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실친화적 교사양성’에 관한 여러 연구자들의 견해를 종합·정리하면 ‘교실친화적 교사양성’이란 “건전한 인격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학습심리와 행동발달 상황을 올바로 이해하고, 교사양성기관에서 습득한 이론적 지식을 학교의 현장에 연계하여 효과적·효율적으로 적용·실천하며, 다차원적인 교육의 현상을 끊임없이 연구하면서 전문성을 개발하는 교사를 양성하는 것”으로 해석 된다. 교사들이 일반적으로 갖추어야 할 교과내용학적·교과교육학적 지식은 해당 전공학과 및 교육학에서 습득된다. 그러나 교사양성기관은 교사지망생들이 장래에 학교 교육에서 지도하여야 할 청소년들의 전인적·인성적 문제의 해결 방안에 관해서는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고 있다. 청소년기는 자아정체감을 형성하느냐 못하느냐가 결정되는 중요한 시기이다. 교사가 청소년들의 이러한 문제들까지 고민하고 올바로 해결해 줄 수 있는 능력을 겸비할 때 비로소 교실친화적 교사라 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전인적·인성적 문제에서 예술교육은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그러므로 본고는 일반적인 이론적·교수법적 지식의 차원을 넘어 중등학교 청소년들의 전인적·인성적 문제를 다루는 교실친화적 음악교사양성 프로그램 개발에 대하여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우선 학교 교육에 있어서 예술교육의 효과를 선행 연구문헌들을 통하여 살펴 본 후, 교실친화적 교사양성에 있어서 예술교육의 필요성, 교실친화적 음악교사양성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방향, 마지막으로 교실친화적 음악교사양성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 방안을 모색하였다.
교실친화적 음악교사양성을 위한 음악교육 프로그램이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교실친화적 음악교사양성을 위한 교육환경 개선, 교육과정 개편, 교사선발과 지원체제 구축, 교사․강사에 대한 연수프로그램 마련, 프로그램 지원과 개발, 교사양성기관과 일선 중등학교와의 협력체제 구축 등이 신중히 논의되어야 한다.
이 글에서는 국어수업의 요구 사항을 갖추고 국어수업에서 당면하는 문제를 전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국어교사를 ‘교실 친화적 국어교사’로 정의하고, 이를 양성하는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방안을 논의하였다. 최근 국어교사의 수업 전문성에 대한 요구가 늘면서, 교실에서 전개되는 국어수업의 문제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적절하게 반응하며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전문적인 국어교사의 필요성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따라, 이러한 전문성이 있는 국어교사를 교실 친화적인 국어교사로 보고, 그 양성 과정을 탐색하였다. 교실 친화적 국어교사의 양성 과정은 전문 교양 과정, 전문 능력 개발 과정, 전문 능력 심화 과정의 단계로 구분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하여 각 과정의 특성에 부합하는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방안을 논의하였다. 교실 친화적 국어교사의 양성은 일반적인 인력 양성이 아니라, 미래 생활의 주체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국어수업을 전개하는 특수 영역의 전문가를 기르는 과정이므로 세 단계 모두 전문성이 부각되도록 하였다. 또한, 교실 친화적 국어교사는 자신의 언어 능력을 기르는 일과 교육적 시범을 보이는 일을 병행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전문 능력 개발 과정을 포함하여 양성 체제를 구성하였다. 국어수업의 실천적 국면으로 강조함으로써 양성 프로그램은 워크숍을 중심으로 한 활동 중심, 실천 중심의 운영이 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현대사회의 급격한 가치관 및 사회구조의 변화로 인해 가정이 와해되면서, 아동의 심리적 부적응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소득 결손가정 아동의 건전한 심신발달을 위하여 원예활동 및 글쓰기 병행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K-HTPF 그림에서는 활동 후 사회성, 안정감 및 역동성 등이 증진되었다. 또한 원예활동 및 글쓰기를 통하여 아동은 자연친화적 태도를 보여 주었다. 그중 자연물에 대한 관찰 및 관심증대, 자연과 식물에 대한 지식증가, 식물을 가꾸고 돌봄에 대한 의식증가 등이 뚜렷하였다. ADS검사결과 아동의 주의집중력이 향상되었으며, 원예활동에 대해 새로운 경험으로 인식, 만족감을 표출하였다.
빠르게 변화하는 세계 속에서 우리의 미래 인재들인 유아들이 미래의 다원화, 정보화 세계 속에서 잘 적응할 뿐 아니라 유능한 사회인으로서 변화를 주도할 수 있는 리더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교육프로그램의 변화가 필요하다. 오늘날 세계는 21세기 인재를 길러내기 위한 많은 노력을 하고 있으며 세계가 공통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것은 학습자의 다양성과 상호성을 존중하는 개인차를 고려한 교육, 자유로운 표현을 허용하는 활동을 통해 학습자의 잠재된 능력을 발현하는 것이다. 또한 갈수록 인간관계가 중요해지면서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한 협력학습과 더불어 부모나 지역사회 참여를 통한 네트워크 형성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21C는 생태학적 관점에서 유아를 둘러싼 자연환경과 네트워크 환경이 동시에 강조되어야 하는 공존의 시대라고 할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교육프로그램은 어느 하나의 프로그램을 그대로 적용하기 보다는 다양한 유아교육 환경과 맥락을 고려하여 다원화된 형태로 적용되어야 한다. 또한 교육프로그램은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과 적절히 통합되어 운영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다양성, 맥락성, 통합성 관점에서 컴퓨터를 비롯한 ICT 기기를 활용한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관점으로 전개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시디롬 타이틀과 인터넷 자료와 같은 멀티미디어 자료, 컴퓨터를 비롯한 정보 기기 등을 포괄하는 유아교육 프로그램을 지칭하는 의미로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유아교육 프로그램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인간은 인간이 만들어 놓은 조직으로부터 인간다운 사고와 행동, 관습 등을 모방하고 학습하는 사회화 과정을 거쳐 성장한다. 인간의 사회화는 지식, 태도, 기술, 도덕, 법률, 습관 등의 생활과 행위양식을 총체적으로 포함하는 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러한 문화는 결국 삶을 해석하고 유형화하는 것으로 삶을 담아내는 하나의 그릇이라고 할 수 있다. 오늘날 문화는 그 어느 때보다도 ‘교육’과 ‘삶의 질’이라는 측면에서 중요하게 언급되고 있으며 ‘삶의 질 개념을 자기조절, 인간관계 및 문화와 연결시켜’(임미향·박영신·김의철, 2004; 한성덕, 1998) 논의되고 있다. 따라서 문화를 한 사회에서 유용한 가치를 지닌 생활양식이라고 할 때, 조상의 삶의 지혜와 생활방식을 담고 있는 문화는 오늘날의 삶을 가능하게 하고 형성해 온 기반으로서 계승, 발전되어야 할 필요성을 지닌다(한국유아교육학회, 2005).
과거 전통가정에서의 조부모는 손자녀에게 위엄을 가진 존재로서 존경을 받으며 절대적인 사랑과 관심을 필요로 하는 유아기 손자녀와 깊은 유대관계를 가지고 대리모로서 양육역할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기본생활습관훈련을 비롯하여 놀이교사, 친구, 애정의 대상 등 교육적 역할도 담당하였다. 이처럼 조부모가 일생동안 쌓아온 지혜와 경험을 손자녀에게 제공하는 것은 손자녀의 양육 및 교육뿐만 아니라 조부모 자신의 정신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현대 핵가족사회에서는 웃어른으로서의 권위가 약화되어 뒷전으로 밀려남에 따라 세대갈등이나 소외감을 갖는 노인들이 늘어나고 있다. 또한 사회적 지지망이 축소되고 친지 또는 친구와의 접촉이 감소함에 따라 자살률도 증가하고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배재남, 2006; McIntosh 등, 1994). 이와 같은 사실들은 소외되고 있는 노인들에게 가정에서의 역할을 되찾아 주고 세대간의 갈등을 해소하며 세대간 교류를 유도할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세대통합 프로그램(Intergenerational Program)은 두 세대간의 협력, 상호작용 및 교환을 증가시키는 활동 또는 프로그램으로 1980년 이래로 외국 노년사회학 분야뿐만 아니라 아동학 분야에서 점차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주제이다(박경란 외, 2003). 이와 같은 중요성을 인식한 교육인적자원부에서는 2007년 4월 유치원에 할머니 자원봉사자를 배치하는 ‘유아-중고령 여성 협력망 구축 사업’을 전국 16개 시도교육청 종일제유치원으로 확대 실시한 바 있다. 이는 50세 이상 여성의 육아경험과 유휴인력을 활용함으로써 유치원의 교육여건을 향상시키고 중고령 여성의 사회참여를 유도하여 세대간 의사소통의 물꼬를 트는데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각 세대들은 비록 그들이 살아가는 시간과 경험이 다르다 해도 전체 생애의 일부분으로서 서로 관련되어 있으며 공통된 이해관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세대통합을 위한 이러한 노력은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Recently, plans to revitalize rural areas in addition to farming are actively having been groped since given agricultural conditions destituted. One of the plan is the 'Rural Tourism' which to sell to urbanites by merchandising rural and pleasant characteristics possessed by rural areas. As a part of the rural-urban exchange, analyzed the features of the experience programs operated by each village by selecting 152 rural-mountain villages where is supporting and presented results by synthesizing above conclusion. The results acquired through such research are as following. Currently, villages operate mainly with the experience program related to general agricultural life styles by synthesizing special features of experience programs with high frequency in operations as the present status of the rural-mountain villages and showed negative trends dependant to the existing natural resources and easy in operations. Moreover, the operation of the experience which are expected to publicize the village and create large incomes were insufficient, analyzed not to be stimulate purchasing activities by lack of connections among experience programs and only simple staged experiences are mainly operated due to low operation frequency of experience programs which can be operated with special interests or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how the effect of psychological-horticultural therapy for promoting ecmotional intelligence. We carried out the program which was designed for promoting emotional intelligence and subjects were 11 children at K welfare center in Jungrang-gu. Children were tes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the program applied for 8 weeks. Emotional intelligence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treatment. We used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method and data were analyzed by wilcoxon t-test using SPSS 12.0. The score of emotional intelligence were increased slightly after the program, but it was not significant. In qualitative viewpoint, children were changed in perception and expression of emotion and empathy and they experienc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for reducing parenting stress. Parenting stress means negative psychological response of things that should do. This negative response have bad impects to children such as reducing social ability and increasing conduct problems. But parenting stress can be reduced through various parenting education and many program have been practiced to reduced stress. The essence of horticultural therapy is to experience nurturing through growing plants. As a result, horticultural therapy has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suitable for introducing horticultural therapy for reducing parenting stress. This study developed cognitiv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with nurturing experience and parent education and applied to seven housewives to it. We used Parenting Stress Index(PSI) in pre-test and post-test for measuring effect and analyzed with Wilcoxon signed rank test. After applying this program eight times for a two-hour session, this study found reduction of parenting stress indicated by 48.14 to 42.57,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z=-2.117, p<0.05). This study has the limitation of small sample numbers. In the future we should study mor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that affects sub-factors of parenting stress applying more samples.
본 연구는 엘리트 양궁 선수 대학팀과 실업팀 소속으로 남자 선수 5명, 여자 선수5명 대상으로 엘리트 양궁 선수들이 시합 시에 사용하는 시합전과 시합중의 프리슈팅 루틴 프로그램의 내용을 근간으로 프리슈팅 루틴을 구성하는 인지적, 행동적 원자료에 관한 데이터 풀을 구축하는 것이다. 또한 모범적인 프리슈팅 루틴 프로그램의 예를 제시하여, 모든 양궁 선수들이 스스로 자신에게 적합한 루틴을 실용적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절차와 근거를 제공함과 동시에, 프리슈팅 루틴이 심리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4단계의 절차에 따라서 진행되었다. 첫 번째 단계는, 각 선수들의 개인차가 고려된 프리슈팅 루틴 프로그램을 제작하였다. 두 번째 단계는, 제작한 최종 루틴 프로그램을 스포츠심리학적인 측면에서 데이터 풀에 적합하도록 질적으로 분석함과 동시에 루틴 프로그램의 제작 과정에서 추출된 원자료를 분석하여 소주제(higher order themes)와 대주제(dimension)로 분류하여 데이터 풀을 제시하였다. 세 번째 단계는, 프리슈팅 루틴이 심리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선수들이 2개월 동안의 루틴 훈련을 시작하기 전과 루틴 훈련이 끝난 후의 심리기술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네 번째 단계는, 2개월간의 루틴 훈련이 끝난 후에, 각 선수들과 개인 면담을 실시하여 루틴 훈련의 효과, 장점 및 주의 사항, 기술적인 변화, 그리고 심리적 변화 등을 추출하였다. 루틴의 효과에 대한 선수들의 진술을 귀납적으로 내용을 분석한 결과 선수들이 훈련 시에 “훈련을 시합같이” 하는 질적인 훈련의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양적 분석 결과 통계적으로는 오직 시각 조절 능력에서만 유의한 차이로 향상을 보여주었으나, 각성 조절 능력, 위기관리 능력, 목표설정/정신적 준비 능력이 전반적으로 향상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본 논문에서는 선박충돌사고의 주요한 원인이 되는 인적운항과실의 감소 및 효과적인 선박충돌회피를 지원하기 위해 새로이 제안된 '속력을 고려한 선박충돌회피지원 모델'을 기반으로 한 선박충돌회피지원 프로그램 개발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선행 연구에서 고려되지 않은 상대선박의 속력이 고려되었으며, 자선의 선회특성을 이용하여 상대선박의 침로, 속도에 대한 충돌회피 가능영역과 방법을 표시함으로써, 근접상황에서도 효과적인 충돌회피 조종을 지원할 것이다.
본 연구는 HCI 이론을 적용하여 게임형 학습 프로그램을 평가하기 위한 준거를 개발한다. 사람들이 편리하고 즐겁게 사용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원리나 방법을 연구하는 학문인 HCI 이론은 다양한 영역의 프로그램 개발에 광범위하게 적용되어 왔다. 그리고 학습 프로그램을 평가하는 데도 널리 활용되어 왔다. 그러나 HCI 이론을 적용한 게임형 코스웨어 평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게임형 코스웨어 평가 연구에서도 HCI 이론 적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HCI의 구성요소인 유용성(Usefulness), 사용성(Usability), 감성(Affect)의 관점에서 평가 준거를 개발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평가 준거는 게임형 학습 프로그램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visitors` satisfaction of Jangsung Bakyang Maple Festival Programs and to provide suggestions for the festival program planners. This study surveyed 260 visitors and 15 were deleted due to they did not responded some questionnaires. So 245 questionnaire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Maple Forest Street Performance’was the most satisfied program from visitors.‘ On Stage Performance Program’was secondly satisfied program and Exhibition of Maple Postcard was chosen as third favorite program.
Second, Natural Soil Dyeing, ‘Maple Wooden Pressure Experience', ‘Press Flower Experiencing was the less favorite three programs among eight programs.
To increase visitors` satisfaction, following are suggested. First, many visitors came to the festival with their family, more family oriented programs should be developed.Second, itis necessary to establish small scale performance place to increase quality of 'Maple Forest Street Performance'.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is study investigated eight programs of this festival. For the future study,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more programs of the festival and examine determinants factors of visitors`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