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3

        42.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음향 모델링은 해저지층을 통한 음파 전달과정을 모형하기 위해 발달해 왔다. 이러한 작업은 음파 전달을 제어하는 지층의 지음향 특성값을 측정 추론 예측한 값을 필요로 한다. 동해안 옥계와 북평지역 연안에서, 해저지층은 제4기층과 함께 제3기 퇴적층, 음향학적 기반암 등으로 구성된다. 옥계 연안지역 해저지층의 기반암은 주로 고생대 평안층군의 암석으로 해석되며, 이 암석의 평균 P파와 S파 속도값은 각각 4276 m/s와 2400 m/s이다. 북평 연안지역 해저지층의 기반암은 주로 고생대 초기 조선누층군의 석회암으로 해석되며, 이 암석의 평균 P파와 S파 속도값은 각각 5542 m/s와 2742 m/s이다.
        4,000원
        45.
        2006.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determine the relative efficiency and mesh selectivity of gill net for the Pacific saury, Cololabis saira, a series of fishing experiments was carried out in the Northwest Pacific Ocean from August 13 to October 13 in 2002, using gill nets of different mesh size(30, 33, 35, 37, 39 and 42mm) constructed from two kinds of twine material(monofilament, twisted multifilament nylon web). The relative efficiency of two material gears was expressed as the ratio obtained by dividing monofilament catch by multifilament catch in number. The master selection curve of each material gear was estimated by applying the extended Kitahara's method. The catch of experimental gears is mostly Pacific saury(98.6%), Cololabis saira. The kinds of bycatch are common squid(0.7%), Pacific mackerel(0.6%), etc. Catch comparisons in the two gears showed that monofilament nylon nets are 1.7 times more efficient. The optimum values in monofilament and multifilament gill net for Pacific saury are 8.28 and 8.23, respectively.
        4,000원
        48.
        200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勘皮靴單證二郞神〉작품은 《三言》의 공안소설작품 중에서 상당히 성공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三言》중에서 실제로 완전한 공안소설 구조를 갖춘 작품은 10편 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 그러나 비록 명확하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의 공안소설의 형식적 특징이나 서술방식을 가진 작품은 이보다 훨씬 많다고 할 수 있다.〈勘皮靴單證二郞神〉은 줄거리구조ㆍ서사기교ㆍ인물묘사ㆍ주제 등이 분명하여 공안소설작품 중에서 좀처럼 보기 드문 수작이다. 지금까지 공안소설을 연구한 논문은 다른 연구주제보다 적을 뿐 아니라 이미 연구가 되어 있은 작품들은 대부분이 그 연구범위를 크게 설정하여 세심한 고찰이 힘들거나, 아니면 반대로 공안소설의 일부 형식적인 특징에만 너무 치중하여 작품의 서사구조위주로 분석해왔다. 공안소설의 작품을 단독으로 연구한 논문도 그리 많지 않을뿐더러 주요형식을 제외한 다른 접근 방식으로 연구한 사례는 그리 많지 않다. 공안소설이 「作案」(성립)、 「學告」(보고)、 「審案」(심사)、 「貞破」(해결)、 「判案」(판결)등의 형식이 다른 애정이나 지괴의 소설작품보다 분명하게 드러나는 것은 사실이나, 만약 이러한 형식적인 특징과 구조에만 치우쳐 분석하다보면 작품 속의 여러 가지 내용과 현상ㆍ주제와 인물, 그리고 문화적인 배경과 사회에 대해서는 쉽게 지나치게 된다. 그래서 본 논문은 馮夢龍이 편찬한《三言》중에서 공안소설로서는 상당히 성공적인 작품이라고 할 수 있는 〈勘皮靴單證二郞神〉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공안소설의 특징 및 형식을 기초로 하여 문화적인 특징과 역사를 종적인 축으로 삼고, 내용ㆍ인물ㆍ구조ㆍ서사를 횡적인 축으로 삼아 다양한 접근방식으로 이 작품을 연구하려 한다.
        6,700원
        52.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 improved method for oocyte pick-up(OPU) with finger-sensibility using ultrasound-guidance from ovarian follicles in Holstein heifers. Oocytes were aspirated from ovarian follicles of clear-outline (>2mm), obscure-outline and invisible( 2mm) on ultrasound images with 3 different vacuum pressure(40, 80, 120mmHg). Total number of oocytes recovered/follicles were 309/237(130.4%). 113/80(141.3%) and 107/74(144.6%) with 40, 80 and 120 mmHg of vacuum pressure, respectively. Mean number of oocytes recovered was higher in 2 OPU/week (18.35.3) than 1 OPU/week(14.54.1), but this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1y significant. The recovery rates were not affected by the number of OPU as 135.6%(282 oocytes/208 follicles) in 1~20 OPU, 137.7% (168/122) in 21~40 OPU and 148.4%(92/62) in 41~60 OPU, respectively. The proportions of good oocytes (Grades I) recovere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 number of OPU until 40 OPU(12.4% in 1~20 OPU vs 16.7% in 21~40 OPU). However, a significantly(P<0.05) lower recovery rate resulted from more than 40 OPU compared to less than 40 OPU(7.6%). These results imply that more fertilizable oocytes can be produced from invisible-immature follicles by transvaginal aspiration with finger-sensibility from Holstein heifers.
        4,000원
        53.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리산국립공원 동부지구의 주요 등산로를 대상으로 운동부하 보행속도 휴식시간 비율을 조사한 결과 순수 보행시간 중 운동부하는 거림-세석평전구간이 92,4% 이며 장터목-천왕봉구간이 91.3%로 조사되었다 또한 중산리-장터목구간이 86.9% 세석평전-장터목구간이 85.3%로 조사되었다 보행속도는 장터목-천왕봉 구간이 3.97km/hr 세석평전-장터목구간이 3.06km/hr 로 조사되었으며 거림-세석평전구간은 2.23km/hr 중산리-장터목구간은 2.02km/hr,조사되었다 전체등산시간중 휴식시간의 비율은 거림-세석평전구간이 26.0%이며 중산리-장터목구간이 22.6%로 조사되었다 세석평전-장터목구간은 3.0% 장터목-천왕봉구간은 0%로 조사되었다.
        4,000원
        54.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조사는 1999년 5월부터 10월까지 지리산 동부지역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한 결과 84과 245속 367종 1아종 57변종 6품종 431종류로 조사되었다. 현재 세석평전일원과 제석봉일대의 생태계 복원사업이 끝날때까지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현재 등산로 주위에 금강애기나리 땃두릅나무 금마타리 등의 다수의 희귀식물이 많이 산재하고 있으므로 여기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보전이 필요하다.
        4,600원
        55.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뉴헤브리디스 해분은 태평양판과 인도-오스트레일리아판의 경계부에 위치한 고령의 비활동적 비배호상 해분이다. 46 Ma에서 60 Ma 사이에 형성된 뉴헤브리디스 해분은 형성과정상 34 mm/a(42 Ma∼47 Ma)와 17 mm/a(47 Ma∼60 Ma)의 두가지 상이한 확장율을 보이며, 해분의 표층은 0.65 sec두께의 퇴적층으로 전반적으로 고르게 피복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산출된 해분의 생장 발달 곡선은 Depth(m)=2689+312√Age(Ma)라는 수식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 냉각계수 312는 일반대양저의 350과 매우 유사함을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은 해분의 암권의 생장 발달과정이 일반대양저와 유사할 가능성을 강력히 시사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해분의 전반적인 후리-에어 중력 이상치는 -22.3 mgal에서 +59.0 mgal까지 심한 변화폭을 보이고 있다. 평균 중력이상치는 +30.2 mgal로 일반대양저에 비해 현저히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잘 나타나지 않는 매우 특이한 현상이다. 이것은 해분 자체가 섭입하는 판경계에 위치해 있어 marginal swell의 형상을 취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이 swell들은 일반적으로 해구축상에서 대양저를 향해 약 200 km 범위내에서 관찰되어지며, 이들의 후리-에어 중력이상치는 평균 +50∼160mgal을 보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해분의 높은 양의 중력이상은 이러한 지형적인 특수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해분의 위치적 특성 및 암권 자체의 구부러짐에 따른 불안정성은 뉴 헤브리디스 해분의 대표적인 지질 지구물리학적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4,000원
        56.
        198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도시락 공장을 조사 분석하여 대량생산에 적합토록 그 문제점을 보완 개선했다. 특히 식품위생법과 건축법상의 공장허가 사항을 고려해서 3가지 면적별로 모델 도시락 공장을 설계하였다. 작업장은 하나의 개방공간에 배치된 기기류를 오염지역, 준청결지역, 청결지역으로 나누어 작업중의 2차오염 문제를 배제시켰고, 기기류는 밥급속냉각기, 냉장고 겸 냉각기를 설치하여 위생안전성을 부여했으며, 청결실에 멸균(집진)기를 설치하여 완제품의 초기 미생물 농도를 줄이고 2차오염 요인을 제거함으로써 위생적인 도시락 생산유통이 가능한 도시락 생산공장을 설계하였다.
        4,000원
        59.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reate new popcorn variety. ‘G-Popcorn’ was made by single crossing with two inbred lines, the seed parent, GP3, and the pollen parent, GP4. The hybrid was made in 2009 and selected in 2014 after 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for three years from 2012 to 2014. ‘G-Popcorn’ was evaluated on 2 or 3 places in Gangwon-do for three years. ‘G-Popcorn’ showed higher lodging tolerance and popping volume in contrast to the check variety ‘Oryunpopcorn’. The plant height is 213cm indicating 5cm lower than that of ‘Oryunpopcorn’. Also, ration ear height of plant height of ‘G-Popcorn’ is 59%. The weight of 100 seeds was 15.5g, similar to that of ‘Oryunpopcorn’. The popping volume of ‘G-Popcorn’ was about 28.3㎤/g, higher than 25.0㎤/g of ‘Oryunpopcorn’. The yield of ‘G-Popcorn’ was 467kg/10a in regional yield trials for three years, which was 7% higher than that of ‘Oryunpopcorn’.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