 기억을 공유하고, 적군에게는 패배를 시각적으로 각인시킴으로써 그들의 잠재적인 도발의 의지를 상실하게 만드는 마지막 전략이기도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기원전 5세기의 도기들과 아테나 니케 신전의 난간을 장식한 부조는 그러한 전술의 기록이다.
베트남의 사회적 기업에 대한 연구는 미국, 유럽에서 주를 이루고 있으며 아시아에서는 아직 미흡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 사회적 기업에 대한 기초연구로써 베트남의 사회변화에 따른 사회적 기업의 조직화 경향을 살펴보고 유형화하는데 초점을 맞추어 향후 후속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는 베트남 사회적 기업의 발전을 이끈 역사적 배경과 현재의 맥락에 대해 살펴보고 그에 따른 사회적 기업의 조직화 경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베트남 전역에서 발견할 수 있는 4가지의 광범위한 사회적 기업 모델을 분류하였으며, 구체적으로 협동조합, 사회적 기업가가 설립하고 주도하는 사회적 기업, 전문 중개자가 배양한 사회적 기업, 지역 NGO에서 시작한 변형된 사회적 기업 등으로 구분하였다. 연구결과 조직구성 측면에서 베트남의 사회적 기업은 설립자가 강력하고 중앙 집중적인 의사결정 권한을 가진 장기 이사로 활동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사회적 기 업은 사업 활동 및 개발자금을 포함한 다양한 재정자원을 동원하여 운영비용을 충당하고 있으며, 설립목적을 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기 설립된 일부 사회적 기업을 제외한 기업은 사업을 확장하고 충분한 수입을 확보하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정노동(emotional labor)의 강도가 높은 직업 중 하나인 항공사 승무원들은 관리직 및 사무직 등의 종업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감정부조화에 노출될 가능성이 더 크다. 실제 경험하게 되는 내면 감정과 표현 감정이 다른 경우, 직무수행과 조직생활에 어려움을 겪게 될 가능성 높아지게 된다. 고용노동부는 감정을 관리해야 하는 업무활동이 전체 업무의 50%를 넘는 경우, 감정노동에 해당한다고 판단하여, 2018 년 10월 18일 ‘감정노동자 보호법’이 발효되었다. 이 법은 고객 응대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상황에서 감정노동자를 제도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본 연구는 고객대면 업무환경에서 여러 갈등관계에 노출될 수 있는 국내항공사 여성승무원 35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항공사 여성승무원들이 경험하는 감정부조화가 그들의 내재적 동기와 직무스 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검증해보고자 하였다. 둘째, 개인의 심리적 자본인 회복탄력성이 감정부조화와 내재적 동기 및 직무스트레스에 어떠한 조절효과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감정부조화와 내재적 동기 및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LMX의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해보았다. 실증 분석 후,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감정부조화는 내재적 동기에 부적인 영향을 나타내었다. 둘째, 감정부조화는 직무스트레스에는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조절변수인 LMX를 높게 지각할수록, 감정부조화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정적인 영향을 약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본 연구의 결과는 항공사 여성승무원 뿐만 아니라, 다양한 산업 환경에서 감정노동을 관리해야 하는 인사관리자 및 실무자들에게 작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s China enters the 21st century, China is strengthening its position as a world power in an international position. However, there are still problems with Three Agricultural(Agricultural, Rural, Farmer) and unbalanced urban and rural villages. China, as one of the largest and most populous nations, values the development of three farms. Strategies such as “The Construction Of New Socialist Countryside” were a policy to solve rural problems, But they were not enough to achieve breakthrough results. In order to achieve more effective results,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STATE COUNCIL proposed The Document No.1 of “Opinion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Rural Revitalization Strategy” in February 4, 2018 and published “The Rural Revitalization Strategy (2018-2022 )”. The Yanbian region, which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home of Korean-Chinese tribes and the Korean autonomous region. As a minority of Chinese ethnic minorities, the Korean-Chinese has their own unique culture, and Yanbian has distinct regional characteristics. As The Rural Revitalization Strategy was raised, Villages is showing positive change in accordance with policy implementation in Yanbian.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policy implementation of The Rural Revitalization Strategy in Yanbian area and analyzed the policy contents and performances based on the of Yanbian Daily New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 would like to help in suggesting a more rational development direction and building the villages.
사회복지관은 2004년 6대사업에서 5대 사업으로, 2013년 5대사업에서 3대 기능사업으로 변경하면서 기능정립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는 시점에서 지역기반의 공공복지전달 체계 개편까지 진행되면서 기능정립에 강한 도전을 받고 있다. 특히 사회복지서비스의 접근성이 취약한 농촌 및 기반시설이 열악한 지역의 경우는 건물보다 찾아가는 현장 중심의 서비스 제공인 스마트워크 방식의 도입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 해소를 위한 연구대상 및 방법으로 실질적 스마트워크 방식 복지관을 운영하고 있는 파주문산종합사회복지관 ‘스마트복지센터’, 제주스마트복지관, 영종공감복지센터 등을 통한 실태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로 ‘현지완결형 업무수행’, ‘주민조 직화 중심’, ‘지역거점 중심’으로 복지관의 기능이 정립되었을 때 3대 기능이 통합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결국 사회복지관의 기능이 주민과 지역중심이 더 강화되어야 하며 일의 방식이 현지완결형의 스마트워크 방식으로 변화 되어야함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관객 참여를 전시 생산 과정의 전면에 내세운 2012 부산비엔날레 《배움의 정원》 을 질적 연구의 방법인 에스노그라피를 활용하여 분석한다. 전시 생산 과정에 대한 참여 관찰과 심층 면담을 바탕에 두고 본 연구는 이 전시의 관객 참여 집단인 배움위원회가 전시 감독과 함께 전시의 방향성과 디스플레이의 방식에 대해 고민하고, 작가의 작품 제작 과정에 개입하며, 전시 개막 수개월 전부터 겪었던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직접 계획하고 실행하는 모습을 되짚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배움위원회가 전시 생산 과정의 ‘공동 창조자’로서의 역할을 수 행했음을 확인하며, 《배움의 정원》에서 구현된 관객 참여는 피상적인 구호나 개념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전시라는 매개체를 통해 서로 다른 사람들이 관계를 형성하고 ‘지금’의 이야기를 ‘여기’에서 만들고 공유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큐레토리얼 실천이었음을 논한다.
이 글은 탈북자 입국과 동시에 초기 정착과정을 중심으로 시기별 탈북자 성향 분석을 고찰하였는데, 이에는 샐리 호그셰드의 7가지 매혹 장점 모델을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서 역대 북한 정권 시기별로 북한을 탈출한 탈북자가 어떻게 입국을 하였는지의 여부와 정착지인 한국의 입 국과 더불어 초기 정착시 어떠한 성향을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첫째는 북한체제의 시기별 탈북자들의 입국 성향을 분석하였다. 주로 탈북 입국자의 전체 숫자, 탈북자의 연령대별 입국, 재북 지역별 입국, 재 북 학력별 입국, 재북 직업별 입국 등을 살펴보았다. 둘째는 시기별 탈북 자들의 국내 초기 정착과정의 성향을 분석하였다. 주로 하나원 사회적응 교육, 정부의 정착지원제도, 국내 거주지별 분포, 사회적응도, 경제활동 등을 살펴보았다. 따라서 이 글은 시기별 탈북자 성향 분석을 통해 탈 북자들에게 매혹 장점 모델을 활용함은 물론 향후 정부의 통일정책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는 정책적 제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