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청소년의 다양한 비행행동을 설명하기 위해 개인적 요인, 가족요인, 학교요인과 지역사회요인을 모두 고려하여 이들의 상대적 중요성을 측정해 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선행연구들은 이들 각각의 영향력을 살펴보는 데 집중을 해왔던 반면 이 요인들을 한 모델안에서 함께 고려하여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려는 시도는 많지 않았다.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이 연구는 기존의 범죄원인론 중 자아통제론과 자아존중감이론, 사회유대이론과 사회해체이론, 그리고 일상생활이론 등을 가지고 분석틀을 구성하였다. 선정된 변수는 개인적 수준에서 자아통제력과 자아존중감, 가족적 수준에서 가족의 화합정도와 부부의 갈등정도, 학교상황에서는 학교교육에 대한 불신과 학교생활만족도, 지역사회 수준에서는 유흥업소의 범람과 지역의 무질서, 그리고 지역사회의 비공식적 통제력에 대한 인식을 선정하였다. 종속변수인 청소년비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폭력비행 재산비행 지위비행, 성비행을 측정하였다. 1,122명의 서울시내 중학교와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조사를 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성별, 교급별로 나누어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볼 때 model에 포함된 모든 변수들이 어느 정도는 모두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특히 자아통제와 가족통합정도, 학교에 대한 불신, 지역사회무질서, 유흥업소의 범람이 상대적으로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교급별 분석결과를 보면 남녀학생모두에게 자아통제력은 비행을 저지하는 힘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흥업소의 수는 남녀학생 모두에게 영향을 주고 있지만 지역무질서는 남학생의 비행에만 영향을 준다는 차이를 보였다. 자아통제력은 중학생보다는 고등학생에게 더 의미있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에서는 몇가지 정책적 함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followed up asthma incidence rate in primary schools indoor air quality. To investigate the history and prevalence rate of allergic diseases(asthma, atopy dermatitis, allergic rhinitis and conjunctivitis), the standardized and generally used International Study of Asthma and Allergies in Childhood(ISAAC) questionnaire was used to conduct the symptom survey for all participating subjects. The concentrations of major indoor air pollutants(dust mite allergen, aldehydes , VOCs, TBC, phthalate) were observed from April to May 2007. Sampling was undertaken at 19 primary schools. The sampling sites of air pollutants are classroom’s indoor and hallway. Dust mite allergen part it was detected from the case classroom and infirmary. The exposure quality of aldehyde and the place pollution level was indoor>outdoor>hallway, which whole is disease incidence rate high group appears more highly the low group than. The partially result of formaldehy and VOCs, the concentration of high environmental disease incidence rate showed also high. However, house dust allergen, TBC and phthalate measurement school was not the effect where the comparison of differenc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airborne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s), formaldehyde, respiratory particulate for concentration in primary schools. The concentrations of major indoor air pollutants(VOCs , benzene, toluene, ethylbenzene, xylene, styrene, formaldehyde, PM-10) were observed from November to December 2006. Sampling was undertaken at 81 primary schools. The sampling sites of air pollutants are classroom and hallway. VOCs with distribution of most of general environmental contamination material will be able to confirm that it shows the log-normal distribution which is similar exposure distribution. The exposure quality of VOCs and the place pollution level was indoor> hallway>outdoor, which whole is located in the metropolis and the industrial areas is higher than farm village area. It tried to observe the I/O ratio, it appeared highly from the interior of the material of most. The mean concentrations of formaldehyde, respiratory particulate were 22.07㎍/㎥, 88.06㎍/㎥ respectively. Indoor and outdoor ratios(I/O) of formaldehyde and respiratory particulate were 3.6 and 1.4,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 of respiratory particulate is 27.2% higher than guideline for school hygiene(100㎍/㎥). From the comparison in the construction year,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formaldehyde is showed under one year. However, as time passed by the concentrations of formaldehyde become low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students’ perception and to evaluate the satisfaction with the quality of school foodservice in Chungbuk Province. A questionnaire survey of 900 students was conducted and 370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available for the purpose of the statistical evaluation.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on the data utilizing the SAS V8.2 program. Importance,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scale were composed of 5-Likert scal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n twenty three attributes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four dimensions and overall satisfaction were measured according to type of school, location of school, place for eating, type of foodservice system and type of foodservice operation. The importance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erformance score at all quality attributes except for the food appearance. The performance score of ‘waiting time’ and ‘atmosphere’ was less than 3 point out of 5 scale. The average satisfaction score for the quality dimensions of food, sanitation and service was 3.35, 3.19 and 3.10 point out of 5 scale, respectively. The satisfaction score for dimension of environment was 2.93 point out of 5 scale. The score for overall satisfaction was 3.27 point out of 5 scale. The satisfaction score for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manage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middle and high school foodservices. The satisfaction score for commissary foodservice operation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ventional foodservice operations. Using survey results as a base, the dieticians of school foodservice are required to meet the needs of the students and increase students’ satisfa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ating habits and eating behaviors, nutrition knowledge of students in 4, 5 and 6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in Jeonju Area. The subjects for questionnaire were 2,568 elementary school students (boys 1,364, girls 1,204).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SPSS program, and were as follows. In anthropometric data,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In eating habits and eating behavio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ate of 'Hasty eating habit(p<0.01)', 'Most heavy meal(p<0.01)', 'Eating when receive stress(p<0.05)', and 'Frequency of snack eating per day(p<0.01)' between boys and girls. In total scores of nutrition knowled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In nutrition knowled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ate of 'Carbohydrate and fat give heat and force.(p<0.001)', 'Carbohydrate is nutrient that make muscle and blood of our body.(p<0.01)', 'Overeating of carbohydrate does not contribute gain of weight. (p<0.05)', To intake vitamin, it is good to eat fresh fruit and vegetable.(p<0.01)', 'Calcium deficiency is leading to anemia.(p<0.001)' between boys and girls. In conclusion, systematical educational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at elementary school. These should include information about achieving a balanced diet, good eating habit and behavior, meal management and Korean dietary culture. Also, nutritional education at home must be emphasized.
사진과 삽화는 현행 과학 교과서에서 핵심적인 시각적 표상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6차와 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서에 사용된 사진과 삽화의 기능 및 구조를 비교 분석하였다. 기능 분석 결과, 6차와 7차 모두 예시적 기능이 차지하는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보충적 기능의 비율이 가장 낮았다. 7차의 경우 사진과 삽화의 기능들이 6차에 비해 다양해졌는데, 이것은 지구과학 II 보다는 I에서 보다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특히, 6차에서는 극히 미미하게 나타났던 보충적 기능과 설명적 기능이 7차에서는 증가하였으며, 장식적 기능 또한 전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조 분석 결과, 6차에 비해 7차에서 참조가 현저하게 감소하여 본문과의 연계성 면에서 오히려 퇴보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단독 사진이나 삽화에 비해 다중 구성의 비율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짝이나 연속 구성에서는 발전된 점이 나타나지 않았다. 앞으로의 과학 교과서 개발에서 사진과 삽화의 기능에서 탐구적 기능을, 구조에서 보완적 구성을 추가할 것과 사진과 삽화를 포함한 시각적 표상의 기능과 구조 측면을 과학 교과서 검정 준거로 활용할 것을 논의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관 전시의 교육 과정 반영에 대한 평가 기준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초등 과학과 지구과학 성취기준에 근거한 평가 기준을 개발하였고 이를 국립중앙과학관 전시에 적용하여 과학관 전시의 교육 과정 반영도와 평가 척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국립중앙과학관의 초등 과학과 교육 과정 중 지구과학 내용의 반영도는 52%이고 평가 척도는 3.53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지질 영역과 천문 영역에서는 높은 반영수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국립중앙과학관이 비형식 교육 기관으로서 학교 과학 교육과 비교적 잘 연계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과학관은 학교 과학 교육과 연계되어야 하며, 그 과정은 과학관이 교육 과정을 충실히 반영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과학관이 교육 과정을 반영하는데 지표가 될 기준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연구의 결과는 과학관과 학교 과학 교육의 연계 수준을 진단하고 발전 방향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개념의 원형적 표현인 그림 그리기로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 사이에 널리 퍼져 있는 판구조론에 관한 오개념을 조사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7차 교육과정의 내용 요소와 고등학교 11종 과학 교과서의 원형적 표현을 분석하여 판구조론에 관한 6가지 개념을 선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판구조론에 관한 개념 그리기 질문지를 개발하였다. 대구광역시 소재 인문계 고등학교 1학년 학생 13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판의 구조에 관한 오개념은 전체의 38%인 '맨틀 최상부형' 오개념과 18%인 '지각형' 오개념이 과반수 이상을 차지했다. 둘째, 판의 분포에 관한 오개념은 전체의 37%인 '금이 간 지진대형' 오개념과 14%인 '지진 빈도형' 오개념이 과반수 이상을 차지했다. 셋째, 해양지각-해양지각 발산형 판 경계에서 해령 형성에 관한 오개념은 전체의 32%인 '발산형' 오개념과 29%인 '충돌형'오개념이 과반수 이상을 차지했다. 넷째, 대륙지각-대륙지각 수렴형 판 경계에서 산맥 형성에 관한 오개념은 '충돌형' 오개념이 전체의 70%로 과반수 이상을 차지했다. 다섯째, 해양지각-대륙지각 수렴형 판 경계에서 산맥 형성에 관한 오개념은 전체의 34%인 '선입형' 오개념과 23%인 '단층형' 오개념이 과반수 이상을 차지했다. 여섯째, 해양지각-해양지각 변환 단층 경계에서 변환 단층에 관한 오개념은 전체의 30%인 '방향형' 오개념과 10%인 '구간형' 오개념이 과반수에 근접했다. 이 연구에서 판구조론에 관한 학생들의 그림은 대부분이 비슷한 오개념을 나타내고 있었는데 이것은 개념 그리기가 학생들 사이에 널리 퍼져 있는 오개념의 강력한 증거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이 연구의 결과는 판구조론 교수-학습의 기초 자료로서 교사들에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으로 약간 높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아마도 경상분지 동부 지역의 지각이 지진학적으로 불균질성이 다소 더 크다고 추정된다. 그러나, 세 계의 여러 다른 지역의 값과 비교해 보면 수도권 일대와 경상 분지 동부 일대 지각은 모두 순상지의 범주에 해당하는 값을 나타낸다.났다.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공정의 효율면에서도 훨씬 효율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문에, 이 연구에서 개발된 수치모델은 퇴적물에서 일어나는 미량 오염 물질의 거동을 파악하기 위해 유용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on between instantaneous attack angle of blade section and the resultants real time force components. Through these investigation it is found out that the conventional imagination that the 7cull motion should be effective in generating lift force must be reconsidered because the attack angle of scull blade are too great to free from stall phenomena during the sculling operation.잠119〉잠113〉잠120의 순이었다.지방산의 조성이 많은 차이를 보였다.2+〈/TEX〉 26 및 Na+ 26 mg L-1이었다. 양액 재배 후 버려지는 폐양액 중의 무기성분 함량은 양액재배에 이용되는 원수에 비해 상당히 높아졌다.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약재료인 약초류 등을 이용하였는데 오랫동안 푹 삶아 그물에 곡류 등을 넣어 죽이나 밥으로 조리하였으며 면으로도 조리하였다. 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me-based integrated learning that focused on physical education had any effect on increasing school children's satisfaction level with Physical Education instruction. Three subareas were selected after r
This study was surveyed to evaluate and recognize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indoor air pollutants(IAPs) such as the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s), formaldehyde(HCHO), PM10, carbon dioxide(CO2), nitrogen dioxide(NO2), ozone(O3) and radon in 10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urban, rural, and industrial complex area from November 2005 to February 2006.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IAPs were 117.9㎍/㎥ as in PM10, 1,971ppm as in CO2, 486.6㎍/㎥ as in TVOC. These chemical's concentration was exceeded the indoor air standards of the Department of Education in Korea. The indoor concentrations of ozone and toluene was lower than that of outdoor and other pollutants showed the opposite tendency. In schools located industrial complex area, the outdoor concentration of TVOC was higher than that of urban and rural area. Based on the results above, PM10, CO2, TVOC have to be in the order of priority to improve the indoor environment in school. Also it should be performed in the detailed survey considered by the seasonal variation because this study showed cross-sectional resul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lementary specially enlisted teacher's cognition concerning physical education(P.E.) of the goals, the content,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e evaluation and the management conditions involved in teach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o encouraged elementary schoolers to join sport clubs, what
motivated them to do that and how much they were satisfied with it in an attempt to lay the foundation for
applying successful programs tailored to the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ontemporary literature and documents on the establishment and transition of school grounds in and after the Kabo Reform(1894) that initiated early modern education. It's basically meant to shed light on the past a
현행 전문계 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이 초급 GIS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에 미흡하므로 이 점을 보완할 교육내용을 선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GIS 초급 인력 양성을 위해 전문계 고등학교에서의 GIS 교육내용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GIS 전문 업체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현재 GIS 업체와 GIS 기술자들이 겪고 있는 문제점과 그들의 업무, 전문계 고등학교출신 기술자에게 요구되는 업무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현장의 수요에 부응하는 전문계 고등학교에서의 GIS 교육내용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GIS 이론, 기술, 응용과 관련된 과목이외에도 'CAD 실습', '프로그램 개발', '수치지도 실습', ‘컴퓨터 기초 실습’등과 같은 독립적인 과목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전문계 고등학교 출신자들이 GIS 관련 업체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전 학년에 걸친 대대적인 과목의 재구성이 필요하며, GIS 업체와의 긴밀한 협동 체제를 구축하여 산학협동과정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GIS 업체의 수요에 맞추어 정규 교육기관인 전문계 고등학교의 GIS 관련학과에서 현장의 요구에 입각한 GIS교육내용을 개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