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68

        1261.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예비 교사들의 체육 가치관 형성 과정을 규명하는데 있었다. 이 연구는 D 교육대학 3학년에 재학 중인 초등 예비 교사 10명을 대상으로 집단 면담, 개별 면담, 비참여 관찰과 관련 문서 수집을 통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traus와 Corbin(1998)이 제안한 근거이론에 기초하여 개방코딩, 축 코딩 그리고 선택코딩 등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개방코딩에서는 113개의 개념어와 18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10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둘째, 축 코딩을 통해, 초등학교 예비 교사들의 체육 가치관 형성에 관한 6개의 패러다임이 구성되었다. 인과적 조건은 체육 경험의 부족으로 입시위주의 교육과 학창시절의 체육 경험 그리고 부족한 실기 기능 등이었다. 중재적 조건은 체육관련 대학 강좌와 개인적 특성과 체육활동이었다. 중심현상은 체육 철학적 이해부족, 체육 교수법에 대한 이해부족, 체육 지도에 대한 자신감 부족이었다. 맥락적 조건은 시범 수업에서의 수업 준비와 수업 비평, 교육 실습이었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자아 성찰과 노력, 동료간의 대화, 교생지도교사와 담당 교수와의 만남 등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초등학교 예비 교사들은 체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나름의 체육 목표, 수업관, 학생관 등의 체육 가치관을 가지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선택코딩으로 초등학교 예비 교사들의 체육 가치관 형성 과정에 관한 이야기 윤관을 실시하고 핵심 범주를 발견하였다. 초등학교 예비 교사들은 자신들의 체육 가치관 형성 과정에서 체육에 대한 자신의 철학을 가지게 되면서 체육목표, 체육 지도방법, 학생관 등의 체육 교육 전반에 걸친 생각과 능력을 갖추어 나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267.
        2012.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원예치료프로그램을 뇌병변장애 남자 중학생에 적용하였을 때 정서안정과 학교생활적응 및 자아존중감 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원예치료프로그램은 단일사례로 진행된 연구이지만, 사회·심리·정서적 행동특성 평가 및 학교생활 적응 척도, 자아존중감 검사의 결과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비록 단일사례연구이고, 이를 체계적으로 검증할 도구의 부족으로 뇌병변장애 학생 전반에게 일반화하여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진행과정과 프로그램을 보완 및 수정한다면 향후, 뇌병변장애 학생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1268.
        2012.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원예치료가 초등학교 중학년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한 연구에서 대상자의 수가 적고 연구기간이 짧아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 제한점이 있으나 원예치료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이 낮거나 사회성이 부족한 정서 행동검사 결과 관심이 필요한 중학년 초등학생들에게 유의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또래 친구들과 함께 살아 있는 자연 상태의 식물과 흙을 만지는 원예치료 활동으로 신체오감을 자극하게 되어 감수성이 길러짐으로서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에 어느 정도 기여가 되는 것을 알게 되었다. 앞으로 학생만이 아니라 부모가 자녀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볼 때 가족이 함께 할 수 있는 원예치료의 접근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1269.
        2012.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대조군이 없고 실험기간이 짧아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 제한점이 있으나 원예치료가 대안학교 학생들의 사회성과 스마일척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유의함을 나타냈다. 이는 식물심기 등을 통해 공동체를 인식하여 사회성을 향상시키고 원예치료활동을 통해 긍정적 사고를 가지게 하여 스마일 척도를 향상시켰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사회에 적응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부정적 사고가 많은 대안학교 학생들에게 건강한 인성발달을 위한 다양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1270.
        2012.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대상자의 수가 적고 대조군이 없어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키기에 제한점이 있으나, 연구결과에서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아 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대상자와 함께 하는 동안 그들의 변화하는 모습에서 프로그램 실시 전에 비해 프로그램 실시 후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 원예치료가 많은 영향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다양한 식물과 재료를 사용하여 새로운 것에 대하여 경험해보게 하고 새로운 방법을 시도해 볼 수 있도록 하여 청소년들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위하여 다양한 원예치료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1273.
        2012.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급과 운동경력에 따른 청소년 복싱선수들의 스포츠 재미요인의 차이와 스포츠 재미요인 질문지의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중학생 69명과 고등학생 78명 등 총 147명이었다. 질문지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이 이루어졌으며, 배경변인에 따른 스포츠 재미요인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다변량 분산분석이 실시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 재미요인질문지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상급학교 진학' 요인이 삭제되고 최종적으로 5요인 16문항의 질문지가 복싱종목의 경우 측정모형으로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학교급에 따라 스포츠 재미요인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운동경력에 있어 1년 미만의 운동경력을 가진 선수들에 비해 1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선수들이 '팀 분위기'와'승리와 경쟁'의 두 요인에서 스포츠 재미를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274.
        2012.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the management of food service in schools. The subjects consisted of 271 school dietitians in the Daegu and Gyeongbuk areas. The questionnaire included the food temperature management and the frequency of the food quality confirmation. The sanitation performance of the delivery workers was evaluated with a 5-point Likert scale. The food items for which the proper temperatures while they were being received were difficult to maintain were as follows: ready-to-use vegetables, 49.8%; frozen foods, 30.3%; and fish paste, 27.7%. The frequencies of the food quality confirmation whenever the foods were received were as follows: for beef, 87.5%; pork, 84.5%; chicken, 84.1%; eggs, 73.4%; seafood, 59.4%; and processed foods, 52.8%. The total mean score of the dietitian-perceived sanitation management performance of the delivery workers was 3.86/5.00. The school dietitians said the percentage of the mixed delivery of food items in vans was 80.4%. The percentage of the dietitians who thought this mixed delivery influenced food sanitation and quality was 92.3%. Therefore, safe foods should be supplied to schools with a thorough inspection process and hygiene education, and professional research is required on the appropriate inspection process.
        1275.
        2012.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프로그램 구성요소를 선정하여 학업적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12회기의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은 특성화고등학교 1학년 학생 중 프로그램에 자발적으로 참여를 희망하는 2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24명 중, 12명을 실험집단에, 나머지 12명은 통제집단에 배치하고 실험집단에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검사 도구는 김아영, 박인영(2001)이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발한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통해 분석한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은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276.
        2012.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안산에 위치한 다문화 대안학교인 행복다문화학교에서 교사봉사자로서의 경험을 자문화기술지의 연구논리와 기법을 활용해 서술하였다. 교사봉사자로서 연구자의 솔직한 이야기를 통해 다문화교육기관 및 대안학교에서의 교사봉사자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미래 교사봉사자 및 예비교사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5년 동안의 교사봉사자로서의 경험을 통해 다양한 변화를 체험 하였다. 연구자는 이러한 경험을 외적관계의 변화와 내적심경의 변화 속에서의 경험들로 구분하여 기술하였다. 학생들과의 관계에서 교사봉사자의 역할만을 준비하고 기대하였던 연구자는 상담가, 번역가, 댄스강사 등의 정체성을 가지게 되었다. 교사와의 관계 경험에 있어서도 파트타임 교사로서의 소외감과 거리감을 느끼던 관계에서 한 식구라는 관계의 변화를 느끼며 서로의 속마음까지 공감을 하게 되는 경험을 하게 되었다. 또한, 교사봉사자로서의 오랜 경험은 다문화교육에 대한 연구자의 편견을 점점 약화시켰고, 연구자 스스로 다문화인이 되었음을 느끼게 되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미래 교사봉사자들과 예비교사들이 다문화교육의 현장에서 필요로 할 수 있는 실제적인 조언을 하였다.
        1277.
        2012.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낮은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가진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프로그래밍 학습은 매우 어렵고 힘든 과정일 수 있다. 프로그래밍의 과정은 고차원적 사고를 요구하는 학습 과정이며, 높은 수준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래밍 학습에 어려움을 느끼는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을 위하여 로봇을 활용한 문제 중심 프로그래밍 교수-학습 과정을 설계하여 적용하였다.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은 본 교수-학습 설계를 통하여 프로그래밍의 개념을 익히는 것뿐만 아니라, 총체적으로 낮은 수준의 자기주도 학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G 공업고등학교 3학년 2개 학급에 3주에 걸쳐 실험집단에는 로봇 활용 문제중심 프로그래밍 학습을 통제집단에는 로봇을 활용하지 않은 문제중심 프로그래밍 학습을 실시하였다. 적용 결과, 로봇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활동이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1278.
        2012.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ood purchasing management of school food services. The subjects consisted of 271 school dietitians in the Daegu and Gyeongbuk area. The percentages of ready-to-use vegetables actually being used were as follows: root of balloon flowers, 88.4%; garlic, 87.8%; blanched bracken, 80.1%; raw lotus root, 65.7%; burdock, 63.5%; small green onion, 63.5%; stem of taro, 57.6%; ginger, 35.1%; radish root, 30.6%; blanched asterscaber, 29.2%; large type welsh onion, 25.8%; carrot, 25.5%; onion, 21.4%; and potato, 8.9%. The percentages of HACCP-certified products being used were as follows: meat, 75.9%; eggs, 66.7%; soybean curds, 65.5%; ready-to-use seafood, 55.1%; starch jellies, 49.9%; spice, 44.9%; kimchi, 30.9%; ready-to-use vegetables, 22.7%; and fruits, 6.9%. The percentages of environment-friendly food items being used were as follows: eggs, 31.0%; meat, 28.7%; soybean curds, 22.1%; and fruits, 17.7%. Of these food items, meat and ready-to-use seafood were being used the most in the elementary schools. The percentages of imported food items being used were as follows: starch jelly, 29.2%; ready-to-use seafood, 24.7%; soybean curds, 20.5%; spice, 15.9%; and fruits, 10.1%. The food items requiring HACCP certification were as follows: beef and pork, 81.5%; chicken, 80.1%; ready-to-use seafood, 78.6%; frozen dumplings, 73.8%; soybean curds, 71.6%; peeled eggs, 70.8%; fish paste, 69.4%; starch jelly, 65.7%; milk, 63.1%; kimchi, 54.6%; spice, 50.6%; frozen noodle, 45.4%; ready-to-use vegetables, 44.3%; and bean sprouts, 29.5%. It was confirmed that 8.1% of the sanitation monitoring results were intentionally misreported. Therefore, to supply good and safe foods to schools, active management is needed in schools and food manufacturing and delivery companies.
        1279.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earning vocabulary is considered basic in second language learning and yet Korean high school students tend to use a limited range of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English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EVLS) and vocabulary proficiency. For the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to 113 first grade high school students to find out their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vocabulary proficiency. The results show that the participating students favored simple memorization strategies regardless of the proficiency levels though the higher group used more EVLS than the lower group. Among the five EVLS categories, the meaning-determination strategies were most frequently used while the social strategies was least used. The results suggest that students need to be encouraged to use various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to use words in their productive language.
        1280.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이 교과서를 통한 간접적 경험과 텃밭을 통한 체험적인 학습활동을 연계하여 교육의 실효성을 거두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2011년 9월부터 2012년 2월까지 노원구 42곳의 초등학교와 송파구 37곳의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초등학교 내 텃밭과 교과목과 연계된 텃밭 프로그램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현 초등학교 교과서에 나오는 식물의 종류를 파악하고 그 중 텃밭에서 재배할 수 있는 초본류 먹을거리 식물 위주로 자료조사를 하였다. 위성사진을 통한 학교 주변 환경조사를 하였으며, 서울시교육청과 북부교육지원청, 강동교육지원청의 사이트와 전화 상담, 현장 조사,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연구결과 노원구와 송파구의 텃밭이 있는 초등학교는 50%를 넘었으나 이 중 초등교과목과 연계된 프로그램이 있는 학교는 7.6%에 불과했다. 교과와 연계한 텃밭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단 6곳의 학교의 식물종을 조사한 결과 이 중 NC 초등학교는 교과서에 나오는 먹거리 식물 60여 가지를 재배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TN 초등학교의 경우 40여 가지의 식물을 재배하고 있었으며 다른 초등학교의 식물종은 20종 미만이었다. 교과목과 연계된 프로그램의 운영결과를 묻는 설문을 통하여 학습과 정서, 지역커뮤니티 형성에서 긍정적이고 발전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속성과 전문성, 통합적인 교과연계운영에 아쉬운 결과가 나타났으며 무엇보다도 교과목과 연계하는 적극적인 텃밭 활용에 부족함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해 초등학교 텃밭의 확충과 전문 인력의 확보, 전문적인 프로그램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